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이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띠이랑은 라틴어로 "허리띠"를 의미하며, 뇌량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뇌의 피질 영역이다. 띠이랑은 전대상피질과 후대상피질로 나뉘며, 브로드만 영역 23, 24, 26, 29, 30, 31, 32, 33번에 해당한다. 띠이랑은 시상, 신피질, 체성 감각 피질로부터 입력을 받으며, 띠이랑속을 통해 뇌의 다른 영역과 연결된다. 띠이랑은 감정 형성, 학습, 기억, 호흡 조절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며, 조현병,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뇌이랑 - 아래마루소엽
아래마루소엽은 뇌의 마루엽 영역에 위치하며 감정 인식, 감각 정보 해석, 언어, 수학적 연산, 신체 이미지와 관련 있으며 손상 시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한다. - 뇌이랑 - 모서리위이랑
모서리위이랑은 브로드만 영역 40번에 해당하며 촉각 정보 해석, 공간 인식, 사지 위치 파악, 타인의 자세와 몸짓 식별, 공감 능력 조절, 감각 정보 통합 등에 관여하는 뇌 영역이다. - 대뇌피질 - 대뇌 피질
대뇌 피질은 대뇌 반구 표면의 바깥 덮개로, 뇌의 가장 바깥층에서 인지, 감각, 운동 기능과 같은 고등 정신 기능을 담당하며, 이랑과 고랑으로 접힌 구조, 6개의 층으로 된 신피질과 3~4개의 층으로 된 구피질, 그리고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등으로 나뉜 영역별 고유 기능적 역할을 특징으로 한다. - 대뇌피질 - 피라미드 세포
피라미드 세포는 뇌의 뉴런으로, 원뿔 모양의 세포체, 단일 축삭, 큰 정단 수상돌기, 여러 개의 기저 수상돌기, 수상돌기 가시를 가지며, 대뇌 피질과 해마에서 발견되어 인지, 기억, 학습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발화 특성 및 유전자 발현에 따라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다.
띠이랑 | |
---|---|
개요 | |
![]() | |
라틴어 | Cortex cingularis, gyrus cinguli |
약칭 | Cg |
구성 요소 | 전방 띠이랑, 후방 띠이랑 |
동맥 | 전대뇌동맥 |
정맥 | 위시상정맥굴 |
해부학적 특징 | |
위치 | 대뇌 겉질의 일부, 변연계의 일부 |
설명 | 뇌량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피질 영역 |
기능 | |
주요 기능 | 사회적 행동, 감정, 학습, 기억 등에 관여 |
관련 기능 | 의사 결정, 오류 감지, 보상 처리, 동기 부여, 통증 인식 등 |
추가 정보 | |
관련 질환 | 정신 분열증, 기분 장애 등 |
참고 문헌 | Hadland et al., 2003 Trends Cogn Sci., 1997 Kozlovskiy et al., 2013 Kozlovskiy et al., 2012 Hayden & Platt, 2010 Drevets et al., 2008 Adams & David, 2007 |
2. 어원
''cingulate''라는 용어는 라틴어 ''cingulātus''(cingulātus|킹굴라투스la)에서 파생되었으며, "거들 모양"을 의미한다.[37] 띠이랑은 라틴어로 "허리띠"를 의미하는데,[25] 이 피질이 대부분 뇌량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띠이랑은 크게 전대상피질(ACC)과 후대상피질(PCC)로 나뉜다.
3. 구조
뇌 피질 세포 구조에 따르면, 띠이랑은 브로드만 영역 23, 24, 26, 29, 30, 31, 32 및 33번으로 나뉜다. 이 중 26, 29, 30번 영역은 일반적으로 후대상 피질 영역이라고 한다.
띠이랑은 대뇌 변연계의 각 부위를 연결하여 감정 형성 및 처리, 학습과 기억에 관여한다. 전대상피질은 부적절한 무의식적 프라이밍 억제와 관련된 실행 제어(executive control)에 중요하며, 호흡기계 조정과도 관련 있다.
3. 1. 전대상피질 (Anterior Cingulate Cortex, ACC)
전대상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 ACC)은 띠이랑 앞부분으로, 브로드만 영역 24, 32, 33번에 해당한다. 시상에서 입력을 받으며, 변연계 일부로서 파페츠 회로를 구성한다.[38] ACC와 편도체의 외측기저핵(BLA) 간 신경 연결망이 보고된 바 있다.[39]
전대상피질은 뇌량 무릎(Genu) 아래에 있는 미세전두 영역(브로드만 영역 25)을 포함하며, 세포 구조적으로 무과립피질이다. 겐(Genu) 근처의 주변대상피질과 중간대상피질로 나눌 수 있다. 주로 시상의 내판 및 정중선 시상 핵에서 입력을 받는다.[8] 전방 핵은 유두-시상 구심성을, 유두 뉴런은 해마이행체에서 축삭을 받는다.
띠이랑은 대뇌 변연계 각 부위를 연결하여 감정 형성 및 처리, 학습과 기억에 관여한다. 전대상피질은 부적절한 무의식적 프라이밍 억제와 관련된 실행 제어(executive control)에 중요하며, 호흡기계 조정과도 관련 있다.
