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가니스탄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가니스탄 왕국은 1926년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을 개편하여 성립되었으며, 아프간계 바라크자이족 출신의 도스트 무함마드가 1823년 두라니 왕조를 멸망시키고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을 세운 것이 시초이다. 아마눌라 칸은 왕국으로 개편하고 대규모 개혁을 추진했지만, 보수 세력의 반발과 바차 이 사카오의 반란으로 실각했다. 이후 무함마드 나디르 샤가 왕국을 재건하고 개혁을 되돌렸으며, 그의 아들 무함마드 자히르 샤가 1933년부터 1973년까지 통치했다. 자히르 샤 치하에서 아프가니스탄은 국제 연맹 가입, 제2차 세계 대전 중립 유지, 비동맹 외교 정책을 추진했다. 1973년 무함마드 다우드의 쿠데타로 왕정이 폐지되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150년 만에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 왕국 - 아마눌라 칸
    아마눌라 칸은 1892년에 태어나 1919년부터 1929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왕으로 재위하며 근대화 개혁을 추진했으나 보수 세력의 반발로 퇴위 후 망명하여 1960년에 사망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옛 군주국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은 1826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이 건립하여 1926년 아마눌라 칸이 아프가니스탄 왕국을 선포할 때까지 존속한 국가로, 영국의 침략과 내분 속에서도 중앙집권화와 근대화를 추구하며 1919년 영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쟁취했다.
  • 아프가니스탄의 옛 군주국 - 준빌
  • 아프가니스탄의 근대사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은 2004년 헌법 공포 이후 2021년 탈레반 재집권으로 붕괴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으로, 2001년 미국의 군사 개입 이후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부패, 여성 인권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근대사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은 1826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이 건립하여 1926년 아마눌라 칸이 아프가니스탄 왕국을 선포할 때까지 존속한 국가로, 영국의 침략과 내분 속에서도 중앙집권화와 근대화를 추구하며 1919년 영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쟁취했다.
아프가니스탄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د افغانستان شاهي دولت (파슈토어)
پادشاهی افغانستان (다리어)
일반 명칭아프가니스탄
국가아프가니스탄
수도카불
공용어파슈토어다리어
종교99% 이슬람교 (국교)
—90% 수니파
—9% 시아파
1% 기타
통화아프가니
국가 코드93
면적652,864
인구 (1973년)12,108,963명
현재 국가아프가니스탄
별칭아프간
국기
1931–1973년 국기
국장
1931–1973년 국장
국가
국가 (1926-1943)شاهي سلام (샤히 살람) (파슈토어)
왕실 경례
sound_file: Afghanistan (1926 1943) Afganistán (1926-1943).ogg
국가 (1943-1973)لوی سلام (로야 살람) (파슈토어)
웅장한 경례
sound_file: Former national anthem of Afghanistan, 1943–1973.oga
정치 체제
정부 형태단일 절대 군주제 (1926–1964)
단일 의회 입헌 군주제 (1964–1973)
지도자 직함
초대 국왕아마눌라 칸 (1926–1929)
국왕무함마드 나디르 샤 (1929–1933)
마지막 국왕무함마드 자히르 샤 (1933–1973)
총리 직함총리
초대 총리무함마드 하심 칸 (1929–1946)
마지막 총리무함마드 무사 샤피크 (1972–1973)
입법부로야 지르가 (1926–1931)
국민 의회 (1931–1973)
상원원로원 (1931–1973)
하원인민의회 (1931–1973)
역사
시대세계 대전 간 · 제2차 세계 대전 · 냉전
건국1926년 6월 9일
사건내전 (1928–1929)
사건새 헌법 (1964년 10월 1일)
멸망1973년 7월 17일
멸망 원인왕정 폐지
존속 기간1926–1973년
이전 국가아프가니스탄 토후국
다음 국가아프가니스탄 공화국

2. 역사

1823년 바라크자이족 출신의 도스트 무함마드가 왕위에 올라 두라니 왕조를 멸망시키고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을 세웠다. 그러나 1839년 ~ 1842년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1878년~1880년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패배하여 혼란에 빠졌고, 1905년 영국의 보호국으로 전락했다.

