동림당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림당쟁은 명나라 만력 연간에 동림당을 중심으로 일어난 정치적 갈등을 의미한다. 동림서원을 기반으로 고헌성, 고반룡 등이 정치 개혁과 언로 확대를 주장하며 동림당을 형성했고, 이들은 경찰(京察)을 통해 서로를 공격했다. 만력 21년(1593) 계사경찰을 시작으로 을사경찰, 신해경찰, 정사경찰 등을 거치며 당쟁이 심화되었고, 이는 명나라 말기 관료들의 고핵이 당쟁의 도구로 전락하는 결과를 낳았다.
만력(萬曆) 연간, 국본지쟁, 요서안, 명말삼안 등 여러 정쟁에서 이미 동림당쟁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었다. 만력 32년(1604년), 무석(無錫) 출신 이부낭중(吏部郎中) 고헌성(顧憲成)은 죄를 지어 파직되었고, 고반룡(高攀龍), 전일본(錢一本) 등과 함께 송(宋) 양중립(楊中立)이 가르쳤던 무석 동림서원(東林書院)에서 강의를 시작하였다. 이들은 "아는 것은 보조이고, 행하는 것이 주인이다(知輔行主)", "진실을 공경하고 거짓을 배격하라(崇實黜虛)", "지식은 공허한 말을 귀히 여기지 않고 실천을 귀히 여긴다(學問不貴空談,而貴實行)", "학문은 몸소 실천해야 이롭다(學問必須躬行實踐方有益)" 등을 제창하였다.[2]
만력 연간 국본지쟁(國本之爭), 요서안(妖書案), 명말삼안(明末三案) 등의 정치적 사건들과 경찰(京察) 분쟁에는 이미 동림당쟁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었다. 만력 32년(1604년), 무석 출신 고헌성이 이부낭중(吏部郎中)에서 파직되면서, 고반룡, 전일본 등과 함께 송 양중립이 가르쳤던 무석 동림서원에서 강의를 시작하였다. 이들은 "아는 것은 보조이고, 행하는 것이 주인이다", "진실을 공경하고 거짓을 배격하라", "지식은 공허한 말을 귀히 여기지 않고 실천을 귀히 여긴다", "학문은 몸소 실천해야 이롭다" 등을 제창하였고, "강의 외에도 종종 조정의 정치를 풍자하고 인물을 판단"하였으며, 종종 서원 사람들과 조정 정사를 논하면서 환관들을 공격하였다. 그들은 점차 "동림당"으로 알려진 재야 집단을 형성했다.[1]
[1]
서적
조용현열전(趙用賢列傳)
『명사(明史)』 卷117
2. 기원 : 경찰지쟁(京察之爭)
동림서원에서 강의하며, 이들은 조정의 정치를 풍자하고 인물을 판단하였으며, 환관들을 공격하면서 점차 "동림당"으로 알려진 재야 집단을 형성했다. 『명사(明史)』 「손비양열전(孫丕揚列傳)」에 따르면, "남북의 언관(言官)들이
같은 시기 절강성(浙江省) 영파(寧波) 출신 심일관(沈一貫)은 북경(北京)에서 절강 출신 관료들을 규합, 동림당의 반대파인 "절당(浙黨)"을 결성했다. 호북성(湖北省) 출신 관응진(官應震)과 오량사(吳亮嗣)가 주가 된 "초당(楚黨)"과 산동성(山東省) 출신 기시교(亓詩敎)의 "제당(齊黨)" 모두 절당으로 귀의했다. 이외에도 '선당(宣黨)'과 '곤당(崑黨)'이 있었으며, 이들을 총칭하여 "제초절당(齊楚浙黨)"이라 하였다. 제초절당과 동림당은 서로 격렬하게 대립하였으며, 심지어 화가 변강의 군사 업무에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당쟁은 수십 년간 지속되며 하루도 편안할 날이 없었다.
