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미트리 밀류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미트리 밀류틴은 1816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니콜라예프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군인의 길을 걸었다. 그는 캅카스 전쟁에 참전하여 부상을 입고 교수로 활동하며 군사학 연구에 몰두, 전술론을 집필하고 데미도프 상을 수상했다. 1855년 코카서스 군 참모총장으로 복귀하여 샤밀을 체포하며 코카서스 전쟁을 종식시켰다. 밀류틴은 크림 전쟁 패배 원인을 분석하고 군제 개혁을 주장했으며, 1861년부터 1881년까지 국방부 장관으로 재임하며 징병제 도입, 군관구 설치 등 대대적인 군 개혁을 추진했다. 그의 개혁은 러시아-튀르크 전쟁 승리에 기여했으며, 이후 외교 정책을 주도했으나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이후 관직에서 사임했다. 1898년 원수로 진급했으며, 191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백작 - 표트르 슈발로프
표트르 안드레예비치 슈발로프는 19세기 러시아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알렉산드르 2세의 측근으로 주요 요직을 거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베를린 조약 체결 후 비판을 받고 은퇴했다. - 러시아의 백작 -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백작
니콜라이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백작은 러시아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동시베리아 총독으로서 아무르 강 유역의 영토 확장에 기여하고,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을 통해 러시아의 극동 지역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러시아의 육군 원수 - 미하일 보론초프 (군인)
미하일 보론초프는 나폴레옹 전쟁과 캅카스 전쟁에 참전하고 러시아 육군 원수를 역임했으며 1856년 오데사에서 사망했다. - 러시아의 육군 원수 - 니콜라 1세
니콜라 1세는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이끌고 국왕이 되었으며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으나,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에 합병된 후 망명 생활을 하다 '유럽의 장인'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 개혁가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개혁가 - 가이우스 그라쿠스
가이우스 그라쿠스는 로마 공화정 개혁을 추진한 인물로, 형의 개혁을 이어받아 농지 개혁, 곡물법, 병역법 등 다양한 개혁 법안을 추진했으나 원로원의 반발로 인해 자살했다.
드미트리 밀류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드미트리 알렉세예비치 밀류틴 |
개인 정보 | |
출생 | 1816년 6월 28일,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현 모스크바 |
사망 | 1912년 1월 25일, 러시아 제국 타브리다현 시메이스 |
묻힌 곳 | 노보데비치 수도원, 모스크바, 러시아 |
경력 | |
소속 | 러시아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836년-1881년 |
최종 계급 | 육군 원수 |
참전 | 캅카스 전쟁 크림 전쟁 러시아-튀르크 전쟁 |
정치 경력 | |
군주 | 알렉산드르 2세 알렉산드르 3세 |
직책 | 전쟁부 장관 |
임기 시작 | 1861년 5월 16일 |
임기 종료 | 1881년 5월 21일 |
이전 | 니콜라이 수호자네트 |
이후 | 표트르 반놉스키 |
칭호 | |
작위 | 백작 |
2. 경력 초반
1816년 6월 28일 모스크바에서 태어난 드미트리 밀류틴은 1833년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의 동생 니콜라이 밀류틴은 민간 행정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관료였고, 1861년 알렉산드르 2세가 공표한 농노해방령을 입안했다. 밀류틴은 동생과는 달리 장교가 되기를 원했고, 183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니콜라이 군사 참모 아카데미를 졸업했다. 1839년 캅카스 전쟁에 참전한 러시아 제국군에 자원 입대했으나, 1845년 큰 부상을 입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와 군사 아카데미 교수로 강의를 했다.[1]
그의 군사 개혁 아이디어는 1861년 알렉산드르 2세에 의해 승인되어 육군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밀류틴은 이맘 샤밀의 포획에 참여하여 캅카스 전쟁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다.[1]
2. 1. 출생과 가문
1816년 6월 28일 모스크바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동생 니콜라이 밀류틴은 민간 행정 관료였으며, 1861년 알렉산드르 2세가 공표한 농노해방령 입안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 2. 교육 및 초기 군 경력
