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경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경승은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공학군에서 복무하다 견룡군에 들어가 무신정변 당시 청렴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이의방에 의해 내순검군지유로 임명되었으며, 김보당의 난과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관직 생활을 하며 공부상서, 호부상서, 추밀원부사 등을 역임하고 평장사에 오른 후 삼한후벽상공신에 봉해졌다. 식목도감의 판안을 정비하고 제도 개선에도 힘썼다. 1197년 최충헌 형제에 의해 유배된 후 사망했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백성을 위한 정책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권력 다툼에서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2. 생애

두경승은 공학군(控鶴軍)에서 복무하다 수박(手搏)하는 사람에 의해 한 부대에 편입될 뻔했으나, 외삼촌[3] 상장군(上將軍) 문유보(文儒寶)의 반대로 무산되었다.[2] 이후 대정(隊正)을 거쳐 후덕전(厚德殿)의 견룡군(牽龍軍)에 들어갔다.[2][4]

명종 초, 산원(散員)으로 옮겼다가 이의방에 의해 내순검군지유(內巡檢軍指諭)로 임명되었다. 하루는 퇴근길에 태안문(泰安門)에서 나와 옷을 바꿔 입고 도망쳐 숨었는데, 북산(北山) 바위 틈에서 발견되었다. 그는 꿈에서 여러 사람이 자신을 죽이려 하여 무서워서 도망쳤다고 말했고, 당시 사람들은 경인년(1170년) 무신정변 때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의 원한 때문이라고 여겼다.[2][5]

왕명으로 이광필이 초상을 그리게 되었는데, 이광필이 반신상(半身像)만 그리려 하자 두경승은 화를 내며 전신상을 그리게 했다.[2]

2. 1. 초기 생애와 무신정변

두경승은 공학군(控鶴軍)에서 복무하다가 대정(隊正)을 거쳐 후덕전(厚德殿)의 견룡군(牽龍軍)에 들어갔다.[2][4] 1170년 무신정변 당시, 다른 무신들이 재물을 탐내고 약탈할 때, 두경승은 대궐 밖에 나가지 않고 재물을 뺏지 않아 청렴한 모습을 보였다.[2]

2. 2. 김보당의 난과 조위총의 난 진압

1173년(명종 3년) 김보당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춘부와 함께 진압에 참여했다. 이춘부의 행실이 좋지 않자 두경승이 조용히 타일렀고, 이춘부가 그의 충고를 따르자 남쪽 지방 백성들이 복속해왔다. 이춘부는 두경승에게 고마워하며 삶과 죽음을 같이하는 우정을 맺었다.[2]

1174년(명종 4년) 조위총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두경승은 이들을 격파했다. 왕은 그를 동로가발병마부사(東路加發兵馬副使)로 임명했다. 그는 정예병으로 성을 공격해 함락시키고 김박승의 목을 베어 그 머리를 개경으로 보냈다.[2]

여진족 1천여 명이 정주 성문 밖에 와서 약탈하려 하자, 두경승이 이들을 설득하여 곧 물러가게 했다.[2]

맹주(孟州: 현 평안남도 맹산군)에 이르자 서경 군사들이 항거했다. 그는 이의민, 석린(石麟) 등과 함께 싸워 4백 명을 죽여 맹주·덕주(德州: 현 평안남도 덕천시) 병사들이 성을 버리고 달아나게 했다.[2]

두경승이 평주(平州: 현 황해북도 평산군)에 이르자 왕은 이광정(李光挺)을 보내 성 밖에서 위문하게 했다. 반란의 수장이 아직 살아있었기 때문에 왕은 후군(後軍) 총관사(惣管使)에 임명해 다시 전장으로 보냈다. 서경 군사들이 연주(漣州: 현 평안남도 개천시)로 들어가 웅거하자, 두경승은 성 밖에 흙을 높이 쌓아 그 위에 대포를 벌여놓고 공격해 함락시켰다. 사졸들이 재화와 보물을 약탈하려 하자 두경승은 군령을 내려 금지시키고 가마솥을 가져가는 것만 허락했다.[2]

서북지역의 모든 성이 관군에 항복했고, 그 후 서경으로 진격해 반란 세력들을 격파했다. 하지만 서경 사람들은 아직 항복하지 않았다. 두경승은 연주에서 가져온 가마솥으로 취사를 해서 사람들이 이것을 편리하게 사용하게 하여, 두경승의 계책이 뛰어남을 칭송했다. 서경 군사들이 밤에 급습해 영문(營門)을 불태우자 두경승은 오히려 그대로 두라고 하고는 남은 기물들을 불 속에 던져 넣었다. 불길이 치솟아 낮같이 환해져 서경 사람들이 군영 안으로 침입하지 못했고, 결국 서경 사람들은 성에서 나와 투항했다. 두경승은 윤인첨과 합세해 서경을 격파하고 조위총을 잡아 죽여 반란을 평정했다.[2]

그러나 아직 잔적이 남아있어 왕은 서북면(西北面) 병마사(兵馬使)로 임명해 영청현(永淸縣: 현 남포특별시 강서구)을 진압하게 했다. 그 후 금나라 사신들이 고려에 왔다가 귀국하는데 서경 군사들이 길목을 차단하자, 두경승이 사졸을 뽑아 기습해 적도들을 섬멸했다.[2]

