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트릭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스트릭트 선은 런던 지하철의 노선 중 하나로, 1868년 개통되어 런던의 철도 종착역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64km 길이에 60개의 역을 운행하며, 4개의 지선(리치먼드, 일링, 윔블던, 켄싱턴(올림피아) 지선)을 가지고 있다. 1933년 런던 여객 운송 위원회에 통합되었으며, 이후 피카딜리 선과의 노선 통합 및 현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디스트릭트선 | |
---|---|
개요 | |
![]() | |
노선 종류 | 급행 철도 |
노선 시스템 | 런던 지하철 |
시작점 | 업민스터 |
종점 | 리치먼드, 일링 브로드웨이, 윔블던 |
역 수 | 60 |
승객 수 (2019년) | 2억 5119만 9천 명 |
개통일 | 1868년 12월 24일 |
노선 특징 | 얕은 심도 |
차량 기지 | 업민스터 일링 커먼 릴리 브리지 |
사용 차량 | S7 차량 |
노선 길이 | 64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력 공급 | 750V DC 및 피카딜리 선과 공유하는 구간에서는 630V DC |
최고 속도 | 62 mph (약 100 km/h) |
웹사이트 | tfl.gov.uk |
노선도 | 런던 교통공사 |
신호 시스템 | CBTC (배런스 코트/풀럼 브로드웨이 동쪽), Tripcock/Trainstop (배런스 코트/풀럼 브로드웨이 서쪽) |
운영 정보 | |
노선 색상 | 녹색 |
글자 색상 | 흰색 |
역 수 | 60 |
길이 | 64 km |
연간 승객 수 (2002년) | 1억 8800만 명 |
주요 역 | |
주요 역 |
2. 역사
디스트릭트 선은 1868년 12월 24일 사우스 켄싱턴에서 웨스트민스터 구간을 개통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노선은 메트로폴리탄 디스트릭트 철도(MDR)에 의해 건설되었다.
개통 이후 디스트릭트 선은 여러 차례 연장되었다. 주요 연장 내역은 다음과 같다.
- 1869년: 웨스트 브롭든 - 사우스 캔싱턴, 웨스트민스터 브릿지 - 블랙페어스
- 1871년: 블랙페어스 - 맨션 하우스, 하이 스트리트 캔싱턴 - 얼스 코트
- 1872년: 얼스 코트 - 웨스트 캔싱턴
- 1874년: 해머스미스
- 1877년: 리치몬드
- 1879년: 턴함 그린 - 일링 브로드웨이
- 1880년: 웨스트 브롭든 - 퍼트니 브릿지
- 1883년: 밀 힐 파크(현재 액튼 타운) - 하운슬로 (이후 피카딜리 선에 편입)
- 1884년: 화이트채플, 세인트 메리스 역 - 뉴 크로스 역 (이후 이스트 런던 선으로 변경)
- 1889년: 퍼트니 브리지 - 윔블던
- 1902년: 업민스터, 억스브릿지
이후 MDR은 미국인 찰스 야키스에게 인수되었고, 1930년대에 국유화되기 전까지 지하철 그룹의 일부를 구성했다.
디스트릭트 선은 한때 아크스브리지 역과 하운슬로 웨스트 역까지 지선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들은 모두 현재 피카딜리 선에 통합되었다. 또한, 1910년 6월 1일부터 1939년 9월 30일까지는 에식스의 해안 도시인 사우스엔드온시를 거쳐 :en:Shoeburyness까지 운행되었고, 1883년 3월 1일부터 1885년 9월 30일까지는 일링 브로드웨이 역에서 그레이트 웨스턴 본선으로 직통 운전하여 윈저까지 운행되기도 했다.
1933년 억스브릿지 지선, 1960년경 엑튼 타운 - 하운슬로 구간이 피카딜리 선에 인수되면서 현재의 디스트릭트 선 노선이 완성되었다.
2. 1. 디스트릭트 철도 (1868년 ~ 1933년)
메트로폴리탄 디스트릭트 철도(일반적으로 디스트릭트 철도로 알려짐)는 런던의 철도 종착역들을 연결하는 지하 '내부 순환선'의 일부를 건설하고 운영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868년 12월, 사우스 켄싱턴에서 웨스트민스터까지 첫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이 노선은 메트로폴리탄 철도가 증기 기관차가 끄는 나무 객차를 사용하여 운영했다.[6] 1871년 디스트릭트 철도가 자체 열차 운행을 시작했을 때, 철도는 웨스트 브롬프턴까지 연장되었고 맨션 하우스에 종착역이 있었다.[6]얼스 코트에서 웨스트 런던 철도로 연결되는 선로는 런던 & 노스 웨스턴 철도(L&NWR)가 행 노선을 위해 사용했으며,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는 패딩턴을 경유하여 무어게이트로 가는 노선을 위해 사용했다. 1883년 3월 1일부터 1885년 9월 30일까지, 디스트릭트 철도는 패딩턴을 경유하여 맨션 하우스와 윈저 사이를 운행했다. 이얼링 브로드웨이(현재 종착역) 이후의 역들은 웨스트 이얼링, 핸웰, 사우스홀, 헤이스 & 할링턴, 웨스트 드레이턴, 랭리, 슬라우, 윈저였다. 이 서비스는 경제성이 없어 중단되었다.[6]
해머스미스는 얼스 코트에서 도달할 수 있었으며, 런던 앤 사우스 웨스턴 철도(L&SWR)의 선로를 통해 리치몬드까지 서비스가 연장되었고, 지선은 이얼링 브로드웨이, 혼슬로 및 윔블던까지 뻗어 있었다. 1884년 10월 서클 선을 완성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디스트릭트는 화이트채플을 운행하기 시작했다.[6] 런던, 틸버리 & 사우스엔드 철도(LT&SR)로 연결선이 건설된 후, 1902년 업민스터까지 운행이 시작되었다.[6]

20세기 초, 디스트릭트 철도는 새로운 전기 지하철 노선과 트램으로부터 경쟁이 심화되었으며, 지하에서의 증기 기관차 사용은 인기가 없는 연기 자욱한 역과 객차를 초래했다. 나중에 언더그라운드 일렉트릭 레일웨이 오브 런던을 설립하게 되는 미국인 찰스 예키스는 철도의 전철화를 위한 자금을 지원했으며, 최초의 전기 서비스는 1903년 이얼링에서 사우스 해로우까지 운행되었다.[6] 1905년 다른 노선에 전기 동력 분산식 열차가 도입되었고, 이스트 햄이 동쪽 종착역이 되었다. 전기 기관차는 맨션 하우스에서 얼스 코트까지 L&NWR 노선에서 사용되었으며, 나중에는 바킹에서 사우스엔드에서 이얼링 브로드웨이까지 LT&SR 노선에서 증기 기관차로 교체되었다.[6]
혼슬로와 옥스브리지는 밀 힐 파크(현재 액턴 타운)에서 출발하는 2~3량의 셔틀 열차로 운행되었으며, 일부 열차는 피크 시간대에 사우스 액턴과 런던 시내를 운행하기도 했다. 1908년에는 바킹으로, 1932년에는 업민스터로 서비스가 다시 연장되었다. 1932년 피카딜리 선 열차는 해머스미스에서 사우스 해로우까지 연장되었고, 액턴 타운에서 사우스 해로우까지의 디스트릭트 철도 서비스를 인수했지만, 디스트릭트 철도는 사우스 해로우에서 옥스브리지까지 셔틀을 계속 운행했다. 1933년, 피카딜리 선 열차는 혼슬로 웨스트에 도달했고, 디스트릭트 철도는 사우스 액턴에서 혼슬로까지 비첨두 시간대 셔틀을 계속 운행했다.[6]
2. 2. 런던 여객 운송 위원회 (1933년 ~ 현재)
1933년 7월 1일, 디스트릭트 철도는 다른 지하철, 전차 회사, 버스 운영 회사와 합병하여 런던 여객 운송 위원회를 결성했다.[51][52][53][54][55] 1933년 10월 23일부터 피카딜리 선 열차가 옥스브리지까지 운행되면서 디스트릭트 선 셔틀 운행은 중단되었다.디스트릭트 선의 대부분의 객차는 목재 차체를 가진 1904–1905년형 B형 차량이었지만, 동력차는 15년 미만의 비교적 새 것이었다. 1935–1940년의 신규 공사 계획에 따라 이 동력차들을 개조하여 Q형 차량을 만들었으며, 전자 공압식 브레이크와 승무원이 제어하는 공압식 문을 장착하고, 객차는 새로운 차량으로 교체했다. 1935년 4월 29일, 하운슬로 지선의 피크 시간 외 디스트릭트 선 운행이 중단되었고, 사우스 액턴은 액턴 타운까지 셔틀 열차로 운행되었다.