1816년 6월 28일 모스크바에서 태어난 드미트리 밀류틴은 1833년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의 동생 니콜라이 밀류틴은 민간 행정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관료였고, 1861년 알렉산드르 2세가 공표한 농노해방령을 입안했다. 밀류틴은 동생과는 달리 장교가 되기를 원했고, 183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니콜라이 군사 참모 아카데미를 졸업했다. 1839년 캅카스 전쟁에 참전한 러시아 제국군에 자원 입대했으나, 1845년 큰 부상을 입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왔다.[1]2. 3. 군사학자로서의 활동
밀류틴은 니콜라이 군사 참모 아카데미 교수로서 강의를 진행했고 뛰어난 군사학자로서 상당한 명성을 얻었다.[1] 그는 군사 통계의 과학적 가치를 강조했으며, 이 분야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인 연구를 저술하여 1847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데미도프 상을 받았다.[1][3] 알렉산드르 수보로프를 군 사령관의 모범으로, 1799년 이탈리아 원정을 그의 경력의 정점으로 여겼으며,[1][2] 1852년과 1853년에 5권으로 출판된 원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에서 이러한 견해를 상세히 설명했다.[1][2]밀류틴은 자신의 지식을 이용하여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의 패배 원인을 분석하고 군사 개혁을 위한 몇 가지 급진적인 제안을 제시했다.[1][2]
3. 전쟁부 장관 (1861년 ~ 1881년)
1861년부터 1881년까지 러시아 제국의 전쟁부 장관을 역임하며 징병제 도입, 군관구 설치 등 군사 개혁을 추진했다.[1]
밀류틴의 군제 개혁은 표트르 1세 이후 러시아 군의 근대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캅카스 전쟁 종식에 기여했으며, 러시아-튀르크 전쟁 승리를 이끌었다.
3. 1. 군제 개혁
밀류틴은 1861년 5월 16일부터 1881년 5월 21일까지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밀류틴의 오랜 재임 기간 동안 시행된 군사 개혁은 러시아 제국에 징병제를 도입하고 전국에 군관구를 설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1]21세 이상 모든 러시아 제국 남성은 귀족을 포함하여 6년간 의무적으로 군 복무를 해야 했다. 군사 교육 제도도 개혁되어 모든 징집 대상자에게 기초 군사 교육이 제공되었다.[1]
1874년 드미트리 밀류틴의 개혁에 따라 러시아 제국 육군은 일정한 막사가 없었고 대피호와 판잣집에서 숙영했다. 1867년 군사 법무 아카데미를 개교하여 군법 제도를 정비하고, 병사에 대한 신체형을 폐지했다.[1]
밀류틴의 개혁은 표트르 1세가 전문 군대를 폐지한 이후 아나톨리 세르듀코프 러시아 연방 국방부 장관이 2020년에 군사 개혁을 선언할 때까지 러시아 군대 창설의 기반으로 여겨지며, 러시아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1]
3. 2. 캅카스 전쟁 종식 기여
밀류틴은 1839년 캅카스 전쟁에 참전했고, 1859년 북코카서스의 이슬람 지도자였던 샤밀을 체포 및 구속하여 캅카스 전쟁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다.[1] 1861년부터 1865년까지 체르케스인 추방 정책을 주도하면서 "체르케스인을 제거하는 것이 적대적인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자체적인 목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 이는 체르케스인 집단 학살의 일부로, 많은 체르케스인들이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3. 3.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 ~ 1878년) 승리
밀류틴의 군사 개혁은 1877년부터 1878년까지 일어난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그 성공이 입증되었다. 특히 불가리아 플레벤 공방전에서 러시아군이 세 번이나 연속으로 점령에 실패하고 많은 전문가들이 후퇴를 권고했을 때, 밀류틴의 뛰어난 지도력이 발휘되었다. 밀류틴은 후퇴 대신 포위를 더욱 체계적으로 지속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는 결국 전쟁을 러시아 제국의 승리로 이끌었다.[1]전쟁이 끝날 무렵, 밀류틴은 공성전 과정에서 드러난 식량 공급 문제점 등을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러한 공로로 밀류틴은 백작 작위를 받았으며, 성 안드레 훈장을 비롯한 모든 러시아 제국의 훈장을 받았다.[1]
4. 전쟁부 장관 이후의 삶
베를린 회의 이후, 밀류틴은 병든 알렉산드르 고르차코프를 대신해 러시아 제국의 외교 정책 수장이 되었다.[1] 그러나 1881년 알렉산드르 2세 암살로 그의 입지는 위태로워졌고, 콘스탄틴 포베도노스체프가 이전 통치의 자유주의적 혁신을 되돌리려는 강력한 정책 입안자로 부상하면서 밀류틴은 관직에서 사임했다.[1]
1898년, 알렉산드르 2세 탄신 80주년을 기념하여 원수로 진급했는데, 이는 수년 만에 이 영예를 받은 첫 번째 인물이자 러시아 제국 역사상 마지막 인물이었다. 그는 1912년 크림반도 얄타 인근 시메이즈에서 사망했다.
