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 (종합격투기 단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림은 2008년 설립된 일본의 종합격투기 단체로,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의 후신으로 시작되었다. M-1 글로벌, 스트라이크포스, 원 챔피언십 등 여러 단체와 제휴를 맺고 매년 12월 31일 K-1과 다이너마이트 대회를 공동 개최했다. 2012년 모회사 파산으로 사업을 중단하기 전까지 7개의 체급을 운영했으며, 2012년 12월 31일 Dream.18을 마지막으로 대회를 개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종합격투기 - 판크라스
판크라스는 후나키 마사카츠와 스즈키 미노루가 1992년 설립한 일본의 종합격투기 단체로, 캐치 레슬링 기반의 완전실력주의를 표방하며 인기를 얻었고, 규칙 개정과 체급 조정 등을 거쳐 현재는 FEN 판크라스 사업부로 운영되며 '킹 오브 판크라스' 챔피언 타이틀을 걸고 10각형 케이지 '데카곤'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 일본의 종합격투기 -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은 1997년 일본에서 시작되어 2000년대 초반 전성기를 누린 종합격투기 단체로, 2007년 UFC에 인수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종합격투기 단체 - 판크라스
판크라스는 후나키 마사카츠와 스즈키 미노루가 1992년 설립한 일본의 종합격투기 단체로, 캐치 레슬링 기반의 완전실력주의를 표방하며 인기를 얻었고, 규칙 개정과 체급 조정 등을 거쳐 현재는 FEN 판크라스 사업부로 운영되며 '킹 오브 판크라스' 챔피언 타이틀을 걸고 10각형 케이지 '데카곤'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 종합격투기 단체 - 월드 익스트림 케이지파이팅
월드 익스트림 케이지파이팅(WEC)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운영된 종합격투기 단체이며, 2006년 주파에 인수된 후 UFC에 합병되었고, 조제 알도 등 주요 선수들을 배출했다. - 2008년 설립된 기업 - 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
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는 2011년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로 설립되어 로엔엔터테인먼트의 투자를 받아 사명을 변경하고 에이핑크, 빅톤 등의 아이돌 그룹을 배출했으나, 2019년 페이브엔터테인먼트와 합병하여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가 되었다. - 2008년 설립된 기업 - 큐브 엔터테인먼트
큐브 엔터테인먼트는 2008년 홍승성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로, 포미닛, 비스트, (여자)아이들 등 여러 그룹을 데뷔시켰으며, iHQ에 인수되었다가 현재 VT GMP가 최대 주주이며, 펜타곤, (여자)아이들 등이 소속되어 있다.
드림 (종합격투기 단체)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드림 |
![]() | |
유형 | 사기업 |
설립일 | 2008년 2월 13일 |
해체일 | 2012년 6월 3일; 재개: 2012년 10월 25일 |
창립자 | 다니카와 사다하루 (FEG 사장) |
이전 단체 | 프라이드 |
후신 단체 | 라이진 |
소재 국가 | 일본 |
소재 도시 | 도쿄 |
주요 인물 | 사사하라 게이치, 헤드 및 매치 메이커 사토 다이스케, 프로덕션 디렉터 |
산업 | 종합격투기 흥행 |
모기업 | 리얼 엔터테인먼트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2008년 2월 13일, 히어로즈의 해체와 함께 새 단체인 드림(DREAM)이 공식 발표되었다. 노리후미 야마모토(노리후미 "키드" 야마모토), 아키야마 요시히로, JZ 칼반 등 히어로즈의 모든 선수들이 새 단체에 합류할 것이 확정되었으며, 미르코 필리포비치(미르코 "크로캅" 필리포비치), 아오키 신야, 사쿠라바 카즈시, 이시다 미츠히로, 사쿠라이 하야토(하야토 "마하" 사쿠라이)도 추가되었다.[1] 드림은 M-1 글로벌(M-1 Global)과 제휴를 발표했고, M-1 글로벌은 마지막 프라이드 헤비급 챔피언이자 2004년 헤비급 그랑프리 우승자인 표도르 예멜리야넨코가 자사의 이벤트에 출전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예멜리야넨코는 두 단체의 제휴를 홍보하기 위해 드림 기자 회견에 참석했다.[2]
