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라시아 스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라시아 스텝은 루마니아에서 만주에 이르는 8,000km에 걸쳐 펼쳐진 광대한 초원 지대이다. 카르파티아 분지, 헝가리 대평원, 폰투스-카스피 해 초원, 카자흐 초원, 몽골 고원 등을 포함하며, 서쪽의 판노니아 스텝, 폰틱-카스피 스텝, 우랄-카스피 협곡, 카자흐 스텝, 준가리아 협곡, 몽골-만주 스텝 등 여러 지역으로 구분된다. 유라시아 스텝은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며, 특히 역사적으로 기마 유목 민족의 활동 무대였다. 이 지역은 인도유럽어족, 튀르크계 민족, 몽골계 민족 등 다양한 민족의 이동과 교류의 통로였으며, 실크로드와 같은 무역로를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되었다. 텐그리즘, 네스토리우스교, 불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가 전파되었고, 유목 생활, 기마 문화, 복식, 음악, 예술 등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러시아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슬라브족, 타타르-튀르크족, 몽골족, 이란계 사람들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러시아에서 형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대 초원·사바나·관목지 - 팜파스
    팜파스는 남아메리카 남동부에 위치한 광대한 온대 초원 지대로, 낮은 고도와 평평한 지형, 다양한 기후, 비옥한 토양을 특징으로 하며, 세계적인 축산 및 농업 지역이자 아르헨티나 인구의 상당수가 거주하는 곳이다.
  • 온대 초원·사바나·관목지 - 서시베리아 평원
    서시베리아 평원은 러시아 영토의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광대한 저지대로, 세계에서 가장 큰 평원 중 하나이며, 주요 강과 다양한 식생대가 나타나고 막대한 양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다.
  • 동유럽 - 동유럽 표준시
    동유럽 표준시(EET, UTC+2)는 일부 국가에서 연중 사용하거나 겨울철에 사용되는 표준시로, 불가리아, 키프로스, 에스토니아, 이집트, 핀란드, 그리스, 이스라엘, 라트비아, 레바논, 리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포함),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루마니아, 러시아의 칼리닌그라드주, 우크라이나 등에서 사용된다.
  • 동유럽 - 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EEST)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3시간 빠른 시간대(UTC+3)로, 여름철에 일부 동유럽 국가와 지역에서 사용되며, 과거 및 현재 벨라루스, 불가리아, 키프로스,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스, 이스라엘, 요르단, 라트비아, 레바논, 리투아니아, 몰도바, 루마니아, 러시아, 시리아, 우크라이나 등에서 사용되었고, 일부 국가에서는 영구적인 일광 절약 시간제를 채택하기도 했다.
  • 유라시아 - 유라시아판
    유라시아판은 유라시아 대륙 대부분을 포함하는 거대한 판으로, 주변의 여러 판들과 다양한 경계를 이루며 특히 인도판과의 충돌로 히말라야 산맥이 형성되었다.
  • 유라시아 -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기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기는 흰색 직사각형 바탕에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공식 문장이 중앙에 배치된 공식 상징으로, 연합 기구 건물과 시설 등에 게양되며 파란색과 금색 도형, 유라시아 지도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비율은 2:3이다.
유라시아 스텝

2. 지리

유라시아 스텝은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스텝 기후온대 습윤 기후 지역에 해당하며, 식생에 따라 다양한 생물군계로 분류된다. 유라시아 스텝은 크게 서부, 우랄-카스피 협곡, 중부, 준가리아 협곡, 동부로 나눌 수 있다.


