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옌볜 조선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에 위치한 자치주로, 역사적으로 고구려, 발해의 영역이었으며 19세기 중반부터 조선인들이 이주하여 정착했다. 1952년 조선민족 자치구로 지정된 후 1955년 자치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 한족, 조선족, 만주족 등이 거주한다. 백두산을 비롯한 자연경관과 항일 독립운동 유적, 그리고 옌볜 대학 등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중국어와 한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경제적으로는 목재 생산과 국경 무역이 활발하며, 한국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동북아시아 지역의 연결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을 통해 국제선이 운항되며, 중국 축구에서도 중요한 지역으로, 옌볜 푸더가 중국 슈퍼리그에 참가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옌볜 조선족 자치주 - 얼다오바이허 진
    얼다오바이허 진은 뚜렷한 계절적 기후 변화를 보이며, 여름철 강수량 집중, 풍부한 일조 시간, 긴 강설 기간, 한국보다 낮은 겨울 기온이 특징적이다.
  • 한국어권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한국어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사회주의 국가이며,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세습 체제를 유지하고 주체사상에 기반한 일당 독재 체제를 운영하며, 대한민국과는 분단 상태이고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옌볜 조선족 자치주
지도 정보
지린성 내 연변 자치주 위치
지린성 내 연변 자치주 위치
기본 정보
정식 명칭연변 조선족 자치주
중국어 (간체)延边朝鲜族自治州
중국어 (정체)延邊朝鮮族自治州
중국어 병음Yánbiān Cháoxiǎnzú Zìzhìzhōu
한국어 (한글)연변조선족자치주
한국어 (한자)延邊朝鮮族自治州
한국어 로마자 표기 (개정)Yeonbyeon Joseonjok Jachiju
한국어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Yŏnbyŏn Chosŏnjok Chach'iju
약칭연변주, 연변
별칭간도
위치중국 지린성
행정 구역 단위자치주
지린성
청사 소재지옌지시
건치일1952년
개정일1955년
면적43,474 km²
인구 (2022년)2,015,500명
인구 (2010년)2,271,600명
인구 (2009년)218.7만명
인구 밀도50명/km²
민족 구성한족 65.79%
조선족 30.77%
기타 3.44%
언어한국어, 중국어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우편 번호133000
지역 전화 번호+86 433
차량 번호판 접두사吉H
ISO 3166-2CN-JL-24
공식 웹사이트연변 자치주 공식 웹사이트
정치
정부 형태자치주
중국공산당 서기화자푸
인민대표대회 주임장타이판
성장홍경
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캉팡
지리
최고 고도2,691m (백두산)
경제
총 GDP859억 위안 (미화 138억 달러)
1인당 GDP40,119 위안 (미화 6,441 달러)
GDP (2008년)379.6억 위안
1인당 GDP (2008년)17,374 위안
상징
금달래
기타
주의옌볜의 표기는 원칙적으로 옌볜이 맞으며, 연변도 관용적으로 인정됨.

2. 역사

옌볜 조선족 자치주 성립 60주년 기념식


옌볜 지역은 고대에 부여, 북옥저, 고구려, 발해의 영역이었다. 특히, 둔화시의 동모산(東牟山중국어)은 발해 건국의 출발지였다. 이 지역은 발해의 중심지였던 만큼 현재도 발해 관련 유적들이 많은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1949년에 발견된 정혜공주묘(둔화 시 류딩 산六顶山중국어) 고분군 제1구역 2호분)와 1980년에 정효공주묘가 발견된 허룽시(和龙市중국어)의 룽터우 산 고분군(龙頭山古墳群중국어) 등이 있다.

19세기 중반부터 조선 함경도 사람들이 두만강을 건너 옌볜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5] 1881년 옌볜 지역의 조선인은 약 1만 명이었으며, 1907년에는 옌지에만 조선인 가구수가 5만 호에 이르렀는데, 이는 한족 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했다.[2][3] 1910년 일본이 한국을 병합한 후, 정치적 이유로 만주로 이주하는 조선인들이 늘어났다.[5] 1916년 옌볜의 조선인은 이 지역 총인구 26만 5천 명 중 약 20만 명이었다. 1930년에는 옌지시, 허룽시, 훈춘시, 왕칭현 등 4개 현의 조선인은 39만 명으로 해당 지역 총인구의 76.4%를 차지했다.