이후 쇄국 정책을 펴다가 아마눌라 칸의 민족주의 운동으로 제1차 세계대전 때 중립을 지켰고, 1919년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계기로 독립했다.

1926년 아마눌라 칸은 토후국을 아프가니스탄 왕국으로 개편하고 개혁을 추진했으나, 1929년 바차 이 사카오의 반란으로 실각했다. 이후 무함마드 나디르 샤가 왕국을 재건하고 국왕에 즉위하여 아마눌라 칸의 개혁을 되돌렸다. 1933년 그의 아들 무함마드 자히르 샤가 즉위하여 1973년까지 통치했다.

자히르 샤 통치 기간 중 아프가니스탄은 1934년 국제 연맹에 가입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중립을 유지했으며, 전후에는 비동맹 외교 정책을 채택했다. 1973년 무함마드 다우드의 쿠데타로 왕정은 붕괴되었다.[14]

2. 1. 독립과 아마눌라 칸의 개혁 (1919년 ~ 1929년)

1919년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계기로 라왈핀디 조약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은 독립을 승인받게 된다.[2]

1926년 아마눌라 칸은 토후국을 아프가니스탄 왕국으로 개편하고 첫 번째 국왕이 되었으며, 사회 전반에 걸쳐 대규모 개혁을 감행했으나 이슬람 보수 계층과 전통 부족 등의 반발을 샀다. 아마눌라 칸은 소비에트 연방과 중립 조약을 맺고[13] 국가 안정화와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보수 세력의 반발로 사회 불안이 발생했다.

1927년 아마눌라 칸의 유럽 방문 중에 반란이 일어났고, 그는 자신의 형제인 이나야툴라 칸에게 퇴위했다. 이나야툴라 칸은 반란의 지도자 하비불라 칼라카니가 권력을 장악하고 에미르국을 재건하기 전 3일 동안만 통치했다.[2]

1929년 바차 이 사카오의 반란으로 아마눌라 칸은 실각했다.[2]

2. 2. 나디르 샤와 자히르 샤의 통치 (1929년 ~ 1973년)

1929년 아프가니스탄에서 하비불라 칼라카니가 일으킨 반란으로 아마눌라 칸이 퇴위하고 그의 동생인 이나야툴라 칸 마저 3일 만에 퇴위하면서 에미르국이 재건되었다.[2] 하지만 10개월 후, 아마눌라 칸의 전쟁장관이었던 무함마드 나디르 샤가 망명지에서 돌아와 그의 군대를 이끌고 카불을 함락시켰다. 나디르 샤의 군대는 칼라카니를 체포하여 처형했고, 나디르 샤는 왕국을 재건하여 1929년 10월 아프가니스탄 국왕으로 즉위했다.[2] 그는 아마눌라 칸의 개혁을 되돌리는 정책을 펼쳤다.[2]

1933년 나디르 샤의 아들 무함마드 자히르 샤가 왕위를 계승하여 39년간 통치했다.[2] 자히르 샤의 통치 하에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소비에트 연방, 프랑스, 영국, 미국 등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추구했다.[3] 1934년 9월 27일, 아프가니스탄 왕국은 국제 연맹에 가입했다.[3]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아프가니스탄은 중립을 유지하고 비동맹 외교 정책을 추구했다.[11] 1946년 8월 29일에는 유엔에 가입했다.[5]

1947년 아프가니스탄은 파키스탄의 유엔 가입에 반대표를 던진 유일한 유엔 회원국이었는데,[11] 이는 주로 왕국의 파슈툰스탄 요구 때문이었다. 1955년 니키타 흐루쇼프는 카불을 방문하여 파슈툰스탄에 대한 아프가니스탄의 주장을 지지했다.[11] 1950년에는 인도, 레바논과 우호 조약을 체결하고, 시리아와 정치적 접촉을 수립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했다. 이란과의 헬만드 강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였다.[6][7] 아프가니스탄은 1961년 비동맹 운동의 회원이 되었다.[6]

