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은 1933년 11월 카슈가르에서 위구르족을 중심으로 건국된 독립 국가이다. 자디드 운동의 영향과 중국의 억압적인 통치에 대한 반발로 건국되었으며, 호자 니야즈가 대통령, 사비트 다몰라가 총리를 맡았다. 튀르크 이슬람 동투르키스탄 공화국(TIRET)은 이슬람 율법을 따르면서도 근대화를 추구했지만, 내부 갈등과 외부 세력의 개입으로 인해 1934년에 멸망했다. 소련의 지원을 받은 성시채의 군대와 마중잉 휘하 후이족 군벌의 공격, 그리고 지도부 간의 갈등이 멸망의 주요 원인이었다. 공화국은 국제적인 승인을 얻지 못했으며, 멸망 이후에는 종교적, 민족적 갈등이 심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튀르키스탄 -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은 1944년부터 1946년까지 신장 북부에 수립되어 소련의 지원을 받아 동튀르키스탄 독립 운동의 결과로 세워진 정권으로, 삼구 혁명을 통해 이리, 알타이, 타청 지역을 지배하며 독립을 목표로 했고, 녹색 바탕에 흰색 별과 달이 새겨진 국기를 사용했다. - 동튀르키스탄 - 동튀르키스탄의 문장
동튀르키스탄의 문장은 1933년 최초의 동튀르키스탄 공화국 수립과 함께 공개되었으며, 이슬람교의 바스말라, 초승달, 세 개의 별, 18개의 원과 점 등의 상징으로 구성되어 동튀르키스탄의 역사, 독립 투쟁, 민족적 정체성을 나타낸다. -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신장 독립운동
신장 독립운동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위구르족을 중심으로 "동투르키스탄" 또는 "위구르스탄"이라는 명칭으로 정치적, 문화적 독자성을 강조하며 분리 독립을 추구하는 운동으로, 과거 두 차례 공화국 수립 시도가 있었으나 중국 정부의 탄압과 재교육 캠프 운영으로 비판받고 있다. -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세계 위구르 회의
세계 위구르 회의는 위구르족의 권익 보호와 자치권 확대를 목표로 하는 국제적인 비정부기구로, 중국 내 위구르족 인권 상황에 대한 국제적 인식 제고와 옹호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분리주의 활동을 조장하는 단체로 간주하는 반면, 세계 위구르 회의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위구르족의 권리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1934년 폐지 - 국민부
국민부는 192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한인 자치 정부이자 독립운동 단체로, 만주 지역 한인 사회의 자치 행정을 담당하고 조선혁명군을 통해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했으나, 1934년 한국혁명군정으로 개편되며 해체되었다. - 1934년 폐지 - 장기면
장기면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속하는 면으로, 1914년 설치되어 199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장기읍성과 산딸기가 특산물이다.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지도 | |
![]() | |
국기 및 국장 | |
![]() | |
![]() | |
수도 | |
수도 | 카슈가르 |
가장 큰 도시 | 수도 |
언어 및 종교 | |
공용어 | 위구르어 |
종교 | 수니 이슬람 |
통치 | |
대통령 | 호자 니야즈 (1933–1934) |
총리 | 사비트 다물라 (1933–1934) |
역사적 맥락 | |
시대 | 전간기 |
시작 | 1933년 11월 12일 |
종료 | 1934년 4월 16일 |
이전 | 신장성 |
이후 | 신장성 |
통화 | |
통화 | 중국 해관 금 단위 |
추가 정보 | 1933년 카슈가르에서 주조된 구리 (pūl), 은 (tanga), 금 (tilla) 동전 |
현재 | |
현재 국가 | 중국 |
2. 배경
20세기 초, 자디드 운동의 영향으로 위구르족 사이에서 민족의식이 높아지고 교육 개혁과 근대화 움직임이 나타났다. 범튀르크주의에 영향을 받은 부유한 위구르족들은 터키, 러시아, 유럽 등지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신장의 교육 시스템을 현대화하고자 했다. 카슈가르 외곽에 설립된 최초의 학교는 과학, 수학, 역사 등 기술적인 분야에 중점을 둔 교육 과정을 운영했다. 그러나 신장의 통치자 양증신은 이러한 움직임에 반발하여 여러 학교를 폐쇄하거나 운영을 방해했다.
