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아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아단은 2~4개의 성조를 가지는 성조 언어이며, VSO 어순을 따른다. 다섯 개의 모음과 몇몇 자음을 사용하며, 다양한 감정과 기분을 나타내기 위해 여러 접사를 활용하는 교착어적 형태론을 가진다. 문법적으로는 발화 행위 입자, 시제 입자, 증거 입자를 사용하여 문장의 의미를 풍부하게 한다. 대명사는 인칭, 사랑, 경멸의 표현을 포함하며, 복수형을 나타내는 접미사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 - 김활란
    김활란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여성운동가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서,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여성 교육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다.
  • 여성주의 - 아리스토텔레스의 여성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의 행복과 사회적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면서도, 생물학적, 정치적 관점에서 남녀의 차이를 언급하며 여성의 시민권을 제한적으로 인정하였다.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인공어 - 발리리아어
    발리리아어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로, 고지 발리리아어와 여러 변종인 가짜 발리리아어로 나뉘며, 고지 발리리아어는 소설 세계관에서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학문 및 교육 언어이고, 드라마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언이 등장하며, 듀오링고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 인공어 - 인공 문자
    인공 문자는 가상 세계, 문자 없는 언어, 종교적·기술적 목적 등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체계를 의미하며, 텡과르, 클링온 문자, 한글 등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한다.
라아단
일반 정보
언어 이름라아단
창조자수제트 헤이든 엘긴
창조 시기1982년
사용 목적페미니즘 언어학 실험 및 엘긴의 소설 Native Tongue에서 사용
언어 유형예술 언어 및 철학 언어, 가상 언어
언어 분류선험적 언어, 나바호어 및 영어의 영향을 받음
ISO 639-3ldn
Linglistldn
Glottologlaad1235

2. 음운론

라아단은 성조 언어이며,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데 높낮이(음높이)를 사용한다.[2]

라아단에는 다섯 개의 모음이 있다.


  • ''a'' — 저모음 (영어의 "calm"과 유사)
  • ''e'' — 개방 중설 모음 (영어의 "bell"과 유사)
  • ''i'' — 근전설 비원순 모음 (영어의 "bit"과 유사)
  • ''o'' — 폐구 중설 원순 모음 (영어의 "home"과 유사)
  • ''u'' — 폐후설 원순 모음 (영어의 "boon"과 유사)


라아단에는 /p/, /t/, /k/, /ɡ/, /s/, /z/, /f/, /v/와 같은 자음이 없다. 영어와 동일한 음가를 가진 'b', 'd', 'sh' (/ʃ/), 'm', 'n', 'l', 'r', 'w', 'y' (/j/), 'h'를 사용한다. 추가 설명이 필요한 3개의 이중문자는 다음과 같다.

colspan="2" rowspan="2"|순음치음 /
치경음
후치경음
/ 구개음
성문음
중음측음
비음mn
파열음bd
마찰음무성음θɬʃh
유성음ʒ
접근음wɹlj


2. 1. 성조

라아단은 성조 언어이다. 엘긴은 고음(high tone) 단일 성조를 가진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다른 형식주의를 사용하는 언어학자들은 고음과 저음(또는 무표 또는 중음)의 두 가지 성조가 있다고 분석한다.[2]

  • lo|로ldn , 단음, 중음 또는 저음, 무표 모음 하나로 표현
  • ló|로ldn , 단음, 고음, 표기된 모음 하나로 표현


일부에서는 이 성조 시퀀스를 4개의 성조를 모두 포함하는 음소로 분석하기도 한다.

  • loó|로오ldn, 장음, 저상승조, 두 개의 모음으로 표현되며, 두 번째 모음이 표시됨
  • lóo|로오ldn, 장음, 고하강조, 두 개의 모음으로 표현되며, 첫 번째 모음이 표시됨

2. 2. 모음

라아단은 다섯 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 ''a'' — 저모음 (영어의 "calm"과 유사)
  • ''e'' — 개방 중설 모음 (영어의 "bell"과 유사)
  • ''i'' — 근전설 비원순 모음 (영어의 "bit"과 유사)
  • ''o'' — 폐구 중설 원순 모음 (영어의 "home"과 유사)
  • ''u'' — 폐후설 원순 모음 (영어의 "boon"과 유사)

2. 3. 자음

라아단에는 /p/, /t/, /k/, /ɡ/, /s/, /z/, /f/, /v/와 같은 자음이 없다. 영어와 동일한 음가를 가진 'b', 'd', 'sh' (/ʃ/), 'm', 'n', 'l', 'r', 'w', 'y' (/j/), 'h'를 사용한다. 추가 설명이 필요한 3개의 이중문자는 다음과 같다.

colspan="2" rowspan="2"|순음치음 /
치경음
후치경음
/ 구개음
성문음
중음측음
비음m|엠artn|엔art
파열음b|비artd|디art
마찰음무성음θ|쓰artɬ|을흐artʃ|쉬arth|흐art
유성음ʒ|쥐art
접근음w|우artɹ|르artl|을artj|이art


3. 문법

라아단은 VSO(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동사형용사는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관사는 없으며, 목적어는 -th|트ldn 또는 -eth|에트ldn 접미사로 표시된다. 복수는 동사의 me-|메-ldn 접두사로만 표시된다. 동사 다음에 오는 입자 ra|라ldn는 부정을 만든다. 별도의 절은 입자 hé|헤ldn로 연결된다.

