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면 환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면 환승은 동일한 승강장에서 여러 노선의 열차를 편리하게 갈아탈 수 있는 방식이다. 이는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이용을 최소화하여 환승 시간과 이동 거리를 줄여준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승객의 편의성을 높이고, 특히 교통 약자의 이동을 돕는 데 기여한다. 반면, 역 구조와 운행 계획의 복잡성, 건설 비용, 모든 환승 조합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세계적으로는 아시아,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평면 환승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김포공항역, 금정역, 구로역, 용산역, 성수역, 까치산역, 오이도역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교통 공학 분야에서는 평면 환승의 효과를 승객 편의성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평가하며, 이동 시간 단축, 환승 저항 감소 등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평면 환승 | |
---|---|
개요 | |
유형 | 대중교통 역의 설계 |
목적 | 승객이 다른 노선이나 교통 수단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도록 지원 |
특징 | |
이점 | 환승 시간을 최소화하고 편의성을 향상 |
설계 고려 사항 | 플랫폼 간의 거리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의 배치 정보 안내 시스템 혼잡 관리 |
주요 유형 | |
동일 플랫폼 환승 | 동일한 플랫폼에서 다른 노선의 열차로 환승 |
교차 플랫폼 환승 | 플랫폼 양쪽에 다른 노선의 열차가 정차 승객은 플랫폼을 가로질러 환승 |
수직 환승 | 계단, 에스컬레이터 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다른 층의 플랫폼으로 이동하여 환승 가장 일반적인 형태 |
대면 환승 | 두 개의 플랫폼이 평행하게 위치 승객이 플랫폼 사이를 걸어서 이동하여 환승 |
추가 고려 사항 | |
혼잡 관리 | 러시아워에 승객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 넓은 통로, 명확한 안내, 추가적인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가 필요 |
정보 안내 |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표지판과 실시간 정보 시스템이 필수적 |
접근성 | 모든 승객, 특히 장애인, 노인, 어린이 동반 승객을 위한 접근성을 고려해야 함 엘리베이터, 경사로, 점자 안내판 등이 필요 |
안전 | 플랫폼 안전문, CCTV, 비상 연락 장치 등을 설치하여 안전을 확보해야 함 적절한 조명과 소방 설비도 중요 |
효율성 | 환승 시간을 최소화하고 승객 흐름을 최적화하는 것이 목표 효율적인 플랫폼 배치와 빠른 환승 경로 설계가 중요 |
기타 | |
관련 용어 | 환승역 |
2. 평면 환승의 유형
평면 환승은 노선, 열차 종류, 운행 방향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1. 노선 간 평면 환승
2010년 완성된 김포공항역의 평면 환승 구조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9호선이 시내·시외 방향별로 각각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접속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3층은 동서로 배열된 섬식 승강장 북쪽에 승강장과 선로가 하나 더 붙어 있는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이나, 가장 북쪽 승강장은 사용되지 않아 사실상 섬식 승강장처럼 운용되고 있다. 이 섬식 승강장 북쪽 선로에는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일반·급행열차가 정차하고 남쪽 선로에는 공항철도 서울 방면 열차가 정차하여, 시내 방면 환승 편의를 돕고 있다. 지하 4층은 1면 2선 섬식 승강장으로, 북쪽 선로에는 개화역 방향 일반열차와 김포공항역 종착 급행열차가 정차하고, 남쪽 선로에는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공항철도 열차가 정차하여 시외 방면 환승이 편리하다.
금정역은 가운데 4선 선로가 있는 상대식 승강장 바로 옆에 선로를 부설한 형태로, 가운데 승강장은 1호선이, 나머지 선로는 4호선이 활용하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현재 금정역 구조는 1993년 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 운행으로 완성되었다. 각 노선 하행(수원, 안산 방면), 상행(청량리, 당고개 방면) 열차가 같은 면 승강장에 정차하며, 상행에서 하행이나 반대 방향은 계단을 두 번 오르내려야 한다.
일반적인 교차 플랫폼 환승은 승객들이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열차를 갈아탈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서로 다른 방향 열차가 소규모 및 대규모 환승역에서 만나는 곳에 적용되지만, 전 세계 지하철 및 기타 철도 네트워크 일부 환승역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노선 분기역이나 교차역에서, 동서남북 반대 방향 열차끼리 대면 환승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예가 있다. 주로 지선끼리, 또는 지선과 본선 교외 방면 환승을 위해 설치된다.
일본에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다. 사업자에 따라, 대면 환승을 위해 특례로 되돌아가는 승차를 인정하는(복승 취급을 하지 않는) 역도 있다.
분기역이 섬식 승강장 1면 2선 단순 구조인 경우에는, 특별한 제약 없이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
공항 노선 분기역인 미나미치토세역이나 히네노역에서는 과거 배선 및 승강장 사용 방법을 궁리하여, 공항 방면 열차와 반대 방향 열차(미나미치토세역은 도마코마이・오비히로 방면, 히네노역은 와카야마 방면) 대면 환승을 실시했지만, 다이어 구성 제약이 커 히네노역은 1999년, 미나미치토세역은 2020년에[31] 종료되었다.
사업자 | 노선 | 역 | 접속 방향 | 비고 |
---|---|---|---|---|
동일본 여객철도 | 도호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 후쿠시마역 | 야마가타 신칸센 도쿄 방면 / 도호쿠 신칸센 신아오모리 방면 | |
야마가타선 센잔선 | 우젠치토세역 | 야마가타선 야마가타 방면 / 센잔선 센다이 방면 | rowspan="2" | | |
센잔선 야마가타 방면 / 야마가타선 신조 방면 | ||||
야마노테선 주오-소부 완행선 | 요요기역 | 주오-소부 완행선 미타카 방면 / 야마노테선 시부야・시나가와 방면 | ||
야마노테선 게이힌 토호쿠선 | 시나가와역 | 야마노테선 시부야・신주쿠 방면 / 게이힌 토호쿠선 오미야 방면 | ||
게이힌 토호쿠선 요코하마선 | 히가시카나가와역 | 게이힌 토호쿠선 요코하마 방면 / 요코하마선 하치오지 방면 | 요코하마선 발착 승강장이 열차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대면 접속이 가능하지 않다 | |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임해 고속철도 | 쇼난 신주쿠 라인・소테쓰선 직통 열차 린카이선 | 오사키역 | 쇼난 신주쿠 라인・소테쓰선 직통 열차 오미야 방면 / 린카이선 신키바 방면 | 린카이선 발착 승강장이 열차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대면 접속이 가능하지 않다 |
린카이선(당역 종착) / 쇼난 신주쿠 라인 오다와라・즈시 방면, 소테쓰선 직통 열차 에비나 방면 | ||||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메트로 | 주오 쾌속선 도자이선 | 나카노역 | 주오 쾌속선 다카오 방면 / 도자이선 니시후나바시 방면 | 도자이선 발착 승강장이 열차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대면 접속이 가능하지 않다 |
도쿄 메트로 도영 지하철 |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도영 지하철 신주쿠선 | 구단시타역 | 한조몬선 오시아게 방면 / 신주쿠선 신주쿠 방면 | |
세이부 철도 | 신주쿠선 이케부쿠로선 | 도코로자와역 | 신주쿠선 세이부신주쿠 방면 / 이케부쿠로선 이케부쿠로 방면 | |
긴키 일본 철도 | 오사카선 나고야선 | 이세나카가와역 | 오사카선 오사카우에혼마치 방면 / 나고야선 긴테쓰나고야 방면 | 중앙 3・4번선과 그 사이 섬식 승강장을 메인으로 사용,[32][33][34] |
서일본 여객철도 | 가타마치선(갓켄토시선) 오사카 히가시선 | 시기노역 | 갓켄토시선 기즈 방면 / 오사카 히가시선 신오사카 방면 | |
난카이 전기 철도 | 본선 고야선 | 덴가차야역 | 고야선 난바 방면 / 본선 와카야마시 방면 | 기시리타마데역 사이에서 되돌아가는 승차가 되지만, 특례로 인정 |
본선 공항선 | 이즈미사노역 | 공항선 난바 방면 / 본선 와카야마시 방면 | ||
본선 난바 방면 / 공항선 간사이 공항 방면 | ||||
게이한 전기 철도 | 본선 나카노시마선 | 덴마바시역 | 본선 데마치야나기 방면 / 나카노시마선 나카노시마 방면 | |
한신 전기 철도 | 본선 한신 난바선 | 다이모쓰역 | 본선 고베산노미야 방면 / 한신 난바선 오사카난바 방면 | |
한큐 전철 | 고베 본선 다카라즈카 본선 교토 본선 | 주소역 | 고베 본선 우메다 방면 / 다카라즈카 본선 다카라즈카 방면 | |
다카라즈카 본선 우메다 방면 / 교토 본선 가와라마치 방면 | ||||
니시테쓰 | 덴진 오무타선 아마기선 | 미야노진역 | 덴진 오무타선 오무타 방면 / 아마기선 아마기 방면 | |
2. 2. 열차 종류 간 평면 환승
2010년 완성된 김포공항역의 평면 환승 구조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9호선이 시내·시외 방향별로 각각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접속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3층은 섬식 승강장의 북쪽에 승강장과 선로가 하나 더 붙어 있는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이나, 가장 북쪽의 승강장은 사용되지 않아 섬식 승강장처럼 운용되고 있다. 이 섬식 승강장의 북쪽 선로에는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일반·급행열차가 정차하고 남쪽 선로에는 공항철도 서울 방면 열차가 정차하여, 시내 방면으로 갈 승객들이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지하 4층의 1면 2선 섬식 승강장의 경우, 북쪽 선로에는 개화역 방향 일반열차와 김포공항역 종착 급행열차가 정차하고, 남쪽 선로에는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공항철도 열차가 정차하여 시외 방면으로 갈 승객들이 편리하도록 돕고 있다.금정역은 가운데에 4선의 선로가 있는 상대식 승강장의 바로 옆에 선로를 부설한 형태로, 가운데 승강장은 1호선이 활용하고 나머지 선로는 4호선이 활용하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현재와 같은 금정역의 구조는 1993년 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가 운행되면서부터 완성되었다. 각 노선의 하행 (수원 방면, 안산 방면), 상행 (청량리 방면, 당고개 방면) 열차가 각각 같은 면의 승강장에 정차하고 있으며, 상행에서 하행이나 반대 방향의 경우 계단을 두 번 오르내려야 한다.