일제강점기 옌볜은 항일 독립운동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1920년 봉오동 전투청산리 전투 등 옌볜을 거점으로 한 무장 독립 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간도참변 등 일제의 탄압으로 많은 조선인들이 희생되기도 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52년 9월 3일에 옌볜은 조선민족 자치구로 지정되었다.[17] 1955년에 자치주로 격하되었지만,[17] 조선족의 문화적, 정치적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유지해왔다. 1954년 자치구 성립 직후, 이 지역 총인구 85만 4천 명 중 조선인은 53만 명으로 전체의 62%를 차지했다. 1955년에는 조선족 비율이 2%에 불과했던 둔화 현이 편입되면서 자치주로 격하되었다. 조선족 자치주가 성립된 9월 3일은 자치주 차원의 공휴일로 지정되어 매년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다. 2012년 9월 3일에는 옌볜 조선족 자치주 성립 60주년 기념행사가 옌지시에서 열렸다.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옌볜의 조선족들은 홍위병에 의해 살해되고 박해받는 등[4] 주덕해가 "지방 민족주의 부자"로 몰려 사망하는 등[16] 시련을 겪었다. 그러나 이후 다시 자치주의 지위를 회복하고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1992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계 수립(한중수교) 이후, 한국과의 경제, 문화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옌볜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으로의 인구 유출과 더불어, 저출산 고령화와 과소화 문제가 심각하다.[16]

2. 1. 조선인 이주와 항일운동

19세기 중반부터 조선 함경도 사람들이 두만강을 건너 옌볜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5] 1881년 옌볜 지역의 조선인은 약 1만 명이었으며, 1907년에는 옌지에만 조선인 가구수가 5만 호에 이르렀는데, 이는 한족 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했다.[2][3] 1910년 일본이 한국을 병합한 후, 정치적 이유로 만주로 이주하는 조선인들이 늘어났다.[5] 1916년 옌볜의 조선인은 이 지역 총인구 26만 5천 명 중 약 20만 명이었다. 1930년에는 옌지시, 허룽시, 훈춘시, 왕칭현 등 4개 현의 조선인은 39만 명으로 해당 지역 총인구의 76.4%를 차지했다.

일제강점기 옌볜은 항일 독립운동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1920년 봉오동 전투청산리 전투 등 옌볜을 거점으로 한 무장 독립 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간도참변 등 일제의 탄압으로 많은 조선인들이 희생되기도 했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52년 9월 3일에 옌볜은 조선민족 자치구로 지정되었다.[17] 1955년에 자치주로 격하되었지만,[17] 조선족의 문화적, 정치적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유지해왔다. 1954년 자치구 성립 직후, 이 지역 총인구 85만 4천 명 중 조선인은 53만 명으로 전체의 62%를 차지했다. 1955년에는 조선족 비율이 2%에 불과했던 둔화 현이 편입되면서 자치주로 격하되었다. 조선족 자치주가 성립된 9월 3일은 자치주 차원의 공휴일로 지정되어 매년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다. 2012년 9월 3일에는 옌볜 조선족 자치주 성립 60주년 기념행사가 옌지시에서 열렸다.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옌볜의 조선족들은 홍위병에 의해 살해되고 박해받는 등[4] 주덕해가 "지방 민족주의 부자"로 몰려 사망하는 등[16] 시련을 겪었다. 그러나 이후 다시 자치주의 지위를 회복하고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1992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계 수립(한중수교) 이후, 한국과의 경제, 문화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옌볜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으로의 인구 유출과 더불어, 저출산 고령화와 과소화 문제가 심각하다.[16]

3. 지리

옌볜 조선족 자치주는 남쪽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량강도, 동쪽으로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북쪽으로는 헤이룽장성 무단장, 서쪽으로는 지린성 바이산과 접해 있다. 남서쪽 끝에는 백두산이 위치해 있으며, 하이란강(해란강), 가야허강(가야하) 등 주요 하천이 남쪽으로 흘러 두만강에 합류한다.

수계는 쑹화강(송화강) 수계, 무단강(목단강) 수계, 두만강 수계, 라즈돌나야강(쑤이펀허) 수계로 나뉜다. 산맥으로는 장백산맥, 장광차이링(장광채 산맥), 모단링(모란 봉) 등이 있다. 산맥 부근이나 산맥 내부에서는 , , 아연, 구리, , 망간, 수은을 포함한 50여 종의 금속과 40여 종의 광물이 발견되었다.

평균 해발 고도는 500m이다. 주요 강으로는 쑹화강(송화강), 무단강(모란강), 두만강과 그 지류인 가야강, 훈춘강이 있다. 이 강들은 28개의 유수 처리 시설을 통해 논과 농장과 같은 농업 용도에 적합한 유역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현(縣)의 70% 이상이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1,460종의 토착 동물과 250종의 토착 식물이 서식하는 등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한다.