당시 아프가니스탄 총리였던 무함마드 다우드 칸은 현대 산업과 교육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6] 1973년 7월, 다우드 칸은 자히르 샤가 이탈리아에서 안과 수술을 받기 위해 나라에 없을 때 무혈 쿠데타인 ''1973년 아프가니스탄 쿠데타''를 일으켰다.[6] 다음 달 자히르 샤는 내전을 피하기 위해 퇴위했고, 이는 아프가니스탄 왕국의 공식적인 종말과 공화국의 시작을 알렸다.[6]

2. 3. 왕정의 붕괴 (1973년)

1973년 무함마드 자히르 샤의 사촌 무함마드 다우드가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국을 수립했다.[3] 다우드 칸은 자히르 샤가 이탈리아에서 안과 수술을 받는 동안 무혈 쿠데타를 일으켰다. 자히르 샤는 내전을 피하기 위해 퇴위했고, 이는 아프가니스탄 왕국의 공식적인 종말을 알렸다.[11]

3. 지리

아프가니스탄 왕국은 서쪽으로는 이란, 북쪽으로는 소비에트 연방, 동쪽으로는 중국, 남쪽으로는 파키스탄인도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 산악 지대가 많고 대부분 건조한 이 나라는 면적이 약 652233.46km2였다. 특히 와칸 회랑을 비롯한 이 나라의 기묘한 형태와 국경은 러시아영국 사이의 완충국 역할을 했던 과거의 결과였다. 겨울에는 대부분 지역에 눈이 많이 내렸고 강수량은 적었다.[8]

4. 인구

이 나라는 파슈툰족, 타지크족, 하자라족, 우즈벡족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다.

아프가니스탄 인구의 대다수는 무슬림이었으며, 약 99%를 차지했다. 무슬림 인구의 약 90%는 수니파였고, 나머지는 시아파였다.

다리어파슈토어는 공식 언어였으며, 많은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이 두 언어를 모두 사용했다.[9]

5. 경제

아프가니스탄 왕국의 경제는 과거와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처럼 농업과 광업에 크게 의존했다.

미국소련은 모두 냉전 기간 동안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중립적인 아프가니스탄의 경제에 투자했다. 여기에는 1951년 아프가니스탄과 미국이 카불에서 경제 개발 지원을 위한 협정을 체결한 4개항 계획(Four Point Program)과 1954년에 소련 기술자들이 건설을 시작한 테르메즈에서 마자르샤리프까지 100km의 파이프라인 건설이 포함된다. 아프가니스탄은 미국 수출입은행으로부터 헬만드강 유역 개발 프로젝트에 필요한 미국의 자재, 장비 및 서비스 구매를 위해 1850만달러를 지원받았다.

1961년 8월, 다우드 칸 총리의 강경한 파슈툰스탄 입장 때문에 파키스탄이 아프가니스탄과의 국경을 폐쇄했지만, 칸의 사임 후 5월에 재개되었다.[10]

아프가니스탄은 활석, 운모, 은, 납, 베릴, 크롬철석, 구리, 청금석, 철광석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었다.

6. 군사

다우드 칸은 1956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300만달러, 소련과 3250만달러 규모의 무기 거래를 체결했다. 이 거래를 통해 아프가니스탄 군은 T-34 전차와 MiG-17 전투기를 수입했다. 1973년까지 아프가니스탄 장교의 1/4에서 1/3가량이 소련에서 훈련을 받았다.[11] 아프가니스탄 왕국 시대에는 아프간 특수부대(Afghan Commando Forces)가 편성되었다. 1965년 제242 공수대대를 시작으로, 1966년과 1973년에 제444대대와 제455대대가 창설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공수 작전 능력을 보유했다.[12]

하비불라 대위는 미국 포트 베닝에서 돌아온 후 제242대대를 지휘했다. 라흐마툴라 사피 소령은 제444대대 참모장이 되었으나, 1년 후 대대장이 되었다. 사피 소령은 영국 왕립 육군사관학교와 소련 랴잔 고등 공수 사령부 학교에서 훈련을 받아 지휘관으로 적합했다. 아프간 특수부대(Afghan Commando Forces) 창설 전인 1962년과 1963년에 사피는 1960-1961년 바자우르 작전 실패 이후 파키스탄 정부에 맞서 "파슈툰스탄의 국가 무자헤딘"과 함께 활동했다.

