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플라스 방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플라스 방법은 특정 형태의 적분을 근사하는 기법으로, 2차 미분 가능한 함수를 사용하여 매우 큰 λ에 대한 적분 값을 추정한다. 이 방법은 함수의 전역 최댓값 주변에서 적분의 주요 기여가 발생한다는 핵심 개념에 기반하며, 테일러 전개를 통해 근사한다. 라플라스 방법은 상대 오차를 통해 근사하며, 정지점 근사, 범위 축소, 나머지 적분 수렴과 같은 핵심 개념을 가진다. 복소 적분으로 확장된 최급강하법, 중앙값 근사의 일반화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며, 스털링 근사를 유도하는 데 응용된다. 이 방법은 피에르시몽 라플라스에 의해 1774년에 처음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섭동 이론 - 페르미 황금률
    페르미 황금률은 시간 의존 섭동 이론에서 섭동에 의한 양자 상태 간 전이 확률을 계산하는 근사식으로, 단위 시간당 전이 확률은 섭동의 행렬 요소 제곱과 최종 상태의 에너지 밀도에 비례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섭동 이론 - 섭동 이론 (양자역학)
    섭동 이론은 양자역학에서 해밀토니안에 작은 변화가 가해졌을 때 에너지 준위와 파동 함수의 변화를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으로, 시간 무관 및 시간 의존 섭동 이론으로 나뉘며 다양한 양자계에 적용된다.
  • 해석학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 해석학 (수학)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라플라스 방법
개요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의 초상화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분야수학, 물리학
고안자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발표 시기1774년
관련 항목새들 포인트 방법
경사 하강법
라플라스 근사
상세 내용
목적적분의 근사적 계산
설명라플라스 방법은 적분을 근사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법이다.
특히, 피적분함수가 큰 매개변수 n에 대한 지수 함수 형태일 때 유용하다.
원리피적분함수의 주요 기여는 최댓값 근처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이용한다.
따라서, 가우스 함수를 이용하여 피적분함수를 근사한다.
가정피적분함수는 최댓값을 가지며, 이 최댓값은 날카롭다.
즉, 최댓값 근처에서 빠르게 감소해야 한다.
수학적 표현
일반 형태∫ab e^(nM(x)) dx ≈ √(2π/n|M''(x₀)|) * e^(nM(x₀)), 여기서 x₀는 M(x)의 최댓값
조건M(x)는 x₀에서 두 번 미분 가능하다.
M''(x₀) < 0 (최댓값 조건)
활용
분야확률론
통계학
물리학
공학
예시베이즈 통계: 사후 분포의 근사
통계 물리학: 분배 함수의 근사
경사 하강법: 함수의 최적화
장점 및 단점
장점계산이 비교적 간단하다.
많은 경우에 대해 좋은 근사값을 제공한다.
단점피적분함수가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최댓값이 여러 개 존재하거나 날카롭지 않은 경우 정확도가 떨어진다.

2. 개념

2차 미분가능 함수 f\colon D\subset\mathbb R^n\to\mathbb RD내부 x_0\in\operatorname{int}U에서 최댓값을 갖고, 이 점에서의 헤세 행렬행렬식\det Hf(x_0)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매우 큰 \lambda\in\mathbb R^+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근사가 성립한다.

:\int_Dg(x)\exp(\lambda f(x))\,dx\approx\exp(\lambda f(x_0))\sqrt{\frac{(2\pi/\lambda)^n}

}\left(g(x_0)+\mathcal O(\lambda^{-1})\right)



함수 f(x)x_0에서 고유한 전역 최댓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M>0은 상수이다. 다음 두 함수를 고려한다.

:\begin{align}

g(x) &= Mf(x), \\

h(x) &= e^{Mf(x)}.