드림은 스트라이크포스, M-1 글로벌과 제휴 관계를 맺고 1년에 몇 회씩 공동으로 대회를 개최했으며, 매년 12월 31일 K-1과 공동으로 다이너마이트 대회를 개최했다. 2008년 5월 10일에는 미국의 프로모션 EliteXC와 협력 관계를 발표했으나, EliteXC의 파산으로 무산되었다.[4] 2009년 8월 5일, 스트라이크포스의 CEO 스콧 코커는 두 단체가 공식적인 동맹을 맺고 선수들을 교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 2011년 11월 23일, 원 챔피언십은 드림과 새로운 동맹을 맺어 대회를 공동 개최하고 선수 교류에 참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2012년 1월 17일, ProElite는 드림과 협력하여 대회를 공동 개최하고 선수 교류를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
2012년 5월 16일, 타니카와 사다하루는 FEG의 파산을 공식 선언했다.[8] 모회사인 리얼 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가 프로모션을 관리하기 시작했으며, 2012년 6월 3일 기준으로 드림은 사실상 사업을 중단했다.[9] 2012년 12월 31일, 글로리 스포츠 인터내셔널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프로모션의 마지막 쇼인 "Dream.18: 스페셜 NYE 2012"가 개최되었다. 이 이벤트는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에서 격투기 및 킥복싱 경기를 주최하여 매년 연말연시에 열리는 격투기 이벤트의 전통을 이어갔다.[10]
2. 1. 설립 배경
주파(Zuffa)가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을 인수한 후, 전 드림 스테이지 엔터테인먼트(Dream Stage Entertainment) 임원들은 슛(Shooto), M-1 글로벌(M-1 Global), 파이팅 앤 엔터테인먼트 그룹(Fighting and Entertainment Group)과 협력하여 섣달 그믐날 종합격투기 이벤트인 ''야렌노카!''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프라이드를 위한 고별전으로 기획되었지만, 성공적인 개최와 일본 종합격투기(MMA) 팬들의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FEG와 DSE 직원들은 힘을 합쳐 새로운 단체를 결성했다.2. 2. 단체 출범 (2008)
2008년 2월 13일, 히어로즈의 해체와 함께 새 단체인 드림(DREAM)이 공식 발표되었다. 노리후미 야마모토(노리후미 "키드" 야마모토), 아키야마 요시히로, JZ 칼반 등 히어로즈의 모든 선수들이 새 단체에 합류할 것이 확정되었으며, 미르코 필리포비치(미르코 "크로캅" 필리포비치), 아오키 신야, 사쿠라바 카즈시, 이시다 미츠히로, 사쿠라이 하야토(하야토 "마하" 사쿠라이)도 추가되었다.[1] 드림은 M-1 글로벌(M-1 Global)과의 제휴를 발표했고, M-1 글로벌은 마지막 프라이드 헤비급 챔피언이자 2004년 헤비급 그랑프리 우승자인 표도르 예멜리야넨코가 자사의 이벤트에 출전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예멜리야넨코는 두 단체의 제휴를 홍보하기 위해 드림 기자 회견에 참석했다.[2]2. 3. 제휴 관계
스트라이크포스, M-1 글로벌과 제휴 관계를 맺고 1년에 몇 회씩 공동으로 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매년 12월 31일 K-1과 공동으로 다이너마이트 대회를 개최한다.2008년 5월 10일, 드림은 미국의 프로모션 EliteXC와 협력 관계를 발표했다. 두 단체는 선수들을 공유하고 공동으로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이 동맹은 EliteXC의 파산으로 무산되었다.[4]
2009년 8월 5일, 스트라이크포스의 CEO 스콧 코커는 두 단체가 공식적인 동맹을 맺고 선수들을 교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