런던, 미들랜드 앤 스코티시 철도(LMS)는 얼스 코트에서 L&NWR 철도의 운행을 인수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이 운행은 전기 얼스 코트 - 윌스덴 정션 셔틀로 축소되었다. 1940년 웨스트 런던 선 폭격 이후, LMS와 메트로폴리탄 선의 웨스트 런던 선 운행이 모두 중단되었다. 이로 인해 올림피아 전시장은 철도 운행이 끊겼고, 전쟁 후 켄싱턴 애디슨 로드 역은 켄싱턴 (올림피아)로 개명되었으며 얼스 코트에서 출발하는 디스트릭트 선 셔틀 열차로 운행되었다.
1938년에 제작된 새로운 차량과 Q형 차량 객차로 구성된 R형 차량은 수동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된 기존 열차를 대체했다. 이 새로운 열차는 1949년에서 1959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1952년 이후에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다. 한 열차는 실험 삼아 페인트칠을 하지 않았는데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1963년과 1968년 사이에 열차는 페인트칠을 하지 않거나, 흰색 또는 회색으로 페인트칠되었다. 1960년대 초에 CO/CP형 차량을 메트로폴리탄 선에서 이전하면서 일부 Q형 차량이 폐기되었다. 업민스터까지 가는 이전 LT&SR 선의 완행선은 1961년까지 증기 기관차 견인 화물 및 여객 열차와 공유되었으며, 디스트릭트 선이 직류 전철화 선로를 독점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사우스 액턴 셔틀은 1959년 2월 28일에 중단되었고, 피크 시간 디스트릭트 선 하운슬로행 직통 운행은 1964년 10월 9일에 중단되었다. 알드게이트 이스트 역에서도 해머스미스 & 시티 선 열차가 운행했기 때문에, 디스트릭트 선 전체가 알드게이트 이스트를 통과할 수 없었고, 일부 열차는 맨션 하우스의 베이 플랫폼에서 종착하여 타워 힐 동쪽 노선이 과밀해졌다. 타워 힐 역 또한 비좁아져, 새로운 부지에 3개의 플랫폼을 갖춘 역으로 재건축되었다. 이 역은 1967년에 개통되었고, 1년 후 새로운 역에서 열차가 회차했다.
1971년까지 피크 시간 외에는 6량, 피크 시간에는 8량으로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1971년에는 열차가 고정 7량 열차로 개편되었고, 에지웨어 로드 지선에는 일부 6량 열차가 운행되었다. 1970년대 후반에 CO/CP형 및 R형 차량은 페인트칠하지 않은 알루미늄 차체를 가진 새로운 열차로 교체되었다.[6] 에지웨어 로드 지선의 플랫폼 길이가 짧아 더 짧은 열차가 필요했기에, 당시 서클 선과 해머스미스 & 시티 선에서 이미 사용 중이던 C형 차량 유닛이 더 많이 제작되었다. 나머지 디스트릭트 선은 더 긴 열차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1979년에서 1983년 사이에 새로운 D형 차량 열차가 도입되었다.[6] 1972년에는 열차의 운전사 단독 운전이 제안되었지만, 노동 조합과의 갈등으로 인해 1985년까지 디스트릭트 선에 도입되지 못했다.[7]
2003년, 디스트릭트 선의 인프라는 공공-민간 파트너십 형태로 부분적으로 민영화되었으며, 메트로넷 컨소시엄이 관리했다. 메트로넷은 2007년에 행정에 들어갔고, 지방 정부 기관인 런던 교통공사가 책임을 인수했다.[8]
현재 운행중인 7량 S형 열차는 2013년부터 노선에 투입되기 시작하여,[21] 올림피아와 웨스트햄 사이를 운행하는 열차부터 시작하여 C 및 D 스톡을 점진적으로 대체했다.[22] 메트로폴리탄 선에서 현재 사용되는 8량 변형과 마찬가지로, 이 열차는 모비아 제품군에 속하며, 지하 터널(심층 튜브 노선과 달리)이 배출된 뜨거운 공기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을 갖추고 있다.[23]
최고 속도가 62mph인[23] 7량 S 스톡 열차는 6량 C 스톡 열차의 739명, 6량 D 스톡 열차의 827명에 비해 865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24][25][28] S 스톡 열차는 길이가 117m로 93m 길이의 C 스톡 열차보다 24m 더 길어져, 역 플랫폼의 길이가 늘어났다.[26] 이 열차는 회생 제동 장치를 갖춰 에너지의 약 20%를 전력망에 반환할 수 있다.[27] 견인 전압은 성능 향상을 위해 2017년에 공칭 630V에서 750V로 증가되었으며, 회생 제동을 통해 열차가 전력망에 더 많은 에너지를 반환할 수 있게 되었다.[28] 630V 구간은 여전히 바론스 코트-이링 브로드웨이에 남아있다. 이 서비스는 2017년 4월까지 D78형 차량으로 운행되었다.
S형 열차는 이얼링 커먼 차량기지와 업민스터 차량기지에서 정비된다. 이얼링 커먼 차량기지는 1900년대 초 디스트릭트 철도가 전철화되면서 건설되었다. 업민스터 차량기지는 디스트릭트 노선 선로가 분리된 1956년부터 1958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또한 열차는 해머스미스 & 시티 선 열차 옆에 있는 바킹 동쪽의 측선에 주차될 수 있다.