20세기 초, 위구르족의 독립 운동은 터키의 자디드 운동에 큰 영향을 받았다. 범튀르크주의에 영향을 받은 부유한 위구르인들은 터키, 러시아, 유럽 등지에서 유학 후, 신장의 교육 시스템을 현대화하고자 했다. 카슈가르 외곽에 설립된 최초의 학교는 과학, 수학 등 기술적인 분야에 중점을 두어, 신장의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신장 통치자 양증신은 이러한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1]
소련의 등장은 위구르족의 민족주의 독립 운동을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21년에는 신장에 현지 공산주의 혁명 조직(혁명 위구르 연합, 코민테른 회원)이 설립되기도 하였다.
1928년 양증신이 암살되고 진수렌이 집권하면서 신장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진수렌은 독재적이고 부패한 통치를 펼치며 한화 정책을 시행하고 세금을 인상했으며, 하지 참가를 금지하고 현지 지도자 대신 한족 관리들을 임명하는 등 억압적인 정책을 펼쳤다.
1930년 3월, 동신장의 쿠물 칸국의 칸이었던 막수드 샤가 사망하자, 진수렌은 자치를 폐지하고 간쑤성에서 한족의 이주를 허용했다. 또한 투르크계 주민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고 농지를 몰수하여 한족 이주민에게 분배했으며, 한족에게는 세금 면제 혜택을 주는 등 민족 차별 정책을 시행했다.
하미시에 주둔한 새로운 수비대의 적대적인 태도와 더불어, 1931년에는 장무라는 한족 장교가 위구르 소녀와 강제로 결혼하려 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위구르족의 분노가 폭발했다. 이슬람 율법은 무슬림 소녀가 비무슬림 남성과 결혼하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에, 이는 위구르 공동체에 대한 심각한 모욕으로 여겨졌다.
1931년 4월 4일 밤, 결혼식에서 장과 그의 군인 32명이 살해되면서 반란이 시작되었다. 이 반란에는 위구르족뿐만 아니라 카자흐족, 키르기스족, 한족, 후이족 등 다양한 민족들이 참여했다. 쿠물 반란을 계기로 신장 전역에서 반란이 발발했다.
소련은 진수렌과 그의 군사 지휘관 성시채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고, 이리강 계곡 지역에 거주하던 소련 출신 백군 난민들도 이들을 도왔다. 1933년 4월, 진수렌은 이러한 세력들의 연합에 의해 축출되고, 소련의 지원을 받은 성시채가 권력을 장악했다.
한편, 마종잉이 이끄는 후이족 군대는 티무르 베그가 이끄는 위구르군과 동맹을 맺고 쿠차를 점령한 후 아크수시로 진군했다. 1933년 2월 25일에는 아크수 구시에 진입하여 중국인 주민을 학살하고 재산을 몰수 했다. 이후 마종잉과 티무르 베그는 마랄바시현과 카슈가르를 향해 진군했다.
키르기스족 역시 1932년에 이드 미라브의 지도 하에 반란을 일으켰다. 마샤오우는 키르기스 반군을 진압했지만, 소련도 이들과 교전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남부 타림 분지의 호탄에서는 무하마드 아민 부그라, 압둘라 부그라, 누르 아흐마드잔 부그라 형제가 1933년 2월 케리아시 인근 광산 노동자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켜 호탄 토후국을 세우고 독립을 선언했다.
3. 제1차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의 성립
소련의 등장은 위구르족에게 민족주의 독립 운동과 공산주의 확산에 영향을 주었다. 1921년 신장에 현지 공산주의 혁명 조직이 설립되었고, 이 지역은 중앙아시아에서 온 많은 지식인들의 피난처가 되었다.
1928년 양증신의 암살 이후, 진수렌이 집권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진수렌은 한화 정책을 시행하고, 세금을 인상하며, 하지 참가를 금지하는 등 억압적인 정책을 펼쳤다.
1930년 3월, 쿠물 칸국의 막수드 샤가 사망하자, 진수렌은 자치를 폐지하고 간쑤성에서 한족 이주를 허용했다. 이는 투르크계 주민에 대한 세금 부과, 농지 몰수 등으로 이어져 불만을 고조시켰다. 1931년, 한족 장교가 위구르 소녀와 결혼하려 하자, 이슬람 율법에 위배되는 행위에 분노한 위구르인들이 봉기했다. 이 반란에는 카자흐족, 키르기스족 등 여러 민족이 참여했다.