4. 1. 외교 정책 주도
베를린 회의 이후, 밀류틴은 건강이 악화된 알렉산드르 고르차코프를 대신하여 러시아 제국의 외교 정책을 주도했다.[1] 그러나 1881년 알렉산드르 2세가 암살되면서, 그의 입지는 위태로워졌다.[1] 콘스탄틴 포베도노스체프가 강력한 정책 입안자로 부상하면서, 이전 통치의 자유주의적 혁신을 되돌리려 했기 때문에 밀류틴은 관직에서 사임해야 했다.[1]4. 2.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이후
1881년 알렉산드르 2세가 암살되면서 그의 입지는 위태로워졌다. 알렉산드르 3세의 스승이자 보수주의자인 콘스탄틴 포베도노스체프가 강력한 정책 입안자로 부상하면서, 이전 통치의 자유주의적 혁신에 반대하던 밀류틴은 결국 사임했다.[4]4. 3. 말년
베를린 회의 이후 밀류틴은 병든 알렉산드르 고르차코프를 이어 러시아 제국의 외교 정책 수장이 되었다. 그러나 1881년 알렉산드르 2세 암살로 그의 입지는 위태로워졌고, 콘스탄틴 포베도노스체프가 이전 통치의 자유주의적 혁신을 되돌리려는 강력한 정책 입안자로 부상하면서 밀류틴은 관직에서 사임했다. 1898년 알렉산드르 2세 탄신 80주년을 기념하여 육군 원수로 진급했는데, 이는 수년 만에 이 영예를 받은 첫 번째 인물이자 러시아 제국 역사상 마지막 인물이었다. 그는 1912년 크림반도 얄타 인근 시메이스에서 사망했다.5. 훈장
드미트리 밀류틴은 러시아 제국과 여러 외국에서 훈장을 받았다.
5. 1. 러시아 제국 훈장
훈장 |
---|
스뱌토고안나 훈장 1급, 2급 |
백수리 훈장 |
스뱌토고스타니스와프 훈장 1급, 3급 |
성 블라디미르 훈장 1급 |
스뱌토고 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 |
스뱌토고 안드레이 훈장 |
스뱌토고게오르기 훈장 2등 |
5. 2. 외국 훈장
국가 | 훈장 |
---|---|
루마니아 왕국 | 루마니아의 별 훈장 |
프로이센 왕국 | 적수리 훈장 1급[3] |
푸르 르 메리트 군사훈장[3] | |
흑수리 훈장[3] | |
오스트리아 제국 | 레오폴트 훈장[4] |
철십자 훈장[4] | |
프랑스 제3공화국 | 레지옹 도뇌르 훈장[5] |
학술야자수 훈장 | |
스웨덴 | 세라핌 왕실 훈장[6] |
덴마크 | 코끼리 훈장[7] |
헝가리 왕국 | 성 이슈트반 훈장[4]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 | 벤트 왕관 훈장 |
세르비아 공국 | 타코보 십자 훈장[8] |
몬테네그로 공국 | 다닐로 1세 공작 훈장 |
페르시아 | 사자와 태양 훈장 |
참조
[1]
논문
Losy żołnierzy powstania listopadowego wcielonych do armii carskiej
Przegląd Historyczny
[2]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Rutgers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Gedruckt in der Reichsdruckerei
[4]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2021-01-14
[5]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6]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7]
웹사이트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10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20-09-02
[8]
서적
Slava i čast: Odlikovanja među Srbima, Srbi među odlikovanjima
Službeni Glasni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