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유럽 표준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유럽 표준시(EET)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2시간 빠른 시간대이다. 이 시간대는 유럽의 여러 국가와 중동 지역에서 사용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연중, 다른 지역에서는 겨울철에만 사용된다. 연중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하는 주요 국가로는 그리스,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불가리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이집트, 이스라엘, 키프로스 등이 있다. 반면, 겨울철에만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하는 국가는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유럽 - 유라시아 스텝
    유라시아 스텝은 루마니아에서 만주에 이르는 8,000km의 광대한 초원 지대로,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자 기마 유목 민족의 활동 무대였으며, 여러 민족의 이동과 교류의 통로이자 실크로드와 같은 무역로를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되었고, 다양한 종교와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으며 러시아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동유럽 - 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EEST)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3시간 빠른 시간대(UTC+3)로, 여름철에 일부 동유럽 국가와 지역에서 사용되며, 과거 및 현재 벨라루스, 불가리아, 키프로스,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스, 이스라엘, 요르단, 라트비아, 레바논, 리투아니아, 몰도바, 루마니아, 러시아, 시리아, 우크라이나 등에서 사용되었고, 일부 국가에서는 영구적인 일광 절약 시간제를 채택하기도 했다.
  • 유럽의 시간 - 서유럽 표준시
    서유럽 표준시(WET)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0시간 빠르며, 영국,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에서 사용되지만, 서머타임 시행 시에는 서유럽 서머타임(WEST, UTC+1)을 사용한다.
  • 유럽의 시간 -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CEST)는 중앙유럽 하계 시간으로 불리며, 매년 3월 마지막 일요일에 시작하여 10월 마지막 일요일에 종료되고, 유럽 여러 국가에서 사용한다.
  • 시간대 - UTC+12:00
    UTC+12:00는 협정 세계시보다 12시간 빠른 시간대로, 오세아니아 여러 섬 지역과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연중 표준시로 사용되며, 뉴질랜드, 피지, 남극 일부에서는 일광 절약 시간제로, 노퍽섬에서는 하계에 사용된다.
  • 시간대 - UTC+13:00
    UTC+13:00은 협정 세계시보다 13시간 빠른 시간대로 키리바시, 통가, 토켈라우에서 표준시로 사용되며, 사모아는 2011년부터 표준시를 변경했고, 뉴질랜드와 피지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일광 절약 시간으로, 남극 일부 연구 기지에서도 사용된다.
동유럽 표준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시간대 명칭동유럽 시간
약칭EET
협정 세계시 오프셋+02:00
일광 절약 시간EEST
일광 절약 시간 오프셋+03:00
적용 국가 및 지역
현재 적용 국가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몰도바
루마니아
불가리아
그리스
키프로스
튀르키예
과거 적용 국가러시아 (1917년 ~ 1930년, 1991년 ~ 2011년)
폴란드 (1918년 ~ 1949년)
시간대 관련
관련 시간대그리니치 평균시
영국 서머 타임
아일랜드 표준시
칼리닌그라드 시간
모스크바 시간
튀르키예 시간
아르메니아 시간
아제르바이잔 시간
조지아 시간
사마라 시간
추가 정보
다른 시간대와의 관계중앙 유럽 시간
서아프리카 시간
중앙 아프리카 시간
이집트 표준시
남아프리카 표준시
모리셔스 시간
세이셸 시간

2. 사용 지역

동유럽 표준시(EET) 사용 지역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연중 내내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하는 경우, 둘째, 겨울에만 사용하는 경우, 셋째, 과거에 사용했던 경우이다.

과거에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했던 국가 및 지역은 다음과 같다.


  • 모스크바: 1922년부터 1930년까지, 그리고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사용했다.
  • 벨라루스: 1922년부터 1930년까지, 그리고 1990년부터 2011년까지 사용했다.[4]
  • 요르단: 2022년에 일광 절약 시간제로 영구적으로 전환될 때까지 사용했다.[5]
  • 폴란드: 1919년부터 1922년까지 사용했다.
  • 크림반도: 1991년부터 1994년까지, 그리고 1996년부터 2014년까지 우크라이나의 일부로서 사용했고,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병합으로 모스크바 시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 시리아: 2022년에 일광 절약 시간제로 영구적으로 전환될 때까지 사용했다.
  • 튀르키예: 1910년부터 1978년까지, 그리고 1985년부터 2016년까지 사용했다.[6]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동유럽 표준시를 FLE 표준시(핀란드,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8] 또는 핀란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9]용) 또는 GTB 표준시(그리스, 튀르키예, 불가리아용)로 지칭하기도 한다.[7]

2. 1. 연중 동유럽 표준시 사용

다음은 연중 내내 동유럽 표준시(UTC+2)를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 목록이다.