새로운 신호 시스템은 2016년 말부터 지하 노선에 처음 사용될 예정이었지만,[29] 신호 계약업체인 봄바디어는 조달 과정에 대한 심한 비판 속에 2013년 12월 합의에 의해 계약에서 해지되었고,[30] 런던 지하철은 이후 2015년 8월 이 프로젝트의 계약을 탈레스에 수여했다.[31]
S7 스톡(Stock)의 도입과 함께, 선로, 전기 공급, 신호 시스템이 2023년 말까지 이 노선의 피크 시간대 수송 능력을 27% 향상시키도록 계획된 프로그램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29][32][33] 2018년 5월 6일 해머스미스에 지하철 단일 제어실이 개설되었으며, 탈레스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반 열차 제어(CBTC)는 1940년대부터 사용된 '고정 블록' 신호 장비를 점진적으로 대체할 것이다.[29][34]
CBTC의 배포는 각각 신호 마이그레이션 구역(SMA)으로 나뉘어졌으며, 노선에 다음과 같이 위치해 있다:[35]
SMA | from | to | status | date |
---|---|---|---|---|
2 | 패딩턴 | 엣지웨어 로드 | 시운전 완료 | 2019년 9월 |
3 | 모뉴먼트 | 스텝니 그린 | 완료 | 2020년 7월 |
4 | 모뉴먼트 | 슬론 스퀘어 | 완료 | 2020년 8월 |
5 | 슬론 스퀘어 | 완료 | 2022년 3월 | |
6 | 스텝니 그린 | 빈트리 | 완료 | 2023년 1월 |
7 | 빈트리 | 업민스터 | 완료 | 2023년 3월 |
10 | 배런스 코트 | 계획 | 미정 | |
11 | 스탬퍼드 브룩 | 리치먼드 | 연기됨 | 추후 공지 |
12 | 풀럼 브로드웨이 | 이스트 푸트니 | 계획 | 미정 |
디스트릭트 선은 총 길이 약 64.37km에 60개 역을 운영한다.[46][47] 이 노선은 4궤조 직류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데, 중심 급전 궤도는 –210 V, 주행 궤도 바깥쪽 급전 궤도는 +420 V로, 630 V의 전위차를 가진다.[48] 다만, 이스트 퍼트니~윔블던 구간과 거너즈버리~리치먼드 구간은 주행 궤도에 중심 궤도가 결합되어 있다.[49]
3. 노선
얼스 코트 역 서쪽에는 4개의 지선이 있다. 센트럴 선 북쪽과 패딩턴 밖 그레이트 웨스턴 본선에는 디스트릭트 선 승강장이 있다. 약 약 3.22km 후, 행거 레인 교차점에서 피카딜리 선 억스브리지 지선을 만나고, 일링 커먼 역에서 피카딜리 선 히스로 지선과 합류하는 액튼 타운 역까지 선로를 공유한다. 액튼 타운~배런즈 코트 구간은 4선로로, 디스트릭트 선은 바깥쪽, 피카딜리 선은 안쪽 선로를 사용한다.[50]
리치먼드 역에서 런던 오버그라운드 및 디스트릭트 선 승강장은 워털루-리딩 선 승강장 북쪽에 있다. 큐 철교를 통해 템스 강을 건너는 두 선로는 커너스버리 교차점까지 런던 오버그라운드 열차와 공유되며, 이후 터넘 그린 역 앞에서 4선로의 디스트릭트 및 피카딜리 선과 합류한다.[50]
본선에는 액튼 타운, 해머스미스, 배런즈 코트 역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며, 이후 피카딜리 선은 터널로, 디스트릭트 선은 웨스트 켄징턴 역을 통과하는 복선이 된다. 얼스 코트 역 진입 전, 짧은 켄싱턴(올림피아) 지선이 평면 교차점에서 분기하고 윔블던 지선은 입체 교차점에서 합류한다.[50] 윔블던 지선의 윔블던 역은 사우스웨스턴 본선 승강장 서쪽에 있으며, 복선 선로는 풀햄 철교에서 템스 강을 건너기 전 하운슬로 루프 선이 있는 이스트 퍼트니 역에서 분기한다. 퍼트니 브리지 역에는 베이 플랫폼이 있으며, 이 노선은 웨스트 런던 철도를 통과하고 웨스트 브롬프턴 역에서 본선 및 4개 플랫폼 얼스 코트 역과의 교차점 앞에서 이어진다.[50]
얼스 코트 동쪽에는 본선에서 에지웨어 로드 지선으로 가는 입체 교차점이 있다. 하이 스트리트 켄싱턴 역 이후 서클 선을 따라가며, 디스트릭트 선을 위한 두 개의 베이 플랫폼이 있다. 패딩턴 역 후, 이 지선은 프레드 스트리트 교차점에서 해머스미스 & 시티 선에 합류하여 4개 승강장이 있는 에지웨어 로드 역에서 끝난다.[50] 본선은 글로스터 로드의 서클 선에 합류하고, 웨스트민스터 역에서 템스 강을 만나는 개착식 터널에 있으며, 이후 철도는 북쪽 강둑의 빅토리아 임뱅크먼트에 있다. 타워 힐 역에는 베이 플랫폼이 있다.[50]
타워 힐 이후 서클 선이 분기하고, 알드게이트 이스트 역 앞에서 디스트릭트 선이 해머스미스 & 시티 선에 합류한다. 이 노선은 화이트채플 역에서 런던 오버그라운드를 지나 약 3.22km의 보우 로드 행 화이트채플 & 보우 철도로 계속되며, 브롬리바이보우 역은 펜처치 스트리트 역에서 런던, 틸버리 & 사우스엔드 철도와 나란히 운행된다. 웨스트햄역과 플라이스토역에는 베이 플랫폼이 있으며,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은 바킹 역에서 종착한다.[50] 디스트릭트 선은 업민스터 역에서 종착하기 전, 런던, 틸버리 & 사우스엔드 철도를 따라 8개 역을 추가로 운행한다.[50]
디스트릭트 선은 다음과 같은 구간으로 운행된다.