\end{align}

그러면, x_0gh의 전역 최댓값이기도 하다. 따라서:

:\begin{align}

\frac{g(x_0)}{g(x)} &= \frac{M f(x_0)}{M f(x)} = \frac{f(x_0)}{f(x)}, \\[4pt]

\frac{h(x_0)}{h(x)} &= \frac{e^{M f(x_0)}}{e^{M f(x)}} = e^{M(f(x_0) - f(x))}.

\end{align}

M이 증가함에 따라, h에 대한 비율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g에 대한 비율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함수의 적분에 대한 중요한 기여는 x_0의 근방에 있는 점 x에서만 발생하며, 이를 추정할 수 있다.

3. 이론

2차 미분가능 함수 f\colon D\subset\mathbb R^n\to\mathbb RD내부 x_0\in\operatorname{int}U에서 최댓값을 가질 때, 이 점에서의 헤세 행렬행렬식\det Hf(x_0)이라고 하면, 매우 큰 \lambda\in\mathbb R^+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근사법이 성립한다.

:\int_Dg(x)\exp(\lambda f(x))\,dx\approx\exp(\lambda f(x_0))\sqrt{\frac{(2\pi/\lambda)^n}

}\left(g(x_0)+\mathcal O(\lambda^{-1})\right)

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x_0이 적분 구간의 끝점이 아니고, xx_0에 가깝지 않으면 f(x)f(x_0)에 매우 가까울 수 없다고 가정한다.

f(x)테일러 정리에 의해 ''x''0 주변에서 다음과 같이 전개될 수 있다.

:f(x) = f(x_0) + f'(x_0)(x-x_0) + \frac{1}{2} f''(x_0)(x-x_0)^2 + R

여기서 R = O\left((x-x_0)^3\right)이다(참조: 빅 오 표기법).

fx_0에서 전역 최댓값을 갖고, x_0이 끝점이 아니므로, x_0는 정지점이다. 즉, f'(x_0)=0이다. 따라서 f(x)를 근사하는 2차 테일러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f(x) \approx f(x_0) + \frac{1}{2} f''(x_0) (x-x_0)^2.

x_0이 함수 f의 전역 최댓값이므로, 이계 도함수의 정의에 의해 f''(x_0) \le 0이다. 따라서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f(x) \approx f(x_0) - \frac{1}{2} |f''(x_0)| (x-x_0)^2

xx_0에 가까울 때, 적분은 다음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int_a^b e^{M f(x)}\, dx\approx e^{M f(x_0)}\int_a^b e^{-\frac{1}{2} M|f''(x_0)| (x-x_0)^2} \, dx

f''(x_0) < 0 이면, 이 적분은 적분 한계를 -\infty+\infty로 바꾸면 가우스 적분이 된다. M이 클 때, 지수 함수가 x_0에서 멀리 떨어져 매우 빠르게 감소하기 때문에 이는 작은 오차만 발생시킨다. 이 가우스 적분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int_a^b e^{M f(x)}\, dx\approx \sqrt{\frac{2\pi}{M|f''(x_0)|}}e^{M f(x_0)} \text { as } M\to\infty.[6]

3. 1. 정식화 및 증명

Laplace영어 방법의 정식화 및 증명은 다음과 같다.

f(x)가 구간 [a, b]에서 두 번 연속 미분 가능하고, x_0 \in (a, b)에서 유일한 최댓값을 가지며 f''(x_0) < 0이면 다음이 성립한다.[6]

:\lim_{n\to\infty} \frac{\int_a^b e^{nf(x)} \, dx}{e^{nf(x_0)} \sqrt{\frac{2\pi}{n\left(-f''(x_0)\right)}}}= 1.

증명은 하한과 상한을 구하여 극한을 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한:''' \varepsilon > 0이라고 하자. f''는 연속이므로 |x_0-c|< \delta이면 f''(c) \ge f''(x_0) - \varepsilon를 만족하는 \delta >0가 존재한다. 테일러 정리에 의해 모든 x \in (x_0 - \delta, x_0 + \delta)에 대해,

:f(x) \ge f(x_0) + \frac{1}{2}(f''(x_0) - \varepsilon)(x-x_0)^2.