소련은 진수렌을 지원하며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우루무치를 중심으로 전투가 벌어졌고, 성시채가 소련의 지원을 받아 권력을 잡았다. 한편, 남부 신장에서는 마종잉이 이끄는 후이족 군대와 티무르 베그가 이끄는 위구르군이 연합하여 아크수시를 점령하고 카슈가르로 진군했다.
키르기스족 역시 1932년 이드 미라브의 지도 하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마샤오우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호탄에서는 무함마드 아민 부그라, 압둘라 부그라, 누르 아흐마드잔 부그라 3형제가 1933년 2월 반란을 일으켜 호탄 토후국을 선포하고 독립을 선언했다.
1933년 11월 12일, 카슈가르에서 호자 니야즈를 대통령, 사비트 다몰라를 총리로 하는 튀르크 이슬람 동투르키스탄 공화국(TIRET)이 수립되었다. 이들은 동투르키스탄 독립 선언을 통해 독립 의지를 천명하고, 국제적 승인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3. 1. 국가 체제
1933년 11월 12일, 튀르크 이슬람 동튀르키스탄 공화국(TIRET, 또는 위구르스탄 공화국)이 독립 공화국으로 선포되었다. 투만 강 기슭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는 군인과 민간인 약 2만 명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사비트 다몰라는 호자 니야즈를 대통령으로 하는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2][3]
동튀르키스탄 공화국은 샤리아를 기본 법률로 채택했지만, 건강, 교육, 경제 개혁 등 근대화에도 중점을 두었다. 동투르키스탄 독립 선언은 다음과 같은 아홉 가지 주요 원칙을 제시했다.
# 동튀르키스탄 내 중국 통치 종식.
# 모든 민족의 평등에 기반한 자유롭고 독립적인 동튀르키스탄 공화국 수립.
# 산업, 농업, 축산업 및 개인 사업 장려를 통한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수준 향상.
# 이슬람 옹호 및 타 종교의 자유 장려.
# 교육, 문화, 건강 수준 발전.
# 영국, 소비에트 러시아, 터키, 중국 등 모든 민주 국가 및 인접 국가와 우호 관계 수립.
# 평화 유지를 위한 강력한 군대 수립.
# 은행, 우편, 통신, 임업 및 지하 자원의 국가 소유.
# 개인주의, 관료주의, 민족주의, 부패 척결.
공화국 정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4]
직책 | 이름 |
---|---|
대통령 | 호자 니야즈 |
총리 | 사비트 다몰라 압둘바키 |
외무부 장관 | 무하마드 카심 잔 |
법무부 장관 | 샤리프 카리 |
내무부 장관 | 유누스 베그 |
보건부 장관 | 압둘라 칸 |
국방부 장관 | 마흐무트 무히티 |
교육부 장관 | 압드 알-카림 칸 막둠 |
재무부 장관 | 알리 아훈드 베이 |
종교 기관 장관 | 샴스 알-딘 투르디 |
상무부 장관 | 사디크 베그 |
호탄 에미르 | 누르 아흐마드잔 부그라 |
통신부 장관 | 압둘라 다물라 |
국민의회 의장 | 타히르 베그 |
국민의회 서기 | 수피 자다 |
3. 2. 군사

동튀르키스탄 이슬람 공화국(TIRET)의 국민군은 1933년 11월 12일에 창설되었으며, 초기에는 2개 사단(약 22,000명)으로 구성되었다.[2] 각 사단은 수도 카슈가르에 주둔한 카슈가르 보병 사단, 호탄에 주둔한 호탄 보병 사단이었다. 국민군은 혁명 초기에 무장과 훈련이 미흡하여 아투슈에 군사 학교를 설립해 생도들을 훈련시켰다. 모든 튀르크계 민족에게 무기를 들고 국민군에 합류하라는 소집령이 내려졌다. 군대는 국방부 장관 마흐무트 무히티(투르판 출신의 위구르 혁명가)가 지휘했다. 국민군의 정확한 규모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소련 공식 자료에 따르면 40,000명에서 60,000명으로 추정된다.[3]
국민군 부대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카슈가르 보병 사단
- 호탄 보병 사단
- 아크수 기병 여단
- 쿠물 혁명 연대 (후에 사단으로 승격)
- 투르판 혁명 여단 (후에 투르판 사단으로 승격)
- 알타이 혁명 기병 여단
전쟁 중 약 300,000명에서 500,000명의 튀르키 시민이 사망했다. IRET가 전쟁에서 얼마나 많은 군인을 잃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약 50,000명에서 70,000명의 군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전투에서는 전체 중대와 여단이 전멸했다. 1934년 IRET가 해체될 때 군대 또한 해체되었다 (마흐무트 무히티가 직접 지휘하는 제6 위구르 사단 제외).[4] [5]
4. 국제 관계