'''디스트릭트 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명 | 사진 | 개업일자 | 지선 | 특이 사항 | 환승 노선 |
---|---|---|---|---|---|
리치먼드 | 1877년 10월 1일 | 리치먼드 | 1869년 1월 1일 리치먼드뉴(Richmond New)라는 L&SWR 역으로 개설, 1937년 본선 역과 합쳐졌다.[67] | 내셔널 레일 | |
큐 가든즈 | 1877년 10월 1일 | 리치먼드 | 1869년 1월 1일에 L&SWR 역으로 개설.[68] | ||
거너스베리 | 1877년 10월 1일 | 리치먼드 | 1869년 1월 1일 브렌트포드 로드(Brentford Road)라는 L&SWR 역으로 개설, 1871년 개명.[69] | 런던 오버그라운드 | |
일링 브로드웨이 | ![]() | 1879년 7월 1일 | 일링 브로드웨이 | 내셔널 레일, 센트럴 선 | |
일링 커먼 | 1879년 7월 1일 | 일링 브로드웨이 | 1886년에서 1910년 사이에 일링 커먼 앤 웨스트 액튼(Ealing Common and West Acton)으로 알려졌다.[70] | 피카딜리 선 | |
액튼 타운 | ![]() | 1879년 7월 1일 | 일링 브로드웨이 | 개통 당시 밀힐 파크(Mill Hill Park), 1910년 3월 1일에 개명. | 피카딜리 선 |
치식 파크 | ![]() | 1879년 7월 1일 | 일링 브로드웨이 | 개통 당시 액튼 그린(Acton Green), 1889년에 치식 파크 앤 액튼 그린(Chiswick Park and Acton Green)으로, 1910년에 현재 이름으로 개명. | |
터넘 그린 | 1877년 6월 1일 | 본선 (액튼) | 1869년 1월 1일에 L&SWR|런던 & 사우스 웨스턴 철도영어 역으로 개설. | ||
스탬포드 브룩 | ![]() | 1912년 2월 1일 | 본선 (액튼) | ||
라벤즈코트 파크 | ![]() | 1877년 6월 1일 | 본선 (액튼) | 1873년 4월 1일 샤프츠버리 로드(Shaftesbury Road)라는 L&SWR 역으로 개설, 1888년 3월 1일 개명. | |
해머스미스 | ![]() | 1874년 9월 9일 | 본선 (액튼) | 피카딜리 선, 해머스미스 & 시티 선, 서클 선 | |
배런즈 코트 | ![]() | 1906년 12월 15일 | 본선 (액튼) | 피카딜리 선 | |
웨스트 켄징턴 | ![]() | 1874년 9월 9일 | 본선 (액튼) | 개통당시 노스엔드(풀햄)/North End (Fulham),[67] 1877년 개명. | |
윔블던 | 1889년 6월 3일 | 윔블던 지선 | 1838년 5월 21일에 L&SWR|런던 & 사우스 웨스턴 철도영어 역으로 개설. | 내셔널 레일, 트램링크 | |
윔블던 파크 | ![]() | 1889년 6월 3일 | 윔블던 지선 | ||
사우스필즈 | 1889년 6월 3일 | 윔블던 지선 | |||
이스트 퍼트니 | ![]() | 1889년 6월 3일 | 윔블던 지선 | ||
퍼트니 브리지 | 1880년 3월 1일 | 윔블던 지선 | 개통당시 퍼트니 브리지 & 풀럼(Putney Bridge & Fulham), 1902년 1월 1일에 퍼트니 브리지 & 헐링햄(Putney Bridge & Hurlingham), 1932년에 현재 이름으로 개명 | ||
파슨스 그린 | 1880년 3월 1일 | 윔블던 지선 | |||
풀럼 브로드웨이 | ![]() | 1880년 3월 1일 | 윔블던 지선 | 개통당시 월햄 그린(Walham Green), 1952년 3월 2일 개명 | |
웨스트 브롬프턴 | ![]() | 1869년 4월 12일 | 윔블던 지선 | 내셔널 레일, 런던 오버그라운드 | |
켄징턴 (올림피아) | 1946년 12월 20일 | 올림피아 지선 | L&SWR|런던 & 사우스웨스턴 철도영어은 1844년 웨스트 런던 철도에서 켄징턴 역을 잠시 열었다. 이 역은 1862년 6월 2일에 문을 열었으며 1868년에 켄징턴 애디슨 로드(Kensington Addison Road)로 이름을 변경하여 1940년에 서비스가 철수 될 때까지 L&NWR, GWR, 메트로폴리탄 및 기타 철도 서비스를 제공했다. 1946년 디스트릭트 선의 한 지선으로 재개되었다. | 내셔널 레일, 런던 오버그라운드 | |
얼스 코트 | ![]() | 1871년 10월 30일 | 본선 (액튼) | 피카딜리 선 | |
하이 스트리트 켄싱턴 | ![]() | 1868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개통 당시 켄싱턴(하이 스트리트)/Kensington (High Street), 1880년에 개명. | 서클 선 |
노팅 힐 게이트 | ![]() | 1868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센트럴 선 | |
베이스워터 | ![]() | 1868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개통당시 베이스워터(Bayswater), 1923년에 베이스워터(퀸즈 로드)&웨스트번 그로브/Bayswater (Queens Road) & Westbourne Grove로 개명. 1933년에 베이스워터(퀸즈로드)/Bayswater (Queens Road), 1946년에 베이스워터(퀸즈웨이)/Bayswater (Queensway)로 개명. 부역명은 이후 차차 삭제되었다. | |
패딩턴 | ![]() | 1868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개통당시 패딩턴(프레드 스트리트)/Paddington (Praed Street), 1948년 개명. | 베이컬루 선, 패딩턴 본선 역 |
에지웨어 로드 | ![]() | 1863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서클 선, 해머스미스 & 시티 선 | |
글러스터 로드 | ![]() | 1868년 10월 1일 | 본선 (업민스터) | 개통 당시 브롬턴(글러스터 로드)/Brompton (Gloucester Road), 1907년 개명. | 피카딜리 선, 서클 선 |
사우스 켄징턴 | ![]()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피카딜리 선 | |
슬로언 스퀘어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
빅토리아 | ![]()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빅토리아 선, 내셔널 레일 | |
세인트 제임스 파크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
웨스트민스터 | --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개통당시 웨스트민스터 브리지(Westminster Bridge), 1907년 개명. | 주빌리 선 |
엠뱅크먼트 | ![]() | 1870년 5월 30일 | 본선 (업민스터) | 개통 당시 차링크로스(Charing Cross), 1974년에 차링크로스 엠벵크먼트(Charing Cross Embankment), 1976년에 현재 이름으로 개명. | 베이컬루 선, 노던 선, 차링크로스 내셔널 레일 역 |
템플 | ![]() | 1870년 5월 30일 | 본선 | 개통 당시 더 템플(The Temple). | |
블랙프라이어스 | 1870년 5월 30일 | 본선 | 내셔널 레일 | ||
맨션 하우스 | ![]() | 1871년 7월 3일 | 본선 | ||
캐논 스트리트 | ![]() | 1884년 10월 6일 | 본선 | 내셔널 레일 | |
모뉴먼트 | 1884년 10월 6일 | 본선 | 개통 당시 이스트칩(Eastcheap), 1884년에 더 모뉴먼트(The Monument)로 개명.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연결된 뱅크 역에서 센트럴 선, 노던 선, 워털루 & 시티 선, 도클랜즈 경전철과 환승 가능. | ||
타워 힐 | ![]() | 1882년 9월 25일 | 본선 | 메트로폴리탄 철도에서 "타워오브런던(Tower of London)"으로 개업, 그러나 1884년 디스트릭트 철도에서 인근에 "마크 레인 역(Mark Lane)"을 열면서 폐쇄조치. 이 역은 1946년 "타워 힐(Tower Hill)"로 개명되어 1967년 "타워오브런던" 역 위치로 이전. | 서클 선 |
