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19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96년은 남송 경원 2년, 금나라 명창 7년 / 승안 원년, 일본 겐큐 7년, 서하 천경 3년, 리 왕조 티엔뜨자투이 11년에 해당한다. 칭기즈 칸이 1차 즉위하였고, 최충헌이 집권하여 봉사십조를 올리고 쿠데타를 일으켜 고려의 국무총리가 되어 무신정권의 절정기를 맞이했다. 헝가리의 벨라 3세, 아라곤의 알폰소 2세 등이 사망하고, 스웨덴의 스베르케르 2세가 왕위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196년
1196년
로마 숫자MCXCVI
해당 연도의 정보
세기12세기
십년 단위1190년대
천년 단위제2천년기
간지병진년(丙辰年)

2. 연호

3. 사건


  • 칭기즈칸이 1차 즉위에 올랐다.
  • 최충헌이 집권하여 봉사십조라는 개혁안을 올렸다.
  • 오스만 제국의 술탄 기야스 웃 딘 가르지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무이즈 웃 딘 무함마드가 술탄이 되었다.
  • 잉글랜드리처드 1세1195년에 체결된 휴전을 갱신하여 프랑스필리프 2세와의 전쟁을 계속하였다.
  • 제4차 십자군의 일환으로 베네치아의 지도 아래 자다르가 공격받았다.
  • 스웨덴에서 요한 1세가 사망하고, 스웨덴의 왕으로 스웨르케 2세가 즉위하였다.
  • 아이슬란드에서 구드문드르 아르손이 호울라르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 잉글랜드에서 존 윌리엄스가 윈체스터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 스코틀랜드에서 윌리엄 말보테가 세인트 앤드루스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 6월 - 조정에서 [중원]의 요청에 따라 셋쓰 우오즈미 · 오와다노토마리를 수축하게 하였다. 다이라노 토모타다가 이치조 요시야스를 살해하려 했으나, 오히려 살해당했다.
  • 7월 - 불상 조각가 [조케이]가 고후쿠지 동금당의 유마 거사상을 조립하였다.
  • 11월 - [쿠죠 카네자네]가 관백 직에서 물러나 실각하고, 대신 미나모토노 미치치카가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 월 불명 - 막부가 무사시의 국검을 실시하였다. 아귀초지가 완성되었다. 토리카에바야 이야기가 완성되었다.
  • 월 불명 - 뇌화로 아스카데라의 탑과 금당이 소실되었다.

3. 1. 동아시아

1196년 최충헌고려의 장군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라이벌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했으며, 1219년까지 고려의 국무총리를 역임했다.[4]

3. 2. 서아시아 및 유럽


  • 12월 - 하인리히 6세가 비잔틴 제국을 침략하겠다고 위협하며 5,000 파운드의 금을 요구하자, 황제 알렉시우스 3세는 황실 묘를 약탈하고 무거운 세금을 징수하여 1,600 파운드의 금을 마련했다.[2]
  • 봄 - 하인리히 6세뷔르츠부르크에서 제국 회의를 열어 자신의 2살 된 아들 프리드리히 2세를 로마 왕이자 황위 계승자로 인정하도록 설득했다. 그러나 쾰른 대주교 알테나의 아돌프 등의 반발로 세습 군주제 확립에는 실패했다.[2]
  • 4월 23일 - 헝가리의 벨러 3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헝가리의 임레가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달마티아의 통치자가 되었다.
  • 4월 25일 - 아라곤알폰소 2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아라곤의 페드로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세레스 전투: 불가리아군이 세레스 근처에서 비잔틴 군대를 격파했다. 이후 이반 아센 1세보야르 (귀족)인 이반코 (불가리아 보야르)에게 암살당하고, 그의 동생 불가리아의 칼로얀이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 봄 - 윌리엄 피츠오스버트가 런던에서 빈민들을 이끌고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캔터베리 대주교 휴버트 월터의 명령에 따라 처형되었다.
  • 잉글랜드 왕국은 역병과 기근으로 고통받았다.

4. 탄생


  • 1월 3일 - 쓰치미카도, 일본 천황 (1231년 사망)
  • 3월 27일 - 스뱌토슬라프 3세, 키예프 대공 (1252년 사망)
  • 아불 하산 아쉬 샤들리, 알모아드 학자 (1258년 사망)
  • 알베리코 2세, 이탈리아 음유시인이자 정치가 (1260년 사망)
  • 오렘비아익스, 스페인 여백작 (우르젤 가문) (1231년 사망)
  • 도조닌도, 일본 귀족이자 ''와카'' 시인 (1249년 사망)
  • 헨리 2세 ('''경건왕'''), 폴란드 대공 (1241년 사망)
  • 헨리 6세 ('''젊은이'''), 독일 귀족 (1214년 사망)
  • 페드로 알폰소 데 레온, 스페인 귀족 (1226년 사망)
  • 윌리엄 2세 드 앙피에르, 프랑스 귀족 (1231년 사망)

5. 사망

참조

[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Germany under the Salian and Hohenstaufen Emperors Blackwell
[3] 서적 King Joh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