동튀르키스탄 이슬람 공화국(TIRET)은 국제적인 승인을 얻고자 소련(타슈켄트, 모스크바), 아프가니스탄, 이란, 터키, 영국령 인도 등에 사절단을 파견했다.[6] 그러나 이들 국가는 사절단을 독립 국가의 대표로 인정하지 않아 외교적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다.[6]
소련은 TIRET을 반공주의 세력으로 간주하여 불쾌하게 여겼고, 아프가니스탄에 지원을 제공하지 말라고 압력을 가했다.[6] 영국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난징 정부를 유일한 권위로 인정했으며, 소련에 대항하는 모든 움직임은 중국 당국을 지원하는 정책에 기반해야 한다고 보았다.[6] 1934년 2월 뉴델리에 도착한 TIRET 사절단 역시 거절당했으며, 더 타임스는 델리가 신장을 중국의 한 성으로 인정한다고 논평했다.[6]
터키에서는 신장의 상황에 대한 보도가 처음에는 언론의 지지를 받았지만,[6] 실질적인 지원은 제공되지 않았다.[6]
5. 내부 갈등과 멸망
마중잉 휘하 후이족 군벌과의 갈등으로 인해,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은 내부 분열과 권력 투쟁을 겪었다. 호자 니야즈와 사비트 다몰라 사이에는 노선 갈등과 권력 투쟁이 존재했다.[11]
성시채와 소련은 군사 개입을 통해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을 압박했다. 1934년, 카슈가르 전투, 야르칸드 전투, 양기 히사르 전투에서 동튀르키스탄 공화국 군대는 패배했다.[11]
결국, 호자 니야즈는 소련으로 망명하여 신장성 정부 부주석으로 임명되었고, 사비트 다몰라는 체포되어 처형되면서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은 멸망했다.[11]
6. 멸망 이후
성시채는 소련의 지원을 받아 신장 지역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였다. 마중잉은 소련으로 유학을 떠났으나 그곳에서 실종되었다.[11] 무함마드 아민 부그라는 아프가니스탄으로 망명하여 일본에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였다.[11] 이후 동튀르키스탄의 독립 운동은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으로 이어졌다.
7. 종교적, 민족적 갈등
무함마드 아민 부그라, 압둘라흐 부그라, 누르 에흐마드 얀 부그라 등 국가 혁명 위원회는 기독교에 대한 적대감을 표명했다.[1] 부그라 형제들은 샤리아를 적용하면서 호탄에 기반을 둔 스웨덴 선교사들을 추방했다. 1933년 3월 16일 샤리아를 제정하면서 스웨덴 선교사들의 철수를 요구했다. 위구르 지도자 아미르 압둘라 부그라는 야르칸드에 기반을 둔 스웨덴 선교사들을 폭력적으로 공격했고, 이슬람으로 개종한 위구르인들을 처형했다. 영국이 스웨덴 선교사들을 옹호하며 중재하여 추방되는 데 그쳤다.[1]
스웨덴 선교 협회는 인쇄 사업을 운영했다. 《동투르키스탄의 삶》은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의 국영 언론이었다. 압둘바키가 이끄는 정부는 스웨덴 선교 인쇄소를 사용하여 언론을 인쇄하고 배포했다. 동투르키스탄 튀르크 이슬람 공화국의 헌법은 공화국의 공식 종교로 이슬람을 의무화하는 동시에 모든 사람의 종교의 자유를 보장했다.[1]
인도 출신 힌두교도 고리대금업자와 상인들의 안전은 영국 총영사가 보장했다. 러시아 난민, 선교사, 인도 힌두교도 상인 및 고리대금업자는 카슈가르 갱들의 잠재적 목표였으므로 영국 영사관은 피난처였다. 샹바 바자르에서 위구르족이 힌두교도 2명을 살해하고, 발, 손, 이를 부수고, 눈을 찌르고, 혀와 귀를 잘랐다. 3월 25일 포스감, 카르갈릭에서 위구르족에게 살해된 인도 힌두교도들의 귀중품 약탈이 일어났다. 부그라 아미르에 의해 호탄에서 힌두교도 살해가 발생했다. 신장 남부 지역 무슬림 튀르크계 위구르 반군들 사이에서 힌두교에 대한 적대감이 높았다. 1933년 3월 24일, 영국 악사칼인 라이 사히브 딥 찬드와 동료 힌두교도들의 카르갈릭 재산이 약탈당했고, 케리야에서 인도 힌두교도들이 학살당했다. 신드의 시카르푸르 지역은 힌두교 디아스포라의 기원이었다. 인도 출신 힌두교도 학살은 "카르갈릭의 분노"라고 불렸다. 무슬림들은 9명을 살해했다. 스웨덴인 강제 추방과 함께 이슬람 튀르크 반군에 의한 호탄의 힌두교도 학살이 발생했다. 호탄의 아미르들은 스웨덴인들을 내쫓고 1933년 3월 16일 호탄에서 샤리아를 선포하면서 힌두교도들을 학살했다.[1]
8. 평가