알드게이트 이스트 | 1884년 10월 6일 | 본선 | 1938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 | 해머스미스 & 시티 선 | |
화이트채플 | ![]() | 1884년 10월 6일 | 본선 | 개통 당시 화이트채플(마일 엔드)/Whitechapel (Mile End), 1901년 개명. | 런던 오버그라운드 |
스텝니 그린 | 1902년 6월 23일 | 본선 | |||
마일 엔드 | 1902년 6월 2일 | 본선 | 센트럴 선 | ||
보우 로드 | 1902년 6월 11일 | 본선 | |||
브롬리바이보우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94년 LT&SR 역으로 개설. 개설 당시 브롬리(Bromley), 1940년 LT&SR 역 폐쇄, 1967년 개명. | ||
웨스트 햄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924년~69년 사이 웨스트 햄(마너 로드)/West Ham (Manor Road), 1941년 메트로폴리탄 서비스 개시, 1994년 LT&SR 역 폐쇄. | 주빌리 선, 도클랜즈 경전철, 내셔널 레일 | |
플래이스토우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58년 LT&SR 역으로 개설. | ||
업톤 파크 | ![]()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77년 LT&SR 역으로 개설. | |
이스트 햄 | ![]()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58년 LT&SR 역으로 개설. | |
바킹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54년 LT&SR 역으로 개설. 1905년에서 1932년까지 디스트릭트 선 서비스가 중단되었었다. | 내셔널 레일, 런던 오버그라운드 | |
어퍼니 | 1932년 9월 12일 | 본선 | |||
베콘트리 | 1932년 9월 12일 | 본선 | |||
대거넘 히스웨이 | 1932년 9월 12일 | 본선 | 히스웨이(Heathway)로 개설, 1949년 개명. | ||
대거넘 이스트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85년 대거넘(Dagenham)으로 개설, 1905년에서 1932년까지 디스트릭트 선 서비스가 중단되었었고, 1949년에 개명. | ||
엘름 파크 | 1935년 5월 13일 | 본선 | |||
혼처치 | ![]()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85년 LT&SR 역으로 개설, 1905년에서 1932년까지 디스트릭트 선 서비스가 중단되었었다. | |
업민스터 브리지 | ![]() | 1934년 12월 17일 | 본선 | ||
업민스터 | ![]()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85년 LT&SR 역으로 개설, 1905년에서 1932년까지 디스트릭트 선 서비스가 중단되었었다. | 내셔널 레일, 런던 오버그라운드 |
3. 1. 노선도
타워 힐, 얼스 코트와 에지웨어 로드 사이의 노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써클 선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3. 2. 운행 구간
디스트릭트 선은 다음과 같은 구간을 운행한다.- 리치먼드 지선: 리치먼드 - 턴햄 그린 (런던 오버그라운드 열차와 선로 공유)[50]
- 일링 지선: 일링 브로드웨이 - 턴햄 그린 - 얼스 코트[50]
- 윔블던 지선: 윔블던 - 얼스 코트[50]
- 켄싱턴(올림피아) 지선: 켄싱턴(올림피아) - 얼스 코트 (일반적으로 에지웨어 로드 지선 방향으로 운행)[50]
- 본선: 얼스 코트 - 타워 힐 - 업민스터[50]
- 에지웨어 로드 지선: 얼스 코트 - 하이 스트리트 켄싱턴 - 에지웨어 로드 (서클 선과 선로 공유)[50]
2012년 12월 9일부터 운행되는 비첨두 시간대 운행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15][16][17]
- 시간당 6회 (이링 브로드웨이 ~ 업민스터)
- 시간당 6회 (리치먼드 ~ 업민스터)
- 시간당 3회 (윔블던 ~ 타워 힐)
- 시간당 3회 (윔블던 ~ 바킹)
- 시간당 6회 (윔블던 ~ 에지웨어 로드)
- 주말에는 시간당 3회 (켄싱턴 (올림피아) ~ 하이 스트리트 켄싱턴), 평일에는 매일 7편의 열차가 켄싱턴 (올림피아)를 오가며, 이 중 1편은 에지웨어 로드까지 운행한다.[18]
이에 따라 얼스 코트와 타워 힐 사이에는 시간당 18편의 열차(3~4분 간격)가 운행된다. 서클 선과 함께 글로스터 로드와 타워 힐 사이에는 시간당 24편의 열차(2.5분 간격)가 운행된다.[19]
'''서쪽에서 동쪽으로''' 디스트릭트 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명 | 한국어 번역 | 운행 계통 및 노선 공유・병주 노선 | 환승 노선 | ||||||
---|---|---|---|---|---|---|---|---|---|
Richmond | 리치먼드역 | ■ | ■ | 내셔널 레일 | |||||
Kew Gardens | 큐 가든스역 | ● | ● | ||||||
Gunnersbury | 거너스베리역 | ● | ◆ | 오버그라운드 (노스 런던선) | |||||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f63 ;height: 0.5em" | | |||||||||
∥ | |||||||||
Ealing Broadway | 이링 브로드웨이역 | ∥ | ■ | 센트럴선 | |||||
Ealing Common | 이링 커먼역 | ∥ | rowspan=2| | ● | rowspan=2| | rowspan=2|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33ff ;height: 0.5em"| | |
피카딜리선 (아크스브리지 지선) | |||||||||
Acton Town | 액턴 타운역 | ∥ | rowspan=2| | ● | rowspan=2| | rowspan=2|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33ff ;height: 0.5em"| | |
피카딜리선 (히드로 지선) | |||||||||
Chiswick Park | 치즈윅 파크역 | ∥ | ● | | | |||||
Turnham Green | 턴햄 그린역 | ● | ● | ● | |||||
Stamford Brook | 스탬포드 브룩역 | ● | ● | | | |||||
Ravenscourt Park | 레이븐스 코트 파크역 | ● | ● | | | |||||
Hammersmith | 해머스미스역 | ● | ● | ● | 해머스미스 & 시티선 | ||||
Baron's Court | 배런스 코트역 | ● | ● | ● | |||||
West Kensington | 웨스트 켄싱턴역 | ● | ● | | | |||||
∥ | ∥ | ∥ | |||||||
Wimbledon | 윔블던역 | ∥ | ■ | ∥ | ■ | ∥ | 내셔널 레일・트램링크 3번 노선 | ||
Wimbledon Park | 윔블던 파크역 | ∥ | ● | ∥ | ● | ∥ | |||
Southfields | 사우스필즈역 | ∥ | ● | ∥ | ● | ∥ | |||
East Putney | 이스트 퍼트니역 | ∥ | ● | ∥ | ● | ∥ | |||
Putney Bridge | 퍼트니 브리지역 | ∥ | ● | ∥ | ● | ∥ | |||
Parsons Green | 파슨스 그린역 | ∥ | ● | ∥ | ● | ∥ | |||
Fulham Broadway | 풀럼 브로드웨이역 | ∥ | ● | ∥ | ● | ∥ | |||
West Brompton | 웨스트 브롬프턴역 | ∥ | ● | ∥ | ● | ∥ | 내셔널 레일・오버그라운드 (웨스트 런던선) | ||
∥ | ∥ | ∥ | ∥ | ∥ | |||||
