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브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브라는 초기 기독교 시대에 형성된 수도 공동체의 한 형태로, 수도원 생활 방식 중 하나이다. 라브라는 4세기 니트리아 사막의 수도실 정착지에서 기원하며, 은둔 수도와 수도원 생활의 중간 형태를 띤다. 라브라에는 수도원장이 존재하지만, 수도자들은 개인적으로 생활하며 주일과 같은 교회 축일에 성찬 예식을 위해 모인다.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주요 수도원을 라브라라고 부르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에 직속된다. 주요 라브라로는 다비트 가레자 라브라, 성 삽바스 라브라, 대 라브라, 수프라실 라브라, 성 세르기우스 삼위일체 라브라, 성 알렉산드로스 넵스키 라브라, 스투디온 전례의 성모 우니브 성모안식 라브라, 키예프 페체르스카야 라브라, 포차이브 라브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건축 - 소래교회
소래교회는 1883년 서상륜과 서경조에 의해 한국 최초로 한국인이 세운 개신교 교회이며, 이후 예배당 건축, 선교사 교육 장소, 동학군의 피신처로 사용되었고, 한국 개신교의 자생적 기원을 보여주는 유산으로 평가받아 총신대학교에 복원되었다. - 기독교 건축 - 성구실
성구실은 교회 예배 준비를 위해 사제와 봉사자들이 사용하는 공간으로, 예복, 성물, 제단 덮개 등을 보관하고 사제가 예복을 착용하거나 성물을 정리하며 교구 등록부가 보관되기도 하며, 사용한 세례수를 흘려보내는 피스치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아토스산 - 카리에스
그리스 아토스 산의 수도 공동체인 카리에스는 성 사바가 머물며 건축 활동을 하고, 라틴 십자군의 공격을 받은 역사적 장소이며, 현재는 문화적 볼거리와 사진 갤러리를 제공한다. - 아토스산 - 대 라브라
대 라브라는 아토스 산에 위치한 동방 정교회 수도원으로, 963년 아타나시오스 아토스에 의해 건설되어 비잔틴 제국의 지원을 받아 성장했으며, 현재 다양한 역사적 유물과 예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 수도원 - 승원
승원은 불교에서 속세를 떠난 승려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을 의미하며, 승려들은 속인들의 지원을 받아 교리를 보존하고 명상 수행에 집중하며 비하라와 아라마 등의 형태로 운영된다. - 수도원 - 수도원 정원
수도원 정원은 수도사들의 자급자족을 위해 울타리나 벽으로 둘러싸인 수도원의 정원으로, 식용 및 약용 식물 재배와 노동 제공의 역할을 수행했다.
| 라브라 | |
|---|---|
| 개요 | |
![]() | |
| 어원 | |
| 그리스어 | (라우라) |
| 슬라브어 | (라브라) |
| 영어 | (라브라) |
| 의미 | 도시의 거리, 공공 광장, 수도원 |
| 로마자 표기 | Laura (라우라) |
| 정의 및 특징 | |
| 유형 | 수도원의 한 형태, 은수자들의 공동체 |
| 구조 | 개별적인 은둔처 또는 동굴들이 모여 이루어진 형태 |
| 역사적 맥락 | 초기 기독교 시대에 발생, 특히 동방 기독교에서 발달 |
| 사회적 기능 | 종교적 수행, 고립된 환경에서 영적 성장 추구 |
| 건축적 특징 | 작은 예배당 또는 공동 시설을 포함하기도 함 |
| 역사 | |
| 기원 | 초기 기독교 시대, 동방 기독교 지역 |
| 발전 | 은수자들이 모여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발전 |
| 주요 인물 | 성 에프티미오스, 성 사바스 등 |
| 관련 장소 | 성지, 예루살렘 근교 유대 사막 등 |
| 주요 라브라 | |
| 마르 사바 수도원 | 유대 사막, 이스라엘 |
| 성 카타리나 수도원 | 시나이 산, 이집트 |
| 키예프 페체르스크 라브라 | 키예프, 우크라이나 |
| 포차예프 라브라 | 포차예프, 우크라이나 |
| 성 삼위일체 세르기예프 라브라 | 세르기예프 포사드, 러시아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Christian History Magazine |url=https://christianhistoryinstitute.org/magazine/article/holy-land-2 |website=Christian History Institute |access-date=2022-07-22 |language=en}} |
2. 역사
라브라는 은둔 수도와 집단 수도의 중간 형태로, 수도자들이 평소에는 개인적으로 생활하다가 주일 등의 축일에 성찬 예식을 위해 성당에 모이는 수도 형태이다.[12] 수도원장이 존재하지만, 수도자들은 각자의 수도실에서 생활하며 신앙 생활을 영위했다.
2. 1. 초기 기독교 시대
라브라의 생활 방식은 니트리아 사막의 4세기 수도실 정착지에서 기원했으며, 니트리아라는 부지가 있는 소도시와 같은 이름이었다. 그 정착지는 생계를 위해 근처 소도시에 의지하며, 그 지역에 흩어져 살았지만, 사제와 성당이 있는 600명의 은수자 공동체였다. 성 대 에브티미오스(377년 ~ 473년)는 팔레스티나에 초기 라브라들 중 한 곳을 설립하였다.[18] 마르 사바라고 알려진 성 의인 사바스(532년 죽음)의 라브라는 기독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계속해서 기능하고 있는 수도원들 가운데 한 곳이다.성 게라시모스가 설립한 유사한 체계에서는, 70 채의 수도실들이 코에노비움을 둘러싸고 있었고, 수사들은 코에노비움에서 시간을 보낸 후에 다시 수도실들로 들어갔다. 주말에는 수도실에서 돗자리를 깔고 적은 양의 음식으로 밧줄과 바구니를 만들기 위한 종려나무 가지와 함께 시간을 보냈다. 토요일에는 수공일을 코에노비움으로 가져와 다 함께 성찬예배를 행했으며, 일요일 저녁에 수도실로 돌아갔다. 수도실은 개방되어 있었고, 수도실이 비어 있다면, 어려움에 처한 사람이 원한다면 얼마든지 그 수도실을 차지할 수 있었다. 한 라브라에는 바깥 세상과 접촉할 수 있는 사제 한 명과 최소한 두 명의 보제가 있었다.