일반적인 교차 승강장 환승은 승객들이 다른 승강장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열차를 갈아탈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서로 다른 방향의 열차가 소규모 및 대규모 환승역에서 만나는 곳에 적용되지만, 이러한 방식은 전 세계 지하철 및 기타 철도 네트워크의 일부 환승역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일부 철도 노선은 급행 열차와 완행 열차 간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열차 간의 평면 환승을 제공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환승은 많은 유럽 철도 간이 허브에서 급행 열차를 지역 지선 서비스에 연결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파리의 RER E 또는 뉴욕 주의 메트로 노스 허드슨 선과 같은 교외 노선의 지상 구간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완행-급행 환승은 시카고, 청두, 런던(스트랫퍼드)[2], 뉴욕, 필라델피아와 같은 몇몇 지하철 네트워크에서만 발견된다. 뉴욕 지하철 시스템은 완행 열차와 급행 열차 간의 평면 환승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역을 갖추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각 섬식 승강장 쌍을 사용하여 한쪽 면은 급행 열차, 다른 쪽 면은 완행 열차를 운행하며, 두 열차 모두 같은 방향으로 운행한다.[3][4]
급행 열차와 완행 열차는 보통 다른 방향으로 운행하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열차 간의 평면 환승(예: 지하철과 철도 간의 환승)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노선 간의 평면 환승과 결합된다.

일본에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다.
사업자 | 노선 | 역 | 접속 방향 | 비고 |
---|---|---|---|---|
동일본 여객철도 | 도호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 후쿠시마역 | 야마가타 신칸센 도쿄 방면 / 도호쿠 신칸센 신아오모리 방면 | |
야마가타선 센잔선 | 우젠치토세역 | 야마가타선 야마가타 방면 / 센잔선 센다이 방면 | rowspan="2" | | |
센잔선 야마가타 방면 / 야마가타선 신조 방면 | ||||
야마노테선 주오-소부 완행선 | 요요기역 | 주오-소부 완행선 미타카 방면 / 야마노테선 시부야・시나가와 방면 | ||
야마노테선 게이힌 토호쿠선 | 시나가와역 | 야마노테선 시부야・신주쿠 방면 / 게이힌 토호쿠선 오미야 방면 | ||
게이힌 토호쿠선 요코하마선 | 히가시카나가와역 | 게이힌 토호쿠선 요코하마 방면 / 요코하마선 하치오지 방면 | 요코하마선이 발착하는 승강장이 열차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대면 접속이 가능하다고는 할 수 없다 | |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임해 고속철도 | 쇼난 신주쿠 라인・소테쓰선 직통 열차 린카이선 | 오사키역 | 쇼난 신주쿠 라인・소테쓰선 직통 열차 오미야 방면 / 린카이선 신키바 방면 | 린카이선이 발착하는 승강장이 열차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대면 접속이 가능하다고는 할 수 없다 |
린카이선(당역 종착) / 쇼난 신주쿠 라인 오다와라・즈시 방면, 소테쓰선 직통 열차 에비나 방면 | ||||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메트로 | 주오 쾌속선 도자이선 | 나카노역 | 주오 쾌속선 다카오 방면 / 도자이선 니시후나바시 방면 | 도자이선의 발착하는 승강장이 열차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대면 접속이 가능하다고는 할 수 없다 |
도쿄 메트로 도영 지하철 |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도영 지하철 신주쿠선 | 구단시타역 | 한조몬선 오시아게 방면 / 신주쿠선 신주쿠 방면 | |
세이부 철도 | 신주쿠선 이케부쿠로선 | 도코로자와역 | 신주쿠선 세이부신주쿠 방면 / 이케부쿠로선 이케부쿠로 방면 | |
긴키 일본 철도 | 오사카선 나고야선 | 이세나카가와역 | 오사카선 오사카우에혼마치 방면 / 나고야선 긴테쓰나고야 방면 | 중앙의 3・4번선과 그 사이의 섬식 승강장을 메인으로 사용함으로써, 대면 환승을 실현하고 있다[32][33][34] |
서일본 여객철도 | 가타마치선(갓켄토시선) 오사카 히가시선 | 시기노역 | 갓켄토시선 기즈 방면 / 오사카 히가시선 신오사카 방면 | |
난카이 전기 철도 | 본선 고야선 | 덴가차야역 | 고야선 난바 방면 / 본선 와카야마시 방면 | 기시리타마데역과의 사이에서 되돌아가는 승차가 되지만, 특례로 인정되고 있다 |
본선 공항선 | 이즈미사노역 | 공항선 난바 방면 / 본선 와카야마시 방면 | ||
본선 난바 방면 / 공항선 간사이 공항 방면 | ||||
게이한 전기 철도 | 본선 나카노시마선 | 덴마바시역 | 본선 데마치야나기 방면 / 나카노시마선 나카노시마 방면 | |
한신 전기 철도 | 본선 한신 난바선 | 다이모쓰역 | 본선 고베산노미야 방면 / 한신 난바선 오사카난바 방면 | |
한큐 전철 | 고베 본선 다카라즈카 본선 교토 본선 | 주소역 | 고베 본선 우메다 방면 / 다카라즈카 본선 다카라즈카 방면 | |
다카라즈카 본선 우메다 방면 / 교토 본선 가와라마치 방면 | ||||
니시테쓰 | 덴진 오무타선 아마기선 | 미야노진역 | 덴진 오무타선 오무타 방면 / 아마기선 아마기 방면 | |
2. 3. 운행 방향에 따른 평면 환승
2010년에 완성된 김포공항역의 평면 환승 구조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9호선이 시내·시외 방향별로 각각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접속하는 방식이다. 지하 3층은 섬식 승강장 북쪽에 승강장과 선로가 하나 더 붙어 있는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이나, 가장 북쪽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아 섬식 승강장처럼 운용된다. 북쪽 선로에는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일반·급행열차가, 남쪽 선로에는 공항철도 서울 방면 열차가 정차하여 시내 방면 환승을 돕는다. 지하 4층 섬식 승강장은 북쪽 선로에 개화역 방향 일반열차와 김포공항역 종착 급행열차가, 남쪽 선로에는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공항철도 열차가 정차하여 시외 방면 환승을 돕는다.[1]금정역은 가운데 4선 선로가 있는 상대식 승강장 옆에 선로를 부설한 형태로, 가운데 승강장은 1호선이, 나머지 선로는 4호선이 활용한다. 1993년 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 운행으로 현재 구조가 완성되었다. 각 노선 하행(수원, 안산 방면), 상행(청량리, 당고개 방면) 열차가 같은 면 승강장에 정차하며, 상행에서 하행이나 반대 방향은 계단을 두 번 오르내려야 한다.[2]
2개 노선 환승이 가능하더라도, 양방향 대면 환승이 가능한 조합은 제한적이다. 그래서 역 전후 선로에 교차를 설치하여 여러 역을 통해 양방향 환승을 가능하게 한다. 열차 운행 횟수가 많은 노선에서는 정교한 입체 교차를 설치하여 대면 환승을 한다.[3]
홍콩 MTR이나 싱가포르 MRT는 여러 역을 조합하여 동일 방향, 반대 방향 모두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 위 그림은 홍콩 MTR 관통선(녹색)·장군오선(보라색) 유탕역(왼쪽 위), 탸오징링역(오른쪽 아래) 배선 약도이다. 관통선 구룡 방면(위)과 장군오선 홍콩섬 방면(왼쪽) 상호 간은 유탕역에서, 구룡 방면과 장군오선 장군오 방면(오른쪽 아래)은 탸오징링역에서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3]
일본에서는 야마노테선과 중앙·소부 완행선에서 요요기역 - 신주쿠역 사이 입체 교차를 설치하여 각 방면 대면 환승을 실현한다. 야마노테선 외선 순환과 중앙·소부 완행선 서쪽 행, 야마노테선 내선 순환과 중앙·소부 완행선 동쪽 행은 신주쿠역에서, 서쪽 행에서 내선 순환은 요요기역에서 대면 환승을 할 수 있다. 내선 순환에서 서쪽 행도 요요기역에서 대면 환승이 가능하지만, 신주쿠역을 두 번 통과하므로 차내 방송 안내는 없다. 외선 순환과 동쪽 행은 대면 환승을 할 수 없으며, 요요기역에서 계단 이동이 필요하다.[3]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나카노사카우에역에서는 1번선 오기쿠보 방면 ⇔ 2번선 호난초 방면 ⇔ 3번선 이케부쿠로 방면 양방향으로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3]
2. 3. 1. 동일 방향 평면 환승
동일 방향 평면 환승은 같은 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 간의 환승을 편리하게 만든 방식이다. 주로 대피역, 방향별 복복선, 분기역 등에서 활용된다.- 대피역: 복복선을 사용하지 않고 대면 환승으로 완급 결합을 하는 일반적인 방식이다. 주로 대형 사철이나 JR의 도시 간 노선에서 볼 수 있다. 먼저 각역 정차 열차가 대피선 쪽 승강장에 정차하고, 뒤이어 온 특급 열차가 본선 승강장에 정차하여, 먼저 도착한 각역 정차보다 먼저 출발하는 방식이다.