Kensington (Olympia) | 켄싱턴 (올림피아)역 | ∥ | ∥ | ∥ | ∥ | ■ | ∥ | 내셔널 레일・오버그라운드 (웨스트 런던선) | |
Earl's Court | 얼스 코트역 | ● | ● | ● | ● | ● | ● | ||
High Street Kensington | 하이 스트리트 켄싱턴역 | ∥ | ∥ | ∥ |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f0 ;height: 0.5em"| |
서클선(분기) | |||||||||
Notting Hill Gate | 노팅힐 게이트역 | ∥ | ∥ | ∥ | ● | ∥ | ● | 센트럴선 | |
Bayswater | 베이즈워터역 | ∥ | ∥ | ∥ | ● | ∥ | ● | ||
Paddington | 패딩턴역 | ∥ | ∥ | ∥ | ● | rowspan=2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f0 ;height: 0.5em"| |
해머스미스 & 시티선・ 베이커루선・ 내셔널 레일 | |||||||||
Edgware Road | 에지웨어 로드역 | ∥ | ∥ | ∥ | ■ | rowspan=2 | | ∥ | ● | 서클선 해머스미스 & 시티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f0 ;height: 0.5em"| | |||||||||
∥ | ∥ | ∥ | ∥ | ||||||
Gloucester Road | 글로스터 로드역 | ● | ● | ● | rowspan=2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f0 ;height: 0.5em"| | |
서클선(분기) | |||||||||
South Kensington | 사우스 켄싱턴역 | ● | ● | ● | rowspan=2 | | ● | ● | 피카딜리선(분기)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33ff ;height: 0.5em"| | |||||||||
Sloane Square | 슬론 스퀘어역 | ● | ● | ● | ● | ||||
Victoria | 빅토리아역 | ● | ● | ● | ● | 빅토리아선 내셔널 레일 | |||
St. James's Park | 세인트 제임스 파크역 | ● | ● | ● | ● | ||||
Westminster | 웨스트민스터역 | ● | ● | ● | ● | 주빌리선 | |||
Embankment | 엠뱅크먼트역 | ● | ● | ● | ● | 베이커루선・ 노던선、 내셔널 레일 (채링 크로스역 연결) | |||
Temple | 템플역 | ● | ● | ● | ● | ||||
Blackfriars | 블랙프라이어스역 | ● | ● | ● | ● | ||||
Mansion House | 맨션 하우스역 | ● | ● | ● | ● | ||||
Cannon Street | 캐넌 스트리트역 | ● | ● | ● | ● | 내셔널 레일 | |||
Monument | 모뉴먼트역 | ● | ● | ● | ● | 센트럴선・ 워털루 & 시티선・ 노던선・ 도클랜즈 경전철 (뱅크역) | |||
Tower Hill | 타워 힐역 | ● | ● | ■ | rowspan=2 | | ◆ | 서클선(분기)、 도클랜즈 경전철 (타워 게이트웨이역)、 내셔널 레일 (펜처치 스트리트역)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ff0 ;height: 0.5em"| | |||||||||
Aldgate East | 올드게이트 이스트역 | ● | ● | rowspan=2 | |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f99 ;height: 0.5em"| | |||
해머스미스 & 시티선(분기) | |||||||||
Whitechapel | 화이트채플역 | ● | ● | ● | 이스트 런던선 | ||||
Stepney Green | 스테프니 그린역 | ● | ● | ● | 센트럴선 | ||||
Mile End | 마일 엔드역 | ● | ● | ● | |||||
Bow Road | 보우 로드역 | ● | ● | ● | 도클랜즈 경전철 (보우 처치역) | ||||
Bromley-by-Bow | 브롬리 바이 보우역 | ● | ● | ● | |||||
West Ham | 웨스트햄역 | ● | ● | ● | 주빌리선, 내셔널 레일 | ||||
Plaistow | 플라이스토역 | ● | ● | ● | |||||
Upton Park | 업턴 파크역 | ● | ● | ● | |||||
East Ham | 이스트햄역 | ● | ● | ● | |||||
Barking | 바킹역 | ● | ● | ■ | 오버그라운드・내셔널 레일 | ||||
Upney | 업니역 | ● | ● | ||||||
Becontree | 비컨트리역 | ● | ● | ||||||
Dagenham Heathway | 다겐햄 히스웨이역 | ● | ● | ||||||
Dagenham East | 다겐햄 이스트역 | ● | ● | ||||||
Elm Park | 엘름 파크역 | ● | ● | ||||||
Hornchurch | 혼처치역 | ● | ● | ||||||
Upminster Bridge | 업민스터 브리지역 | ● | ● | ||||||
Upminster | 업민스터역 | ■ | ■ | 내셔널 레일 |
3. 3. 역 목록
'''디스트릭트 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역명 | 사진 | 개업일자 | 지선 | 특이 사항 | 환승 노선 |
---|---|---|---|---|---|
리치먼드 | 1877년 10월 1일 | 리치먼드 | 1869년 1월 1일 리치먼드뉴(Richmond New)라는 L&SWR 역으로 개설, 1937년 본선 역과 합쳐졌다.[67] | 내셔널 레일 | |
큐 가든즈 | 1877년 10월 1일 | 리치먼드 | 1869년 1월 1일에 L&SWR 역으로 개설.[68] | ||
거너스베리 | 1877년 10월 1일 | 리치먼드 | 1869년 1월 1일 브렌트포드 로드(Brentford Road)라는 L&SWR 역으로 개설, 1871년 개명.[69] | 런던 오버그라운드 | |
일링 브로드웨이 | 1879년 7월 1일 | 일링 브로드웨이 | 내셔널 레일, 센트럴 선 | ||
일링 커먼 | 1879년 7월 1일 | 일링 브로드웨이 | 1886년에서 1910년 사이에 일링 커먼 앤 웨스트 액튼(Ealing Common and West Acton)으로 알려졌다.[70] | 피카딜리 선 | |
액튼 타운 | 1879년 7월 1일 | 일링 브로드웨이 | 개통 당시 밀힐 파크(Mill Hill Park), 1910년 3월 1일에 개명. | 피카딜리 선 | |
치식 파크 | 1879년 7월 1일 | 일링 브로드웨이 | 개통 당시 액튼 그린(Acton Green), 1889년에 치식 파크 앤 액튼 그린(Chiswick Park and Acton Green)으로, 1910년에 현재 이름으로 개명. | ||
터넘 그린 | 1877년 6월 1일 | 본선 (액튼) | 1869년 1월 1일에 L&SWR|런던 & 사우스 웨스턴 철도영어 역으로 개설. | ||
스탬포드 브룩 | 1912년 2월 1일 | 본선 (액튼) | |||
라벤즈코트 파크 | 1877년 6월 1일 | 본선 (액튼) | 1873년 4월 1일 샤프츠버리 로드(Shaftesbury Road)라는 L&SWR 역으로 개설, 1888년 3월 1일 개명. | ||
해머스미스 | 1874년 9월 9일 | 본선 (액튼) | 피카딜리 선, 해머스미스 & 시티 선, 서클 선 | ||
배런즈 코트 | 1906년 12월 15일 | 본선 (액튼) | 피카딜리 선 | ||
웨스트 켄징턴 | 1874년 9월 9일 | 본선 (액튼) | 개통당시 노스엔드(풀햄)/North End (Fulham),[67] 1877년 개명. | ||
윔블던 | 1889년 6월 3일 | 윔블던 지선 | 1838년 5월 21일에 L&SWR|런던 & 사우스 웨스턴 철도영어 역으로 개설. | 내셔널 레일, 트램링크 | |
윔블던 파크 | 1889년 6월 3일 | 윔블던 지선 | |||
사우스필즈 | 1889년 6월 3일 | 윔블던 지선 | |||
이스트 퍼트니 | 1889년 6월 3일 | 윔블던 지선 | |||