3. 1. 1. 전대상피질의 입력
시상의 복측 전방 핵(VA)과 복측 외측 핵(VL)은 대상 고랑의 운동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9] 해마 형성은 후대상피질의 일부 영역에 투사하는데, 후방 세립 피질 A 및 B에 밀집된 투사를 보내고, 후방 불균등 피질에는 적은 투사를 보낸다.[10]
3. 1. 2. 전대상피질의 출력
전대상피질(브로드만 영역 32)은 상측두이랑 앞쪽, 중간 안와전두피질, 외측 전전두피질 등으로 투사된다.[11] 복측 전대상피질(브로드만 영역 24)은 전방 섬 피질, 전운동피질(브로드만 영역 6), 브로드만 영역 8, 주변피질, 안와전두피질(브로드만 영역 12), 편도체의 외측기저핵, 하두정소엽 앞쪽 부분 등으로 투사한다.[11] 고양이의 전대상피질에 특정 물질을 주입한 결과, 전대상피질은 시상 후외측 핵의 앞쪽 부분과 시상침의 앞쪽 끝부분과 상호 연결되어 있음이 밝혀졌다.[12]
3. 2. 후대상피질 (Posterior Cingulate Cortex, PCC)
후대상피질(PCC)은 띠이랑의 뒷부분으로, 브로드만 영역 23, 31번에 해당한다. 세포 구조는 과립형이며, 뒤쪽에는 후각 피질(영역 29)이 있다.
시상의 표층 핵으로부터 많은 수의 구심성 축삭을 받는데, 이 표층 핵은 다시 해마의 지각에서 축삭을 받는다. 또한 해마 지각에서 직접적인 구심성 입력을 받으므로 파페츠 회로의 일부로 간주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후방 대상 피질에서 18F-FDG PET영어 촬영 시 저대사가 관찰된다.[11]
3. 2. 1. 후대상피질의 출력
후대상피질(브로드만 영역 23)은 배외측 전전두피질(브로드만 영역 9), 전방 전전두피질(브로드만 영역 10), 안와전두피질(브로드만 영역 11), 해마곁이랑, 하두정소엽 뒷부분, 전(前)부지, 상측두구, 후방 뇌궁 부위 등으로 투사한다.[11]
3. 3. 띠이랑잘록 (Isthmus of the cingulate gyrus)
띠이랑잘록(isthmus cingulate) 또는 대상회협(帶狀回狹)은 대뇌 반구 안쪽 면에 있는 '띠이랑'이 뇌들보팽대 아래에서 해마곁이랑으로 이어지면서 좁아진 부분이다.
3. 4. 기타 연결
전대상피질은 적어도 토끼에게서 후대상피질과 연결되어 있다.[8] 후방 대상회는 후방 뇌구개 피질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은 뇌량의 등쪽 융기 부분의 일부이다.[8] 전방 및 후방 대상회와 후방 뇌구개 피질은 뇌하개와 뇌하개 전구역으로 투사체를 보낸다.[8]
4. 기능
띠이랑은 대뇌 변연계의 각 부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감정의 형성 및 처리,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부위이다. 전대상피질은 부적절한 무의식적 프라이밍의 억제에 필요한 실행 제어(executive control)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호흡기계의 조정과도 관련이 있다.[8]
5. 임상적 중요성
띠이랑은 조현병, 우울 장애 등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는 뇌 영역이다. 조현병 환자의 경우 띠이랑, 특히 전대상피질의 부피가 감소하고 포도당 대사율이 낮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띠이랑의 뇌졸중은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과거에는 띠이랑을 절제하는 수술이 시행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시행되지 않는다.