- 방향별 복복선: 방향별 복복선을 채택한 노선에서는 동일 방향 열차끼리 인접하여 주행하므로, 양쪽에 승강장을 배치하여 대면 환승을 용이하게 한다. 주로 각역 정차와 특급 열차로 선로가 나누어진 경우의 완급 결합에 사용된다. JR 서일본의 비와코선, JR 교토선, JR 고베선 복복선 구간 주요 역에서 신쾌속, 쾌속과 보통 열차 간 대면 환승이 이루어진다. JR 동일본의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은 다바타-다마치 구간이 방향별 복복선이며, 낮 시간 게이힌 도호쿠선 쾌속 운행 시 완급 결합 역할을 한다.
- 선로별 복복선: 선로별 복복선 노선에서는 반대 방향 열차끼리 인접하여 주행하므로 대면 환승이 어렵지만, 특정 역 전후에 입체 교차를 설치하여 역 구내만 방향별 복복선으로 만들어 대면 환승을 가능하게 한 사례가 있다. 도카이도 본선 도츠카역의 도카이도선(우에노 도쿄 라인)과 요코스카선(쇼난 신주쿠 라인), 주오 본선·소부 본선 오차노미즈역의 주오 쾌속선과 주오·소부 완행선이 그 예시이다.[22]
- 분기역: 노선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분기역에서, 기점에서 각 방향으로 가는 열차가 교대로 운행될 때 대면 환승으로 연결하는 경우가 있다. 세이부 철도 신주쿠선과 하이지마선은 고다이라역에서 대면 환승을 한다.
- 상호 직통 운전을 하는 노선의 경계역에서 대면 환승이 가능한 역이 많다. 센가쿠지역처럼 지하철역에 교외 철도가 합류하는 형태도 있다.
사업자 | 노선 | 역 | 접속 방향 | 비고 |
---|---|---|---|---|
JR 동일본 | 소토보선 게이요선 우치보선 | 소가역 | 소토보선 지바 방면 / 게이요선 신키바 방면 | 지바에서 JR 소부 쾌속선에 직통 게이요선의 당역 회차와는 대면 연결하지 않음 |
소토보선 오아미 방면 / 우치보선 기사라즈 방면 | ||||
도부 철도 도쿄 메트로 | 도조선 유라쿠초선 부도심선 | 와코시역 | 도조선 이케부쿠로 방면 / 유라쿠초선 신키바 방면·부도심선 시부야 방면 | 유라쿠초선과 부도심선은 당역 - 고타케무카이하라의 선로를 공유 |
도부 철도 | 이세사키선 | 히키후네역 | 아사쿠사 방면 / 오시아게 방면 | 오시아게에서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에 직통 정식 분기역은 도쿄 스카이트리 및 오시아게[24] 이지만, 개찰 외 환승 |
이세사키선 닛코선 | 도부 도부쓰코엔역 | 이세사키선 이세사키 방면 / 닛코선 도부 닛코 방면 | ||
닛코선 기누가와선 | 시모이마이치역 | 닛코선 도부 닛코 방면 / 기누가와선 신후지와라 방면 | ||
세이부 철도 도쿄 메트로 | 세이부 유라쿠초선 유라쿠초선 부도심선 | 고타케무카이하라역 | 유라쿠초선 신키바 방면 / 부도심선 시부야 방면 | 정식 분기역은 이케부쿠로지만, 도착하는 승강장이 달라서 개찰 외 환승[25] |
세이부선 네리마 방면 / 유라쿠초선·부도심선 와코시 방면 | 유라쿠초선과 부도심선은 와코시 - 당역의 선로를 공유 | |||
세이부 철도 | 이케부쿠로선 세이부 유라쿠초선 도시마선 | 네리마역 | 이케부쿠로선 이케부쿠로 방면 / 세이부 유라쿠초선 고타케무카이하라 방면 | 고타케무카이하라에서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부도심선에 직통 |
이케부쿠로선 한노 방면 / 도시마선 도시마엔 방면 | ||||
신주쿠선 하이지마선 | 고다이라역 | 신주쿠선 혼카와고에 방면 / 하이지마선 하이지마 방면 | ||
게이세이 전철 | 본선 오시아게선 | 아오토역 | 본선 게이세이 우에노 방면 / 오시아게선 오시아게 방면 | 오시아게에서 도영 지하철 아사쿠사선에 직통 |
게이세이 전철 호쿠소 철도 | 본선 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선 호쿠소선 | 게이세이 다카사고역 | 본선 나리타 공항 방면 / 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선 나리타 공항 방면 / 호쿠소선 인바 니혼이다이 방면 | 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선과 호쿠소선은 당역 - 인바 니혼이다이의 선로를 공유 |
게이오 전철 | 게이오선 게이오 신선 | 사사즈카역 | 게이오선 신주쿠 방면 / 게이오 신선 신주쿠(신선 신주쿠) 방면 | 게이오 신선 신주쿠(신선 신주쿠)에서 도영 지하철 신주쿠선에 직통 정식 분기역은 신주쿠[26] 이며, 개찰 내 환승은 가능하지만, 도착하는 승강장이 다르다. |
게이오선 사가미하라선 | 조후역 | 게이오선 게이오하치오지 방면 / 사가미하라선 하치오지 방면 | ||
게이오선 다카오선 | 기타노역 | 게이오선 게이오하치오지 방면 / 다카오선 다카오산구치 방면 | ||
도큐 전철 | 도요코선 메구로선 | 덴엔초후역 | 도요코선 시부야 방면 / 메구로선 메구로 방면 | 당역 - 히요시역 간은 방향별 복복선이 되어 있다 |
도요코선 도큐 신요코하마선 | 히요시역 | 도요코선 요코하마 방면 / 도큐 신요코하마선 신요코하마 방면 | 요코하마에서 미나토미라이선에, 신요코하마에서 소테쓰 신요코하마선 방면에 각각 직통 | |
덴엔토시선 오이마치선 | 후타코타마가와역 | 덴엔토시선 시부야 방면 / 오이마치선 오이마치 방면 | 당역 - 미조노구치역 간은 방향별 복복선 | |
게이힌 급행 전철 도영 지하철 | 본선 아사쿠사선 | 센가쿠지역 | 게이큐 본선 우라가 방면 / 아사쿠사선 니시마고메 방면 | |
게이힌 급행 전철 | 본선 공항선 | 게이큐 가마타역 | 본선 우라가 방면 / 공항선 하네다 공항 방면 | 공항선의 발착하는 번선이 열차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대면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님 |
본선 시나가와 방면 / 공항선 하네다 공항 방면 | ||||
본선 즈시선 | 가나자와핫케이역 | 본선 우라가 방면 / 즈시선 즈시·하야마 방면 | 조조·심야대를 제외 | |
본선 시나가와 방면 / 즈시선 즈시·하야마 방면 | 조조·심야대만 | |||
본선 구리하마선 | 호리노우치역 | 본선 우라가 방면 / 구리하마선 미사키구치 방면 | ||
오다큐 전철 도쿄 메트로 | 오다와라선 지요다선 | 요요기우에하라역 | 오다와라선 신주쿠 방면 / 지요다선 아야세 방면 | |
오다큐 전철 | 오다와라선 에노시마선 | 사가미오노역 | 오다와라선 오다와라 방면 / 에노시마선 가타세에노시마 방면 | |
사가미 철도 | 본선 이즈미노선 | 후타마타가와역 | 본선 에비나 방면 / 이즈미노선 쇼난다이 방면 | |
본선 소테쓰 신요코하마선 | 니시야역 | 본선 요코하마 방면 / 소테쓰 신요코하마선 신요코하마 방면 |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에서 JR 사이쿄선 방면에, 신요코하마에서 도큐 신요코하마선에 직통 | |
도영 지하철 | 오에도선 | 도초마에역 | 오에도선 롯폰기 방면 → 이이다바시 방면 | |
도쿄 메트로 도영 지하철 | 난보쿠선 미타선 | 시로카네타카나와역 | 난보쿠선 아카바네이와부치 방면 / 미타선 니시타카시마다이라 방면 | 난보쿠선과 미타선은 당역 - 메구로역 간은 선로를 공유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메이조선 메이코선 | 가나야마역 | 메이조선 신나고야 방면 / 메이코선 나고야코 방면 | |
나고야 철도 나고야 시영 지하철 | 이누야마선 쓰루마이선 | 가미오타이역 | 이누야마선 메이테쓰 나고야 방면 / 쓰루마이선 아카이케 방면 | |
나고야 철도 | 나고야 본선 쓰시마선 | 스게구치역 |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기후 방면 / 쓰시마선 쓰시마 방면 | |
본선 도코나메선 | 진구마에역 | 나고야 본선 도요하시 방면 / 도코나메선 도코나메 방면 | ||
도코나메선 고와선 | 오타가와역 | 도코나메선 도코나메 방면 / 고와선 고와 방면 | 가나야마 방면 행은 도착하는 승강장이 다름 | |
긴키 일본 철도 교토 시영 지하철 | 교토선 가라스마선 | 다케다역 | 교토선 교토 방면 / 가라스마선 고쿠사이카이칸 방면 | |
긴키 일본 철도 | 나라선 교토선 가시하라선 | 야마토사이다이지역 | 나라선 오사카 난바 방면 / 교토선 교토 방면 | |
나라선 긴테쓰 나라 방면 / 가시하라선 가시하라진구마에 방면 | ||||
나라선 오사카선 | 쓰루하시역 | 나라선 오사카 난바 방면 / 오사카선 오사카우에혼마치 방면 | Y자 구조 오사카우에혼마치에서는 도착하는 승강장이 다름 | |
나라선 긴테쓰 나라 방면 / 오사카선 이세나카가와 방면 | ||||
미나미오사카선 나가노선 | 후루이치역 | 미나미오사카선 가시하라진구마에 방면 / 나가노선 가와치나가노 방면 | ||
한신 전기 철도 | 본선 한신 난바선 | 아마가사키역 | 본선 오사카 우메다 방면 / 한신 난바선 오사카 난바 방면 | 2번선(본선)과 3번선(한신 난바선) 3번선의 한신 난바선 열차의 승객은 2번선에 정차 중인 본선 보통 열차를 경유하여 1번선의 본선 급행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 |
한큐 전철 | 교토선 센리선 | 아와지역 | 교토선 오사카 우메다 방면 / 센리선 덴가차야 방면 | 덴진바시스지 6초메에서 Osaka Metro 사카이스지선에 직통 |
교토선 교토 가와라마치 방면 / 센리선 기타센리 방면 | ||||
서일본 여객철도 | 도카이도 본선(JR 고베선·JR 다카라즈카선) JR 도자이선 후쿠치야마선(JR 다카라즈카선) | 아마가사키역 | JR 고베선 오사카 방면 / JR 도자이선 교토 방면 | 오사카에서 도카이도 본선(JR 교토선)에 직통 / 교토에서 가타마치선(가쿠켄토시선)에 직통 |
JR 고베선 고베 방면 / JR 다카라즈카선 다카라즈카 방면 | 고베에서 산요 본선(JR 고베선)에 직통 | |||
간사이 본선(야마토지선) 오사카 순환선 | 신이마미야역 | 야마토지선 JR 난바 방면 / 오사카 순환선 니시쿠조 방면 | ||
야마토지선 규호지·한와선 히네노 방면 / 오사카 순환선 쓰루하시 방면 | ||||
간사이 본선(야마토지선) 오사카 히가시선 | 규호지역 | 야마토지선 JR 난바 방면 / 오사카 히가시선 신오사카 방면 | ||
- 이 외에도 많은 분기역에서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
- 노세 전철 야마시타역에서는 낮 시간에 가와니시노세구치 방면에서 닛세이추오역 (닛세이선)으로 가는 승객이 묘켄구치역 (묘켄선)행 열차를 탔을 경우, 동일 승강장에서 대면 환승이 가능하도록 배려하고 있다.[27][28]
- 타이 왕국의 방콕 스카이트레인시암역에서도 동일 승강장에서 대면 환승을 할 수 있다.