퍼트니 브리지 | 1880년 3월 1일 | 윔블던 지선 | 개통당시 퍼트니 브리지 & 풀럼(Putney Bridge & Fulham), 1902년 1월 1일에 퍼트니 브리지 & 헐링햄(Putney Bridge & Hurlingham), 1932년에 현재 이름으로 개명 | ||
파슨스 그린 | 1880년 3월 1일 | 윔블던 지선 | |||
풀럼 브로드웨이 | 1880년 3월 1일 | 윔블던 지선 | 개통당시 월햄 그린(Walham Green), 1952년 3월 2일 개명 | ||
웨스트 브롬프턴 | 1869년 4월 12일 | 윔블던 지선 | 내셔널 레일, 런던 오버그라운드 | ||
켄징턴 (올림피아) | 1946년 12월 20일 | 올림피아 지선 | L&SWR|런던 & 사우스웨스턴 철도영어은 1844년 웨스트 런던 철도에서 켄징턴 역을 잠시 열었다. 이 역은 1862년 6월 2일에 문을 열었으며 1868년에 켄징턴 애디슨 로드(Kensington Addison Road)로 이름을 변경하여 1940년에 서비스가 철수 될 때까지 L&NWR, GWR, 메트로폴리탄 및 기타 철도 서비스를 제공했다. 1946년 디스트릭트 선의 한 지선으로 재개되었다. | 내셔널 레일, 런던 오버그라운드 | |
얼스 코트 | 1871년 10월 30일 | 본선 (액튼) | 피카딜리 선 | ||
하이 스트리트 켄징턴 | 1868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개통 당시 켄싱턴(하이 스트리트)/Kensington (High Street), 1880년에 개명. | 서클 선 | |
노팅 힐 게이트 | 1868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센트럴 선 | ||
베이스워터 | 1868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개통당시 베이스워터(Bayswater), 1923년에 베이스워터(퀸즈 로드)&웨스트번 그로브/Bayswater (Queens Road) & Westbourne Grove로 개명. 1933년에 베이스워터(퀸즈로드)/Bayswater (Queens Road), 1946년에 베이스워터(퀸즈웨이)/Bayswater (Queensway)로 개명. 부역명은 이후 차차 삭제되었다. | ||
패딩턴 | 1868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개통당시 패딩턴(프레드 스트리트)/Paddington (Praed Street), 1948년 개명. | 베이컬루 선, 패딩턴 본선 역 | |
에지웨어 로드 | 1863년 10월 1일 | 에지웨어 지선 | 서클 선, 해머스미스 & 시티 선 | ||
글러스터 로드 | 1868년 10월 1일 | 본선 (업민스터) | 개통 당시 브롬턴(글러스터 로드)/Brompton (Gloucester Road), 1907년 개명. | 피카딜리 선, 서클 선 | |
사우스 켄징턴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피카딜리 선 | ||
슬로언 스퀘어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
빅토리아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빅토리아 선, 내셔널 레일 | ||
세인트 제임스 파크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
웨스트민스터 | -- | 1868년 12월 24일 | 본선 (업민스터) | 개통당시 웨스트민스터 브리지(Westminster Bridge), 1907년 개명. | 주빌리 선 |
엠뱅크먼트 | 1870년 5월 30일 | 본선 (업민스터) | 개통 당시 차링크로스(Charing Cross), 1974년에 차링크로스 엠벵크먼트(Charing Cross Embankment), 1976년에 현재 이름으로 개명. | 베이컬루 선, 노던 선, 차링크로스 내셔널 레일 역 | |
템플 | 1870년 5월 30일 | 본선 | 개통 당시 더 템플(The Temple). | ||
블랙프라이어스 | 1870년 5월 30일 | 본선 | 내셔널 레일 | ||
맨션 하우스 | 1871년 7월 3일 | 본선 | |||
캐논 스트리트 | 1884년 10월 6일 | 본선 | 내셔널 레일 | ||
모뉴먼트 | 1884년 10월 6일 | 본선 | 개통 당시 이스트칩(Eastcheap), 1884년에 더 모뉴먼트(The Monument)로 개명.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연결된 뱅크 역에서 센트럴 선, 노던 선, 워털루 & 시티 선, 도클랜즈 경전철과 환승 가능. | ||
타워 힐 | 1882년 9월 25일 | 본선 | 메트로폴리탄 철도에서 "타워오브런던(Tower of London)"으로 개업, 그러나 1884년 디스트릭트 철도에서 인근에 "마크 레인 역(Mark Lane)"을 열면서 폐쇄조치. 이 역은 1946년 "타워 힐(Tower Hill)"로 개명되어 1967년 "타워오브런던" 역 위치로 이전. | 서클 선 | |
알드게이트 이스트 | 1884년 10월 6일 | 본선 | 1938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 | 해머스미스 & 시티 선 | |
화이트채플 | 1884년 10월 6일 | 본선 | 개통 당시 화이트채플(마일 엔드)/Whitechapel (Mile End), 1901년 개명. | 런던 오버그라운드 | |
스텝니 그린 | 1902년 6월 23일 | 본선 | |||
마일 엔드 | 1902년 6월 2일 | 본선 | 센트럴 선 | ||
보우 로드 | 1902년 6월 11일 | 본선 | |||
브롬리바이보우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94년 LT&SR 역으로 개설. 개설 당시 브롬리(Bromley), 1940년 LT&SR 역 폐쇄, 1967년 개명. | ||
웨스트 햄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924년~69년 사이 웨스트 햄(마너 로드)/West Ham (Manor Road), 1941년 메트로폴리탄 서비스 개시, 1994년 LT&SR 역 폐쇄. | 주빌리 선, 도클랜즈 경전철, 내셔널 레일 | |
플래이스토우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58년 LT&SR 역으로 개설. | ||
업톤 파크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77년 LT&SR 역으로 개설. | ||
이스트 햄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58년 LT&SR 역으로 개설. | ||
바킹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54년 LT&SR 역으로 개설. 1905년에서 1932년까지 디스트릭트 선 서비스가 중단되었었다. | 내셔널 레일, 런던 오버그라운드 | |
어퍼니 | 1932년 9월 12일 | 본선 | |||
베콘트리 | 1932년 9월 12일 | 본선 | |||
대거넘 히스웨이 | 1932년 9월 12일 | 본선 | 히스웨이(Heathway)로 개설, 1949년 개명. | ||
대거넘 이스트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85년 대거넘(Dagenham)으로 개설, 1905년에서 1932년까지 디스트릭트 선 서비스가 중단되었었고, 1949년에 개명. | ||
엘름 파크 | 1935년 5월 13일 | 본선 | |||
혼처치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85년 LT&SR 역으로 개설, 1905년에서 1932년까지 디스트릭트 선 서비스가 중단되었었다. | ||
업민스터 브리지 | 1934년 12월 17일 | 본선 | |||
업민스터 | 1902년 6월 2일 | 본선 | 1885년 LT&SR 역으로 개설, 1905년에서 1932년까지 디스트릭트 선 서비스가 중단되었었다. | 내셔널 레일, 런던 오버그라운드 |
참조
[1]
웹사이트
London Assembly Questions to the Mayor
https://www.london.g[...]