  • 서부: 판노니아 스텝과 폰틱-카스피 초원이 대표적이다. 판노니아 스텝은 카르파티아 산맥에 의해 고립된 지역으로 오스트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에 걸쳐있다. 폰틱-카스피 초원은 다뉴브 강에서 우랄 산맥까지 뻗어 있으며, 넓은 숲-초원 지대는 농경지로 바뀌었다.
  • 우랄-카스피 협곡: 우랄 산맥 남쪽 끝에서 카스피 해 북동쪽으로 약 650km 지점에 형성되어 유럽의 폰틱-카스피 초원과 중앙아시아의 카자흐 초원을 연결한다.
  • 중부: 카자흐 초원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우랄 산맥에서 준가리아까지 뻗어 있다. 남쪽은 반사막과 사막 지대이며, 아무다리야 강과 시르다리야 강이 아랄해로 흘러든다. 남동쪽에는 페르가나 계곡과 타슈켄트, 사마르칸트, 부하라 등의 오아시스 도시들이 있다.
  • 준가리아 협곡: 톈산 산맥 북쪽의 준가리아는 서쪽의 타르바가타이 산맥과 동쪽의 몽골 알타이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몽골과 카자흐 초원을 연결한다. 남쪽에는 타림 분지가 있으며, 북방 실크로드가 이곳을 지나 페르가나 계곡으로 이어진다.
  • 동부: 몽골-만주 초원은 몽골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걸쳐 있으며, 고비 사막으로 분리된다. 남쪽에는 티베트 고원이 있고, 북쪽 가장자리는 간쑤성 또는 하서주랑으로 실크로드의 주요 경로였다. 흥안령 남쪽과 태항산맥 북쪽에서 몽골-만주 초원은 만주로 동쪽으로 확장되어 요서 초원이 된다.

2. 1. 판노니아 스텝 (서부)

판노니아 스텝은 유라시아 스텝의 서쪽 외딴 지역으로, 카르파티아 산맥에 의해 주요 스텝과 분리되어 있다. 오늘날 오스트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세르비아슬로바키아에서 발견된다.[1]

2. 2. 폰틱-카스피 스텝 (서부)

폰틱-카스피 초원은 유라시아 초원의 주요 유럽 지역으로, 다뉴브 강 어귀 근처에서 시작하여 북동쪽으로 거의 카잔까지, 그리고 남동쪽으로 우랄 산맥 남쪽 끝까지 뻗어 있다. 그 북쪽 가장자리는 넓은 숲-초원 지대였으나, 현재는 이 지역 전체가 농경지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남동쪽에서는 흑해-카스피 초원이 흑해카스피해 사이에 카프카스 산맥까지 펼쳐져 있다. 서쪽에는 헝가리 대평원이 산들로 주요 초원으로부터 분리된 초원의 섬과 같이 존재한다. 트란실바니아의 산들이 이를 가로막고 있다. 흑해 북쪽 해안에는 크림 반도가 내륙 초원과 남쪽 해안의 항구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초원을 지중해 분지의 문명과 연결시켜 준다.

2. 3. 우랄-카스피 협곡



우랄 산맥 남쪽 끝 부근에서 우랄-카스피 협곡이 형성되는데, 이곳은 카스피 해에서 북동쪽으로 약 650km 떨어진 곳이다. 이 협곡은 유럽의 폰투스-카스피 해 초원과 중앙아시아의 카자흐 초원을 연결한다.[1]

2. 4. 카자흐 스텝 (중부)

카자흐스탄 아크몰라 주의 초원.


카자흐스탄 아크몰라 주의 초원.


카자흐 초원은 중앙아시아 유라시아 스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우랄 산맥에서 준가리아까지 뻗어 있다. 남쪽으로는 아무다리야(옥수스) 강과 시르다리야(약사르테스) 강이라는 두 개의 큰 강이 북서쪽으로 아랄해로 흘러들어 농업용 관개를 제공하는 반사막과 사막으로 이어진다. 남동쪽에는 인구 밀도가 높은 페르가나 계곡이 있으며, 그 서쪽에는 제라프샨 강을 따라 타슈켄트, 사마르칸트, 부하라와 같은 큰 오아시스 도시들이 있다. 남쪽 지역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북쪽의 카자흐 초원 자체는 기록된 역사의 주요 흐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었다.

