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산군은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북서쪽에서 동남부로 멸악산맥이 뻗어 있고 례성강이 흐른다. 고구려 시대에는 대곡군 또는 다실군으로 불렸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는 영풍군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평주로 불렸으며, 신숭겸과 유금필의 본관이기도 하다. 현재 평산군은 1읍, 2구, 20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라늄 제련 시설과 핵폐기물 처리 시설 관련 논란이 있었다. 평부선과 청년이천선이 지나가며, 평양-개성 고속도로가 통과한다. 주요 출신 인물로는 조영남, 넬슨 신, 이승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산군 - 한포역
    한포역은 1906년 4월 3일에 개업한 평부선 상의 철도역으로, 황해북도 예성강 인근의 태백산성역과 금천역 사이에 위치한다.
  • 평산군 - 멸악산
  • 황해북도의 군 - 황주군
    황주군은 황해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벼농사가 성행하고 철광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평부선과 송림선이 지나가고 정방산성 등 명승고적이 있는 지역이다.
  • 황해북도의 군 - 린산군
    린산군은 황해북도에 위치하며, 1952년 평산군과 서흥군 일부를 통합하여 신설되었고, 1개의 읍과 19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정 구역 개편과 황해도의 분할에 따라 역사적 변화를 겪어왔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평산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황해북도에서 평산군의 위치
황해북도에서 평산군의 위치
기본 정보
이름평산군
원어 이름평산군
한자 표기平山郡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P'yŏngsan-kun
로마자 표기 (개정)Pyongsan-gun
행정 구역 종류
소속 국가북한
소속 도황해북도
면적538.6km²
인구 (2008년)123,646명
인구 밀도229.57명/km²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읍 2노동자구 20리
군 소재지평산읍

2. 지리

평산군은 험준한 지세를 가지고 있으며, 북서쪽에서 동남부까지 멸악산맥이 뻗어있다. 대체로 평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례성강의 지류인 남천이 군 중앙을 통과해서 흐른다.

북쪽으로는 서흥군·신계군, 동쪽으로는 금천군, 서쪽으로는 린산군, 남쪽으로는 황해남도 봉천군과 접한다.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군의 동부를 북쪽에서 남쪽으로 례성강이 흐른다.

3. 역사

고구려 때 이곳은 대곡군(大谷郡) 또는 다실군이라고 불렸고, 통일 신라 시대에는 영풍군으로, 783년에는 진을 두고 한주를 삼았다. 통일 신라 시기 북방 거점이던 패강진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기도 하나 아직 이견이 많다. 고려시대에는 평주라고 부르고 도호부를 두었다. 개성과 가깝고 건국에 공헌했던 많은 호족 세력의 중심지였던 이유로 평산 신씨, 평산 유씨와 같은 장수들은 평주를 본관으로 두어 성을 삼거나 왕건에게 성을 하사받았다.

일제강점기에는 14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18] 1952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일부가 린산군, 평천군, 신계군으로 분리되었다. 구 평산군 안성면, 남천면, 금암면, 서봉면 전역과 평산면, 문무면의 각 일부, 그리고 금천군 동화면의 일부를 합쳐 평산군(1읍 22리)이 재편되었다.

3. 1. 연표


  • 고구려 : 대곡군(大谷郡) 또는 다실군이라고 불렸다.
  • 통일 신라 : 영풍군으로 불렸다. 783년에는 진을 두고 한주를 삼았다. 패강진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기도 하나 이견이 있다.
  • 고려 : 평주라 부르고 도호부를 두었다. 평산 신씨, 평산 유씨 등 평주를 본관으로 하는 호족 세력의 중심지였다.
  • 1914년 4월 1일 : 연백군에 일부를 주고 17면으로 개편.
  • 1917년 : 외읍면이 평산면으로 개칭됨.(14면)
  • 1942년 4월 1일 : 보산면을 남천읍으로 승격.(1읍 13면)[20]
  • 1947년 : 남천읍이 남천면으로 강등됨.(14면)
  • 1950년 : 적암면이 연백군에 편입됨.(13면)
  • 1952년 12월 : 군면리통폐합으로 안성면·남천면·금암면·서봉면 및 평산면·문무면의 각 일부, 금천군 동화면의 일부 지역을 합쳐 평산군을 설치. (1읍 21리)
  • 평산읍·평화리·월천리·탄교리·산성리·기탄리·복수리·용궁리·한포리·옥촌리·해월리·해상리·봉천리·삼룡리·주포리·봉탄리·와현리·물개리·삼천리·양암리·청수리·산수리
  • 1954년 10월 : 황해도 분할로 황해북도 평산군이 됨.(1읍 22리)
  • 탄교리·산수리의 각 일부가 합쳐져 임산리가 발족.
  • 용궁리의 일부가 황해남도 평천군 연홍리의 각 일부와 합쳐져 평천군 용촌리가 됨.
  • 옥촌리의 일부가 용궁리에 편입.
  • 1958년 6월 (1읍 1노동자구 20리)
  • 양암리가 서흥군에 편입.
  • 물개리의 일부가 서흥군 신막리와 합쳐져 서흥군 서흥읍이 됨.
  • 와현리의 일부가 평산읍에 편입.
  • 와현리가 와현노동자구로 승격.
  • 1963년 11월 : 와현노동자구가 와현리로 강등.(1읍 21리)
  • 1967년 10월 (1읍 1노동자구 21리)
  • 물개리가 청학노동자구로 승격.
  • 인산군 상암리를 편입.
  • 1982년 9월 : 해상리가 예성리로 개칭.(1읍 1노동자구 21리)
  • 1991년 9월 : 평화리가 평화노동자구로 승격.(1읍 2노동자구 20리)

4. 행정 구역

로동자구


5. 경제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인이 개발한 형석 광산과 농기구 수리 시설 정도가 있었으나, 광복 이후 크게 발전하였다. 현재 대리석 광산, 화강석 광산 등이 있으며, 북조선의 석재 공업 중심지이다.