2011년 11월 23일, 원 챔피언십은 드림과 새로운 동맹을 맺어 대회를 공동 개최하고 선수 교류에 참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2012년 1월 17일, ProElite는 드림과 협력하여 대회를 공동 개최하고 선수 교류를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
2. 4. 운영 중단 (2012)
2012년 5월 16일, 타니카와 사다하루는 FEG의 파산을 공식 선언했다.[8] 모회사인 리얼 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가 프로모션을 관리하기 시작했으며, 2012년 6월 3일 기준으로 드림은 사실상 사업을 중단했다.[9]2012년 12월 31일, 글로리 스포츠 인터내셔널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프로모션의 마지막 쇼인 "Dream.18: 스페셜 NYE 2012"가 개최되었다. 이 이벤트는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에서 격투기 및 킥복싱 경기를 주최하여 매년 연말연시에 열리는 격투기 이벤트의 전통을 이어갔다.[10]
3. 규칙
드림의 경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경기 시간: 3분 5라운드
- 판정: 3명의 심판 판정, 무승부 없이 승자 결정. 라운드별 10점 만점제 미적용.
- 복장: 오픈 핑거 글러브, 마우스 가드, 보호컵 필수 착용. 테이프, 기 상/하의, 레슬링 슈즈, 무릎/팔꿈치/발목 보호대 선택 착용 (경기 전 심판 검사).
- 금지 기술:
- 쓰러진 상대 머리 밟기/축구식 발차기 금지 (두 선수 모두 바닥에 있을 시 예외).
- 머리 팔꿈치 공격 금지.
- 15kg 이상 체중 차이 시, 쓰러진 상대 머리 무릎 공격 금지.
- 쓰러진 상대: 세 지점 자세(예: 두 무릎과 한 손을 바닥) 시 머리 발차기 금지.
- 머리 뒤쪽 공격 금지.
- 토너먼트 대체 선수: 무효 경기/부상 발생 시, 경기 속행 가능 선수 진출. 둘 다 불가능 시 프로모터가 대체 선수 선택.
3. 1. 체급
드림은 7개의 체급을 운영했다. 히어로즈와는 달리, 각 체급마다 방어 가능한 챔피언 타이틀이 있었다.[2]- 밴텀급 – 61kg
- 페더급 – 65kg
- 라이트급 – 70kg
- 웰터급 – 76kg
- 미들급 – 84kg
- 라이트헤비급 – 93kg
- 헤비급 – 제한 없음
3. 2. 경기 시간
3분 5라운드로 진행되었다.3. 3. 판정
경기는 3명의 심판 전원이 판단하며, 라운드별 10점 만점제(북미 프로모션에서 더 흔하게 사용)를 적용하지 않았다. 무승부는 허용되지 않았고, 항상 승자가 결정되었다.3. 4. 복장
선수들은 오픈 핑거 글러브, 마우스 가드, 보호컵 착용이 필수였다. 선수들은 테이프를 신체 부위에 사용하거나, 기 상의, 기 바지, 레슬링 슈즈, 무릎 보호대, 팔꿈치 보호대, 발목 보호대를 자유롭게 착용할 수 있었지만, 각 의상은 경기 전에 심판의 검사를 받아야 했다.3. 5. 금지 기술
쓰러진 상대의 머리를 밟거나 축구식 발차기는 금지되었지만(두 선수 모두 바닥에 있는 경우는 예외), 신체의 다른 부위는 허용되었다. 머리에 팔꿈치 공격은 금지되었다. 두 선수 간의 체중 차이가 15kg 이상일 경우, 쓰러진 상대의 머리에 무릎 공격은 허용되지 않았다. 쓰러진 상대는 세 지점 자세를 취한 선수로 정의되었다. 예를 들어, 한 선수가 바닥을 향하여 두 무릎과 한 손을 바닥에 대고 있을 경우, 머리에 발차기는 허용되지 않았다. 머리 뒤쪽 공격은 허용되지 않았다.3. 6. 토너먼트 대체 선수
무효 시합이나 부상 발생 시, 경기를 속행할 수 있는 선수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만약 두 선수 모두 경기를 속행할 수 없다면, 프로모터는 대체 선수를 선택하여 진출시킨다.4. 역대 챔피언
체급 | 상한 체중 | 챔피언 | 획득일 | 방어 횟수 |
---|---|---|---|---|
헤비급 | 제한 없음 | Alistair Overeem|알리스타 오브레임영어 | 2010년 12월 31일 (다이너마이트!! 2010) | |
라이트헤비급 | 93kg | Gegard Mousasi|게가드 무사시영어 | 2010년 9월 25일 (드림 16) | 1 |
미들급 | 84kg | Gegard Mousasi|게가드 무사시영어 | 2008년 9월 23일 (드림 6) | |
웰터급 | 76kg | Marius Žaromskis|마리우스 자롬스키스영어 | 2009년 7월 20일 (드림 10) | 1 |
라이트급 | 70kg | 青木 真也|아오키 신야일본어 | 2009년 10월 6일 (드림 11) | 2 |