2. 5. 준가리아 협곡

동서로 뻗은 톈산 산맥은 스텝을 북쪽의 준가리아와 남쪽의 타림 분지로 나눈다. ''준가리아''는 서쪽의 타르바가타이 산맥과 동쪽의 몽골 알타이 산맥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데, 이들 산맥은 큰 장벽이 되지 않는다. 준가리아는 가장자리에는 좋은 초원이 있고 중앙에는 사막이 있다. 준가리아는 종종 몽골의 서쪽 연장부 역할을 하며 몽골과 카자흐 스텝을 연결했다. 준가리아의 북쪽에는 산맥과 시베리아 숲이 있다. 준가리아의 남쪽과 서쪽에는 톈산 산맥으로 분리된 준가리아의 약 두 배 크기의 타원형 타림 분지가 있다. 타림 분지의 건조한 조건은 유목민을 부양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나, 주변부를 따라 산에서 강이 내려와 관개 농업으로 번영한 도시들이 원을 이루고 동서 무역에 종사했다. 타림 분지는 스텝 한가운데에 거의 문명의 섬을 형성했다. 북방 실크로드는 타림 분지의 남북쪽을 따라 지나다 산맥을 넘어 서쪽으로 페르가나 계곡으로 이어졌다.

2. 6. 몽골-만주 스텝 (동부)

몽골-만주 초원은 동아시아에 있는 유라시아 스텝의 주요 부분이다.[1] 몽골중국내몽골 자치구를 포함한다.[1] 이 두 지역은 고비 사막으로 표시되는 비교적 건조한 지역에 의해 분리된다.[1] 몽골 초원의 남쪽에는 인구 밀도가 낮은 고지대인 티베트 고원이 있다.[1] 고원의 북쪽 가장자리는 간쑤성 또는 하서주랑으로, 중국 본토타클라마칸 사막과 연결하는 인구 밀도가 비교적 높은 지역이다.[1] 하서주랑은 실크로드의 주요 경로였다.[1] 동남쪽에서는 실크로드가 몇몇 언덕을 넘어 동쪽으로 흐르는 웨이허 계곡으로 이어지고, 이는 화북 평원으로 이어졌다.[1]

흥안령의 남쪽과 태항산맥의 북쪽에서 몽골-만주 초원은 만주로 동쪽으로 확장되어 요서 초원이 된다.[1] 만주에서는 초원이 삼림과 산악 지대로 이어지며 태평양에 도달하지 않는다.[1] 삼림-초원의 중앙 지역은 유목민과 농경민이 거주했고, 북쪽과 동쪽에는 시베리아 유형의 수렵 부족들이 소수 거주했다.[1]

중국 내몽골 자치구의 몽골-만주 초원

3. 생태

세계자연기금(WWF)은 유라시아 스텝을 고도, 기후, 강우량 등의 특징에 따라 여러 생물지리구로 나누며, 각 생물지리구는 고유한 동물, 식물군락, 종, 서식지 생태계를 가진다.

생물지리구국가
알라이-서텐산 산록 초원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알타이 초원 및 반사막카자흐스탄
바라바 초원러시아
다우리아 숲 초원중국, 몽골, 러시아
기사로-알라이 개활림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에민 계곡 초원중국, 카자흐스탄
동유럽 숲 초원몰도바,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카자흐 숲 초원카자흐스탄, 러시아
카자흐 초원카자흐스탄, 러시아
카자흐 고지카자흐스탄
몽골-만주 초원중국, 몽골, 러시아
폰트-카스피 초원몰도바,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얀 산간 초원러시아
셀렝게-오르혼 숲 초원몽골, 러시아
남시베리아 숲 초원러시아
톈산 산록 건조 초원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판노니아 초원[17]헝가리, 루마니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흑해-카자흐스탄 대초원, 티베트 고원 대초원, 중앙아시아 대초원 등 일부 지역에서는 목본식물 침입이라는 생태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는 풀이 줄어드는 대신 관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다.[16]

3. 1. 동식물

유라시아 스텝의 대형 포유류에는 프셰발스키말, 사이 মেরামত, 몽골가젤, 혹영양, 야생 쌍봉낙타, 오나거 등이 있었다.[2][3][4][5][6][7] 회색늑대, 코르삭여우, 팔라스고양이와 때때로 불곰이 스텝 지역을 배회하는 포식자였다.[8][9][10][11] 소형 포유류 종으로는 몽골쥐, 작은땅다람쥐, 보박마멋 등이 있다.[12][13][14]