5. 1. 우라늄 광산 및 제련 시설

평산은 북한에 있는 우라늄 제련 시설 두 곳 중 한 곳이 위치한 곳이다. 이 시설은 인근 광산에서 채굴한 석탄을 가공하여 석탄에 포함된 우라늄을 황산우라늄으로 농축한다.[10] 1992년 국제 사회에 신고되었으며,[10] 연간 우라늄 생산량은 300톤으로 추정된다.[11]

2019년 8월, 미국 연구원의 보고에 따르면 이 시설에서 폐기물이 누출되어 인근 주민들의 건강에 대한 우려와 오염물질이 례성강을 따라 한국 해역으로 흘러들어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2][13] 이 누출은 38 노스에 의해 독립적으로 확인되었다.[14] 같은 해 8월 28일, 대한민국 통일부는 한강군사분계선 부근 수역에 대한 오염 수준과 방사능 위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15]

5. 2. 핵폐기물 처리 시설

2013년 북한 중앙정부와 (주)대만전력공사(Taipower)는 평산으로 핵폐기물을 운송하는 것에 대한 협상을 시작했다.[16] 이 계약은 6만 배럴의 핵폐기물 운송, 그리고 2단계에서 1만 4천 배럴 추가 운송을 포함하여 총 1.5억달러의 가치를 지녔으며, 북한이 외화 획득을 위해 이 계약을 추진했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재)원자력위원회(Atomic Energy Council)로부터 "폐기물 수출 허가"를 받지 못하면서 어려움에 봉착했다.[16] 대만전력공사 관계자 황텐황(Huang Tien-huang)에 따르면, 북한은 대만전력공사가 평산의 처리 시설을 확인하는 것을 막았다.[16] 여러 문제로 인해 최종 계약은 체결되지 않았다. 그러나 북한은 변호사 채휘령(Tsai Hui-ling)을 통해 계약 위반으로 대만전력공사를 고소했다.[16][17]

6. 교통

평산군에는 평부선청년이천선이 지난다. 평산역에서 청년이천선이 분기하며, 평양-개성간 고속도로가 이 지역을 통과한다.

6. 1. 철도



[1]

6. 2. 고속도로

평양-개성간 고속도로가 있다.

7. 교육 기관

평산농업대학

8. 관광지

태백산성(太白山城)은 고구려 시기에 지어진 산성으로, 평산군에 위치하고 있다.

9.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서적 필수역사용어해설사전 https://books.google[...] 타오름 2014
[3] 웹사이트 평산군(平山郡)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8-04-16
[4] 웹사이트 황해도 평산(평산장) http://www.cultureco[...]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8-04-16
[5] 웹사이트 서명 : 평산군지(平山郡誌) http://kyujanggak.s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8-04-16
[6] 웹사이트 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황해도 연안 도호부 평산 도호부 http://sillok.histor[...]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18-04-16
[7] 웹사이트 평산군(平山郡)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2-09-17
[8] 웹사이트 유금필(庾黔弼)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2-09-17
[9] 웹사이트 1. 태조의 후비들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22-09-17
[10] 웹사이트 Recent Imagery Suggests Increased Uranium Production in North Korea, Probably for Expanding Nuclear Weapons Stockpile and Reactor Fuel https://www.38north.[...] 38 North 2015-08-12
[11] 웹사이트 North Korea 'expanding uranium capacity,' says expert https://www.dw.com/e[...] DW.com 2015-08-13
[12] 웹사이트 Radioactive River https://mynorthkorea[...] Jacob Bogle 2019-08-03
[13] 웹사이트 Waste from N.Korean Uranium Factories 'Could Seep into Sea' http://english.chosu[...] Chosun Ilbo 2019-08-19
[14] 웹사이트 North Korea's Pyongsan Uranium Mill: Operations Produce Environmental Damage While Extracting Uranium for its Nuclear Program https://www.38north.[...] 38 North 2015-08-27
[15] 웹사이트 Gov't analyzing seawater amid reports of possible radioactive waste leak from N.K. https://en.yna.co.kr[...] Yonhap 2015-08-28
[16] 웹사이트 North Korean-Taiwan nuclear waste deal thwarted over export permit http://www.nkeconwat[...] NK Economy Watch 2013-03-15
[17] 웹사이트 North Korea to sue Taiwan Power over failed nuclear waste agreement . https://www.youtube.[...] Formosa English News 2013-03-03
[18] 웹사이트 황해북도 평산군 역사 http://www.cybernk.n[...]
[19]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20]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04호 1942-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