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등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수는 삼국 시대 오나라와 서진 시대의 인물로, 오나라에서 벼슬하여 광주자사를 역임했다. 그는 곽마의 반란을 진압하려 했지만, 오나라가 멸망하자 진나라에 항복했다. 이후 진 무제에게 안남장군과 광주자사로 임명되었으며, 무당후에 봉해졌다. 그는 남방에서 여러 해 동안 선정을 베풀었고, 태강 9년(288년)에 사망했다.

2. 생애

등수는 오나라서진에서 벼슬한 인물이다. 오나라에서 벼슬을 시작하여 서악후(西鄂侯)에 봉해졌고, 손호 대에는 웅목의 뒤를 이어 광주자사가 되었다. 광주자사 시절 백성들에게 위엄과 은혜를 베풀어 존경을 받았으며, 긴 수염을 가진 새우에 대한 일화가 전해진다.[2]

중앙으로 소환되어 집금오(執金吾)가 되었고, 269년에는 육개가 죽기 직전 등수를 포함한 여러 신하들을 청렴하고 충실하며 탁월한 인재라고 칭찬하며 손호에게 국정을 맡길 것을 요청했다.[3][4]

279년 광주에서 곽마의 반란이 일어나자 진압을 위해 파견되었으나, 그 사이 서진이 오나라를 침공했다. 등수는 손호를 돕기 위해 군을 돌렸으나, 파구(巴丘)에서 손호가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슬퍼하며 여풍, 왕의와 함께 항복했다.

항복 후, 진 무제(사마염)는 등수를 안남장군·광주목 등에 임명하고 무당후(武當侯)로 봉하여 남방의 업무를 맡겼다. 등수는 남방에서 수년간 일하며 변방의 이민족들까지 귀복시켰다.

태강 9년(288년)에 사망하자, 무제는 그를 기려 성후(聲侯)라는 시호를 내렸고, 후에 아들의 상소로 충후(忠侯)로 고쳐졌다.

2. 1. 오나라 시기

오나라에서 벼슬하여 서악후(西鄂侯)에 봉해졌으며, 손호 대에 이르러 웅목을 대신해 광주자사가 되었다.[2]

이후 집금오(執金吾)로 임명되었으며, 광주(廣州)의 사병을 관리하던 곽마가 반란을 일으키자 손호는 등수를 사지절(使持節)·도독광주군사(都督廣州軍事)·진남장군(鎮南將軍)·광주목(廣州牧)으로 삼아 불복종자들을 진압하게 하였다. 하지만 반란을 진압하러 간 사이 서진(西晉)이 오나라를 침공했으며, 소식을 들은 등수는 손호를 돕기 위해 군을 물렸으나, 파구(巴丘)에 이르렀을 때 손호가 오나라에 항복하여 등수 또한 광주자사인 여풍, 창오태수인 왕의와 함께 울며 항복하였다.[3][4]

이후 안남장군(安南將軍)·광주목·가절(持節)·도독(都督)이 되었고, 무당후(武當侯)를 겸해 남방의 업무를 맡았다.

태강 9년(288년)에 세상을 떠났다.

2. 2. 곽마의 반란과 오나라 멸망

오나라에서 벼슬하여 서악후(西鄂侯)로 임명되었으며, 손호 대에는 웅목을 대신해 광주자사(廣州刺史)가 되었다.[2]

이후 중앙으로 소환되어 집금오(執金吾)가 되었다. 269년, 육개는 죽기 직전에 등수를 포함한 여러 신하들을 청렴하고 충실하며 탁월한 인재라고 칭찬하며, 이들에게 국정을 맡길 것을 손호에게 요청했다.[3][4]

279년, 광주에서 곽마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손호는 등수를 사지절(使持節)·도독광주제군사·진남장군·광주목에 임명하여 토벌하게 하였다. 그러나 곽마의 반란을 진압하러 간 사이 서진이 오나라를 침공했다. 등수는 손호를 돕기 위해 군을 돌렸으나, 파구(巴丘)에 이르렀을 때 손호가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슬퍼하며 물러났다. 이후 등수는 광주자사 여풍, 창오태수 왕의와 함께 항복하였다.

항복 후, 진 무제는 등수를 안남장군·광주목·가절·도독으로 임명하고 무당후(武當侯)로 봉하여 남방의 업무를 맡겼다. 등수는 남방에서 수년간 일하며 변방의 이민족들까지 귀복시켰다.

태강 9년(288년)에 등수가 사망하자, 무제는 그를 기려 성후(聲侯)라는 시호를 내렸고, 후에 아들의 상소로 충후(忠侯)로 고쳐졌다.

2. 3. 서진 시기

279년, 광주에서 곽마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손호는 등수를 사지절(使持節)·도독광주제군사·진남장군·광주목에 임명하여 토벌을 명했다. 그러나 곽마의 반란을 평정하지 못한 채 진(晉)나라가 쳐들어오자, 등수는 군사를 이끌고 응전하려 달려갔다. 하지만 파구에 이르러 손호가 이미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상복을 입고 눈물을 흘리며 물러났다. 광주 자사 여풍·창오 태수 왕의와 함께 인수를 반납했다.[2]

이후 조칙에 의해 안남장군에 임명되었고, 광주목·지절·도독의 직위는 그대로 유임되었다. 또한 무당후에 봉해진 뒤 고취를 받으며 남방의 일을 위임받았다. 등수가 남방에 있는 동안 변방의 이적(夷狄)들마저 귀복했다. 태강 9년(288년)에 사망했다.[3][4]

3. 가계

등수의 가계
아버지배우자자녀
등병등함등수
등둔등념지[5]
등선[6]


참조

[1] 서적 Jin Shu null
[2] 서적 삼국지 null
[3] 문서 姚信, 楼玄, 賀邵, 張悌, 郭逴, 薛瑩, 滕脩, 陸喜, 陸抗 null
[4] 서적 삼국지 null
[5] 서적 晋書 null
[5] 서적 資治通鑑 null
[5] 서적 宋書 null
[5] 서적 南史 null
[6] 서적 宋書 null
[6] 서적 南史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