페더급 | 65kg | 高谷 裕之|타카야 히로유키일본어 | 2010년 12월 31일 (다이너마이트!! 2010) | 2 |
밴텀급 | 61kg | Bibiano Fernandes|비비아노 페르난데스영어 | 2011년 12월 31일 (파이트 포 재팬: 겡키 데스 카 오미소코 2011) | 0 |
'''토너먼트 챔피언'''
연도/체급 | 챔피언 |
---|---|
2008년 라이트급 | Joachim Hansen|요아킴 한센no |
2008년 미들급 | Gegard Mousasi|게가르 무사시영어 |
2009년 웰터급 | Marius Žaromskis|마리우스 자롬스키스영어 |
2009년 페더급 | Bibiano Fernandes|비비아누 페르난데스영어 |
2009년 슈퍼헐크 | 美濃輪 育久|미노와 이쿠히사일본어 |
2010년 라이트 헤비급 | Gegard Mousasi|게가르 무사시영어 |
2011년 일본 밴텀급 | 所 英男|히데오 토코로일본어 |
2011년 밴텀급 | Bibiano Fernandes|비비아누 페르난데스영어 |
5. 토너먼트 결과
연도 | 체급 | 우승자 | 준우승자 |
---|---|---|---|
2008 | 라이트급 | 요아킴 한센 | 아오키 신야 |
2008 | 미들급 | 게가드 무사시 | 호나우두 자카레 |
2009 | 웰터급 | 마리우스 자롬스키스 | 제이슨 하이 |
2009 | 페더급 | 비비아누 페르난데스 | 타카야 히로유키 |
2009 | 슈퍼헐크 (무제한급) | 미노와 이쿠히사 | 라모 티에리 소쿠주 |
2010 | 라이트 헤비급 | 게가드 무사시 | 미즈노 타츠야 |
2011 | JP 밴텀급 | 도코로 히데오 | 이마나리 마사카즈 |
2011 | 밴텀급 | 비비아누 페르난데스 | 안토니오 바누엘로스 |
6. 주요 선수
DREAM영어에서 활동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국적 | 선수 이름 |
---|---|
안토니오 바뉴엘로스 | |
마에다 요시로 | |
도코로 히데오 | |
오사와 겐지 | |
이마나리 마사카즈 | |
후지와라 케이스케 | |
야마모토 아츠시 | |
비비아누 페르난데스 (드림 밴텀급 챔피언) | |
로돌포 마르케스 | |
요아킴 한센 | |
가와지리 다쓰야 | |
다카야 히로유키 (드림 페더급 챔피언) | |
하타 다이키 | |
이시다 미쓰히로 | |
니시우라 아키요 | |
이노우에 다케시 | |
와타나베 가즈히사 | |
미야타 가즈유키 | |
우노 카오루 | |
리치 클레멘티 | |
셰인 넬슨 | |
드류 피켓 | |
롭 맥컬러 | |
안드레 아마데 | |
윌라미 프레이레 | |
제시아스 칼방칸테 | |
비토르 히베이루 | |
마르쿠스 아우렐리오 | |
아오키 신야 (드림 라이트급 챔피언) | |
나카무라 다이스케 | |
보쿠 코테츠 | |
가와지리 다쓰야 | |
키쿠노 카츠노리 | |
나가타 카츠히코 | |
기타오카 사토루 | |
마리우스 자롬스키스 (Dream 웰터급 챔피언) | |
제이슨 하이 | |
타렉 사피딘 | |
앤드류스 나카하라 | |
정부경 | |
앤디 올로건 | |
얀 카브랄 | |
사쿠라바 카즈시 | |
히로나카 쿠니요시 | |
초난 료 | |
사쿠라이 하야토 | |
시라이 유야 | |
카를 아모우수 | |
젤그 갈레시치 | |
제럴드 해리스 | |
윤동식 | |
오야마 슌고 | |
킨 타이에이 | |
타무라 키요시 | |
나카무라 카즈히로 | |
게가드 무사시 (드림 라이트헤비급 챔피언) | |
멜빈 만호프 | |
라렉 그레이시 | |
라모 소쿠두주 | |
미즈노 타츠야 | |
이즈미 히로시 | |
트레버 프랭글리 | |
마크 헌트 | |
제롬 르 바너 | |
표도르 예멜리야넨코 | |
밥 샙 | |
토드 더피 | |
제프 몬슨 | |
시아라-무 "마이티 모" 실리가 | |
제임스 톰슨 | |
최홍만 | |
시바타 가쓰요리 | |
이시이 사토시 | |
미노와 이쿠히사 | |
알리스타 오브레임 | |
미르코 크로캅 |
7. 대회 목록
번호 | 대회명 | 날짜 | 경기장 | 개최지 | 관람객 | 방송 채널 |
---|---|---|---|---|---|---|
24 | Dream 18[13] | 2012년 12월 31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10,651 | 스카이퍼펙트 |
23 | Fight For Japan: Genki Desu Ka Omisoka 2011 | 2011년 12월 31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24,606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22 | Dream 17 | 2011년 9월 24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9,270 | HDNet |
