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어 문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어 문법은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등 다양한 품사의 문법적 특징을 포함한다. 명사는 성, 수, 격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며,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의 6가지 격과 호격이 존재한다. 대명사는 인칭, 소유에 따라 구분되며, 소유 대명사는 소유자와 피소유자의 성과 수에 따라 변화한다. 동사는 시제, 상, 인칭, 수에 따라 변화하며, 과거, 현재, 미래의 시제를 가지며, 완료상과 불완료상으로 구분된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며, 명사의 성, 수, 격에 일치하여 형태가 변화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별 문법 - 불가리아어 문법
    불가리아어 문법은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수사 등 다양한 품사의 형태와 기능을 설명하며, 명사의 성, 수, 한정성, 격 등의 문법 범주와 동사의 시제, 상, 법, 태에 따른 활용, 그리고 자유로운 어순과 결합사 이중화와 같은 구문 현상을 특징으로 한다.
  • 언어별 문법 - 로지반 문법
    로지반 문법은 형식 문법을 사용하여 문장을 구문 분석하는 로지반 언어의 문법 체계로, 17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을 사용하며, 브리블라, 기스무, 루지보 등 다양한 품사와 문법 요소로 구성되어 명확하고 논리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 러시아어 - 러시아어 점자
    러시아어 점자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러시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며, 구두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고, 주변 언어의 점자 체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어 -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은 러시아어 키릴 문자를 로마자로 변환하는 다양한 체계를 의미하며, 널리 사용되는 단일 표준 없이 여러 표준이 특정 목적에 따라 경쟁적으로 사용된다.
러시아어 문법

2. 명사

러시아어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род)으로 나뉜다. 명사의 성은 주로 어미에 따라 결정된다.[1] 명사는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의 6가지 격(падеж) 외에 호격(звательный падеж)으로 바뀌기도 한다. (예: Боже мой! 나의 신이여!)[1] 수사와 결합하는 명사는 특수한 변화를 보인다.[1]

2. 1. 명사의 성

러시아어의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으로 나뉜다. 남성 명사는 일반적으로 자음, -й, ь로 끝나고, 여성 명사는 -а, -я, -ь로 끝난다. 중성 명사는 보통 -о, -е, -мя로 끝난다.[1]

복수인 경우 남성 및 여성 명사는 어미의 경·연에 따라 -ы와 -и로 끝나고, 중성 명사는 -а와 -я로 끝난다.[1]

2. 2. 명사의 수

러시아어 명사는 단수(единственное число)와 복수(множественное число)를 가진다. 복수형은 어미 변화를 통해 형성되며, 남성/여성 명사는 경어미/연어미에 따라 -ы/-и, 중성 명사는 -а/-я로 끝나는 것이 일반적이다.[1]

복수인 경우 남성 및 여성 명사는 어미의 경·연에 따라 -ы와 -и로 끝나고, 중성 명사는 -а와 -я로 끝난다.[1]

2. 3. 명사의 격

러시아어 명사는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의 6가지 격(падеж)을 가진다. 격은 문장 내에서 명사의 역할을 나타내며, 어미 변화를 통해 표현된다.[1] 일부 명사는 호격(звательный падеж)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 Боже мой! 나의 신이여!)[1]

2. 4. 수사와 명사의 결합

러시아어에서 수사와 관련된 명사는 특수한 변화를 보인다. 1은 단수 주격이지만, 2-4는 단수 생격, 5 이상은 복수 생격을 받는다.[1] 2-4의 단수 생격은 쌍수형의 자취이다.[1]

3. 대명사

러시아어 대명사는 인칭, 수, 격에 따라 변화한다.

러시아어의 소유 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소유자의 성, 수, 격 뿐만 아니라 피소유자의 성과 수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소유자단수 소유피소유자
나 (я)мой (모이)남성
моя (마야)여성
моё (마요)중성
мои (마이)복수
너 (ты)твой (뜨보이)남성
твоя (뜨바야)여성
твоё (뜨바요)중성
твои (뜨바이)복수
그 (он) / 그것 (оно)его (이보)남성/중성
그녀 (она)её (이요)여성
우리 (мы)наш (나쉬)남성
наша (나샤)여성
наше (나쉐)중성
наши (나시)복수
너희 (вы)ваш (바쉬)남성
ваша (바샤)여성
ваше (바쉐)중성
ваши (바시)복수
그들 (они)их (이흐)성 구분 없음


3. 1. 인칭 대명사

Вы (븨) - 당신Вы (븨) - 당신들3인칭он (온) - 그
она (아나) - 그녀
оно (아노) - 그것они (아니) - 그들, 그녀들, 그것들



모두 주격을 이용하고 있다. 높여 부르는 Вы에서 "В"는 대문자여야 한다. 여러 사람들 앞에서는 무조건 Вы를 사용해야 하며, 나이에 상관 없이 서로 친하면 ты를 사용할 수 있다.[1]