백두산만주족과 조선족 모두에게 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지는 화산이다. 전체적으로 산악 지형이며, 두만강 유역에 약간의 평지가 있다. 옌볜 조선족 자치주는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도로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4. 행정 구역

옌볜 조선족 자치주는 6개의 현급시와 2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급시에는 옌지시, 투먼시, 룽징시, 허룽시, 둔화시, 훈춘시가 있으며, 현에는 왕칭현안투현이 있다.

옌볜조선족자치주 현급구역#이름한자면적(km2)인구(명)
550px
현급시
1옌지시옌지 시/延吉市중국어133248.9만
2투먼시투먼 시/图们市중국어1142.313.7만
3룽징시룽징 시/龙井市중국어220818.8만
4허룽시허룽 시/和龙市중국어506922만
5둔화시둔화 시/敦化市중국어1195748만
6훈춘시훈춘 시/珲春市중국어514525만
7왕칭현왕칭 현/汪清县중국어901625.4만
8안투현안투 현/安图县중국어744421.6만



경제개발구로는 도문시 경제개발구, 연길시 경제개발구, 돈화시 경제개발구, 안도현 백두산관광 경제개발구, 훈춘 변경경제합작구가 있다.

5. 인구와 민족

2010년 11월 기준으로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민족 구성은 한족이 64.55%로 가장 많고, 조선족이 32.45%를 차지한다.[19] 그 외 만주족(2.52%), 회족(0.28%), 몽골족(0.13%) 등 소수민족이 거주한다.[19] 조선족은 주로 옌지시(58%), 룽징시(67%), 허룽시(60%), 투먼시(58%), 훈춘시(45%)에 집중적으로 거주한다. 옌볜에서 가장 많은 성씨는 김(金)씨이다.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민족구성 (2010년 11월)'''[19]
민족이름한족조선족만주족회족몽골족징포족토가족좡족묘족시버족기타민족
인구수14657587369915721263703036194188177154130606
인구 비율(%)64.5532.452.520.280.130.010.010.010.010.010.03
소수민족 인구중 비율(%)---91.557.110.790.380.020.020.020.020.020.08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한족이 65.79%, 조선족 30.77%, 만주족 2.80%, 회족 0.28%, 몽골족 0.23%였다.[9]

2022년 말 옌볜의 총인구는 201만 5천 명이었으며,[7] 도시화율은 69.6%였다.[7] 1952년부터 2002년까지 옌볜의 도시화율은 55.6%로, 지방 평균(31.3%)보다 20%p, 전국 평균(26.5%)보다 25%p 높았다.[8]

옌지시

6. 경제

옌볜은 목재 생산지로 유명하며,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10]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국경 무역이 활발하며, 특히 훈춘시는 변경 개방 도시로 지정되어 있다.[10]

1992년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의 수교 이후 한국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면서 중국 변방 지역 중 가장 높은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2003년 GDP는 171억 5천만 위안이었으며, 1인당 GDP는 7841위안이었다.[10] 산업 구조는 1차 산업 14.2%, 2차 산업 46.5%, 3차 산업 39.3%이다. 2003년 대외 무역 수출은 2억 8천만 달러, 수입은 1억 3천만 달러였다.

2022년 옌볜의 GDP는 약 838.57억 위안(약 124.79억 달러)이었다.[10] 1인당 GDP는 44,007위안(약 6,542달러)이었다.[10] 1차, 2차, 3차 산업의 생산액은 각각 76.52억 위안(약 11.38억 달러), 335.27억 위안(약 49.285억 달러), 427.08억 위안(약 63.50억 달러)이었다.[10]

한국, 일본 등으로 취업을 나가는 사람들이 많으며, 1980년대 이후 출생자(80后) 중에는 엘리트가 많고, 3개 국어를 구사하는 사람들도 많다.

7. 교통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는 여러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창춘-투먼선, 무단장-투먼선, 조양천-개산툰선, 투먼-훈춘 철도, 창춘-훈춘 고속철도가 있다. 그 외에도 장훈 도시 간 철도, 둔백 여객 전용선, 장도선, 도가선, 도훈선, 백화선, 조개선/朝开铁路중국어, 화룡선/和龙铁路중국어, 화평선/和坪铁路중국어 등이 있다.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는 창춘-훈춘-우란하오터 고속도로 등 총 1,480km의 고속도로가 있다. 국도로는 G201국도, G302국도, G331국도, G333국도, G334국도 등이 있다.