; 환승역
선로를 공유하지 않고 상호 운행도 하지 않는 노선끼리 환승역 승강장만 공유하여 대면 환승을 가능하게 한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도쿄 메트로 오모테산도역에서는 한조몬선과 긴자선 사이에서 오시아게 방면과 아사쿠사 방면, 시부야 방면 간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
사업자 | 노선 | 역 | 접속 방향 | 비고 |
---|---|---|---|---|
도쿄 메트로 | 긴자선 마루노우치선 | 아카사카미쓰케역 | 긴자선 시부야 방면 / 마루노우치선 오기쿠보 방면 | 지하 2층 승강장 |
긴자선 아사쿠사 방면 / 마루노우치선 이케부쿠로 방면 | 지하 3층 승강장 | |||
긴자선 한조몬선 | 오모테산도역 | 긴자선 시부야 방면 / 한조몬선 시부야 방면 | Y자 구조 시부야에서는 도착하는 승강장이 다름 | |
긴자선 아사쿠사 방면 / 한조몬선 오시아게 방면 | ||||
동일본 여객철도 | 야마노테선 주오·소부 완행선 | 신주쿠역 | 야마노테선 시부야 방면 / 주오·소부 완행선 지바 방면 | |
야마노테선 이케부쿠로 방면 / 주오·소부 완행선 미타카 방면 | ||||
도카이도선 요코스카선 | 도츠카역 | 도카이도선 도쿄 방면 / 요코스카선 도쿄 방면 | ||
도카이도선 오다와라 방면 / 요코스카선 구리하마 방면 | ||||
도큐 전철 도쿄 메트로 | 도요코선 히비야선 | 나카메구로역 | 도요코선 시부야 방면 / 히비야선 기타센주 방면 | |
도요코선 요코하마 방면 / 히비야선 종착역 | 히비야선은 당역이 종착역이며, 요코하마 방면으로의 영업 운전은 하지 않음 2013년 3월 15일까지는 당역을 경유하여 도요코선과 히비야선의 상호 직통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 |||
도큐 전철 | 메구로선 오이마치선 | 오오카야마역 | 메구로선 히요시 방면 / 오이마치선 미조노구치 방면 | |
메구로선 메구로 방면 / 오이마치선 오이마치 방면 | ||||
세이부 철도 | 하이지마선 국분지선 | 오가와역 | 하이지마선 고다이라 방면 / 국분지선 히가시무라야마 방면 | |
하이지마선 하이지마 방면 / 국분지선 고쿠분지 방면 | ||||
서일본 여객철도 | 가타마치선(가쿠켄토시선) 오사카 히가시선 | 하나텐역 | 가쿠켄토시선 기즈 방면 / 오사카 히가시선 신오사카 방면 | |
가쿠켄토시선 교바시 방면 / 오사카 히가시선 신오사카 방면 | 교바시에서 JR 도자이선에 직통 | |||
오사카 메트로 | 미도스지선 요쓰바시선 | 다이코쿠초역 | 미도스지선 나카모즈 방면 / 요쓰바시선 스미노에코엔 방면 | |
미도스지선 센리추오 방면 / 요쓰바시선 니시우메다 방면 | 난바 이북에서는 도착하는 승강장이 다름 | |||
고베 전철 고베 시 교통국 (고베 시영 지하철) | 아리마선 기타신선 | 타니가미역 | 고베 전철은 상하 열차 모두 동일 승강장에 발착시킴으로써, 세 방향의 환승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아침 저녁의 일부를 제외)[27][28] | |
열차 종착역에서 더 나아가는 열차를 마주보게 정차시켜 대면 환승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궤간이나 전철화 방식 차이로 직통 운전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환승을 용이하게 한다.
신하코다테호쿠토역에서는 홋카이도 신칸센 11번 홈과 재래선 특급 호쿠토・쾌속 하코다테 라이너가 발착하는 1・2번 홈이 동일 평면에 있어 환승 개찰구를 거쳐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
2018년 4월 15일부터 니가타역 재래선 홈 고가화로 신칸센 11번 홈과 재래선 5번 홈에서 조에쓰 신칸센 도키와 재래선 특급 이나호 대면 환승이 가능해졌다.
히메지역-오카야마역 간 대면 환승은 카미고리역 경유 시 아이오이역, 아코선 경유 시 반슈아코역에서 한다. 도부 철도 도부 도조선은 오가와마치역을 경계로 요리이 방면과 이케부쿠로 방면 운행 계통이 분리되어 있지만, 배선과 열차 시각표에 따라 접속 열차끼리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
김포공항역의 평면 환승 구조는 2010년에 완성되었으며, 인천국제공항철도와 9호선이 시내·시외 방향별로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접속한다. 지하 3층은 섬식 승강장 북쪽에 승강장과 선로가 하나 더 붙어 있는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이나, 가장 북쪽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아 섬식 승강장처럼 운용된다. 북쪽 선로에는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일반·급행열차가, 남쪽 선로에는 공항철도 서울 방면 열차가 정차하여 시내 방면 환승을 돕는다. 지하 4층 섬식 승강장의 경우, 북쪽 선로에는 개화역 방향 일반열차와 김포공항역 종착 급행열차가, 남쪽 선로에는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공항철도 열차가 정차하여 시외 방면 환승을 돕는다.
금정역은 가운데 4선 선로가 있는 상대식 승강장 옆에 선로를 부설한 형태로, 가운데 승강장은 1호선이, 나머지 선로는 4호선이 활용한다. 1993년 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 운행으로 현재 구조가 완성되었다. 각 노선 하행(수원, 안산 방면), 상행(청량리, 당고개 방면) 열차가 같은 면 승강장에 정차한다.
2. 3. 2. 반대 방향 평면 환승
반대 방향 평면 환승은 반대 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 간의 환승을 편리하게 만든 방식이다. 주로 지선 간 환승이나, 지선과 본선 간의 교외 방면 환승 등에 활용된다.2010년 완성된 김포공항역의 평면 환승 구조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9호선이 시내·시외 방향별로 각각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접속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3층은 섬식 승강장의 북쪽에 승강장과 선로가 하나 더 붙어 있는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이나, 가장 북쪽의 승강장은 사용되지 않아 사실상 섬식 승강장처럼 운용되고 있다. 이 섬식 승강장의 북쪽 선로에는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일반·급행열차가 정차하고 남쪽 선로에는 공항철도 서울 방면 열차가 정차하여, 시내 방면으로 가는 승객들이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다. 지하 4층의 1면 2선 섬식 승강장의 경우, 북쪽 선로에는 개화역 방향 일반열차와 김포공항역 종착 급행열차가 정차하고, 남쪽 선로에는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공항철도 열차가 정차하여 시외 방면으로 가는 승객들이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다.