소유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소유자단수 소유피소유자
나 (я)мой (모이)남성
моя (마야)여성
моё (마요)중성
мои (마이)복수
너 (ты)твой (뜨보이)남성
твоя (뜨바야)여성
твоё (뜨바요)중성
твои (뜨바이)복수
그 (он) / 그것 (оно)его (이보)남성/중성
그녀 (она)её (이요)여성
우리 (мы)наш (나쉬)남성
наша (나샤)여성
наше (나쉐)중성
наши (나시)복수
너희 (вы)ваш (바쉬)남성
ваша (바샤)여성
ваше (바쉐)중성
ваши (바시)복수
그들 (они)их (이흐)성 구분 없음


3. 2. 소유 대명사

러시아어의 소유 대명사는 소유자의 성, 수, 격뿐만 아니라 피소유자의 성, 수, 격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소유자단수소유피소유자
я (야)мой (모이)남성
моя (마야)여성
моё (마요)중성
мои (마이)복수
ты (띄)твой (뜨보이)남성
твоя (뜨바야)여성
твоё (뜨바요)중성
твои (뜨바이)복수
он (온)его (이보)남성/중성
그녀она (아나)её (이요)여성
우리мы (믜)наш (나쉬)남성
наша (나샤)여성
наше (나쉐)중성
наши (나시)복수
너희вы (븨)ваш (바쉬)남성
ваша (바샤)여성
ваше (바쉐)중성
ваши (바시)복수
그들они (아니)их (이흐)남성/여성/중성/복수


4. 동사

러시아어 동사시제(время), 상(вид), 인칭(лицо), 수(число)에 따라 변화한다.

4. 1. 시제

러시아어 동사의 시제는 과거, 현재, 미래의 총 3가지로 구성된다. 발화 시점을 기준으로 발화 시점 이전은 '과거', 발화 시점과 일치하면 '현재', 발화 시점 이후면 '미래' 시제이다.[1]

하지만, 발화 시점과 사건 시간의 선후관계를 항상 엄격하게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화자가 어떤 사건을 발화 시점에 유효하다고 생각하면 현재 시제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시대를 막론하고 유효한 보편적 사실이나 격언 등은 현재 시제로 주로 표현하곤 한다.[1]

과거나 미래 시제의 의미를 가지지만 발화할 때 현재 시제를 사용하거나 미래(과거) 시제의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과거(미래) 시제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시제의 전이적 사용(переносное употребление времён)’이라고 부른다. 모든 유형의 시제 전이는 서술적 기능 측면에서 형태상의 시제와 의미상의 시제의 불일치를 유발한다.[1]

러시아어에서는 시제와 상(вид)이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더욱 세밀한 의미 표현을 가능케 한다. 흔히 이를 ‘시상범주(시제 + 상)’이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러시아어의 상은 불완료상(НСВ)과 완료상(СВ)으로 나뉘고, 시제는 과거, 현재, 미래의 3가지 범주로 나뉘지만, 완료상 현재시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5개의 순서쌍만이 존재한다.[2]

동사는 완료체(러시아어: CB|에스베ru)와 불완료체(러시아어: HCB|엔에스베ru)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각각 완망상(perfective)과 비완망상(imperfective)에 대응한다.[3]

4. 2. 상 (Вид)

러시아어에서 동사는 완료상(СВ)과 불완료상(НСВ)으로 나뉘며, 시제와 결합하여 더욱 세밀한 의미를 표현한다. 이를 '시상범주(시제 + 상)'라고 부른다.[2] 완료상은 불완료상과 짝을 이루는데, 완료상 현재 시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5개의 시상 범주(시제+상)가 존재한다.[2]

동사는 완료체(СВ|에스베ru)와 불완료체(НСВ|엔에스베ru)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각각 완망상(perfective)과 비완망상(imperfective)에 대응한다.[3]

4. 3. 동사의 파생

러시아어 동사는 접두사(приставка) 또는 접미사(суффикс)를 통해 새로운 상을 가진 동사로 파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두사 혹은 접미사를 첨가하여 하나의 동사에서 다른 상의 동사를 파생시킨다. 때때로 접사에 의해 파생되어 새로운 상을 형성한 동사에 새로운 접사가 붙어 동사를 파생시키기도 한다. 이는 특히 의미가 더해지는 접사 파생의 경우에 자주 나타난다.[3]

예시:

접두사 및 접미사로 별개의 상을 지닌 동사를 파생하는 경우, 해당 접사가 지닌 의미가 본래의 동사에 더해지기도 하며, 특히 접두사 파생에서 극히 생산적이다.[3]

4. 4. 위치 동사

위치 동사(глаголы положения)는 공간 내 대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사이다. 위치 동사는 수평성, 표면성, 방향성, 부동성 등의 의미 자질(семантические признаки)을 통해 위치를 구체화한다.[7]

'''의미 자질'''

의미 자질에는 수평성, 표면성, 방향성, 부동성이 있다.