허룬 고속도로

훈우 고속도로

왕옌 고속도로/汪延高速公路중국어

연장 고속도로/延长高速公路중국어

G201국도

G302국도

G331국도

G333국도/333国道중국어

G334국도/334国道중국어

블라디보스토크 후타라야・레치카 행 버스가 있다.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이 있으며, 대한민국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일본간사이 국제공항,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평양 순안 국제공항 등지로의 국제선이 운항되고 있다.

7. 1. 철도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는 여러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창춘-투먼선, 무단장-투먼선, 조양천-개산툰선, 투먼-훈춘 철도, 창춘-훈춘 고속철도가 있다. 그 외에도 장훈 도시 간 철도, 둔백 여객 전용선, 장도선, 도가선, 도훈선, 백화선, 조개선/朝开铁路중국어, 화룡선/和龙铁路중국어, 화평선/和坪铁路중국어 등이 있다.

```source

  • 창춘-투먼선 ()
  • 무단장-투먼선 ()
  • 조양천-개산툰선 ()
  • 투먼-훈춘 철도
  • 창춘-훈춘 고속철도()


철도는 다음과 같다.

  • 창투 선 (长图线중국어)
  • 무투 선 (牡图线중국어)
  • 조개 선 ()
  • 양천산둔 선 (阳川山屯线중국어)
  • 길림-훈춘 고속철도 (吉珲客运专线)


총 의 일반 도로가 있다. 공항은 네 곳이 있다.

  • 장훈 도시 간 철도
  • 둔백 여객 전용선
  • 장도선
  • 도가선
  • 도훈선
  • 백화선



7. 2. 도로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는 창춘-훈춘-우란하오터 고속도로 등 총 1,480km의 고속도로가 있다. 국도로는 G201국도, G302국도, G331국도, G333국도, G334국도 등이 있다.

허룬 고속도로

훈우 고속도로

왕옌 고속도로/汪延高速公路중국어

연장 고속도로/延长高速公路중국어

G201국도

G302국도

G331국도

G333국도/333国道중국어

G334국도/334国道중국어

블라디보스토크 후타라야・레치카 행 버스가 있다.

7. 3. 항공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이 있으며, 대한민국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일본간사이 국제공항,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평양 순안 국제공항 등지로의 국제선이 운항되고 있다.

8. 교육

옌볜에는 옌볜 대학, 옌볜 과학기술대학교 등 고등 교육 기관과 옌볜 일중 등 중등 교육 기관이 있다.[11][12] 연변국제학교, 연변한국국제학교 등 국제학교도 있다.[13][14] 연변대학교는 중국어와 한국어를 모두 사용한다.[11]

9. 문화

중국어와 조선족 스타일의 한국어가 모두 공용어로 사용된다.옌볜조선족자치주 박물관은 1960년에 계획되어 1982년에 건립되었으며, 1만 점이 넘는 전시품을 소장하고 있다. 전시품 설명은 한국어와 중국어로 되어 있으며, 한국어와 중국어 안내 가이드도 있다.

윤동주 생가, 삼일삼독립운동 의사릉, 청산리 대첩 기념비 등 항일 독립운동 관련 유적지가 많이 남아있다. 주덕해(朱德海) 동지 고거지 등 역사적 인물의 유적지도 보존되어 있다.

옌볜 텔레비전방송(YBTV), 옌볜 인민방송, 옌볜일보 등 조선어 언론 매체가 활동하고 있다.

1909년 11월 2일, 일본은 구 간도일본총영사관을 용정에 설치하였다. 나가타키 히사키치(永瀧久吉)가 초대 총영사였다. 현재 건물은 1926년 5월에 새로 준공된 것이다.

비암산일송정(琵岩山一松亭)은 용정의 상징이었으며 현재는 관광지로 조성되어 있다. 윤동주의 묘는 와세다대학(早稲田大学)의 오무라 마스오(大村益夫) 교수가 1985년 5월 14일, 윤동주의 친동생인 윤일주에게서 받은 지도를 토대로 40년 만에 그 장소를 확인하였다.

용정 지명 기원의 우물은 용정 시가지 남서부의 거룡공원 내에 위치한다. 조선인 이민자인 장인석과 박인언이 1878년~1880년경에 발견하였다.

1920년 1월 4일, 간도국민회의 임국정, 윤준희 등은 조선은행 회령지점으로 이송 중이던 기병대를 습격하여 15만 엔을 강탈하였다.

개산둔 국경, 두만강 국경( 두만강 국경대교), 봉오동 전투지(鳳梧洞抗日戦跡), 청산리 대첩 기념비, 장백산(백두산), 고성리 국경무역장, 남평 국경무역장, 대종교 삼종사 묘역(항일지사 묘역), 훈춘 방천보초소(방천 삼국 국경) 등 여러 국경과 유적지, 그리고 관광지가 있다.

10. 관광

옌볜은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매력적인 관광지이다. 백두산은 옌볜을 대표하는 관광 명소로, 웅장한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옌볜에는 시민들을 위한 휴식 공간도 잘 마련되어 있는데, 연길 인민공원과 풀하토(普尔哈托) 강가에 있는 청년호 공원 등이 대표적이다.