그러면 다음 하한을 얻는다.

:\begin{align}

\int_a^b e^{nf(x)} \, dx &\ge \int_{x_0 - \delta}^{x_0 + \delta} e^{nf(x)} \, dx \\

&\ge e^{nf(x_0)} \int_{x_0 - \delta}^{x_0 + \delta} e^{\frac{n}{2}(f''(x_0) - \varepsilon)(x-x_0)^2} \, dx \\

&= e^{nf(x_0)} \sqrt{\frac{1}{n(-f''(x_0) + \varepsilon)}} \int_{-\delta \sqrt{n(-f''(x_0) + \varepsilon)} }^{\delta \sqrt{n(-f''(x_0) + \varepsilon)} } e^{-\frac{1}{2}y^2} \, dy

\end{align}

여기서 마지막 등식은 변수 변환 y= \sqrt{n(-f''(x_0) + \varepsilon)} (x-x_0)을 통해 얻었다. f''(x_0)<0이므로 음수의 제곱근을 취할 수 있다.

위 부등식의 양변을 e^{nf(x_0)}\sqrt{\frac{2 \pi}{n(-f''(x_0))}}으로 나누고 극한을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lim_{n \to \infty} \frac{\int_a^b e^{nf(x)} \,dx}{e^{nf(x_0)}\sqrt{\frac{2\pi}{n(-f''(x_0))}}} \ge \lim_{n \to \infty} \frac{1}{\sqrt{2\pi}} \int_{-\delta\sqrt{n(-f''(x_0) + \varepsilon)} }^{\delta \sqrt{n(-f''(x_0) + \varepsilon)}} e^{-\frac{1}{2}y^2} \, dy \, \cdot \sqrt{\frac{-f''(x_0)}{-f''(x_0) + \varepsilon}} = \sqrt{\frac{-f''(x_0)}{-f''(x_0) + \varepsilon}}

이는 임의의 \varepsilon에 대해 참이므로 하한 \lim_{n \to \infty} \frac{\int_a^b e^{nf(x)} \, dx}{ e^{nf(x_0)}\sqrt{\frac{2\pi}{n(-f''(x_0))}}} \ge 1을 얻는다.

'''상한:''' 상한 증명은 하한과 유사하지만, \varepsilonf''(x_0) + \varepsilon < 0를 만족할 만큼 작아야 한다. f''의 연속성과 테일러 정리에 의해 |x-x_0| < \delta이면

:f(x) \le f(x_0) + \frac{1}{2} (f''(x_0) + \varepsilon)(x-x_0)^2.

또한, |x-x_0|\ge \delta이면 f(x) \le f(x_0) - \eta를 만족하는 \eta >0가 존재한다.

그러면 다음 상한을 계산할 수 있다.

:\begin{align}

\int_a^b e^{nf(x)} \, dx &\le \int_a^{x_0-\delta} e^{nf(x)} \, dx + \int_{x_0-\delta}^{x_0 + \delta} e^{nf(x)} \, dx + \int_{x_0 + \delta}^b e^{nf(x)} \, dx \\

&\le (b-a)e^{n(f(x_0)-\eta)} + \int_{x_0-\delta}^{x_0 + \delta} e^{n f(x) } \, dx \\

&\le (b-a)e^{n(f(x_0)-\eta)} + e^{nf(x_0)} \int_{x_0-\delta}^{x_0 + \delta} e^{\frac{n}{2}(f''(x_0)+\varepsilon)(x-x_0)^2} \, dx\\

&\le (b-a)e^{n(f(x_0)-\eta)} + e^{nf(x_0)} \int_{-\infty}^{+\infty} e^{\frac{n}{2}(f''(x_0)+\varepsilon)(x-x_0)^2} \, dx \\

&\le (b-a)e^{n(f(x_0)-\eta)} + e^{nf(x_0)} \sqrt{\frac{2 \pi}{n (-f''(x_0) - \varepsilon)}}