1. 수평성: 공간의 수평적 특성으로, 동작이 수평적으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2. 표면성: 대상과 표면과의 접촉 여부로, 동작이 표면 위에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3. 방향성: 수평적 위치에서 방향을 지니는 변화로, 동작이 특정 방향으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4. 부동성: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ЛЕЖАТЬ|례좌찌ru 동사를 네 가지 자질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수평성: 주로 수평으로 누워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2. 표면성: 어떤 대상이 표면 위에 놓여 있는 상태를 강조한다.
3. 방향성: (길, 도로)가 나 있다, 임무 등이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4. 부동성: 움직이지 않고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4. 5. 자세 동사

자세 동사는 신체의 부동 자세를 나타내는 동사로, 행위 의미와 상태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8] 이러한 동사는 정적인 위치뿐 아니라 행위자의 의식적인 노력도 내포한다.[8]

한국어의 '앉다'는 러시아어에서 정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сидеть'와 동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садиться'로 구분된다.[8] 'сидеть'가 자세 의미로 사용될 경우, 엉덩이를 붙이고 상체를 세워 특정 공간에 위치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На вершине дерева неподвижно сидел глухарь" (뇌조가 나무 꼭대기에 움직이지 않고 앉아 있었다)와 같이 사용된다.[8]

'сидеть'는 위치 의미로 사용될 때 동물이 꼼짝 않고 있거나, 오랫동안 공간에 머무르거나, 지내거나, 직위에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Я хочу сидеть тихонько в деревне и писать исторический роман" (나는 조용하게 시골에 머무르며 역사 소설을 쓰고 싶다)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8]

'сидеть'는 행위 의미로 사용될 때 '전치사 за/над + 도구나 행위 명사'와 결합하여, 앉아서 하는 활동(컴퓨터 작업, 문서 작업, 뜨개질 등)을 나타내며 '-하다', '-쓰다'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Однажды вечером ― он сидел за английским переводом" (어느 날 저녁에 그는 영어 번역을 했다)와 같이 사용된다.[8]

또한, 'сидеть'는 특수 의미로 감옥에 갇히거나, 식이 요법 중이거나, 체형에 맞거나, 배가 정박해 있는 상태, 또는 사물이 전형적인 공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Гвоздь крепко сидит в стене" (못이 벽에 단단히 박혀 있다)와 같이 사용된다.[8]

4. 6. 운동 동사

운동 동사(глаголы движения)는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크게 정태 동사(однонаправленные глаголы)와 부정태 동사(разнонаправленные глаголы)로 나뉜다.
정태 동사 (идти, ехать):
부정태 동사 (ходить, ездить):
동사 변화 (예시):

이 외에도 плыть-плавать(헤엄치다), лететь-летать(날다) 등 다양한 운동 동사가 존재한다.
운동 동사의 특징:
운동 동사의 이차적 의미:운동 동사는 일차적 의미(이동) 외에도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이차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단어일차적 의미이차적 의미예문
идти걸어 가다(정태)눈/비가 오다, 진행 중이다, 시계가 간다, 어울리다
ходить걸어 가다(부정태)옷을 입은 상태이다, 기분이 ~하다, (~한 소문이 있다), 에둘러 말하다
бежать달리다시간이 흐르다, 액체가 흐르다
лететь날아 가다시간이 빠르게 흐르다, 빠르게 움직이다
плыть수영하다흘러가다, 떠다니다
нести가지고 가다(정태)책임을 지다, 짊어지다, 지탱하다
носить가지고 가다(부정태)옷을 입는다, 수염을 기르다, 이름을 따오다
вести데리고 가다(정태)진행하다, 운영하다, 연설하다, 교섭(переговоры)하다, 처신하다
водить데리고 가다(부정태)속이다
везти - повезти태워 가다운이 좋다


정태/부정태 동사와 결합하는 접두사:운동 동사는 특정 접두사와 결합하여 이동의 방향과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5. 형용사

형용사는 명사와 같이 성, 수, 격에 따라 변화하며, 한정적 용법에서는 형용사가 일치한다. 서술적 용법에서는 어미가 짧은 "단어미형"도 이용된다.[1]

참조

[1] 저널 러시아어 동사 시제형의 전이적 사용 연구
[2] 서적 러시아 언어문화
[3] 서적 의미론: 국어, 세계, 마음 한국문화사 2018
[4] 서적 러시아어 동사의 상의 용법 중앙대학교출판부
[5] 서적 러시아어 동사의 상 글로벌콘텐츠 2023-05-20
[6] 저널 러시아어 미래시제 발화에서 완료상 미래형, 불완료상 미래형, 불완료상 현재형의 의미-기능 https://www.semantic[...] 2008-04-01
[7] 저널 러시아어 수평적 위치동사의 파생 경향 연구 2021
[8] 문서 러시아어와 한국어 자세 동사의 대조 연구: ‘сидеть’와 ‘앉다’를 중심으로.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