5세기부터 그리스어 ''라브라''(laura)는 유대 광야에 많았던 반(半)-은둔적 수도원 정착지를 지칭할 수 있었다. 팔레스타인의 최초 라브라는 참회자 카리톤 (3세기 출생, c. 350년 사망)이 세웠다. 예루살렘 북동쪽의 파란 라브라 (현재의 와디 켈트), 여리고 서쪽의 유혹의 산에 있는 도우카 라브라, 와디 후레이툰 지역의 투쿠에 있는 수카 라브라 또는 구(舊) 라브라 등이 그것이다.[5][6]
수도 형태는 개인적으로 사막이나 숲에 들어가 수행하는 은둔 수도와 수도원에서 공동 작업을 하며 집단으로 생활하는 집단 수도 사이에 위치한다. 라브라에는 수도원장이 존재하지만, 평소에는 개인적으로 생활하면서, 주일 등의 교회의 축일에는 성찬 예식을 위해 성당에 모이는 형태를 취한다.[12]
2. 2. 동방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의 가장 크고 중요한 수도원들은 라브라로 불리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에 직속되었다.[18] 1721년에, 이 라브라들은 신성종무회의에 종속되었다. 963년에 아토스의 아타나시오스에 의해 설립된 대 라브라는 성산 아토스에서 가장 오래된 수도원이다.가장 크고 중요한 러시아 정교회 수도원은 라브라라고 불렸으며, 스타우로페기가 되어 모스크바 총대주교에게 직접 종속되었다. 1721년에는 지극히 거룩한 시노드에 종속되었다.
3. 주요 라브라 목록
다음은 주요 라브라 목록이다.
-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
- 아토스 산의 메기스티 라브라 (10세기)
- 루마니아 정교회:
- 네암츠 수도원 (15세기 이후)
- 세르비아 정교회:
- 힐란다르 수도원 (1198년 이후)
- 예루살렘 정교회:
- 성 삽바스 라브라(마르 사바) (532년)
각 라브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조지아 정교회]]
3. 2. [[그리스 정교회]]
- 성 삽바스 라브라(마르 사바) (532년)
- 아토스산에 있는 메기스티 라브라 (10세기 ~)
- 아기아 라브라 (961년 ~)

3. 3. [[폴란드 정교회]]
수프라실 라브라(1505년 ~)[17]3. 4. [[러시아 정교회]]
모스크바 근교 세르기예프 포사드에 있는 성삼위일체-성 세르기오스 라브라(1337년~)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성삼위일체-성 알렉산드로스 넵스키 라브라(1713년~)가 있다.가장 크고 중요한 러시아 정교회 수도원은 라브라라고 불렸으며, 스타우로페기가 되어 모스크바 총대주교에게 직접 종속되었다. 1721년에는 지극히 거룩한 시노드에 종속되었다.
| 수도원 | 창건 연도 | 라브라 지위 획득 연도 |
|---|---|---|
| 성 세르기우스 삼위일체 라브라 | 1345년 | 1744년 |
| 알렉산드르 넵스키 수도원 | 1713년 | 1797년 |

3. 5. [[우크라이나의 그리스 가톨릭교회|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는 1898년부터 성모 우니브 성모안식 라브라를 운영하고 있다.[9] 이곳은 스투디온 전례를 따르는 수도원이다.3. 6.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교구)
- 키예프 동굴 라브라 (1051년 ~)
- 포차예프 성모안식 라브라 (1240년 ~)
- 성산 라브라 (1526년 ~)
참조
[1]
웹사이트
Order of Carmelites: Hermitical Communities
http://ocarm.org/en/[...]
[2]
웹사이트
Lavra Netofa
https://www.bethleem[...]
[3]
LSJ
laura
[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5]
Catholic Encyclopedia
Catholic Encyclopedia entry for Laura
http://oce.catholic.[...]
2014-01-02
[6]
문서
Lewin (2005), p. 188
[7]
문서
Parry (1999), p. 294
[8]
문서
Monasticism, Daniel Al-Antouny (ed.)
[9]
웹사이트
The Icon of the Pochayiv Mother of God: A Sacred Relic between East and West
https://www.museumof[...]
[10]
웹사이트
This monastery was built into the Mount of Temptation, where Jesus was said to have been tempted by the devil
https://aleteia.org/[...]
aleteia.org
2022-07-22
[1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Laura
https://www.newadven[...]
2022-07-22
[12]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01-12-05
[13]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λαύρα
http://www.perseus.t[...]
2022-07-22
[14]
논문
The Judean Desert Monasteries in the Byzantine Period by Yizhar Hirschfeld(review)
https://doi.org/10.1[...]
Journal of Early Christian Studies
1995
[15]
웹사이트
Holy Land
https://christianhis[...]
2022-07-22
[16]
간행물
初期修道制における「独住」と「共住」の問題について
https://doi.org/10.1[...]
筑波大学哲学・思想学系
2006-03-25
[17]
문서
교회조직명은 오십음순, 수도원의 나열은 연대순.
[18]
문서
Parry (1999), p. 2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