\end{align}

위 부등식의 양변을 e^{nf(x_0)}\sqrt{\frac{2 \pi}{n (-f''(x_0))}}으로 나누고 극한을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lim_{n \to \infty} \frac{\int_a^b e^{nf(x)} \, dx}{e^{nf(x_0)}\sqrt{\frac{2\pi}{n(-f''(x_0))}}} \le \lim_{n \to \infty} (b-a) e^{-\eta n} \sqrt{\frac{n(-f''(x_0))}{2\pi}} + \sqrt{\frac{-f''(x_0)}{-f''(x_0) - \varepsilon}} = \sqrt{\frac{-f''(x_0)}{-f''(x_0) - \varepsilon}}

\varepsilon은 임의적이므로 상한 \lim_{n \to \infty} \frac{\int_a^b e^{nf(x)} \, dx}{e^{nf(x_0)}\sqrt{\frac{2 \pi}{n (-f''(x_0))}}} \le 1을 얻는다.

하한과 상한을 결합하면 \lim_{n\to\infty} \frac{\int_a^b e^{nf(x)} \, dx}{e^{nf(x_0)} \sqrt{\frac{2\pi}{n\left(-f''(x_0)\right)}}}= 1을 얻는다.

무한 구간의 경우, n = 1에 대해 \int_a^b e^{nf(x)} \, dx < \infty이고, |x - x_0| \ge \delta이면 f(x) \le f(x_0) - \eta를 만족하는 \eta > 0가 존재해야 한다. 이 조건 하에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증명이 가능하다.

3. 2. 라플라스 방법의 핵심 개념

라플라스 방법은 특정 형태의 적분을 근사하는 기법으로, 특히 적분 안에 지수 함수가 포함된 경우에 유용하다. 이 방법의 핵심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개념에 기반한다.

  • 정지점 근사: 함수 f(x)x_0에서 유일한 전역 최댓값을 갖고, M>0이 상수일 때, 다음 두 함수를 고려한다.


:\begin{align}

g(x) &= Mf(x), \\

h(x) &= e^{Mf(x)}.

\end{align}

x_0gh의 전역 최댓값이기도 하다. M이 충분히 클 때, e^{M(f(x) - f(x_0))}는 정지점(x_0) 근처에서 e^{-\pi y^2}에 근접한다. 즉, 함수의 최댓값 근처에서 함수를 가우스 함수로 근사할 수 있다.

  • 범위 축소: M이 커질수록 적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x의 범위는 x_0 주변으로 작아진다. 이는 h(x)에 대한 비율이 M이 증가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g(x)에 대한 비율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begin{align}

\frac{g(x_0)}{g(x)} &= \frac{M f(x_0)}{M f(x)} = \frac{f(x_0)}{f(x)}, \\[4pt]

\frac{h(x_0)}{h(x)} &= \frac{e^{M f(x_0)}}{e^{M f(x)}} = e^{M(f(x_0) - f(x)))}.

\end{align}

  • 나머지 적분 수렴: 라플라스 방법의 적분이 수렴하는 경우, 정지점 주변이 아닌 영역의 기여는 M이 증가함에 따라 0으로 수렴한다.


이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라플라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근사식을 제공한다.

:\int_a^b e^{M f(x)}\, dx\approx \sqrt{\frac{2\pi}{M|f''(x_0)|}}e^{M f(x_0)} \text { as } M\to\infty.

여기서 f''(x_0)f(x)x_0에서의 이계 도함수이다. 이 근사식은 M이 클수록 더 정확해진다.

4. 다양한 형태

Laplace's method영어은 다음과 같이 표현되기도 한다.

:\int_a^b h(x) e^{M g(x)}\, dx \approx \sqrt{\frac{2\pi}{M|g''(x_0)|}} h(x_0) e^{M g(x_0)} \ \text { as } M\to\infty

여기서 h는 양수이다.

