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락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락탐은 고리 내에 아미드 결합을 가진 고리형 아미드 화합물을 의미한다. 락탐은 고리 크기에 따라 명명법이 다르며, α-락탐, β-락탐, γ-락탐 등이 있다. 락탐은 벡만 전위, 슈미트 반응, 아미노산의 고리화, 요오드락탐화 반응, 키누가사 반응, 딜스-알더 반응 등 다양한 유기 합성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락탐은 락팀과의 호변이성질체 관계를 가지며, ε-카프로락탐은 나일론-6 합성에 사용되고, β-락탐계 항생제는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또한, 락탐은 폴리아미드로 중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락탐 - 플루니트라제팜
    플루니트라제팜은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향정신성 약물로, 심각한 불면증 치료 및 전마취제로 사용되지만 전향성 기억상실을 유발하여 데이트 강간 약물로 악용될 수 있어 제형 변경 및 국가별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 락탐 - 스트리크닌
    스트리크닌은 마전과 스트리크노스속 식물에서 추출되는 맹독성 알칼로이드로, 신경 기능 억제 효과를 이용해 살서제 등으로 사용되며 유기화학 합성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락탐

2. 명명법

그리스어 접두사는 고리 크기를 알파벳 순서로 나타낸다. α-락탐이 가수 분해되면 α-아미노산이 생성되고, β-락탐이 가수 분해되면 β-아미노산이 생성되는 것에서 이러한 명명법이 유래했다.

2. 1. 고리 크기에 따른 명명법

(고리에 있는 원자 수)체계명IUPAC 명명법관용명구조3α-락탐아지리딘-2-온α-아세토락탐
4β-락탐아제티딘-2-온β-프로피올락탐
5γ-락탐피롤리딘-2-온γ-부티로락탐, 2-피롤리돈
6δ-락탐피페리딘-2-온δ-발레로락탐, 2-피페리디논, 2-피페리돈
7ε-락탐아제판-2-온ε-카프로락탐, 카프로락탐



이러한 명명법은 α-락탐의 가수 분해로 α-아미노산이 생성되고, β-락탐의 가수 분해로 β-아미노산이 생성되는 것에서 유래하였다.[1]

3. 합성

락탐은 다양한 유기 합성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다. 일반적인 합성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반응간략한 설명
요오드락탐화 반응[5]요오드와 알켄의 반응
키누가사 반응알킨과 니트론의 1,3-쌍극자 고리 첨가 반응
딜스-알더 반응사이클로펜타다이엔 및 클로로설포닐 아이소사이아네이트(CSI)의 반응. 낮은 온도(-78°C)에서는 β-락탐, 최적 온도에서는 빈스 락탐[3] 생성.[4]


3. 1. 벡만 전위

산 촉매 하에서 옥심의 전위 반응인 벡만 전위 반응을 통해 락탐이 형성된다.

3. 2. 슈미트 반응

환형 케톤과 아지도산이 슈미트 반응을 통해 락탐을 생성한다. 사이클로헥사논은 아지도산과 반응하여 ε-카프로락탐을 형성하며, 과량의 산으로 처리하면 심장 자극제인 카르디아졸을 형성한다.

3. 3. 아미노산의 고리화

락탐은 동일 분자 내의 아민과 카르복실산 사이의 결합을 통해 아미노산의 고리화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락탐화는 생성물이 γ-락탐일 때 이 방식으로 가장 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Fmoc-Dab(Mtt)-OH는 측쇄 아민이 매우 부피가 큰 4-메틸트리틸(Mtt) 기에 의해 입체적으로 보호됨에도 불구하고, 아민은 여전히 결합하여 γ-락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반응은 HATU 및 PyAOP와 같은 많은 커플링 시약을 사용하여 5분 안에 거의 완료된다.[1]

3. 4. 분자 내 친핵성 치환 반응

친핵성 공격 반응을 통해 선형 아실 유도체의 분자 내 반응에 의한 고리화로 락탐이 형성된다.

3. 5. 요오드락탐화 반응

아이오딘알켄의 반응으로 이민 이온과 할로늄 이온이 형성된다.[5] 이민 이온은 이렇게 형성된 할로늄 이온과 반응한다.[2]

아이오도락탐화 반응

3. 6. 키누가사 반응

알킨과 니트론의 1,3-쌍극자 고리 첨가 반응으로 락탐이 생성되는 반응을 키누가사 반응이라고 한다.

3. 7. 딜스-알더 반응

딜스-알더 반응과 사이클로펜타다이엔 및 클로로설포닐 아이소사이아네이트(CSI)의 반응을 통해 β-락탐과 γ-락탐을 모두 얻을 수 있다. 낮은 온도(-78°C)에서는 β-락탐이 선호되는 생성물이다. 최적의 온도에서 빈스 락탐[3]으로 알려진 매우 유용한 γ-락탐이 얻어진다.[4]

빈스 락탐과 베타 락탐의 제조

4. 락탐-락팀 호변이성질체

락탐(왼쪽)과 락팀(오른쪽)의 호변이성질체 관계


락탐의 -CO-NH-기가 호변이성으로 -C(OH)=N- 구조가 된 것을 '''락팀'''(lactim)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이사틴은 락탐형 구조와 락팀형 구조를 모두 가질 수 있다.

5. 주요 화합물

6. 반응

락탐은 다음과 같은 반응을 할 수 있다.

6. 1. 중합 반응

락탐은 폴리아마이드로 중합될 수 있다.

참조

[1] 학술지 Incorporation of Fmoc-Dab(Mtt)-OH during solid-phase peptide synthesis: a word of caution https://pubs.rsc.org[...] 2022-03-30
[2] 서적 Organic Syntheses http://orgsynth.org/[...] 1998
[3] 간행물 "2-Azabicyclo[2.2.1]hept-5-en-3-one: Chemical Profile of a Versatile Synthetic Building Block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s" 2012
[4] 간행물 2007
[5] 서적 Organic Syntheses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