5. 1. 조현병 (Schizophrenia)
조현병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전대상피질의 부피가 작고, 특히 회백질 부피 감소가 나타난다.[16][17][18] 전대상피질의 포도당 대사율은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될 수 있다.[17] 가족력 연구를 통해 회백질 부피 감소는 유전자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8] 전대상피질의 크기 감소는 사회적 기능 저하 및 정신 병리와 관련이 있다.[19]조현병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전대상회에서 차이를 보이며, 전대상회는 조현병 환자에게서 더 작게 나타난다.[19] 전대상회 내 회백질 부피는 조현병 환자에게서 더 낮다.[17][18] 건강한 여성은 남성보다 큰 뇌단부 전대상회를 가지지만, 이러한 성별 크기 차이는 조현병 환자에게서는 나타나지 않는다.[16] 포도당 대사율은 좌측 전대상회와 우측 후대상회에서 더 낮다.[17]
5. 2. 우울증 (Depression)
띠이랑은 우울 장애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특히 뇌들보의 무릎 아래에 위치한 무릎 아래 부위는 중요하다.[23] 이 부위는 모든 다른 치료법이 실패했을 때 사용되는 침습적 치료법인 뇌 심부 자극술 치료의 목표 부위이다.[23]띠이랑의 고립된 뇌졸중은 우울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뇌의 더 큰 부분의 뇌졸중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 후 우울증과 이 부위의 연관성을 시사한다.[24] 과거 정신외과에서는 띠이랑을 절제하는 로보토미술(칭굴레토미)이 시행된 적이 있으나, 현재 정신외과는 부정되어 시술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6. 역사
브로카(1878)는 띠이랑을 ''"큰 변연엽"''의 일부로 정의하였는데, 큰 변연엽은 상부 띠이랑 부분(뇌량 상부)과 하부 해마 부분(뇌량 하부)으로 구성되어 있었다.[26] 브로카는 변연엽이 꼬여 있지 않고, 이랑이 시상 옆으로 향한다는 점(가로 이랑 형성과 반대) 때문에 다른 대뇌 피질과 분리했다. 시상 옆 이랑 형성은 영장류가 아닌 다른 종에서도 관찰되기 때문에, 브로카는 변연엽을 "짐승"이라고 선언했다. 대뇌 피질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경계와 명칭에 대한 불일치가 있었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브로드만(1909)은 과립 구조를 기반으로 띠이랑을 영역 24(전방 띠이랑)와 23(후방)으로 구분했다.[27][28]
7. 뇌의 다른 부분과의 관계
띠이랑 아래쪽에는 띠이랑 다발(Cingulum)이라는 백질 섬유 다발이 있어 대뇌변연계의 여러 영역을 연결한다. 띠이랑 다발은 시상 방향(몸의 앞뒤 방향)으로 뇌량을 따라가면서 전대상피질, 후대상피질, 해마곁이랑을 연결한다.[38]
참조
[1]
논문
The effect of cingulate lesions on social behaviour and emotion
[2]
논문
Cingulate binds learning
[3]
논문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Cingulate Cortex and Neuropsychological Memory Tests Performance
2013-10-10
[4]
논문
The Cingulate Cortex and Human Memory Processes
[5]
논문
Neurons in Anterior Cingulate Cortex Multiplex Information about Reward and Action
[6]
논문
The subgenual anterior cingulate cortex in mood disorders
[7]
논문
Patterns of anterior cingulate activation in schizophrenia: A selective review
[8]
서적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Elsevier Saunders
2011-05-02
[9]
논문
Convergent Inputs from Thalamic Motor Nuclei and Frontal Cortical Areas to the Dorsal Striatum in the Primate
[10]
논문
Connections between the retrosplenial cortex and the hippocampal formation in the rat: A review
[11]
논문
Efferent connections of the cingulate gyrus in the rhesus monkey
[12]
논문
Fiber connections between the thalamic posterior lateral nucleus and the cingulate gyrus in the cat
[13]
논문
Efferent association pathways from the rostral prefrontal cortex in the macaque monkey.
2007-10-24
[14]
논문
Posterior parietal cortex in rhesus monkey: I. Parcellation of areas based on distinctive limbic and sensory corticocortical connections
[15]
논문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Hippocampal Connexions of the Cingulate Cortex in the Rabbit
[16]
논문
Perigenual cingulate gyrus volum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17]
논문
Cingulate gyrus volume and metabolism in the schizophrenia spectrum
[18]
논문
Reduced gray matter in the anterior cingulate gyrus in familial schizophrenia: A preliminary report
[19]
논문
Anterior cingulate pathology and social cognition in schizophrenia: A study of gray matter, white matter and sulcal morphometry
https://repository.k[...]
[20]
논문
Hippocampal Volume Change in Schizophrenia
[21]
논문
Poor outcome in chronic schizophrenia is associated with progressive loss of volume of the putamen
[22]
논문
Progressive lateral ventricular enlargement in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MRI studies
https://kclpure.kcl.[...]
[23]
서적
Neuroanatomy: text and atlas
McGraw Hill
2021
[24]
논문
A sudden and severe depressive episode after a left cingulate gyrus stroke: a case report of post-stroke depression and review of literature
https://pubmed.ncbi.[...]
2021-05
[25]
문서
cingulate
[26]
문서
Broca, P (1878). "Anatomie comparee des circonvolutions cerebrales: Le grand lobe limbique et la scissure limbique dans la serie des mammifères". Revue d'Anthropologie. 1: 385–498
[27]
문서
A14.1.09.230
[28]
문서
"Economo, C., Koskinas, G.N. (1925)." Die Cytoarchitektonik der Hirnrinde des erwachsenen Menschen. Wien: Springer Verlag.
[29]
논문
統合・基礎神経学 - 神経系の構造を中心に
https://hdl.handle.n[...]
井上芳郎
[30]
논문
The effect of cingulate lesions on social behaviour and emotion
[31]
논문
Cingulate binds learning
[32]
논문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Cingulate Cortex and Neuropsychological Memory Tests Performance
2013-10-10
[33]
논문
The Cingulate Cortex and Human Memory Processes
[34]
논문
Neurons in Anterior Cingulate Cortex Multiplex Information about Reward and Action
[35]
논문
The subgenual anterior cingulate cortex in mood disorders
[36]
논문
Patterns of anterior cingulate activation in schizophrenia: A selective review
[37]
서적
cingulate
OED
[38]
서적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Elsevier Saunders
2011-05-02
[39]
간행물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its input to the basolateral amygdala control innate fear response
https://www.nature.c[...]
2018-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