근사의 정확도는 적분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즉, g(x)에 유지되는 것과 h(x)에 들어가는 것에 따라 달라진다.[3]

다변수의 경우, \mathbf{x}d차원 벡터이고 f(\mathbf{x})\mathbf{x}의 스칼라 함수인 경우, 라플라스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int h(\mathbf{x})e^{M f(\mathbf{x})}\, d\mathbf{x} \approx \left(\frac{2\pi}{M}\right)^{d/2} \frac{h(\mathbf{x}_0)e^{M f(\mathbf{x}_0)}}{\left|-H(f)(\mathbf{x}_0)\right|^{1/2}} \text { as } M\to\infty

여기서 H(f)(\mathbf{x}_0)\mathbf{x}_0에서 평가된 f헤세 행렬이고 |\cdot|행렬식을 나타낸다. 단변수의 경우와 유사하게, 헤세 행렬은 음의 정부호여야 한다.[4]

\mathbf{x}d차원 벡터를 나타내지만, 항 d\mathbf{x}무한소 부피, 즉 d\mathbf{x} := dx_1dx_2\cdots dx_d를 나타낸다.

5. 최급강하법 (Steepest Descent Method)

복소해석학, 특히 코시 적분 공식을 사용하는 라플라스 방법의 확장은 (점근적으로 큰 ''M''에 대해) 등가 적분을 위해 ''최급강하''의 윤곽선을 찾으며, 이는 선적분으로 표현된다. 특히, f의 도함수가 0이 되는 점 ''x''0가 실수선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적분 윤곽선을 최적 윤곽선으로 변형해야 할 수 있다. 주요 아이디어는 주어진 적분의 계산을, 적어도 점근적으로, 명시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더 간단한 적분으로 줄이는 것이다.

복소 ''z''-평면에 대한 적절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int_a^b e^{M f(z)}\, dz \approx \sqrt{\frac{2\pi}{-Mf''(z_0)}}e^{M f(z_0)} \text{ as } M\to\infty.

''z''0에서 안장점을 통과하는 경로에 대해. 두 번째 도함수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명시적으로 마이너스 부호가 나타난다. 피적분 함수가 유리형 함수인 경우, 윤곽선을 변형하는 동안 통과한 극점에 해당하는 잔류물을 추가해야 할 수 있다.

''최급강하법''의 확장으로 소위 ''비선형 정상 위상/최급강하법''이 있다. 여기서 적분 대신 리만-힐베르트 인수분해 문제의 점근적 해를 평가해야 한다.

복소 구의 윤곽선 ''C'', 해당 윤곽선에서 정의된 함수 f, 그리고 무한대와 같은 특수 점이 주어지면, 윤곽선 ''C''에서 점프가 지정되고 무한대에서 주어진 정규화를 가진 정칙 함수 ''M''을 찾는다. f와 따라서 ''M''이 스칼라가 아닌 행렬이라면, 이것은 일반적으로 명시적인 해를 허용하지 않는 문제이다.

그런 다음 선형 정상 위상/최급강하법과 같은 방식으로 점근적 평가가 가능하다. 아이디어는 주어진 리만-힐베르트 문제의 해를 더 간단하고 명시적으로 풀 수 있는 리만-힐베르트 문제의 해로 점근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코시 정리는 점프 윤곽선의 변형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다.

비선형 정상 위상은 1993년 Deift와 Zhou에 의해 Its의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도입되었다. 비선형 최급강하법은 2003년 Kamvissis, K. McLaughlin, P. Miller에 의해 Lax, Levermore, Deift, Venakides, Zhou의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도입되었다. 선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급강하 윤곽선"은 최소-최대 문제를 푼다. 비선형의 경우, 이들은 "S-곡선"이 된다(80년대에 Stahl, Gonchar 및 Rakhmanov에 의해 다른 맥락에서 정의됨).

비선형 정상 위상/최급강하법은 솔리톤 방정식 및 적분 가능 모델, 랜덤 행렬 및 조합론 이론에 적용된다.