국가 및 지역비고
그리스
라트비아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여름 시간을 사용하지 않음.[3] 2014년 10월 26일부터 사용; 1945년과 1991년부터 2011년까지도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 칼리닌그라드 시간 참조.
레바논
루마니아
리비아여름 시간을 사용하지 않음.[3] 2013년 10월 27일부터 사용; 2012년에 사용했던 중부유럽 표준시에서 변경. 1980년부터 1981년까지, 1990년부터 1996년까지, 그리고 1998년부터 2012년까지는 연중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
리투아니아
몰도바
벨라루스
불가리아
시리아
에스토니아
올란드 제도
요르단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이집트2015년 4월 21일부터 사용; 1988년부터 2010년까지, 그리고 2014년 5월 16일부터 9월 26일까지는 동유럽 하계시(UTC+02:00; 일광 절약 시간제 적용 시 UTC+03:00)를 사용. 이집트 표준시 참조.
키프로스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핀란드


2. 2. 겨울철 동유럽 표준시 사용

다음은 겨울에만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하는 국가, 국가의 일부 및 지역이다.

3. 과거 동유럽 표준시 사용 지역


  • 모스크바는 1922년부터 1930년까지, 그리고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했다.
  • 벨라루스는 1922년부터 1930년까지, 그리고 1990년부터 2011년까지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했다.[4]
  • 요르단은 2022년에 일광 절약 시간제로 영구적으로 전환될 때까지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했다.[5]
  • 폴란드에서는 1919년부터 1922년까지 이 시간대를 사용했다.
  • 크림반도우크라이나의 일부였던 1991년부터 1994년까지, 그리고 1996년부터 2014년까지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했고,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병합으로 인해 모스크바 시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 시리아는 2022년에 일광 절약 시간제로 영구적으로 전환될 때까지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했다.
  • 튀르키예는 1910년부터 1978년까지, 그리고 1985년부터 2016년까지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했다.[6]

3. 1. UTC+2 경도 밖에서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하는 지역

UTC+02:00 표준시는 순수한 지리적 기준으로는 동경 22°30′과 동경 37°30′ 사이의 영역에 해당한다. 그러나 정치, 사회적 이유로 표준시는 정확하게 경도를 따르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로는 동유럽 표준시(EET)를 사용하는 지역은 이 경도 범위를 벗어나기도 한다.
UTC+2 경도 서쪽에서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하는 지역 (UTC+1을 사용해야 하는 지역)
UTC+2 경도 동쪽에서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하는 지역 (UTC+3을 사용해야 하는 지역)

유럽의 표준시와 평균 태양시의 차이


표준시와 평균 태양시의 차이
1시간 ± 30분 늦음
0시간 ± 30분
1시간 ± 30분 빠름
2시간 ± 30분 빠름
3시간 ± 30분 빠름


3. 2. UTC+2 경도 내에서 다른 시간대를 사용하는 지역

표준시는 정치적, 지리적 기준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자오선을 정확하게 따르지 않는다. 동유럽 표준시(UTC+02:00)는 순수하게 지리적 기준으로 동경 22°30′과 동경 37°30′ 사이 영역이지만, 실제로는 이 범위를 벗어나는 지역에서도 사용되거나, 해당 범위에 속함에도 다른 표준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4. 주요 도시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하는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러시아와의 영유권 분쟁 지역 제외), 루마니아, 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포함), 불가리아, 그리스, 키프로스 등이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한다.

4. 1. 겨울철에만 동유럽 표준시 사용

다음은 겨울철에만 동유럽 표준시를 사용하는 지역이다.



예루살렘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모두 수도로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다.[1]

4. 2. 연중 동유럽 표준시 사용

다음 국가 및 지역은 연중 동유럽 표준시(UTC+2)를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AT – Central Africa Time (Time Zone Abbreviation) https://www.timeandd[...] 2019-04-10
[2] 웹사이트 EET – Eastern European Time (Time Zone Abbreviation) https://www.timeandd[...] 2019-04-10
[3] 웹사이트 Ukraine to return to standard time on Oct. 30 (updated) http://www.kyivpost.[...] 2011-10-18
[4] 웹사이트 Eternal Daylight Saving Time (DST) in Belarus http://www.timeandda[...]
[5] 웹사이트 Syria and Jordan to Remain on Permanent DST https://www.timeandd[...] 2022-10-05
[6] 웹사이트 Time Zone & Clock Changes in Istanbul, Turkey https://www.timeandd[...]
[7] 웹사이트 TimeZone https://technet.micr[...] Microsoft
[8] 웹사이트 FLE http://acronyms.thef[...]
[9] 웹사이트 Finland Latvia Estonia Time http://acronyms.the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