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갑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갑산군은 량강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개마고원의 동쪽 가장자리에 해당한다. 동점령산이 최고봉이며, 허천강 유역에서 농업이 이루어진다. 조선 시대에는 유배지로 이용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항일 유격대 활동이 있었고, 한국 전쟁 중에는 미군의 폭격을 받았다. 현재는 1읍, 4로동자구, 20리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량강도의 군 - 김형직군
    김형직군은 량강도 최서단,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경한 개마고원 북서부 산악 지대에 위치하며, 본래 평안도 후창군이었으나 김일성 가문의 현양 정책으로 개칭되었고, 임업이 주요 산업이며 북부내륙선 철도가 통과한다.
  • 량강도의 군 - 김형권군
    김형권군은 량강도 최남단에 위치한 산악 지형의 군으로, 1914년 풍산군으로 발족하여 함경남도에 속했다가 1954년 량강도로 이관되었으며, 1990년 김형권의 이름을 따 개칭되었고 1개의 읍, 1개의 로동자구, 17개의 리로 구성되어 밭농사, 광업 및 제조업이 이루어진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갑산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량강도의 갑산 위치 지도
량강도에서 갑산의 위치
기본 정보
원어 이름갑산군
한글갑산군
한자甲山郡
로마자 표기Gapsan-gun
맥큔-라이샤워 표기Kapsan-gun
국가북한
량강도
면적1200 km²
인구 (2008년)70,611명
행정 구역1읍, 4 노동자구, 20리

2. 지리

혜산시 남쪽에 있으며, 개마고원의 동쪽 부분을 차지한다. 가장 높은 산은 동점령산으로 2,113m이다. 남쪽으로 풍서군, 북쪽으로 삼수군·혜산시·운흥군과 인접한다.

대부분 산지 지역이나 허천강 유역에는 경작지가 있다. 군 면적의 85% 가량이 삼림이라 경작지는 많지 않다. 대륙성 기후로 겨울에는 매우 춥다. 두설봉, 덕만산, 백모봉 등 높은 산지가 많다.

갑산 분지에 위치하며, 군내에는 허천강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2. 1. 지형

갑산군은 혜산시 남쪽에 있으며, 개마고원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가장 높은 산은 동점령산으로 2,113m이다. 남쪽으로 풍서군, 북쪽으로 삼수군·혜산시·운흥군과 인접한다.

대부분 산지 지역이나 허천강 유역에는 경작지가 있다. 군 면적의 85% 가량이 삼림이라 경작지는 많지 않다. 대륙성 기후로 겨울에는 매우 춥다. 두설봉, 덕만산, 백모봉 등 높은 산지가 많다.

군의 지형은 중앙과 갑산 분지를 향해 낮아진다. 군의 주요 하천은 허천강이며,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경작은 주로 분지와 강 유역에 제한되어 있다.

2. 2. 기후

갑산군은 개마고원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일반적으로 대륙성 기후이며 삼한사온 현상이 뚜렷하다. 연평균 기온은 3.5℃, 1월 평균 -18℃, 8월 평균 19℃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600mm이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동점령산(2113m)이다. 군 면적의 약 85%가 산림지이며, 경작은 주로 갑산 분지와 허천강 유역에 제한되어 있다. 허천강은 군내에서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3. 역사

조선 시대의 갑산군은 유배지로 이용될 만큼 산골 오지였다.[5] 1391년 만호부가 설치되어 갑주(甲州)로 불렸고, 1413년 갑산군으로 개칭되었다.[5] 1437년에는 관내에 진(鎭)이 설치되었으며, 1446년 삼수보(三水堡)를 삼수군으로 분리했다.[5] 1460년에는 도호부가 설치되었다.[5] 갑산은 압록강에 면한 북방 방어의 중심지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함경도에 속하여 압록강 남안부의 넓은 지역을 관할했다.[5] 그러나 삼수군과 함께 "삼수갑산"으로 병칭되며, 변방·유배지의 대명사이기도 했다.[5]

1895년, 23부제 실시에 따라 갑산군·삼수군을 관할하는 갑산부가 설치되었으나,[5] 1896년 13도제 실시에 따라 함경남도 갑산군이 되었다.[5]

조선 시대에는 유배지로 이용되었을 만큼 산골 오지였다.[5] 일제강점기에는 함경남도에 속하는 행정 구역이었으며, 현재의 혜산시, 운흥군, 보천군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었다.[5]