6. 중앙값 근사 일반화

일반화 과정에서 적분 평가를 밀도 함수 :e^{Mf(x)}를 갖는 분포의 노름을 찾는 것과 동일하게 간주한다.

누적 분포 F(x)를 표기하고, 밀도 함수 :e^{-g -\frac{\gamma}{2}y^2}를 갖는 미분 동형 가우스 분포가 있다면, 노름은 다음과 같다.

:\sqrt{2\pi\gamma^{-1}}e^{-g}

그리고 해당 미분 동형 사상은

:y(x)=\frac{1}{\sqrt{\gamma}}\Phi^{-1}{\left(\frac{F(x)}{F(\infty)}\right)},

이며, 여기서 \Phi는 누적 표준 정규 분포 함수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가우스 분포와 미분 동형인 모든 분포는 밀도 함수 :e^{-g -\frac{\gamma}{2}y^2(x)}y'(x)를 가지며, 중앙값 점은 가우스 분포의 중앙값으로 매핑된다. 중앙값 점에서 주어진 차수까지 밀도 함수의 로그와 그 도함수를 일치시키면 \gammag의 근사값을 결정하는 일련의 방정식이 생성된다.

이 근사는 2019년 D. 마코곤(D. Makogon)과 C. 모라이스 스미스(C. Morais Smith)에 의해 주로 상호 작용하는 페르미온 시스템에 대한 분배 함수 평가의 맥락에서 소개되었다.[5]

7. 복소 적분

t \gg 1일 때, ''t'' = ''iu''로 치환하고 변수 s=c+ix를 변경하여 양방향 라플라스 변환을 얻는다.

:\frac{1}{2 \pi}\int_{-\infty}^\infty g(c+ix)e^{-ux}e^{icu} \, dx.

그런 다음 ''g''(''c'' + ''ix'')를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으로 나누고, ''u'' = ''t''/''i''를 복구한다. 이는 역 라플라스 변환, 페론 공식 및 복소 적분에 유용하다.

8. 역사

피에르시몽 라플라스가 1774년에 도입하였다.[7]

9. 응용: 스털링 근사

라플라스 방법을 사용하여 큰 정수 ''N''에 대한 스털링 근사를 유도할 수 있다.

:N!\approx \sqrt{2\pi N} (\frac{N}{e})^N \,

감마 함수의 정의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N! = \Gamma(N+1)=\int_0^\infty e^{-x} x^N \, dx.

변수 치환 x=Nz를 하면 dx = Ndz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N! &= \int_0^\infty e^{-Nz} (Nz)^N N \, dz \\

&= N^{N+1} \int_0^\infty e^{-Nz} z^N \, dz \\

&= N^{N+1} \int_0^\infty e^{-Nz} e^{N\ln z} \, dz \\

&= N^{N+1} \int_0^\infty e^{N(\ln z-z)} \, dz.

\end{align}

이 적분은 라플라스 방법에 필요한 형식이며, 여기서

:f(z) = \ln{z}-z

는 두 번 미분 가능하다.

:f'(z) = \frac{1}{z}-1,

:f''(z) = -\frac{1}{z^2}.

f(z)의 최댓값은 ''z''0 = 1에서 나타나고, f(z)의 이계도함수는 이 점에서 −1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

:N! \approx N^{N+1}\sqrt{\frac{2\pi}{N}} e^{-N}=\sqrt{2\pi N} N^N e^{-N}.

참조

[1] 논문 Accurate Approximations for Posterior Moments and Marginal Densities
[2] 서적 Computational Bayesian Statistic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Saddlepoint approximation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4] 서적 Information Theory, Inference and Learning Algorithms http://www.infer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9
[5] 논문 Median-point approximation and its application for the study of fermionic systems https://link.aps.org[...] 2022-05-03
[6] 간행물 Watson’s lemma and Laplace’s method http://individual.ut[...]
[7]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