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릴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릴도는 1732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조제프니콜라 드릴이 개발한 온도 눈금이다. 끓는 물의 온도를 0도로, 온도가 낮아질수록 수은의 수축을 측정하여 눈금을 매겼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겨울 기온 측정에 적합하도록 고안되었다. 1738년 요지아스 바이트브레히트에 의해 재보정되었으며, 섭씨 눈금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쳤다. 드릴도와 섭씨 간의 변환 공식이 존재하며, 여러 온도 단위를 비교하는 표가 제시되어 있다.

2. 역사

조제프니콜라 드릴은 1725년 표트르 1세의 초청으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활동했다.[7][3] 1732년, 그는 수은을 이용한 온도계를 제작하고 자신만의 온도 눈금인 드릴도를 고안했다.[5][1] 이 눈금은 물의 끓는점을 0도로 설정하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눈금 값이 증가하는 방식이었다.[5][1] 1738년 요시아스 바이트브레히트는 드릴 온도계를 물의 어는점을 150도로 추가하여 재보정했으며,[5][1] 이는 안데르스 셀시우스섭씨 눈금을 만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5][1][8][4] 드릴 온도계는 러시아에서 약 100년 동안 사용되었다.[1]

2. 1. 드릴 눈금의 발명

1725년, 조제프니콜라 드릴은 표트르 대제의 초청을 받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천문대를 설립하기 위해 러시아로 향했다.[7][3] 1732년, 드릴은 작동 유체로 수은을 사용하는 온도계를 만들었다.[5][1] 그는 물이 끓는 온도를 고정된 0도로 정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수은이 수축하는 정도를 십만분의 일 단위로 측정하여 눈금을 설정했다.[5][1] 이 드릴 온도계는 보통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겨울 기온을 나타내기에 적합하도록 2400개 또는 2700개의 눈금을 가졌다.[6][2]

1738년, 요시아스 바이트브레히트(Josias Weitbrecht, 1702–1747)는 드릴의 온도계를 두 개의 고정점을 이용하여 재보정했다. 그는 물의 끓는점을 0도로 유지하고, 물의 어는점을 150도로 추가했다. 바이트브레히트는 이렇게 보정된 온도계를 안데르스 셀시우스를 포함한 여러 학자들에게 보냈다.[5][1] 섭씨 눈금 역시 처음에는 드릴 눈금처럼 물의 끓는점을 0도, 어는점을 100도로 정했으나, 셀시우스가 사망한 후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와 온도계 제작자 다니엘 엑스트룀(Daniel Ekström)의 주도로 현재와 같이 눈금이 반대로 바뀌었다.[8][4]

드릴의 온도계는 러시아에서 약 100년 동안 사용되었다. 사용자 중 한 명인 미하일 로모노소프는 연구 과정에서 눈금을 거꾸로 사용하여 물의 어는점을 0 °D, 끓는점을 150 °D로 사용하기도 했다.

2. 2. 드릴 눈금의 재보정 및 섭씨 눈금으로의 전환

1738년 요지아스 바이트브레히트(Josias Weitbrecht, 1702–1747)는 드릴 온도계를 두 개의 고정점을 이용하여 재보정했다.[5][1] 그는 물의 끓는점을 0도로 유지하고, 물의 어는점을 150도로 새롭게 설정했다.[5][1] 바이트브레히트는 이렇게 보정된 온도계를 안데르스 셀시우스를 포함한 여러 학자들에게 보냈다.[5][1]

셀시우스가 처음 제안한 섭씨 눈금은 드릴 눈금과 유사하게 물의 끓는점을 0도, 어는점을 100도로 정했다.[8][4] 이는 현재 사용되는 섭씨 눈금과는 반대 방향이었다. 셀시우스가 사망한 후,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와 당시 셀시우스가 사용하던 온도계를 주로 제작했던 스웨덴의 실험 기구 제작자 다니엘 에크스트룀(Daniel Ekström)의 주도로 눈금이 현재와 같이 바뀌었다.[8][4]

2. 3. 드릴 눈금의 사용과 쇠퇴

드릴 온도계는 러시아에서 거의 100년 동안 사용되었다.[1] 1738년, 요시아스 바이트브레히트(Josias Weitbrecht, 1702–1747)는 드릴 온도계를 물의 끓는점을 0도로, 물의 어는점을 150도로 하는 두 개의 고정점을 사용하여 재보정했다.[1][5] 그는 이 보정된 온도계를 안데르스 셀시우스를 포함한 여러 학자들에게 보냈다.[1][5]

드릴 눈금을 사용한 대표적인 인물로는 미하일 로모노소프가 있다. 그는 자신의 연구 과정에서 기존의 드릴 눈금을 반대로 적용하여, 물의 어는점을 0 °D로, 끓는점을 150 °D로 설정하여 사용했다.

3. 온도 단위 사이의 환산

(내용 없음)

3. 1. 여러 온도 단위 비교

드릴도(°De)와 섭씨(°C)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mathrm{De} = \frac{3}{2}(100 - \mathrm{C})

: \mathrm{C} = 100 - \frac{2}{3}\mathrm{De}

'''온도 단위 비교'''
켈빈(K)섭씨(°C)화씨(°F)랭킨(°Ra)들릴(°D)뉴턴(°N)레오뮈르(°Ré)뢰머(°Rø)
절대 영도0-273.15°C약 -273.1°C0 °Ra559.725 °D−90.14 °N−218.52 °Ré−135.90 °Rø
지구 표면의 최저 기온 (※1)183,950-89.2°C약 -89.2°C331.11 °Ra283.8 °D−29.436 °N−71.36 °Ré−39.33 °Rø
파렌하이트의 얼음 혼합물255,370-17.78°C약 -17.8°C459.67 °Ra176.67 °D−5.87 °N−14.22 °Ré−1.83 °Rø
녹는점 (표준 상태 하)273,1500°C약 0.0°C491.67 °Ra150 °D0 °N0 °Ré7.5 °Rø
지구 표면의 평균 기온288,00015°C약 15.0°C518.67 °Ra127.5 °D4.95 °N12 °Ré15.375 °Rø
인간의 평균 체온309,95036.8°C약 36.8°C557.91 °Ra94.8 °D12.144 °N29.44 °Ré26.82 °Rø
지구 표면의 최고 기온 (※2)329,85056.7°C약 56.7°C593.73 °Ra64.95 °D18.711 °N45.36 °Ré37.268 °Rø
물의 끓는점 (표준 상태 하)373,150100°C약 100.0°C671.67 °Ra0 °D33 °N80 °Ré60 °Rø
티타늄의 녹는점1,941,0001668°C약 1667.8°C3494 °Ra−2352 °D550 °N1334 °Ré883 °Rø
태양의 표면 온도5,800,0005526°C약 5526.7°C10440 °Ra−8140 °D1823 °N4421 °Ré2909 °Rø

3. 2. 드릴도와 섭씨의 관계

드릴도(De)와 섭씨(℃)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De = \frac{3}{2}(100 - C)

C = 100 - \frac{2}{3}De

참조

[1] 서적 Improved Understanding of Past Climatic Variability from Early Daily European Instrumental Sourc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 서적 A history of the thermometer and its use in meteorology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Press
[3] 서적 History of Astronomy: An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4] 웹사이트 Linnaeus' thermometer https://web.archive.[...]
[5] 서적 Improved Understanding of Past Climatic Variability from Early Daily European Instrumental Sourc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6] 서적 A history of the thermometer and its use in meteorology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Press
[7] 서적 History of Astronomy: An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8] 웹인용 Linnaeus' thermometer http://www.linnae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