또한 유라시아 스텝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이다. 이곳에 서식하는 멸종 위기 조류로는 황제독수리, 작은말똥가리, 큰느시, 흰목도리비둘기, 흰목울새 등이 있다.[15]

3. 2. 생태계 변화

유라시아 대초원의 일부 지역, 예를 들어 흑해-카자흐스탄 대초원, 티베트 고원 대초원, 중앙아시아 대초원 등에서는 목본식물 침입이라는 형태의 생태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16] 이 과정은 풀이 줄어드는 대신 관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포함한다.[16]

3. 3. 생물지리구

식생에 의해 분류된 생물군계

  • -]세계자연기금(WWF)은 유라시아 스텝의 온대 초원, 사바나, 관목지를 고도, 기후, 강우량 및 기타 특징에 따라 여러 생물지리구로 나누며, 각 생물지리구는 고유한 동물, 식물군락, 종, 서식지 생태계를 가진다.


생물지리구국가
알라이-서텐산 산록 초원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알타이 초원 및 반사막카자흐스탄
바라바 초원러시아
다우리아 숲 초원중국, 몽골, 러시아
기사로-알라이 개활림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에민 계곡 초원중국, 카자흐스탄
동유럽 숲 초원몰도바,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카자흐 숲 초원카자흐스탄, 러시아
카자흐 초원카자흐스탄, 러시아
카자흐 고지카자흐스탄
몽골-만주 초원중국, 몽골, 러시아
폰트-카스피 초원몰도바,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얀 산간 초원러시아
셀렝게-오르혼 숲 초원몽골, 러시아
남시베리아 숲 초원러시아
톈산 산록 건조 초원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판노니아 초원[17]헝가리, 루마니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4. 역사

9세기~10세기 헝가리의 유럽 침입


유라시아 스텝 지역은 역사적으로 부족 간의 기습 공격이 빈번했다. 유목민들은 말을 이용한 기동성을 바탕으로 정주 사회를 공격하고 약탈한 후, 보병 부대가 도착하기 전에 퇴각하는 전술을 구사했다. 농경 사회는 군마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유목민 기병을 용병으로 고용하기도 했다.

스텝 유목민들은 인구가 적어 대규모 군대를 유지하기 어려웠고, 농경 지역을 정복해도 관리 기술이 부족하여 피정복민의 문화를 흡수하거나 쫓겨나는 경우가 많았다.

유라시아 초원 북쪽의 유목민들은 숲 부족에게 공물을 받고 융합했으며(시비르 칸국, 부랴트족 참조), 러시아는 금장 칸국에 공물(야삭)을 바치기도 했다.[18] 카자흐 초원 남쪽에서는 유목민과 정착민이 융합되었다. 몽골과 중국 사이에는 지속적인 전쟁이 있었고, 유목민들은 중국으로부터 공물을 징수했으며, 일부 중국 왕조는 초원 출신이었다. 만주족은 유목민과 정착민 모두를 다룰 수 있어 북중국을 정복하기도 했다.

러시아의 스텝 문화는 슬라브족, 타타르-튀르크족, 몽골족, 이란계 사람들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형성되었다.[20][21] 루스' 통치자들은 스텝 유목민들과 결혼 동맹을 맺었다.[22] 돔브라[23], 카프탄[24]과 같은 문화 요소와 코사크, 차 문화는 아시아 유목 민족의 영향을 받았다.[24] 유라시아 스텝은 동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많은 슬라브와 러시아 민요의 주제가 되고 있다.[25][26][27]

4. 1. 유목 민족의 활동

포르바진 유적


몽골식 유르트


유라시아 스텝에서 부족 간의 기습 공격은 역사 전반에 걸쳐 빈번하게 일어났다. 패배한 적의 가축을 쉽게 몰아갈 수 있어 약탈이 수익성이 좋았기 때문이다. 정주 사회와 비교했을 때, 말은 유목민에게 전쟁과 약탈에서 이동성의 이점을 제공했다. 기병은 마을을 습격하고 보병 기반 군대가 소집 및 배치되기 전에 약탈품을 가지고 후퇴할 수 있었다. 우수한 보병과 맞닥뜨렸을 때, 기병은 단순히 달아나 후퇴하고 재편성할 수 있었다. 농경 사회는 충분한 군마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종종 유목민 적들로부터 용병으로 기병을 고용해야 했다.