금정역은 가운데에 4개의 선로가 있는 상대식 승강장 바로 옆에 선로를 부설한 형태로, 가운데 승강장은 1호선이, 나머지 선로는 4호선이 활용한다. 1993년 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가 운행되면서 현재와 같은 구조가 완성되었다. 각 노선의 하행(수원, 안산 방면), 상행(청량리, 당고개 방면) 열차가 각각 같은 면의 승강장에 정차하며, 상행에서 하행이나 반대 방향의 경우 계단을 두 번 오르내려야 한다.
2개 노선의 환승이 가능하더라도, 양방향 대면 환승이 가능한 조합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역 전후 선로에 교차를 설치하여, 여러 역을 통해 서로의 노선 양방향으로 환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열차 운행 횟수가 많은 노선에서는 평면 교차로 대면 환승을 실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교한 입체 교차를 설치하여 대면 환승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예는 홍콩의 MTR이나 싱가포르의 MRT에서 볼 수 있으며, 여러 역을 조합하여 동일 방향, 반대 방향 모두 대면 환승이 가능하게 된 예도 있다. 오른쪽 그림은 홍콩 MTR 관통선(녹색)·장군오선(보라색)의 유탕역(왼쪽 위), 탸오징링역(오른쪽 아래)의 배선 약도이다. 관통선의 구룡 방면(위)과 장군오선의 홍콩섬 방면(왼쪽) 상호 간은 유탕역에서, 구룡 방면과 장군오선의 장군오 방면(오른쪽 아래)은 탸오징링역에서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
일본에서는 야마노테선과 중앙·소부 완행선에서 요요기역 - 신주쿠역 사이에 입체 교차를 설치하여 각 방면으로의 대면 환승을 실현하고 있다. 야마노테선 외선 순환과 중앙·소부 완행선 서쪽 행, 야마노테선 내선 순환과 중앙·소부 완행선 동쪽 행은 신주쿠역에서, 서쪽 행에서 내선 순환은 요요기역에서 대면 환승을 할 수 있다. 내선 순환에서 서쪽 행도 요요기역에서 대면 환승이 가능하지만, 신주쿠역을 두 번 통과하게 되므로(「복승」이 되어 신주쿠 - 요요기 간 유효한 정기권이나 프리 승차권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그 구간의 운임이 발생한다) 안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외선 순환과 동쪽 행은 대면 환승을 할 수 없으며, 요요기역에서 계단 이동이 필요하다.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의 나카노사카우에역에서는 1번선 오기쿠보 방면 ⇔ 2번선 호난초 방면 ⇔ 3번선 이케부쿠로 방면의 양방향으로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

맞이 환승을 활용하여 궤간이나 전철화 방식의 차이로 직통 운전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환승을 쉽게 하여 2개의 열차를 마치 1개의 열차인 것처럼 취급한 사례가 있다.
2004년 규슈 신칸센 부분 개통부터 2011년 하카타 연장까지 신야시로역에서 신칸센 승강장 맞은편에 가고시마 본선 특급 "릴레이 쓰바메"를 정차시켜 신칸센 "쓰바메"와 맞이 환승으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하였다. JR 규슈에서는 두 열차를 갈아타는 경우 지정석 위치를 가능한 한 같게 하거나 특급권을 한 장으로 하는 등 환승을 쉽게 하였다. 이러한 조치로 JR 규슈,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JRTT), 철도 정보 시스템 3자는 국토교통성 제3회 일본 철도상을, JR 규슈와 JRTT는 헤이세이 16년도 배리어 프리화 추진 공로자 표창을 받았다.
JR 규슈에서는 닛포 본선오이타역에서 계통이 분단된 "소닉"(하카타 - 오이타)와 "니치린"(벳푸 · 오이타 - 미야자키 시내) 사이에서도 유사한 조치를 취하여 벳푸역 또는 오이타역에서 지정석으로도 통일 요금으로 맞이 환승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동규슈 지역 내 원활한 이동이 실현되었다[35]。
2022년 부분 개통한 니시큐슈 신칸센에서도 잠정적인 기점역인 다케오온천역에서 신칸센 "카모메"와 사세보선 특급 열차 "릴레이 카모메" · "미도리 (릴레이 카모메)"와 맞이 접속을 하고 있다[36]。
2. 3. 3. 양방향 평면 환승
2010년 완성된 김포공항역의 평면 환승 구조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9호선이 시내·시외 방향별로 각각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접속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3층 섬식 승강장의 북쪽 선로에는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열차가, 남쪽 선로에는 공항철도 서울 방면 열차가 정차하여 시내 방면 환승을 편리하게 한다. 지하 4층은 북쪽 선로에 개화역 방향 열차와 김포공항역 종착 급행열차가, 남쪽 선로에는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공항철도 열차가 정차하여 시외 방면 환승이 편리하다.[1]금정역은 가운데 4선이 있는 상대식 승강장 바로 옆에 선로를 부설한 형태로, 가운데 승강장은 1호선이, 나머지 선로는 4호선이 활용한다. 1993년 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 운행 이후, 각 노선 하행(수원, 안산 방면), 상행(청량리, 당고개 방면) 열차가 같은 면 승강장에 정차한다. 상행에서 하행이나 반대 방향은 계단을 두 번 오르내려야 한다.[2]
2개 노선 환승에서 양방향 대면 환승이 가능한 조합은 제한적이다. 그래서 역 전후 선로에 교차를 설치하여 여러 역을 통해 양방향 환승을 가능하게 한다. 열차 운행 횟수가 많은 노선에서는 정교한 입체 교차를 설치하여 대면 환승을 한다.[3]
홍콩 MTR이나 싱가포르 MRT는 여러 역을 조합하여 동일 방향, 반대 방향 모두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 위 그림은 홍콩 MTR 관통선(녹색)·장군오선(보라색) 유탕역(왼쪽 위), 탸오징링역(오른쪽 아래) 배선 약도이다. 관통선 구룡 방면(위)과 장군오선 홍콩섬 방면(왼쪽) 상호 간은 유탕역에서, 구룡 방면과 장군오선 장군오 방면(오른쪽 아래)은 탸오징링역에서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3]
일본에서는 야마노테선과 중앙·소부 완행선에서 요요기역 - 신주쿠역 사이 입체 교차를 설치하여 불완전하지만 각 방면 대면 환승을 실현한다. 야마노테선 외선 순환과 중앙·소부 완행선 서쪽 행, 야마노테선 내선 순환과 중앙·소부 완행선 동쪽 행은 신주쿠역에서, 서쪽 행에서 내선 순환은 요요기역에서 대면 환승을 할 수 있다. 내선 순환에서 서쪽 행도 요요기역에서 대면 환승이 가능하지만, 신주쿠역을 두 번 통과하므로 차내 방송 안내는 없다. 외선 순환과 동쪽 행은 대면 환승을 할 수 없으며, 요요기역에서 계단 이동이 필요하다.[3]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나카노사카우에역에서는 1번선 오기쿠보 방면 ⇔ 2번선 호난초 방면 ⇔ 3번선 이케부쿠로 방면 양방향으로 대면 환승이 가능하다.[3]
도이치반(Deutsche Bahn) 인터시티(Intercity)는 주요 역에서 서로 다른 운행 계통 '인터시티'를 홈 양쪽에 정차시켜 대면 환승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 긴테쓰 특급도 야마토사이다이지역·야마토야기역·이세나카가와역 등에서 대면 환승이 실시되고 있다.[3]
3. 평면 환승의 장단점
평면 환승은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김포공항역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9호선이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만나 시내·시외 방향으로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금정역은 1호선과 4호선이 같은 승강장에서 만나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단선 승강장에서 선로와 접하지 않는 면을 활용하여 버스, 택시, 선박 등 다른 교통 기관과 같은 평면에서 환승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스위스 슈피츠역에서는 버스와 평면 환승을 할 수 있다.[37] 히로시마 전철미야지마선하쓰카이치 시청 앞 역, 도야마 지방 철도도야마항선이와세하마역, 구마모토 전기 철도기쿠치선미요시 역[38] 등은 승강장 맞은편에 로터리를 설치, 승강장과 버스 정류장 사이 단차를 없애 철도와 버스 간 환승을 편리하게 하고 있다. 영국 패딩턴역은 택시 승강장과 연결되어 환승이 가능하다.[37]
3. 1. 장점
- 환승을 위한 이동 거리와 시간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열차 간 이동을 위해 위아래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진다.
- 계단이나 연결 통로 등의 병목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 환승할 열차 및 종류가 바로 옆에 보이므로, 길을 잃을 염려가 없다.
- 일반적으로 승객은 환승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지만, 평면 환승은 상기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 평행 이동만으로 상하 이동이 없으므로, 배리어 프리 관점에서도 권장된다.
3. 2. 단점
평면 환승은 역 구조 및 열차 운행 계획 수립에 제약이 따르고, 승강장 건설 비용 및 용지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모든 환승 조합에 대해 평면 환승을 제공하기는 어렵다. 일부 환승 조합에 대해 평면 환승을 제공하면, 다른 조합에서는 오히려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금정역의 경우, 상행에서 하행이나 반대 방향으로 환승할 때 계단을 두 번 오르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37][38]
4. 대한민국의 평면 환승역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역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 김포공항역은 2010년에 완성된 평면 환승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철도와 9호선이 시내·시외 방향별로 각각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접속한다.
- 금정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이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1993년 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 운행과 함께 현재와 같은 구조가 완성되었다.