2. 1. 만력 21년 (1593) 계사경찰(癸巳京察)
만력(萬曆) 21년(1593) 음3월, 이부상서(吏部尙書) 손롱(孫鑨)과 좌도어사(左都御史) 이세달(李世達), 고공사낭중(考功司郎中) 조남성(趙南星)이 계사경찰(癸巳京察, 계사년에 실시한 북경 중앙 관료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사 고과)을 주도하자, 신료들은 사심에 근거하여 서로 비방하고 붕당을 결성하여 여러 관료들이 파면되었다. 이부문선랑(吏部文選郞) 여윤창(呂胤昌), 급사중(給事中) 왕삼여(王三余)가 파직되어 큰 파장이 일었다. 이후 언관들이 이부계훈사원외랑(吏部稽勳司員外郞) 우순희(虞淳熙), 병부직방낭중(兵部職方郞中) 양우정(楊于庭), 주사(主事) 원황(袁黃, 즉 원료범)을 탄핵했다.[2]
2. 2. 만력 33년 (1605) 을사경찰(乙巳京察)
만력(萬曆) 33년(1605), 동림당(東林黨)인 양시교(楊時喬)와 좌도어사(左都御史) 온순(溫純)이 을사경찰(乙巳京察)을 주도하였다. 이는 계사경찰(癸巳京察)이 있은 지 12년 만의 일이었다. 그 사이에 "초태자안(楚太子案)"이 발생하면서, 심일관(沈一貫)과 심리(沈鲤) 두 집단의 투쟁이 벌어졌다. 심리는 이를 통해 절당(浙黨)인 급사중(給事中) 전몽고(錢夢皐)와 종조두(鍾兆斗) 및 어사(御史) 장사거(張似渠), 우영청(于永淸)을 폄적(貶謫)시켰다. 심일관은 병을 핑계로 집에 머물렀다. 이로 인해 내각(內閣)에는 주갱(朱賡) 한 사람만 남게 되었다. 섭향고(葉向高)는 조정이 비고, 상하가 어긋나며, 사대부가 다툼을 좋아하고, 재산을 축적하여 타인을 해하려는 폐단이 발생하며, 고아한 시문을 짓는 풍조가 만연하여 만회할 수 없다고 하였다.[3]
2. 3. 만력 39년 (1611) 신해경찰(辛亥京察)
만력(萬曆) 39년(1611), 신해경찰(辛亥京察)에서 80세의 이부상서(吏部尙書) 손비양(孫丕揚)이 인사고과를 주도하였다. 서소길(徐紹吉), 주영춘(周永春) 등은 동림당(東林黨)을 전복시킬 계획을 꾸몄으나 이부우시랑(吏部右侍郎) 왕도(王圖)가 제지하였다. 이때 조정의 당쟁은 남당(南黨)과 북당(北黨)의 대립 형국이었다. 경기도어사(京畿道御史) 서조괴(徐兆魁)는 "동림이 가는 곳은 한때를 혼란케 하는 소요가 일어나, 남북이 서로 공격하여 승리를 쟁취하고 붕당을 짓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4]
2. 4. 만력 45년 (1617) 정사경찰(丁巳京察)
만력 45년(1617), 절당(浙黨) 이부상서 정계지(鄭繼之)가 정사경찰(丁巳京察)을 주도하였다. 이는 만력제(萬曆帝) 최후의 경찰(京察)이었다. 산동 제당(齊黨)의 기시교(亓詩敎)와 주영춘(周永春), 호광 초당(楚黨) 관응진(官應震)과 오량사(吳亮嗣), 절강 절당(浙黨)의 요윤문(姚允文)과 유정원(劉廷元) 세 당이 동림당원을 크게 배척하여, 붕당 정쟁이 더욱 격렬해졌다.[5]
3. 전개 및 심화
명사 「손비양열전(孫丕揚列傳)」에 따르면, "남북의 언관(言官)들이
당쟁은 수십 년 지속되면서 하루라도 편안할 날이 없었다. 『왕학질의(王學質疑)』의 제요(提要)에는 "명(明)의 멸망은 문호(門戶)로 망했다. 문호는 붕당(朋黨)에서 시작되었다. 붕당은 강학(講學)에서 시작되었다"고 하였다.[1] 하윤이는 『행존록(幸存錄)』 '문호대략(門戶大略)'에서 "만력 이전에는 당명이 없었으나, 사명(심일관)이 재상(수보대학사)가 되면서 자기의 재주를 높이 사고 타인에게 굽히려 하지 않았으나, 당시 고헌성, 손비양, 추원표, 조남성 등과 같은 현자들은 올곧고 자부심이 높았다. 매번 서로 대립하였다. 사명에게 붙은 이들 가운데 언관들도 있었다. 고헌성이 동림에서 강학할 때에는 명류들이 모두 기꺼이 그를 따랐으니, 이것이 동림당과 절당의 기원인 것이다"라고 하였다.[1] 『홍광조위동궁위후급당화기략(弘光朝僞東宮僞后及黨禍紀略)』에도 "당화는 만력 연간에 시작되었다. 절강 출신 심일관이 재상(대학사)가 되어 권력을 휘두르면서 자신과 친한 이들을 요직에 두었다. 그러나 당시 현자 고헌성, 고반룡, 손비양, 추원표, 조남성 등은 기개가 높아서 정부와 항상 대치하였다. 그러나 고반룡과 고헌성은 동림에서 강학하였고 명류들이 모두 기꺼이 이들을 따랐으니, 이것이 동림당화의 시작인 것이다"라고 기재되어 있다.[1]
참조
[2]
서적
東林始末
[3]
서적
섭향고전(葉向高傳)
『명사(明史)』
[4]
서적
『국각(國榷)』卷81
[5]
서적
『명사기사본말(明史紀事本末)』 卷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