2. 3. 관직 생활과 정치 활동

1173년 김보당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이춘부와 함께 진압에 참여했다. 이춘부의 행실이 좋지 않자 두경승이 조용히 타일렀고, 이춘부가 그의 충고를 따르면서 남쪽 지방 백성들이 복속해왔다. 이춘부는 두경승에게 고마움을 느껴 삶과 죽음을 함께하는 우정을 맺었다.[2]

1174년 조위총의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큰 공을 세웠다. 왕은 그를 동로가발병마부사(東路加發兵馬副使)로 임명했고, 정예병으로 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김박승의 목을 베어 개경으로 보냈다.[2] 여진족 1천여 명이 정주 성문 밖에서 약탈하려 하자 이들을 설득하여 물러가게 했다.[2] 이의민, 석린(石麟) 등과 함께 맹주(孟州: 현 평안남도 맹산군)에서 서경 군사 4백 명을 죽였고, 맹주와 덕주(德州: 현 평안남도 덕천시) 병사들은 성을 버리고 달아났다.[2]

평주(平州: 현 황해북도 평산군)에 이르렀을 때 왕이 이광정(李光挺)을 보내 성 밖에서 위문하게 했다. 왕은 후군(後軍) 총관사(惣管使)로 임명해 다시 전장으로 보냈다. 서경 군사들이 연주(漣州: 현 평안남도 개천시)에서 웅거하자, 성 밖에 흙을 높이 쌓아 대포를 설치하고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사졸들이 재물과 보물을 약탈하려 하자 군령을 내려 금지시키고 가마솥만 가져가도록 허락했다.[2]

서북지역의 모든 성이 관군에 항복했고, 서경으로 진격해 반란 세력들을 격파했다. 두경승은 연주에서 가져온 가마솥으로 취사를 하여 사람들이 편리하게 사용하게 했고, 그의 뛰어난 계책을 칭송했다. 서경 군사들이 밤에 급습하여 영문(營門)을 불태우자 남은 기물들을 불 속에 던져 넣어 불길이 치솟게 하여 군영 안으로 침입하지 못하게 하였고, 결국 서경 사람들은 성에서 나와 투항했다. 윤인첨과 합세해 서경을 격파하고 조위총을 잡아 죽여 반란을 평정했다.[2]

왕은 서북면(西北面) 병마사(兵馬使)로 임명해 영청현(永淸縣: 현 남포직할시 룡강군)을 진압하게 했다. 금나라 사신들이 고려에 왔다가 귀국하는데 서경 군사들이 길목을 차단하자, 사졸을 뽑아 기습하여 적들을 섬멸했다.[2]

반란 진압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

연도관직
1180년공부상서(工部尙書)[6]
1181년호부상서(戶部尙書)[7]
1183년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8]
1185년참지정사(參知政事)[9]
1189년권판병부사(權判兵部事)[10]
1190년수태위(守太尉)[11]
1191년판이부사(判吏部事) 수국사(修國史)[12]



평장사(平章事)에 오른 후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에 봉해졌다.[2] 동료와 함께 식목도감의 판안(判案)을 점검하고 다시 베껴 써서 보관해야 한다고 건의하여 왕의 허락을 받았다.[2] 또한 선대 공신들의 관작을 추가하자고 건의하여 왕이 흔쾌히 받아들여 모두에게 관작을 추증하고 공신녹권(功臣錄券)을 만들어 후손들에게 내려주었다.[2]

2. 4. 이의민과의 관계 및 최후

1196년(명종 26년) 이의민과 함께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임명되었으나, 서열이 이의민보다 위에 있어 이의민이 중서성(中書省)에서 욕설을 하자 두경승은 웃기만 할 뿐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2] 중서령(中書令)에도 임명되었으나,[13] 두경승은 속으로 관직을 받고 싶어 하면서도 겉으로 사양하는 척하는 것을 못하겠다고 하였다.[2]

1197년(명종 27년) 음력 9월 20일 최충헌 형제가 명종을 폐위시키고, 다음 날인 음력 9월 21일 두경승은 자연도(紫燕島: 현 인천 영종도)로 유배되었다.[14] 신종 즉위 후 음력 11월 1일(양력 12월 11일) 유배지에서 울분으로 피를 토하고 죽었다.[2][1]

3. 평가

당대 사람들은 이의민과 두경승을 두려워하며 그들의 위세를 칭송하는 시를 짓기도 했다.[15]

4. 두경승이 등장한 작품

5. 전기 자료

두경승에 대한 전기 자료는 《고려사》 권100, 〈열전〉13에 수록되어 있다.[1]

참조

[1] 서적 고려사 1197-11-01
[2] 서적 고려사
[3] 문서
[4] 논문 고려사
[5] 논문 高麗 武人政權과 杜景升의 정치활동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08
[6] 서적 고려사 1180-12-27
[7] 서적 고려사 1181-12-28
[8] 서적 고려사 1183-12-30
[9] 서적 고려사 1185-12-30
[10] 서적 고려사 1189-12-20
[11] 서적 고려사 1190-12-28
[12] 서적 고려사 1191-12-30
[13] 서적 고려사 1196-12-25
[14] 서적 고려사절요
[15] 서적 역옹패설·전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