- 구로역과 용산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일부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용산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1호선 일부 열차 간 평면 환승도 가능하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성수역은 성수지선 열차와 외선순환 열차 간, 까치산역에서는 2호선 지선 열차와 서울 지하철 5호선 상일동·마천 방면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 오이도역에서는 과거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수인선 일부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그러나 한대앞역 - 오이도역 구간에서는 2020년 9월 12일부터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선로와 승강장을 공유하여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4. 1. 수도권 전철
김포공항역에서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서울 지하철 9호선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2010년에 완성된 김포공항역의 평면 환승 구조는, 두 노선이 시내·시외 방향별로 각각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접속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3층에서는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 일반·급행열차와 공항철도 서울 방면 열차가 같은 승강장에 정차하여 시내 방면 환승객의 편의를 돕고 있다. 지하 4층에서는 개화역 방향 일반열차 및 김포공항역 종착 급행열차와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공항철도 열차가 같은 승강장에 정차하여 시외 방면 환승객의 편의를 돕고 있다.금정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금정역은 가운데에 4선의 선로가 있는 상대식 승강장의 바로 옆에 선로를 부설한 형태로, 가운데 승강장은 1호선이 활용하고 나머지 선로는 4호선이 활용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1993년 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 운행 시작과 함께 현재와 같은 구조가 완성되었으며, 각 노선의 하행(수원, 안산 방면)과 상행(청량리, 당고개 방면) 열차가 각각 같은 면의 승강장에 정차한다.[1]
구로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내 일부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선로가 복잡하게 얽히는 분기역 특성상, 인천발 소요산 방면 상행 열차와 신창 방면 하행 열차 간, 천안발 용산급행과 인천행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2]
용산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일부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상행 열차와 동인천, 천안 방면 급행열차 간, 용산역 종착 급행열차와 인천, 신창 방면 하행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3]
성수역에서는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과 성수지선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쌍섬식 승강장 구조 덕분에, 성수지선 열차와 외선순환 (왕십리, 시청 방면)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4]
까치산역에서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과 서울 지하철 5호선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신정지선 열차가 단선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2호선 지선 열차와 5호선 상일동·마천 방면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5]
오이도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간 일부 구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과거에는 4호선과 수인선 일부 열차가 3·4번 승강장에서 평면 환승을 실시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한대앞역 - 오이도역 구간에서는 2020년 9월 12일 이후, 4호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선로와 승강장을 공용하기 때문에, 내린 그 자리에서 바로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6]
5. 세계의 평면 환승역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형태의 평면 환승역이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도쿄 메트로 아카사카미쓰케 역(긴자선-마루노우치선), 오모테산도 역(긴자선-한조몬선), 오사카 메트로 다이코쿠초 역(미도스지선-요츠바시선)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3] 긴키 닛폰 철도 쓰루하시역(나라선-오사카선), 한신 전기철도 아마가사키역(한신 난바선-한신 본선)에서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중국에서는 베이징 지하철 궈궁좡 역(9호선-팡산선), 상하이 지하철 훙차오 기차역(2호선-17호선) 등 여러 역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청두 시푸역은 청두 지하철 2호선과 중국 철도 청두-두장옌 간 고속철도 간의 평면 환승을 제공하는 중국 최초의 사례이다.[4]
홍콩에서는 MTR 몽콕 역, 프린스 에드워드 역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싱가포르에서는 SMRT 시청역, 래플스 플레이스 역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타이완에서는 타이베이 첩운 구팅역, 시먼역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독일의 베를린 S반은 베를린 동역 등에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19] 뮌헨 지하철은 Scheidplatz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19] 영국 런던 지하철 마일 엔드 역은 디스트릭트 선/해머스미스 & 시티 선과 센트럴 선 사이의 지하 레벨에서, 바킹 역은 디스트릭트 선/해머스미스 & 시티 선과 c2c 서비스 사이에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프랑스 파리 메트로는 라 모트-피케 - 그르넬역에서 파리 메트로 8호선과 파리 메트로 10호선 간에 평면 환승이 가능하며, 파리 RER은 샤틀레 - 레알 등에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지하철 노선망은 반 데르 마데베흐역에서 50호선과 53호선 간, 암스테르담 자위트역에서 50호선과 52호선 간에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미국 뉴욕 지하철은 통근 열차와 급행 열차가 운행하는 3개 또는 4선 노선을 많이 운영하고 있다. 평면 환승은 시스템 전역의 여러 위치에 위치하여 급행 열차와 통근 열차 간의 편리한 환승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급행 열차는 안쪽 선로를 이용하여 각 역에 정차하지 않고, 통근 열차는 바깥쪽 선로를 사용하여 모든 역에 정차한다. 급행역에는 일반적으로 급행선과 통근선 사이에 섬식 승강장이 있어, 승객이 같은 방향으로 가는 열차로 단순히 승강장을 건너 빠르게 갈아탈 수 있다.[20]
매우 일반적인 급행-통근 환승 외에도, 뉴욕 지하철에는 3개 또는 4개의 선로를 공유하지 않는 노선 간의 평면 환승이 여러 곳 있다.
- 퀸즈보로 플라자 역은 IRT 플러싱 선과 BMT 아스토리아 선 간의 동일 방향 평면 환승을 포함한다.
- 브루클린의 호이트-셔머혼 스트리트 및 제이 스트리트-메트로테크 역은 각각 IND 크로스타운 선과 IND 풀턴 스트리트 선, IND 컬버 선 간의 평면 환승을 허용한다.
- 7번가–53번가 역에서는, 이 역 근처의 선로 배치로 인해, 반대 방향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 브루클린의 BMT 브라이튼 선의 데칼브 애비뉴 및 프로스펙트 파크 역은 각각 BMT 포스 애비뉴 선과 BMT 프랭클린 애비뉴 선으로의 평면 환승을 특징으로 한다.
- 맨해튼의 렉싱턴 애비뉴–63번가 역은 두 개의 63번가 선 간의 평면 환승을 갖추고 있다.
자메이카 허브역인 롱아일랜드 철도 (LIRR)는 이곳에 정차하는 많은 노선 간의 평면 환승을 특징으로 한다.
LIRR의 전철화된 론콘코마 지선은 디젤 열차로 그린포트 역까지 전철화되지 않은 선로로 연장되어 환승이 필요하다. 론콘코마에서는 두 개의 선로가 이 역에서 내리려는 승객을 위한 측면 승강장을, 열차 간 환승을 위한 섬식 승강장을 제공한다. 열차는 스페인식 솔루션을 사용하여 양쪽 문을 연다.
시카고 "L" 지하철 네트워크에서, 하워드, 윌슨, 벨몬트, 풀러턴 역은 노스 사이드 메인 라인의 서로 다른 노선 간에 같은 방향으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모든 역은 항상 레드 라인이 운행하며, 피크 타임에는 퍼플 라인이 운행한다. 브라운 라인과 옐로우 라인도 이들 역 중 일부를 운행한다.

PATH 시스템은 뉴욕 대도시권을 운행하며, 저지 시티와 뉴어크에 평면 환승역을 갖추고 있다. 저지 시티의 저널 스퀘어 교통 센터에는 종착역인 저널 스퀘어–33번가 및 저널 스퀘어–33번가 (호보켄 경유) 열차 간의 평면 환승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뉴어크–세계 무역 센터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 뉴어크의 펜실베이니아 역에서는 뉴어크–세계 무역 센터행 PATH 열차와 뉴저지 교통국([NJ 트랜짓])이 운행하는 뉴욕 시행 열차 간에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뉴어크 펜 스테이션은 또한 뉴욕 시에서 출발하는 NJ 트랜짓 열차를 위한 평면 환승 시설을 갖추고 있다.
포트 오소리티 교통국 (PATH) 급행 철도 시스템과 암트랙, NJT 열차 간의 유료 평면 환승 연결이 뉴어크 펜 스테이션에 존재하며, 이를 통해 승객들은 세계 무역 센터로 가는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
SEPTA의 브로드 스트리트 선은 올니 교통 센터, 이리, 지라드, 스프링 가든, 레이스-바인, 시청, 월넛-로커스트 역에서 완행 열차와 급행 열차 간의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급행 교통(BART)의 인접한 세 역 - 12번가 오클랜드 시티 센터, 19번가 오클랜드, 맥아더 - 에는 북쪽으로 향하는 열차 간의 평면 환승이 있으며, 19번가 오클랜드가 지정된 시간대 환승 지점이다. 맥아더 역에는 동일 노선의 남쪽 방향 시간대 환승도 있다.
Caltrain 북행 플랫폼과 BART 플랫폼 중 하나 사이의 밀브레 역에도 평면 환승이 있다. 피츠버그/베이 포인트 동쪽에는 BART 시스템과 eBART 간의 전용 환승 플랫폼이 있어, 내륙 또는 외곽으로의 여행을 계속할 수 있다.
캐나다 몬트리올 지하철의 두 환승역은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Lionel-Groulx 역에서는 상단 승강장이 시내로 ''들어가는'' 앙리-부라사 또는 몽모렌시(오렌지 2호선) 열차와 오노레-보그랑(그린 1호선) 열차를 운행하고, 하단 승강장은 코트-베르튀(오렌지 2호선)와 앙그리뇽(그린 1호선) 열차를 운행하여 시내에서 ''나간다''. 대부분의 환승 승객이 시내로 들어가거나 나가기 때문에 이 역에서의 대부분의 환승은 평면 환승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Snowdon 역에서는 오렌지 노선 외행 승강장이 블루 노선 종착 승강장과 같은 높이에 있고, 오렌지 노선 내행 승강장은 블루 노선 출발 승강장과 연결되어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는 블루 노선이 원래 역 서쪽으로 연장될 계획이었기 때문에 설명되며, 이 경우 이 배열은 Lionel-Groulx 역의 배열과 동일한 이점을 제공했을 것이다.