London Assembly
2024-02-29
[2]
웹사이트
District line working timetable No. 150
http://content.tfl.g[...]
Transport for London
2018-05-20
[3]
뉴스
The London Underground lines listed from longest to shortest - MyLondon
https://www.mylondon[...]
MyLondon
2019-08-13
[4]
서적
Underground Official Handbook
Capital Transport
[5]
웹사이트
Greater London Authority Questions to the Mayor
https://www.london.g[...]
Greater London Authority
2024-02-29
[6]
웹사이트
Rolling Stock Information Sheets
http://www.tfl.gov.u[...]
London Underground
2012-11-26
[7]
서적
Rails Through the Clay: A History of London's Tube Railways
Capital Transport
[8]
웹사이트
PPP Performance Report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03-07
[9]
웹사이트
District line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1
[10]
웹사이트
Key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1
[11]
서적
Underground, Overground: A Passenger's History of the Tube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12]
서적
London's Underground
https://archive.org/[...]
Ian Allan
[13]
웹사이트
Detailed London Transport Map
http://cartometro.co[...]
2012-12-01
[14]
웹사이트
Up to date per line London Underground usage statistics
https://www.whatdoth[...]
TheyWorkForYou
2018-04-29
[15]
웹사이트
Ealing Broadway to Upminster District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16]
웹사이트
Richmond to Upminster District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17]
웹사이트
Wimbledon to Tower Hill District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18]
웹사이트
Kensington (Olympia) to High Street Kensington District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19]
웹사이트
Performance: LU Performance Data Almanac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01-17
[20]
웹사이트
Standard Tube Map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8
[21]
간행물
District pips Circle to the post
2013-10
[22]
웹사이트
Our Upgrade Plan
http://www.tfl.gov.u[...]
London Underground
2012-12-07
[23]
웹사이트
Metro — London, United Kingdom
http://www.bombardie[...]
Bombardier
2011-01-27
[24]
웹사이트
Rolling Stock: C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1-25
[25]
웹사이트
Rolling Stock: D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1-29
[26]
뉴스
'S' stock making its mark
2010-12
[27]
웹사이트
Transforming the Tube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09-05-28
[28]
웹사이트
Rolling Stock: S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01-10
[29]
뉴스
Sub-surface renewal
2013-01
[30]
웹사이트
London Underground and Bombardier abandon Tube signalling contract
https://www.railjour[...]
2020-06-02
[31]
웹사이트
London Underground resignalling reaches milestone
https://www.railjour[...]
2020-06-02
[32]
웹사이트
Our Upgrade Plan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7
[33]
웹사이트
Four Lines Modernisation
https://www.tfl.gov.[...]
2020-06-02
[34]
뉴스
Cityflo 650 to control the SSR
2013-01
[35]
간행물
Underground News
2020-10
[36]
서적
Forgotten Stations of Greater London
[37]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 piece: RAIL 647/70, Heads of Agreement, 25 July 1923
http://www.nationala[...]
[38]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 piece: RAIL 647/71, Heads of Agreement, 25 July 1923
http://www.nationala[...]
[39]
웹사이트
Underground Eastenders
http://underground-h[...]
2005-04-27
[40]
뉴스
Get your anoraks on ... trains are coming!
https://www.bbc.co.u[...]
2010-02-03
[41]
웹사이트
The London Underground Lines In "Sherlock" Are All Wrong
https://www.buzzfeed[...]
2014-01-02
[42]
웹사이트
West Ashfield Simulated LUL Station
http://www.reynekede[...]
Reyneke Designs
2018-02-14
[43]
웹사이트
Technical Feasibility Report for relocating from Lillie Bridge depot, including Ashfield House, for Commercial Development
http://content.tfl.g[...]
London Underground
[44]
Youtube
All the Stations: "West Ashfield Station - The Underground's Training Facility"
https://www.youtube.[...]
[45]
웹인용
Performance: LU Performance Data Almanac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3-01-17
[46]
웹인용
District line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1
[47]
웹인용
Key facts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1
[48]
서적
Underground, Overground: A Passenger's History of the Tube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2012-04-26
[49]
서적
London's Underground
https://archive.org/[...]
Ian Allan
[50]
웹인용
Detailed London Transport Map
http://carto.metro.f[...]
2012-12-01
[51]
웹인용
Ealing Broadway to Upminster District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52]
웹인용
Richmond to Upminster District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53]
웹인용
Wimbledon to Tower Hill District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54]
웹인용
Kensington (Olympia) to High Street Kensington District line timetable
http://journeyplanne[...]
Transport for London
2012-12-09
[55]
웹인용
Standard Tube Map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8
[56]
저널
District pips Circle to the post
2013-10
[57]
웹인용
Metro — London, United Kingdom
http://www.bombardie[...]
Bombardier
2011-01-27
[58]
웹인용
Rolling Stock: C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1-25
[59]
웹인용
Rolling Stock: D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1-29
[60]
뉴스
'S' stock making its mark
2010-12
[61]
웹인용
Transforming the Tube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08-07
[62]
웹인용
Rolling Stock: S stock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01-10
[63]
웹인용
Our Upgrade Plan
http://www.tfl.gov.u[...]
London Underground
2011-02
[64]
뉴스
Sub-surface renewal
2013-01
[65]
웹인용
District line Upgrade Plan
http://www.tfl.gov.u[...]
Transport for London
2012-12-08
[66]
뉴스
Cityflo 650 to control the SSR
2013-01
[67]
서적
Forgotten Stations of Greater London
[68]
웹인용
Underground Eastenders
http://underground-h[...]
2005-04-27
[69]
웹인용
Get your anoraks on ... trains are coming!
http://www.bbc.co.uk[...]
BBC Online
2010-02-03
[70]
웹인용
The London Underground Lines In "Sherlock" Are All Wrong
http://www.buzzfe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