21 | Dream: Japan GP Final | 2011년 7월 16일 | 아리아케 콜로세움 | 도쿄 | 8,142 | HDNet |
20 | Dream: Fight for Japan! | 2011년 5월 29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6,522 | HDNet |
19 | Dynamite!! 2010 | 2010년 12월 31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26,729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18 | Dream 16 | 2010년 9월 25일 | 일본 가이시 홀 | 나고야 | 9,304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17 | Dream 15 | 2010년 7월 10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13,028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16 | Dream 14 | 2010년 5월 29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12,712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15 | Dream 13 | 2010년 3월 22일 | 요코하마 아레나 | 요코하마 | 13,712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14 | Fields Dynamite!! The Power of Courage 2009 | 2009년 12월 31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45,606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13 | Dream 12: Cage of Dreams | 2009년 10월 25일 | 오사카성 홀 | 오사카 | 10,112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12 | Dream 11: Featherweight Grand Prix 2009 Final Round | 2009년 10월 6일 | 요코하마 아레나 | 요코하마 | 14,039[14]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11 | Dream 10: Welterweight Grand Prix 2009 Final Round | 2009년 7월 20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11,970[15]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10 | Dream 9: Featherweight Grand Prix 2009 Second Round | 2009년 5월 26일 | 요코하마 아레나 | 요코하마 | 15,009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9 | Dream 8: Welterweight Grand Prix 2009 First Round | 2009년 4월 5일 | 일본 가이시 홀 | 나고야 | 9,129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8 | Dream 7: Featherweight Grand Prix 2009 First Round | 2009년 3월 8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19,528[16]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7 | Fields Dynamite!! 2008 | 2008년 12월 31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25,634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6 | Dream 6: Middleweight Grand Prix 2008 Final Round | 2008년 9월 23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20,929 | 스카이퍼펙트; HDNet |
5 | Dream 5: Lightweight Grand Prix 2008 Final Round | 2008년 7월 21일 | 오사카성 홀 | 오사카 | 11,986 | 스카이퍼펙트; HDNet |