제1차 동투르키스탄 공화국(TIRET)은 1933년 11월 12일, 신장 지역 카슈가르에서 사비트 다몰라 등이 호자 니야즈를 대통령으로 추대하며 독립을 선포하면서 시작되었다.[2][3] 이들은 투만 강변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이드 가흐 모스크 앞에서 독립을 선언했다. 호탄 토후국과는 달리, TIRET는 아크수 시에서 호탄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통치하려 했다. 하지만, 호자 니야즈는 아크수 지역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며 소련과 협상하는 등, 공화국은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TIRET는 '동투르키스탄'이라는 이름처럼 다양한 민족을 아우르는 공화국을 표방했지만, 초기에는 '위구르스탄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주화를 발행하기도 했다.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따르면서도, 근대적인 개혁과 발전을 추구하는 헌법을 통해 건강, 교육, 경제 개혁에 힘썼다.[4] 동투르키스탄 독립 선언은 아홉 가지 원칙을 제시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 | 내용 |
---|---|
1 | 중국의 독재 통치 종식 |
2 | 모든 민족이 평등한 자유롭고 독립적인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수립 |
3 | 산업, 농업, 축산업, 개인 사업 장려를 통한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수준 향상 |
4 | 이슬람교 옹호 및 종교 자유 보장 |
5 | 교육, 문화, 건강 수준 발전 |
6 | 영국, 소련, 터키, 중국 등 민주 국가 및 인접 국가와 우호 관계 수립 |
7 | 모든 국적의 사람들로 구성된 강력한 군대 수립 및 평화 보호 |
8 | 은행, 우편, 통신, 임업, 지하 자원 등의 국가 소유 |
9 | 개인주의, 관료주의, 민족주의, 부패 척결 |
TIRET에는 마흐무트 무히티, 유누스 베그, 마크수드 무히티 등 여러 인물들이 참여했다. 무하마드 아민 부그라, 셈시딘 다물라, 아브두케림한 메훔, 사비트 다몰라, 압둘카디르 다물라 등은 모두 이슬람 개혁주의(자디드주의) 운동가로서, 제1차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5]
참조
[1]
서적
A record of the memories of Yulbars
Taipei
[2]
서적
Xinjiang Fengbao Qishinian [Xinjiang in Tumult for Seventy Years]
[3]
웹사이트
The Islamic Republic of Eastern Turkestan and the Formation of Modern Uyghur Identity in Xinjiang
https://web.archive.[...]
Kansas State University
2010-06-28
[4]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The influence of intellectual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on Uyghur politics
https://web.archive.[...]
Central Asia Program
2014-12
[6]
간행물
Türkiye’s Diplomatic Perception of the Turkic Islamic Republic of East Turkestan: Ideological Dynamics and Geopolitical Interests (1933–1935)
https://www.tandfonl[...]
[7]
서적
Missionary Review of the World ; 1878–1939
https://books.google[...]
Princeton Press
[8]
서적
Karavan: Travels in Eastern Turkestan
https://books.google[...]
Blackie & son, limited
[9]
서적
Xinjiang and the Expansion of Chinese Communist Power: Kashga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8-01
[10]
서적
Community Matters in Xinjiang, 1880–1949: Towards a Historical Anthropology of the Uyghur
https://books.google[...]
BRILL
[11]
서적
Under the Soviet shadow: the Yining Incident : ethnic conflicts and international rivalry in Xinjiang, 1944–1949
https://books.google[...]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2010-06-28
[12]
간행물
Soviet-Chinese collaboration in Eastern Turkestan: the case of the 1933 uprising
https://doi.org/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