7. 역대 국왕

대수이름재위 기간
1아마눌라1926년 ~ 1929년
2나디르 샤1929년 ~ 1933년
3무함마드 자히르 샤1933년 ~ 1973년



아마눌라 칸은 소련과 중립 조약을 맺고[13] 국가 안정화와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보수 세력의 반발로 사회 불안이 발생했다. 1927년 유럽 방문 중에 다시 반란이 일어나자 그는 동생 이나야투르 샤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지만, 이나야투르 샤는 불과 3일 만에 반란 지도자 하비불라 칼라카니에게 권력을 빼앗겼다. 이후 하비불라 칼라카니는 국제를 족장국으로 되돌렸다.

10개월 후, 아마눌라 칸의 국방장관 무함마드 나디르 샤가 망명지였던 영국령 인도에서 귀국했다. 그의 군대는 영국의 지원을 받아 카불을 탈환했고, 하비불라 칼라카니는 휴전을 제안했으나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무함마드 나디르 샤는 국제를 왕국으로 되돌리고 1929년 10월 국왕에 즉위한 후 아마눌라 칸의 개혁을 원상태로 되돌렸다. 1933년에는 그의 아들 자히르 샤가 즉위하여 1973년까지 통치했다.

자히르 샤 통치 기간 중 아프가니스탄은 처음으로 소련, 프랑스 제3공화국, 영국, 미국 등 여러 외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고,[14] 1934년 9월 27일에는 국제 연맹에 가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프가니스탄은 중립을 유지했다. 전후에는 비동맹 외교 정책을 채택했고, 1953년부터 1963년까지 수상이었던 무함마드 다우드는 아프가니스탄의 근대 산업과 교육 발전에 헌신했다. 1973년, 자히르 샤는 사촌인 무함마드 다우드에 의해 폐위되었다(1973년 아프가니스탄 쿠데타). 무함마드 다우드는 왕정을 폐지하고 아프가니스탄 공화국(1973년-1978년)을 건국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fghanistan Population 1950–2021: MacroTrends https://www.macrotre[...] 2021-12-02
[2] 서적 The Hazaras and the Afghan State: Rebellion, Exclusion and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3] 백과사전 DĀWŪD KHAN http://www.iranica.c[...] Columbia University 2009-03-20
[4] 논문 A descriptive grammar of Pashai: The language and speech community of Darrai Nur 2014
[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http://www.unis.unvi[...]
[6] 서적 A History of Afghanistan https://www.amazon.c[...] Progress Publishers 1982-01-01
[7] 웹사이트 Iran and Afghanistan are feuding over the Helmand River. The water wars have no end in sight. https://www.atlantic[...] 2023-07-07
[8] 서적 The kingdom of Afghanistan: a historical sketch
[9] 뉴스 Afghanistan: Status Of Dari, Pashto Languages A Sensitive Topic https://www.rferl.or[...] 2003-11-03
[10] 웹사이트 Modern Afghanistan https://www.britanni[...] 2020-03-02
[11] 웹사이트 CHAPTER ONE THE AFGHAN COMMUNISTS https://www.brooking[...]
[12] 웹사이트 «Пожарная команда» Кабула https://warspot.ru/2[...] 2022-11-30
[13] 뉴스 アフガニスタンと中立条約を結ぶ 大阪毎日新聞 1926-09-03
[14] 백과사전 DĀWŪD KHAN http://www.iranica.c[...] Columbia University 2009-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