스텝 유목민은 비교적 적었고, 통치자들은 대규모 군대를 편성할 만큼 충분한 씨족과 부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스텝 유목민들이 농업 지역을 정복하면, 종종 그것을 관리할 기술이 부족했다. 만약 그들이 농경지를 유지하려고 시도하면, 점차 피정복자들의 문명을 흡수하고 유목민 기술을 잃어버렸으며, 동화되거나 쫓겨났다.

유라시아 초원의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유목민들은 숲 부족들로부터 공물을 징수하고 그들과 융합했다. ( 시비르 칸국, 부랴트족 참조) 러시아는 약 1240년부터 1480년까지 금장 칸국에 공물( ''야삭'' 비교)을 바쳤다.[18] 카자흐 초원의 남쪽에서는 유목민들이 정착민들과 융합되었다. 몽골과 중국 사이에는 뚜렷한 문화적 차이가 있었고, 1757년 청나라의 준가르 정복까지 역사의 시작부터 거의 끊임없는 전쟁이 있었다. 유목민들은 중국으로부터 많은 양의 공물을 징수했고, 여러 중국 왕조는 초원 출신이었다. 만주족은 유목민과 정착민 모두를 다루는 방법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과 몽골이 모두 약했을 때 북중국 대부분을 정복할 수 있었다.

유라시아 대초원은 말의 가축화가 시작된 이래로 유목 기마 민족의 활동 무대였다. 쿠르간 가설에 따르면, 약 6500년 전에 기마 민족인 인도유럽어족이 남러시아 평원에서 확산되었다. 기원전 1000년 이후로는 튀르크계 민족이 번영했고, 11세기 무렵부터는 몽골계 민족이 지배했다. 현대에는 순수한 기마 유목민은 매우 적어졌다.

4. 2. 주요 민족 및 국가

유라시아의 주요 인구 중심지이자 고대 문화의 중심지는 유럽, 중동, 인도, 그리고 중국이다. 대이란은 별개의 지역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이 모든 지역들은 실크로드의 전신인 스텝 루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었다. 실크로드는 중국 관중 지역에서 시작하여 택스 코리도르를 따라 타림 분지까지 이어졌고, 대이란, 중동, 유럽, 인도로 연결되었다. 스텝 유목민들은 부유한 대상을 약탈하거나 세금을 부과하거나 경호원으로 고용되기도 했다. 한 무제가 중국의 영향력을 타림 분지까지 확장하면서 실크로드가 중요해지고 중국 비단이 로마 제국에 도달하기 시작했다.

러시아의 스텝 문화는 슬라브족, 타타르-튀르크족, 몽골족, 이란계 사람들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형성되었다.[20][21] 루스' 통치자들은 스텝 유목민들과 결혼 동맹을 맺곤 했다.[22] 민족성 외에도 돔브라[23]와 같은 악기, 카프탄[24]과 같은 전통 의상 등이 있다. 러시아 코사크와 차 문화는 아시아 유목 민족 문화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24] 유라시아 스텝은 동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텝은 많은 슬라브와 러시아 민요의 주제가 되고 있다.[25][26][27]

다음은 유라시아 스텝의 주요 민족 및 국가 목록이다.