갑산군의 국경지대는 일제 강점기 말까지 항일 유격대가 투쟁을 한 지역으로, 박금철, 리효순 등이 활동하였다.[5] 그들이 관여한 보천보 전투(1937년)의 보천보는 당시 갑산군 보천면 보전리에 있었다.[5] 이들 국내 유격대 출신들은 북조선 건국 후 갑산파라 불리는 유력한 그룹을 구성했지만 1967년에 숙청되었다.[5] 다만, 이들이 주로 활동한 지역은 1942년에 혜산군으로 분군됐다.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폐합으로 함경남도 갑산군의 일부(리인면, 천남면, 웅이면)가 풍산군에 편입되었다.[5] 1934년 보혜면이 혜산읍과 보천면으로 분할되었고, 장평면이 갑산면으로 개칭되었다.[5] 1942년 4월에는 혜산읍, 보천면, 운흥면이 혜산군으로 분리되었다.[5] 1945년 8월 15일 기준으로 갑산면, 진동면, 산남면, 회린면, 동인면의 5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5]

조선 시대에 갑산군은 유배지로 이용될 만큼 산골 오지였다. 일제강점기까지 함경남도에 속했다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량강도가 신설되면서 량강도에 편입되었다.

일제 강점기 말까지 갑산군 국경지대에서는 항일 유격대의 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박금철, 리효순 등이 이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이들이 참여한 보천보 전투(1937년)의 무대인 보천보(현재 보천군)는 당시 갑산군 갑산군 보천면 보전리에 속해 있었다. 북조선 건국 이후, 박금철 등 국내 유격대 출신들은 김일성 등의 만주파와는 구별되는 갑산파라는 유력한 정치 그룹을 형성했으나, 1967년에 숙청되었다. 다만, 이들이 주로 활동한 지역은 1942년에 혜산군으로 분군되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 갑산군은 갑산면, 진동면, 산남면, 회린면, 동인면의 5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52년 12월에는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져 갑산면, 회린면, 동인면, 진동면 전역과 산남면 대부분을 통합하여 갑산군(1읍 29리)이 재편성되었다. 1954년 10월에는 량강도에 편입되었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 10월 30일, 미 해군 폭격기들이 갑산에서 회합을 가질 예정이던 북한 공산주의 지도자들을 목표로 대규모 폭격을 감행했다. 유엔군에 정보를 제공한 것은 남한의 게릴라들이었다. VF-54 소속 AD 스카이레이더 8대와 VA-728 소속 AD 8대가 VF-172 소속 F2-H2 4대, VF-53 소속 F4U-4 8대, VF-713 소속 F4U-4 8대, VF-831 소속 F9-F2 4대의 호위를 받으며 1,000파운드(454kg) 폭탄과 네이팜탄으로 회합 장소를 공격했고, 정보 분석 결과 500명의 공산주의자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3. 1. 조선 시대

조선 시대의 갑산군은 유배지로 이용될 만큼 산골 오지였다.[5] 1391년 만호부가 설치되어 갑주(甲州)로 불렸고, 1413년 갑산군으로 개칭되었다.[5] 1437년에는 관내에 진(鎭)이 설치되었으며, 1446년 삼수보(三水堡)를 삼수군으로 분리했다.[5] 1460년에는 도호부가 설치되었다.[5] 갑산은 압록강에 면한 북방 방어의 중심지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함경도에 속하여 압록강 남안부의 넓은 지역을 관할했다.[5] 그러나 삼수군과 함께 "삼수갑산"으로 병칭되며, 변방·유배지의 대명사이기도 했다.[5]

1895년, 23부제 실시에 따라 갑산군·삼수군을 관할하는 갑산부가 설치되었으나,[5] 1896년 13도제 실시에 따라 함경남도 갑산군이 되었다.[5]

3. 2. 일제강점기

조선 시대에는 유배지로 이용되었을 만큼 산골 오지였다.[5] 일제강점기에는 함경남도에 속하는 행정 구역이었으며, 현재의 혜산시, 운흥군, 보천군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었다.[5]