두만강 국경 지대와 훈춘 방천 등 국경 지역 관광도 옌볜 관광의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특히 방천은 조선, 로씨야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이색적인 풍경을 선사한다. 옌볜은 또한 항일 독립운동의 역사가 깃든 곳으로, 봉오동 전투지, 청산리 전투지 등 관련 유적지를 방문하는 것도 의미 있는 경험이 될 것이다. 1920년 6월에 있었던 봉오동 전투는 일본군 남양수비대와 신민단이 충돌한 현장이다.

용정에는 윤동주 생가와 묘, 삼일삼독립운동 의사릉, 주덕해 동지 고거지, 대종교 삼종사 묘역 등 다양한 역사 유적지가 있다. 구 간도일본총영사관은 1909년 11월 2일에 용정에 설치되었던 곳으로, 여러번 방화로 불탄후 1926년 5월에 다시 준공되었다. 비암산에는 일송정(一松亭)이라 불리는 노송이 자라고 있으며, 많은 조선족이 사는 용정의 상징이었다.

화룡에는 청산리 대첩 기념비와, 장백산(백두산)이 있다.

훈춘에는 중로상호시무역구와 장구봉사건 전람관, 방천 삼국 국경, 팔련성 유적 등이 있다. 권하항과 장령자항 또한 훈춘에 위치해 있다.

11. 스포츠

옌볜 조선족 자치주는 중국 축구에서 중요한 지역이다.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40명이 넘는 축구 선수들이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이 자치주 최초의 프로 축구팀은 길림 삼성 축구단이다. 이 클럽은 1994년부터 2000년까지 매년 중국 최고 축구 리그에서 활동했다. 2000년에는 최상위 리그에서 강등되었다. 열악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이 클럽은 절강성의 루청 그룹에 매각되었다.

연변 롱딩은 중국 축구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인 중국 갑급 리그에서 3만 석 규모의 연길체육장에서 경기를 치른다.

연길체육장


2016년, 연변 축구 클럽은 2015년 중국 2부 리그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중국 슈퍼리그의 허가를 받아 푸데 그룹(富德集团중국어)의 후원을 받았다.

참조

[1] 서적 《吉林统计年鉴-2016》 http://tjj.jl.gov.cn[...] 中国统计出版社 2016-09
[2] 서적 The Manchurian frontier in Chʼing history http://archive.org/d[...]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
[3] 서적 Russia and Its Northeast Asian Neighbors: China, Japan, and Korea, 1858–1945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2-08-08
[4] 서적 Maoism: A Global History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9-09-03
[5]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Minorities in China and Japan 1992
[6] 웹사이트 The Gentle Decline of the 'Third Korea' http://www.atimes.co[...] 2007-08-16
[7] 웹사이트 延边州2022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 中国统计信息网 http://www.tjcn.org/[...] 2024-01-06
[8] 웹사이트 Jílín Yánbiān Cháoxiǎnzú Zìzhìzhōu chéngshìhuà shuǐpíng zǒuzài quánguó qiánliè http://news.xinhuane[...] 2002-09-02
[9] 웹사이트 吉林省人口普查年鉴-2020 http://tjj.jl.gov.cn[...] 2024-01-06
[10] 웹사이트 延边朝鲜族自治州2022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tjj.jl.gov.cn[...] 2024-01-08
[11] 웹사이트 Yanbian University https://www.digiedup[...] 2023-05-19
[12] 웹사이트 YUST {{!}} YUST PUST Foundation https://www.yustpust[...] 2023-05-19
[13] 웹사이트 Where Are We? http://www.yiachina.[...] 2015-10-01
[14] 웹사이트 Home page http://kisy.org/ 2016-01-10
[15] 뉴스 中国の中のハングルの世界――延辺朝鮮族自治州へ https://web.archive.[...] 2017-12-30
[16] 학술지 延辺朝鮮族の社会学的考察 : エスニシティに対する接近を中心に https://doi.org/10.1[...] アジア政経学会 2002
[17] 웹사이트 吉林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18] 일반
[19] 서적 《吉林省2010年人口普查资料》 中国统计出版社 20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