기원전민족 및 국가
15세기-3세기트라키아인
13세기-3세기코라스미아
12세기-7세기킴메리아인
11세기-서기 8세기마자르인
8세기-4세기스키타이인
8세기-4세기소그디아나
7세기-1세기이세도네스
7세기-1세기마사게타이
7세기-3세기티사게타이
7세기-2세기흉노
7세기-서기 5세기다하이
6세기-1세기사카
5세기-서기 5세기사르마티아인
7세기-서기 7세기불가르인[28]
4세기-서기 14세기트란스옥시아나
3세기-서기 2세기흉노
3세기-서기 5세기이아지게스
2세기-서기 1세기유이지
타우리
1세기-서기 6세기우스니
1세기-3세기선비
3세기-6세기고트족
2세기-5세기반달족
3세기-5세기서고트족
3세기-8세기프랑크족
4세기-8세기훈족
4세기-8세기동고트족
5세기-10세기초기 슬라브족
5세기-11세기알란족
5세기-9세기아바르인
5세기-7세기에프탈족
6세기-8세기아바르인
6세기-8세기돌궐
6세기-8세기사비르족
7세기-11세기카자르
8세기오노구르족
8세기-11세기페체네그족
10세기-현재바시키르족
11세기-13세기킵차크, 쿠만족
크림 고트족
13세기-14세기몽골 제국
13세기-15세기차가타이 칸국
13세기-15세기골든 호드
15세기-19세기카자흐 칸국
15세기-18세기코사크, 칼미크인, 크림 칸국, 볼가 타타르인, 노가이인 및 기타 튀르크 국가 및 부족
16세기-20세기러시아 제국
20세기소비에트 연방
20세기-21세기가가우지아, 카자흐스탄, 러시아 연방, 우크라이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유라시아 대초원은 말의 가축화가 시작된 이래로 유목 기마 민족의 활동 무대였다. 쿠르간 가설에 따르면 약 6500년 전에 기마 민족인 인도유럽어족이 남러시아 평원에서 확산되었다. 기원전 1000년 이후로는 튀르크계 민족이 번영했고, 11세기 무렵부터는 몽골계 민족이 지배했다. 현대에는 순수한 기마 유목민은 매우 적어졌다.

4. 3. 정주민과의 관계



유라시아의 주요 인구 중심지이자 고대 문화의 중심지는 유럽, 중동, 인도, 그리고 중국이었다. 이 모든 지역들은 스텝 루트를 통해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는 실크로드의 활발한 전신이었다. 실크로드는 중국의 관중 지역에서 시작하여 택스 코리도어를 따라 서쪽으로 타림 분지까지 이어졌다. 거기서 대이란으로 남서쪽으로 향하거나, 중동과 유럽으로 서쪽으로 향하거나, 인도로 남동쪽으로 향했다. 작은 지류는 큰 강을 따라 북서쪽으로 카스피해 북쪽을 지나 흑해로 이어졌다. 부유한 대상과 마주쳤을 때, 스텝 유목민들은 그것을 약탈하거나, 세금을 부과하거나, 경호원으로 고용할 수 있었다. 경제적으로 이 세 가지 형태의 과세 또는 기생은 동일한 것이었다. 무역은 강력한 제국이 스텝을 통제하고 무역을 노리는 작은 수장들의 수를 줄였을 때 가장 활발했다. 한 무제가 중국의 영향력을 타림 분지까지 서쪽으로 확장한 시기와 거의 일치하여 실크로드가 중요해지고 중국 비단이 로마 제국에 도달하기 시작했다.

헝가리의 대헝가리 평원(Alföld)에서 트랙터로 경작하는 모습


카자흐스탄 코스타나이주의 초원 화재


유목민들은 경작이 가능한 몇몇 지역에서 농민들의 정착촌을 간헐적으로 허용하기도 했다. 이들은 종종 유목민 지배자들을 위해 곡물을 재배하는 포로들이었다. 변방에는 경작지나 목초지로 사용될 수 있는 지역이 있었다. 이 지역들은 유목민과 농경민 중심지의 상대적 세력에 따라 경작지와 목초지로 번갈아 사용되었다. 지난 수백 년 동안 러시아 초원과 내몽골의 대부분이 경작되었다. 러시아 초원의 대부분이 관개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유목민들의 군사력 때문에 초원으로 유지되었음을 시사한다.