2016년 12월, 밴쿠버 스카이트레인의 루히드 타운 센터역은 에버그린 연장선의 운행 시작을 준비하기 위해 3선 2면 승강장 역으로 확장되었다. 에버그린 연장선 운행 초기 18개월 동안 세 번째 승강장은 동쪽 방향 열차에, 섬식 승강장의 남쪽 절반은 서쪽 방향 열차에 사용되었다(밀레니엄 라인 열차는 역을 좌측 통행으로 운행). 이 조치로 인해 VCC-Clark 방면 밀레니엄 라인 열차와 컬럼비아 경유 워터프론트 방면 엑스포 라인 열차 간에 동일 방향 환승이 가능했다. 2018년 6월 25일, 밀레니엄 라인 열차의 정상적인 우측 통행 운행이 재개되어 프로덕션 웨이-유니버시티 방면 엑스포 라인 열차와 라파지 호수-더글라스 방면 밀레니엄 라인 열차 간에 반대 방향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다.
호주 시드니 기차는 센트럴 역에서 스트라스필드로 가는 급행 열차와 완행 열차, 웨스트미드에서 세인트 메리스까지 가는 웨스턴 노선의 4선 구간에서 같은 방향으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캠벨타운, 센트럴, 글렌필드, 그랜빌, 혼스비, 리드컴, 레드펀, 리버스비, 시드넘, 타운 홀에서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1]
시드니 지하철과 시드니 기차 간 평면 환승은 채츠우드에서 할 수 있다.[1]
5. 1. 아시아
대한민국에서는 서울 지하철 금정역과 김포공항역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금정역[1]: 1993년 과천선-안산선 직결 열차 운행 시작과 함께 현재의 구조가 완성되었다. 1호선과 4호선이 승강장을 공유하며, 각 노선의 하행(수원, 안산 방면)과 상행(청량리, 당고개 방면) 열차가 같은 면의 승강장에 정차한다.
1 | 4호선 | 범계, 사당, 당고개 방면 |
---|---|---|
2 | 1호선 | 명학, 구로, 영등포, 청량리 방면 |
3 | 군포, 병점, 천안, 신창 방면 | |
4 | 4호선 | 산본, 안산, 오이도 방면 |
5 | 사용하지 않음 | |
6 | 당역 종착 열차 |
- 김포공항역[2]: 2010년 완성된 구조로, 인천국제공항철도와 9호선이 시내·시외 방향별로 각각 지하 3층과 지하 4층에서 접속한다. 지하 3층에서는 9호선 중앙보훈병원 방면(북쪽 선로)과 공항철도 서울 방면(남쪽 선로) 열차가, 지하 4층에서는 9호선 개화 방면 및 김포공항 종착 급행열차(북쪽 선로)와 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남쪽 선로) 열차가 같은 승강장에 정차한다.
{| class="wikitable"
|+ 김포공항역 평면 환승 구조
|-
!rowspan="3"| 지하 3층
|rowspan="3"|
| 공항철도
|서울 방면
|-
| 9호선
|마곡나루, 가양, 당산, 노량진, 신논현, 종합운동장, 석촌, 올림픽공원, 중앙보훈병원 방면
|-
| colspan=2|사용하지 않음
|-
!rowspan="2"| 지하 4층
|rowspan="2"|
| 공항철도
|검암, 인천공항1터미널,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 9호선
|개화 방면 · 급행 당역 종착
|}
- 오이도역: 한때 4호선과 수인선 일부 열차가 평면 환승을 실시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 한대앞역 - 오이도역 구간: 2020년 9월 12일 이후, 4호선과 수인·분당선이 선로와 승강장을 공유하여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 구로역: 1호선 인천발 소요산 방면 상행 열차와 신창 방면 하행 열차, 천안발 용산급행과 인천행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 용산역: 1호선 문산 방면 상행 열차와 동인천, 천안 방면 급행열차 간, 용산역 종착 급행열차와 인천, 신창 방면 하행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 성수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열차와 외선순환 (왕십리, 시청 방면)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 까치산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열차와 5호선 상일동·마천 방면 열차 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일본에서는 도쿄 메트로 아카사카미쓰케 역(긴자선-마루노우치선), 오모테산도 역(긴자선-한조몬선), 오사카 메트로 다이코쿠초 역(미도스지선-요츠바시선)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3] 긴키 닛폰 철도 쓰루하시역(나라선-오사카선), 한신 전기철도 아마가사키역(한신 난바선-한신 본선)에서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중국에서는 베이징 지하철 궈궁좡 역(9호선-팡산선), 상하이 지하철 훙차오 기차역(2호선-17호선) 등 여러 역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청두 시푸역은 청두 지하철 2호선과 중국 철도 청두-두장옌 간 고속철도 간의 평면 환승을 제공하는 중국 최초의 사례이다.[4]
홍콩에서는 MTR 몽콕 역, 프린스 에드워드 역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싱가포르에서는 SMRT 시청역, 래플스 플레이스 역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타이완에서는 타이베이 첩운 구팅역, 시먼역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5. 2. 유럽
독일의 베를린 S반은 베를린 동역 등에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19] 뮌헨 지하철은 Scheidplatz 등에서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19] 영국 런던 지하철 마일 엔드 역은 디스트릭트 선/해머스미스 & 시티 선과 센트럴 선 사이의 지하 레벨에서, 바킹 역은 디스트릭트 선/해머스미스 & 시티 선과 c2c 서비스 사이에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프랑스 파리 메트로는 라 모트-피케 - 그르넬역에서 파리 메트로 8호선과 파리 메트로 10호선 간에 평면 환승이 가능하며, 파리 RER은 샤틀레 - 레알 등에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지하철 노선망은 반 데르 마데베흐역에서 50호선과 53호선 간, 암스테르담 자위트역에서 50호선과 52호선 간에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5. 3. 북미
미국 뉴욕 지하철은 통근 열차와 급행 열차가 운행하는 3개 또는 4선 노선을 많이 운영하고 있다. 평면 환승은 시스템 전역의 여러 위치에 위치하여 급행 열차와 통근 열차 간의 편리한 환승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급행 열차는 안쪽 선로를 이용하여 각 역에 정차하지 않고, 통근 열차는 바깥쪽 선로를 사용하여 모든 역에 정차한다. 급행역에는 일반적으로 급행선과 통근선 사이에 섬식 승강장이 있어, 승객이 같은 방향으로 가는 열차로 단순히 승강장을 건너 빠르게 갈아탈 수 있다.[20]매우 일반적인 급행-통근 환승 외에도, 뉴욕 지하철에는 3개 또는 4개의 선로를 공유하지 않는 노선 간의 평면 환승이 여러 곳 있다.
- 퀸즈보로 플라자 역은 IRT 플러싱 선과 BMT 아스토리아 선 간의 동일 방향 평면 환승을 포함한다.
- 브루클린의 호이트-셔머혼 스트리트 및 제이 스트리트-메트로테크 역은 각각 IND 크로스타운 선과 IND 풀턴 스트리트 선, IND 컬버 선 간의 평면 환승을 허용한다.
- 7번가–53번가 역에서는, 이 역 근처의 선로 배치로 인해, 반대 방향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 브루클린의 BMT 브라이튼 선의 데칼브 애비뉴 및 프로스펙트 파크 역은 각각 BMT 포스 애비뉴 선과 BMT 프랭클린 애비뉴 선으로의 평면 환승을 특징으로 한다.
- 맨해튼의 렉싱턴 애비뉴–63번가 역은 두 개의 63번가 선 간의 평면 환승을 갖추고 있다.
자메이카 허브역인 롱아일랜드 철도 (LIRR)는 이곳에 정차하는 많은 노선 간의 평면 환승을 특징으로 한다.
LIRR의 전철화된 론콘코마 지선은 디젤 열차로 그린포트 역까지 전철화되지 않은 선로로 연장되어 환승이 필요하다. 론콘코마에서는 두 개의 선로가 이 역에서 내리려는 승객을 위한 측면 승강장을, 열차 간 환승을 위한 섬식 승강장을 제공한다. 열차는 스페인식 솔루션을 사용하여 양쪽 문을 연다.
시카고 "L" 지하철 네트워크에서, 하워드, 윌슨, 벨몬트, 풀러턴 역은 노스 사이드 메인 라인의 서로 다른 노선 간에 같은 방향으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모든 역은 항상 레드 라인이 운행하며, 피크 타임에는 퍼플 라인이 운행한다. 브라운 라인과 옐로우 라인도 이들 역 중 일부를 운행한다.
PATH 시스템은 뉴욕 대도시권을 운행하며, 저지 시티와 뉴어크에 평면 환승역을 갖추고 있다. 저지 시티의 저널 스퀘어 교통 센터에는 종착역인 저널 스퀘어–33번가 및 저널 스퀘어–33번가 (호보켄 경유) 열차 간의 평면 환승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뉴어크–세계 무역 센터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 뉴어크의 펜실베이니아 역에서는 뉴어크–세계 무역 센터행 PATH 열차와 뉴저지 교통국([NJ 트랜짓])이 운행하는 뉴욕 시행 열차 간에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뉴어크 펜 스테이션은 또한 뉴욕 시에서 출발하는 NJ 트랜짓 열차를 위한 평면 환승 시설을 갖추고 있다.