갑산군의 국경지대는 일제 강점기 말까지 항일 유격대가 투쟁을 한 지역으로, 박금철, 리효순 등이 활동하였다.[5] 그들이 관여한 보천보 전투(1937년)의 보천보는 당시 갑산군 보천면 보전리에 있었다.[5] 이들 국내 유격대 출신들은 북조선 건국 후 갑산파라 불리는 유력한 그룹을 구성했지만 1967년에 숙청되었다.[5] 다만, 이들이 주로 활동한 지역은 1942년에 혜산군으로 분군됐다.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폐합으로 함경남도 갑산군의 일부(리인면, 천남면, 웅이면)가 풍산군에 편입되었다.[5] 1934년 보혜면이 혜산읍과 보천면으로 분할되었고, 장평면이 갑산면으로 개칭되었다.[5] 1942년 4월에는 혜산읍, 보천면, 운흥면이 혜산군으로 분리되었다.[5] 1945년 8월 15일 기준으로 갑산면, 진동면, 산남면, 회린면, 동인면의 5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5]

3. 3. 해방 이후

조선 시대에 갑산군은 유배지로 이용될 만큼 산골 오지였다. 일제강점기까지 함경남도에 속했다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량강도가 신설되면서 량강도에 편입되었다.

일제 강점기 말까지 갑산군 국경지대에서는 항일 유격대의 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박금철, 리효순 등이 이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이들이 참여한 보천보 전투(1937년)의 무대인 보천보(현재 보천군)는 당시 갑산군 갑산군 보천면 보전리에 속해 있었다. 북조선 건국 이후, 박금철 등 국내 유격대 출신들은 김일성 등의 만주파와는 구별되는 갑산파라는 유력한 정치 그룹을 형성했으나, 1967년에 숙청되었다. 다만, 이들이 주로 활동한 지역은 1942년에 혜산군으로 분군되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 갑산군은 갑산면, 진동면, 산남면, 회린면, 동인면의 5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52년 12월에는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져 갑산면, 회린면, 동인면, 진동면 전역과 산남면 대부분을 통합하여 갑산군(1읍 29리)이 재편성되었다. 1954년 10월에는 량강도에 편입되었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1년 10월 30일, 미 해군 폭격기들이 갑산에서 회합을 가질 예정이던 북한 공산주의 지도자들을 목표로 대규모 폭격을 감행했다. 유엔군에 정보를 제공한 것은 남한의 게릴라들이었다. VF-54 소속 AD 스카이레이더 8대와 VA-728 소속 AD 8대가 VF-172 소속 F2-H2 4대, VF-53 소속 F4U-4 8대, VF-713 소속 F4U-4 8대, VF-831 소속 F9-F2 4대의 호위를 받으며 1,000파운드(454kg) 폭탄과 네이팜탄으로 회합 장소를 공격했고, 정보 분석 결과 500명의 공산주의자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산업

허천강을 따라 벼농사와 감자 농사를 짓는다. 특히 오일로동자구는 홉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어, 오일홉이라는 이름으로 해외에 수출된다. 갑산꿀로 알려진 꿀 생산도 하고 있다. 목재업이 성행하며 구리와 석탄 광산이 있다.

주요 지역 산업은 농업이며, 주요 작물로는 호천을 따라 재배되는 벼, 감자, 홉, 꿀 등이 있다. 광대한 숲 덕분에 벌목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에는 구리, 석탄 및 황동광을 포함한 다양한 광물 매장량이 있다.

5. 교통

갑산군에는 교통 수단으로 케이블카가 있지만, 주로 도로 교통을 이용한다.[1][2] 갑산군에는 길이 70리(27.4km)의 삭도가 설치되어 있다.[1][2] 이 삭도를 통해 갑산 광산에서 생산된 석탄을 콤독역까지 운반하여 제련한다.[2] 갑산군의 광산 마을에는 길이 10리(3.9km)의 무궤도 전차 노선이 설치되어 운행되고 있다.[2]

6. 행정 구역

갑산군은 1개의 읍(읍), 4개의 로동자구(노동자구), 20개의 리(리)로 구성되어 있다.

valign="top" |valign="top" |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CHAPTER XXXVIII: The X Corps Advances to the Yalu http://www.army.mil/[...]
[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01-22
[3] 서적 Attack From the Sky: Naval Air Operations in the Korean War Department of the Navy Naval Historical Center
[4] 서적 Shield of the Republic: The United States Navy in an Era of Cold War and Violent Peace, Volume I: 1945-1962 St. Martin's Press
[5] 웹사이트 양강도 갑산군 역사 http://www.cybernk.n[...]
[6]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 정확한 날짜가 없어서 00-00-00으로 처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