부족 간의 기습 공격은 이 지역 역사 전반에 걸쳐 빈번했다. 이는 패배한 적의 가축을 쉽게 몰아갈 수 있기 때문에 약탈이 수익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주 사회와 관련하여 전쟁과 약탈 측면에서 말은 유목민에게 이동성이라는 이점을 제공했다. 기병은 마을을 습격하고 보병 기반 군대가 소집되고 배치되기 전에 약탈품을 가지고 후퇴할 수 있었다. 우수한 보병과 맞닥뜨렸을 때 기병은 단순히 달아나서 후퇴하고 재편성할 수 있었다. 유럽과 중동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농경 사회는 충분한 군마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종종 유목민 적들로부터 기병을 용병으로 고용해야 했다. 유목민은 스텝을 쉽게 추격할 수 없었다. 스텝은 육군을 쉽게 지원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만약 중국이 몽골에 군대를 파병하면 유목민들은 도망쳤고 중국군의 보급이 떨어지면 돌아왔다. 그러나 스텝 유목민은 비교적 적었고 통치자들은 대규모 군대를 편성할 만큼 충분한 씨족과 부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만약 스텝 유목민들이 농업 지역을 정복하면 종종 그것을 관리할 기술이 부족했다. 만약 그들이 농경지를 유지하려고 시도하면 점차 피정복자들의 문명을 흡수하고 유목민 기술을 잃어버렸으며 동화되거나 쫓겨났다.

유라시아 초원의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유목민들은 숲 부족들로부터 공물을 징수하고 그들과 융합했다 (시비르 칸국, 부랴트족 참조). 러시아는 약 1240년부터 1480년까지 금장 칸국에 공물( ''야삭'' 비교)을 바쳤다.[18]

카자흐 초원의 남쪽에서는 유목민들이 정착민들과 융합되었는데, 이는 중동에 상당한 초원 지역이 있고(과거 침략으로 강제로 점령됨) 유목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몽골과 중국 사이에는 뚜렷한 문화적 차이가 있었고, 1757년 청나라의 준가르 정복까지 역사의 시작부터 거의 끊임없는 전쟁이 있었다. 유목민들은 중국으로부터 많은 양의 공물을 징수했고, 여러 중국 왕조는 초원 출신이었다. 아마도 만주 지역에서 농업과 유목이 혼합되었기 때문에 그 주민인 만주족은 유목민과 정착민 모두를 다루는 방법을 알고 있었고, 따라서 중국과 몽골이 모두 약했을 때 북중국 대부분을 정복할 수 있었다.

5. 한국과의 관계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6. 언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인도유럽어족 기원설인 쿠르간 가설에 따르면, 인도유럽어족의 공통 조상어는 폰토스-카스피 해안 초원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 토하라어타림 분지에 있었던 초기 인도유럽어족의 한 갈래였다. 기록된 역사의 초기에는 즐랑가리아 서쪽 초원 전체의 주민들은 이란어군을 사용했다. 서기 500년경부터 튀르크어족이 먼저 초원에서, 그리고 나중에는 이란 북쪽 오아시스에서 이란어군을 대체했다. 또한, 현재 러시아 남부의 초원에 살았던 우랄어족에 속하는 헝가리어 사용자들은 895년에 카르파티아 분지에 정착했다. 몽골어족은 몽골에 있다. 만주에서는 퉁구스어족과 다른 몇몇 언어가 발견된다.

7. 종교

텐그리즘은 투르크-몽골 유목민들에 의해 전파되었다. 네스토리우스교와 마니교타림 분지중국으로 퍼져나갔지만, 주요 종교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불교는 인도 동부에서 타림 분지로 전파되어 중국에서 새로운 터전을 마련했다. 1400년경에는 준가리아 서쪽의 스텝 전체가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1600년경에는 타림 분지에 이슬람교가 자리 잡았고, 준가리아와 몽골티베트 불교를 받아들였다.