라아단의 기본 문장 예시
라아단어직역한국어 번역
bíi ril áya mahina waldn평서문 현재 시제 아름다운 꽃 관찰된-진실그 꽃은 아름답다.
báa eril mesháad withldn의문문 과거 시제 복수 가다/오다 여성여자들이 갔었나요/왔었나요?
bíi ril lámála with ruleth waldn평서문 현재 시제 쓰다듬다/애무 여성 고양이-목적어 관찰된-진실그 여자는 고양이를 쓰다듬는다.
bóo wil di le nethldn의뢰 가정 말하다/말하다 나 너-목적어부탁인데, 당신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bíi aril meleyan ra lanemid wáaldn평서문 미래 시제 복수- 갈색 부정추정 사실개들이 갈색이 아닐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bíi ril le an hé eril ne bethudeha waldn평서문 현재 시제 나는 안다 내장된-절-표지 과거 시제 너 동굴- 관찰된-진실나는 당신이 동굴에 있었다는 것을 안다.


3. 1. 문법적 입자 (조사)

대부분의 라아단 문장은 세 개의 조사를 포함한다.

  • 발화 행위 조사 — 문장 처음에 나타나며, 평서문(Bíi|비이ldn), 의문문(Báa|바아ldn) 등을 나타낸다. 대화나 글에서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 Bíi|비이ldn : 평서문을 나타낸다(일반적으로 선택 사항).
  • Báa|바아ldn : 의문문을 나타낸다.
  • Bó|보ldn : 명령을 나타낸다. 어린아이에게만 매우 드물게 사용된다.
  • Bóo|보오ldn : 요청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명령형이다.
  • Bé|베ldn : 약속을 나타낸다.
  • Bée|베에ldn : 경고를 나타낸다.
  • 문법적 시제 조사 — 문장의 두 번째에 나타나며, 현재 시제(ril|릴ldn), 과거 시제(eril|에릴ldn), 미래 시제(aril|아릴ldn) 또는 가정(wil|윌ldn)을 나타낸다. 시제 조사가 없으면, 이전 문장과 같은 시제로 간주된다.
  • 증거 조사[3] — 문장 끝에 나타나며, 진술의 신뢰성을 나타낸다.
  • wa|와ldn : 화자가 외부 또는 내부적으로 인지하여 알고 있다.
  • wi|위ldn : 자명하여 화자가 알고 있다.
  • we|웨ldn : 화자가 꿈에서 인지했다.
  • wáa|와아ldn : 화자가 출처를 신뢰하기 때문에 참이라고 추정한다.
  • waá|와아ldn : 화자가 출처를 신뢰하지 않기 때문에 거짓이라고 추정한다. 출처에 악의가 있다고 추정하는 경우, 형태는 waálh|와알ldn이다.
  • wo|워ldn : 화자가 상상하거나 발명한 것, 가상적인 것.
  • wóo|워오ldn : 화자가 해당 문제의 유효성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함을 나타낸다.


라아단은 동사-주어-목적어 (VSO) 언어이다. 동사형용사는 상호 교환 가능하다. 관사는 없으며, 목적어는 -th|트ldn 또는 -eth|에트ldn 접미사로 표시된다. 복수는 동사의 me-|메-ldn 접두사로만 표시된다. 동사 다음에 오는 입자 ra|라ldn는 부정을 만든다. 별도의 절은 입자 hé|헤ldn로 연결된다.

3. 2. 형태론

라아단은 교착어로서, 여러 접사를 사용하여 다양한 감정과 기분을 표현한다. 이는 많은 자연어가 목소리 톤, 바디 랭귀지, 완곡한 표현 등으로만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접사의미예시
(-)lh(-)ldn혐오 또는 싫어함hahodimildn: "기분 좋게 당황한"; hahodimilhldn: "불쾌하게 당황한"
du-ldn~하려고 시도하다bíi eril dusháad le waldn: "나는 오려고 노력했다"
dúu-ldn헛되이 ~하려고 시도하다bíi eril dúusháad le waldn: "나는 헛되이 오려고 노력했다"
ná-ldn진행적 양상bíi eril dúunásháad le waldn: "나는 헛되이 오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e)thaldn자연적 소유자lalal bethaldn: "그녀의 어머니의 젖"
-(e)tholdn관습적 또는 법적 소유자ebahid letholdn: "나의 남편"
-(e)thildn우연적 소유자losh nethildn: "너의 돈 (도박으로 얻은 돈)"
-(e)theldn출처 불명의 소유자ana woruletheldn: "고양이들의 음식"
-(h)idldn남성을 나타냄 (그렇지 않으면 여성 또는 성 중립)thulldn: "어머니/부모"; thulidldn: "아버지"



문장 시작 부분의 '발화 행위' 입자는 문장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장하는 여러 접미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bíildn는 진술을, bíideldn는 서술의 일부인 진술을, bóothldn는 고통 속에서 만들어진 요청을, báadaldn는 농담으로 의도된 질문을 시작한다.

3. 3. 대명사

라아단의 대명사는 인칭, 수, 사랑/경멸 여부를 나타내는 요소들로 구성된다. 자음 'l'은 1인칭, 'n'은 2인칭, 'b'는 3인칭을 나타내며, 보통 모음 'e'가 뒤따른다. 모음 'a'는 사랑받는 사람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lhe-|ldn는 경멸받는 사람을 나타내는 접두사이다). 접미사 -zhldn는 최대 4까지의 복수 대명사를 나타낼 때 사용되고, -nldn은 그 이상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따라서 lazhldn는 "우리, 사랑하는 몇몇"을 의미하고, lhebenldn은 "그들, 경멸받는 많은"을 의미한다.[1]

참조

[1] 서적 Atlas Obscura Workman 2016-09-20
[2] 블로그 Elgin's blog http://ozarque.livej[...]
[3] 논문 This is an Essay: The Language and Legacy of Láadan (Evidently) https://tortoise.p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