포트 오소리티 교통국 (PATH) 급행 철도 시스템과 암트랙, NJT 열차 간의 유료 평면 환승 연결이 뉴어크 펜 스테이션에 존재하며, 이를 통해 승객들은 세계 무역 센터로 가는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
SEPTA의 브로드 스트리트 선은 올니 교통 센터, 이리, 지라드, 스프링 가든, 레이스-바인, 시청, 월넛-로커스트 역에서 완행 열차와 급행 열차 간의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급행 교통(BART)의 인접한 세 역 - 12번가 오클랜드 시티 센터, 19번가 오클랜드, 맥아더 - 에는 북쪽으로 향하는 및 열차 간의 평면 환승이 있으며, 19번가 오클랜드가 지정된 시간대 환승 지점이다. 맥아더 역에는 동일 노선의 남쪽 방향 시간대 환승도 있다.
Caltrain 북행 플랫폼과 BART 플랫폼 중 하나 사이의 밀브레 역에도 평면 환승이 있다. 피츠버그/베이 포인트 동쪽에는 BART 시스템과 eBART 간의 전용 환승 플랫폼이 있어, 내륙 또는 외곽으로의 여행을 계속할 수 있다.
캐나다 몬트리올 지하철의 두 환승역은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Lionel-Groulx 역에서는 상단 승강장이 시내로 ''들어가는'' 앙리-부라사 또는 몽모렌시(오렌지 2호선) 열차와 오노레-보그랑(그린 1호선) 열차를 운행하고, 하단 승강장은 코트-베르튀(오렌지 2호선)와 앙그리뇽(그린 1호선) 열차를 운행하여 시내에서 ''나간다''. 대부분의 환승 승객이 시내로 들어가거나 나가기 때문에 이 역에서의 대부분의 환승은 평면 환승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Snowdon 역에서는 오렌지 노선 외행 승강장이 블루 노선 종착 승강장과 같은 높이에 있고, 오렌지 노선 내행 승강장은 블루 노선 출발 승강장과 연결되어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는 블루 노선이 원래 역 서쪽으로 연장될 계획이었기 때문에 설명되며, 이 경우 이 배열은 Lionel-Groulx 역의 배열과 동일한 이점을 제공했을 것이다.
2016년 12월, 밴쿠버 스카이트레인의 루히드 타운 센터역은 에버그린 연장선의 운행 시작을 준비하기 위해 3선 2면 승강장 역으로 확장되었다. 에버그린 연장선 운행 초기 18개월 동안 세 번째 승강장은 동쪽 방향 열차에, 섬식 승강장의 남쪽 절반은 서쪽 방향 열차에 사용되었다(밀레니엄 라인 열차는 역을 좌측 통행으로 운행). 이 조치로 인해 VCC-Clark 방면 밀레니엄 라인 열차와 컬럼비아 경유 워터프론트 방면 엑스포 라인 열차 간에 동일 방향 환승이 가능했다. 2018년 6월 25일, 밀레니엄 라인 열차의 정상적인 우측 통행 운행이 재개되어 프로덕션 웨이-유니버시티 방면 엑스포 라인 열차와 라파지 호수-더글라스 방면 밀레니엄 라인 열차 간에 반대 방향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다.
5. 4. 오세아니아
호주 시드니 기차는 센트럴 역에서 스트라스필드로 가는 급행 열차와 완행 열차, 웨스트미드에서 세인트 메리스까지 가는 웨스턴 노선의 4선 구간에서 같은 방향으로 평면 환승을 제공한다. 캠벨타운, 센트럴, 글렌필드, 그랜빌, 혼스비, 리드컴, 레드펀, 리버스비, 시드넘, 타운 홀에서도 평면 환승이 가능하다.[1]시드니 지하철과 시드니 기차 간 평면 환승은 채츠우드에서 할 수 있다.[1]
6. 평면 환승의 평가
교통 공학 분야에서는 승객의 편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평면 환승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평면 환승은 승객의 이동 시간을 단축하고, 환승 저항감을 줄여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평가된다.[1]
대한민국에서는 김포공항역과 금정역이 평면 환승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역이다. 김포공항역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금정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이 평면 환승으로 연결된다.
해외 사례로는 칠레 산티아고 지하철의 비쿠냐 마켄나역(4호선과 4A호선), 브라질 상파울루 지하철의 파라이소역(1호선과 2호선), 브라스역(10호선과 11호선), 오자스쿠역(8호선과 9호선), 프레지덴치 알티노역(8호선과 9호선) 등이 있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의 미세레레 광장역은 A선과 사르미엔토 선 간의 환승을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Google News
https://www.google.c[...]
2011-03-16
[2]
웹사이트
The Cross-Platform Interchange Between Crossrail and the Central Line at Stratford Station
https://anonw.com/20[...]
2019-12-10
[3]
웹사이트
How to Ride the Subway
http://web.mta.info/[...]
2013-11-17
[4]
서적
IRT Interborough Rapid Transit / the New York City Subway: Its Design and 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The Interborough Transit Company
2007-06
[5]
웹사이트
中壢車站「三鐵共構」預計120年通車 「大月台」方案達成同一月台轉乘
https://www.tycg.gov[...]
Taoyuan City Government
2023-11-27
[6]
웹사이트
carto.metro.tramway.rer.funiculaire
http://cartometro.co[...]
Franklin Jarrier
2011-11-19
[7]
웹사이트
Gleisplanweb
http://gleisplanweb.[...]
Christian Stade
2011-11-19
[8]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maps.google.d[...]
Google Maps
2011-11-19
[9]
웹사이트
Metro Track Maps
http://www.mrl.ucsb.[...]
Yuri Popov
2011-11-19
[10]
웹사이트
Sporenplan.nl
http://sporenplan.nl[...]
Sven Zeegers
2011-11-19
[11]
웹사이트
Urbanrail.net
http://www.urbanrail[...]
Robert Schwandl
2011-11-19
[12]
뉴스
南锣鼓巷地铁站可双向同台换乘
https://archive.toda[...]
baic.gov.cn
2012-05-17
[13]
뉴스
成灌快铁犀浦站正式开建
http://www.chengdu.g[...]
成都市官方网站
2009-08-26
[14]
웹사이트
江宁一波交通利好来袭 宁句城际有望年底开工_中国江苏网
http://jsnews.jschin[...]
[15]
웹사이트
青岛迎来双地铁时代 2号线东段今开通试运行 - 信网{{!}}青岛财经生活服务门户
http://www.qdxin.cn/[...]
2017-12-10
[16]
웹사이트
深圳地铁3号线东延段站点位置及分布情况
http://m.bendibao.co[...]
2022-09-08
[17]
웹사이트
武汉地铁2号4号线将采取"连续同站台换乘"模式
http://www.cnhubei.c[...]
2012-02-07
[18]
웹사이트
http://cjmp.cnhan.co[...]
长江日报
2011-12-17
[19]
웹사이트
Station cutaway highlighting M1 (red) and M2 (green) lines
http://www.milanocit[...]
[20]
웹사이트
Nycsubway.org
http://world.nycsubw[...]
Nycsubway.org
2011-11-19
[21]
웹사이트
Train directions at Lougheed Town Centre Station permanently change this month
https://dailyhive.co[...]
2019-07-08
[22]
문서
戸塚駅は、上野東京ラインと湘南新宿ライン相互の中距離電車が定期ダイヤとして対面乗り換えできる唯一の駅。これに対して、東北本線 [[赤羽駅]]・[[浦和駅]]では、いずれも、[[宇都宮線]]・[[高崎線]](上野東京ライン)と湘南新宿ラインの対面乗り換えはできない。総武本線 [[錦糸町駅]]の[[横須賀・総武快速線|総武快速線]](東京駅から横須賀線直通)と中央・総武緩行線の対面乗り換えもできない。
[23]
문서
戸塚駅に関しては、実際の分岐駅である[[横浜駅]]・[[大船駅]]が線路別複々線となっているため。
[24]
문서
正式にはとうきょうスカイツリー・押上 - 曳舟間は複々線だ
[25]
문서
改札内乗り換えのできる池袋寄りの駅として千川・要町があるが、線路別となっており、対面乗り換えはできない。前述した東海道本線の横浜・大船と似たような関係。
[26]
문서
新線新宿も、正式な駅名は「新宿駅」であり、新宿 - 笹塚間は複々線。
[27]
웹사이트
谷上駅構内案内図
https://www.shintets[...]
神戸電鉄
2022-02-06
[28]
웹사이트
谷上駅構内ご案内図
https://www.city.kob[...]
神戸市交通局
2020-07-13
[29]
서적
名古屋鉄道 今昔不死鳥「パノラマカー」の功績
交通新聞社
2017-08
[30]
웹사이트
津島駅詳細情報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2-02-07
[31]
웹사이트
2020.3.14ダイヤ改正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0-01
[32]
문서
一部は伊勢中川駅折返しの急行を3番線に入線させ、2・4番線で対面乗り換えを行う事例もある。
[33]
웹사이트
伊勢中川駅構内図
https://www.kintetsu[...]
近畿日本鉄道
2021-03-01
[34]
웹사이트
伊勢中川駅駅掲出時刻表(2021年7月3日変更)
https://www.kintetsu[...]
近畿日本鉄道
2021-07-03
[35]
문서
この設定に際し小倉発着の特急「にちりん」を別府発着(2019年現在大分発着)に短縮し、小倉 - 別府・大分間で減便している。
[36]
PDF
新幹線西九州ルート(武雄温泉-長崎間)が武雄温泉駅での対面乗換方式(リレー方式)-武雄市
https://www.city.tak[...]
[37]
PDF
中央新幹線の整備効果拡大のための駅及び周辺の整備について
https://www.mlit.go.[...]
第16回交通政策審議会 陸上交通分科会 鉄道部会 中央新幹線小委員会
2011-02-28
[38]
웹사이트
御代志駅の情報
https://www.kumamoto[...]
熊本電気鉄道
2022-02-06
[39]
논문
幹線鉄道の乗換改善効果に関する調査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