4 | Dream 4: Middleweight Grand Prix 2008 Second Round | 2008년 6월 15일 | 요코하마 아레나 | 요코하마 | 14,037 | 스카이퍼펙트; HDNet |
3 | Dream 3: Lightweight Grand Prix 2008 Second Round | 2008년 5월 11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21,789 | 스카이퍼펙트; HDNet |
2 | Dream 2: Middleweight Grand Prix 2008 First Round | 2008년 4월 29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21,397 | 스카이퍼펙트; HDNet |
1 | Dream 1: Lightweight Grand Prix 2008 First Round | 2008년 3월 15일 |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사이타마 | 19,120 | 도쿄 방송 시스템; HDNet |
8. 개최지
총 개최 횟수는 24회이다.
DREAM 이벤트는 모두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개최 도시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K-1's new Dream includes Cro Cop
http://mmaweekly.com[...]
Mma Weekly
2009-02-25
[2]
웹사이트
'Dream' Come True?
http://www.sherdog.c[...]
Sherdog.com
2009-02-25
[3]
웹사이트
Mark Cuban's HDNET to air Japan's Dream
http://mmaweekly.com[...]
Mma Weekly
2009-02-25
[4]
웹사이트
PRO ELITE & Dream ANNOUNCE PARTNERSHIP
http://www.mmaweekly[...]
MMAWeekly
2008-06-11
[5]
웹사이트
Strikeforce and Dream Formalizing "Alliance"
http://www.mmaweekly[...]
MMAWeekly
2009-08-05
[6]
웹사이트
Dream, One FC Announce Deal to Co-Promote Events, Exchange Talent
http://www.mmafighti[...]
mmafighting.com
2011-11-28
[7]
웹사이트
ProElite to Partner With Dream
http://www.mmafighti[...]
mmafighting.com
2012-01-17
[8]
Webarchive
FEG's bankruptcy
http://www.muaythait[...]
2012-05-17
[9]
웹사이트
The Dream is Gone; Japanese MMA Promotion Runs Out of Viable Options
http://www.mmaweekly[...]
mmaweekly.com
2012-06-03
[10]
웹사이트
GSI fight card set for Dec. 31 in Japan
https://www.espn.com[...]
ESPN.com
2012-10-25
[11]
웹사이트
‘Dream: Fight For Japan’ Bantamweight Tournament Bracket Set
http://www.sherdog.c[...]
Sherdog.com
2011-04-20
[12]
웹사이트
新格闘技イベント「Dream」誕生!ミルコの参戦も決定3.15さいたまで旗揚げ、総勢23選手が会見に出席
http://sportsnavi.ya[...]
Sportsnavi.yahoo.co.jp
2009-02-25
[13]
웹사이트
"'GLORY teams up with Dream to stage 'Dream 18 - Special NYE 2012'"
http://www.gloryworl[...]
GLORYWorldSeries.com
2012-10-24
[14]
웹사이트
Aoki Subs Hansen; Fernandes Wins Dream GP
http://www.sherdog.c[...]
[15]
뉴스
Dream Run: Zaromskis Wins Grand Prix
http://sherdog.com/n[...]
[16]
웹사이트
HELLO JAPAN! SHINYA AOKI WINS AT Dream 7
http://www.mmaweekly[...]
MMAWeekly.com
2009-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