8. 문화

러시아의 스텝 문화는 슬라브족, 타타르-튀르크족, 몽골족, 이란계 사람들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형성되었다.[20][21] 루스 통치자들은 스텝 유목민들과 결혼 동맹을 맺기도 했다.[22]

돔브라[23], 카프탄[24], 코사크, 차 문화 등은 아시아 유목 민족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24] 유라시아 스텝은 동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많은 슬라브와 러시아 민요의 주제가 되었다.[25][26][27]

8. 1. 복식

러시아의 스텝 문화는 슬라브족, 타타르-튀르크족, 몽골족, 이란계 사람들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형성되었다.[20][21] 루스 통치자들은 스텝 유목민들과 결혼 동맹을 맺기도 했다.[22]

민족성 외에도 돔브라[23] 같은 악기, 카프탄[24] 같은 전통 의상 등이 있다. 러시아 코사크와 차 문화는 아시아 유목 민족 문화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24] 유라시아 스텝은 동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텝은 많은 슬라브와 러시아 민요의 주제가 되기도 한다.[25][26][27]

8. 2. 음악과 춤

러시아의 스텝 문화는 슬라브족, 타타르-튀르크족, 몽골족, 이란계 사람들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형성되었다.[20][21] 루스' 통치자들은 스텝 유목민들과 결혼 동맹을 맺기도 했다.[22]

민족성 외에도 돔브라[23]와 같은 악기, 카프탄[24]과 같은 전통 의상 등이 있다. 러시아 코사크와 차 문화는 아시아 유목 민족 문화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24] 유라시아 스텝은 동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텝은 많은 슬라브와 러시아 민요의 주제가 되고 있다.[25][26][27]

참조

[1] 서적 Canada's vegetation: a world perspective – Geoffrey A. J. Scott – Google Knihy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1995-01-10
[2] IUCN ''Equus ferus'' ssp. ''przewalskii'' 2015
[3] IUCN ''Saiga tatarica'' 2023
[4] IUCN ''Procapra gutturosa'' 2016
[5] IUCN ''Gazella subgutturosa'' 2017
[6] IUCN ''Camelus ferus'' 2008
[7] IUCN ''Equus hemionus'' 2020
[8] IUCN ''Canis lupus'' 2023
[9] IUCN ''Vulpes corsac'' 2014
[10] 학술지 On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Brown Bear,Ursus arctos, and the Asiatic Black Bear, ''U. thibetanus'', in Iran
[11] 학술지 Ecological niche models reveal divergent habitat use of Pallas's cat in the Eurasian cold steppes https://www.research[...] 2022-12
[12] IUCN ''Meriones unguiculatus'' 2016
[13] IUCN ''Spermophilus pygmaeus'' 2017
[14] IUCN ''Marmota bobak'' 2016
[1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birdlife.[...]
[16] 학술지 Predicting the potential risk of Caragana shrub encroachment in the Eurasian steppe under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https://linkinghub.e[...] 2024-06
[17] 서적 Annales historico-naturales Musei Nationalis Hungarici https://books.google[...]
[18] 서적 Russia and the Golden Horde: The Mongol Impact on Medieval Rus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Insider's Guide to Russia https://books.google[...] Hunter Publishing
[20] 서적 The steppe tradi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 : Russians, Turks and European state-building 4000 BCE-2018 CE 2018-07-19
[21]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Orient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22] 서적 Histoire Russ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Pittsburgh
[23] 서적 Turkic Soundscapes: From Shamanic Voices to Hip-Hop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1-19
[24] 서적 The economy and material culture of Russia, 1600-1725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25] Youtube Степь да степь кругом /русская народная песня/ Russian folk song/ Steppe all around https://www.youtube.[...] 2013-12-18
[26] Youtube "Ах ты, степь широкая".[HD]. https://web.archive.[...] 2013-04-08
[27] Youtube Пелагея и Кубанский казачий хор – Любо, братцы, любо! (2019 HD) https://www.youtube.[...] 2019-03-30
[28] 웹사이트 The Proto-Turkic Urheimat and the Early Migrations of Turkic Peoples https://web.archive.[...]
[29] 서적 Canada's vegetation: a world perspective - Geoffrey A. J. Scott - Google Knihy https://books.google[...] Books.google.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