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프 (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프는 셔츠나 가운의 목 부분에 달린 작은 천 조각인 러플에서 발전한 의류 장식이다. 16세기 유럽에서 유행했으며, 더블렛이나 가운의 목을 보호하고 옷의 빳빳함을 유지하며 부와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졌다. 주로 린넨으로 제작되었으며, 전분을 사용하여 형태를 유지했다. 17세기 초 윙 칼라와 밴드의 유행으로 쇠퇴했지만, 북독일의 한자 동맹 도시 시의원, 덴마크 루터교 성직자, 스위스 근위병 예복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신교 전례복 - 영대
    영대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기독교 예배 의복으로, 어깨에 걸쳐 늘어뜨리는 형태로 성직자의 권위와 직분을 상징하며, 교파별로 형태와 의미가 다르고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에서도 사용된다.
  • 개신교 전례복 - 장백의
    알바는 기독교, 특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 성직자나 봉사자가 입는 흰색의 긴 튜닉 형태 예복으로, 사제의 청결함과 순결을 상징하며 순수함, 평등, 헌신의 의미를 지닌다.
  • 목둘레 착용품 - 반다나
    반다나는 다양한 색상, 무늬, 재질로 만들어진 정사각형 천으로 된 머리 장식으로, 패션, 기능, 정치적 메시지 전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 여러 문화권에서 사용되어 현대에는 특정 하위문화, 스포츠, 작업 현장 등에서 널리 쓰인다.
  • 목둘레 착용품 - 경식
    경식은 훈장, 기사단 훈장, 특정 직위의 상징으로 목에 걸어 착용하는 장식적인 목걸이 형태의 훈장으로, 중세 후기 기사단의 상징에서 시작되어 유럽 왕실과 귀족 사회로 확산되었고, 오늘날에는 국가 원수나 고위 인사에게 수여되는 최고 등급 훈장의 형태이다.
  • 16세기 패션 - 가운
    가운은 앵글로색슨족 여성의 외투에서 유래하여 중세 유럽에서 남녀 모두 착용하는 의복을 지칭했으며, 대학생의 지위, 특정 의례, 스포츠 의상, 의료용품 등으로 사용된다.
  • 16세기 패션 - 코르셋
    코르셋은 몸통을 조이는 속옷으로, 중세 유럽 의복에서 진화하여 18~19세기 여성 패션의 필수품이었으나 20세기 초 쇠퇴하였고, 현재는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여성 억압과 자유의 복잡한 의미를 지닌다.
러프 (옷)
개요
러프를 착용한 여성의 초상
러프를 착용한 여성의 초상
다른 이름주름 장식 깃
넥 칼라
설명촘촘하게 주름을 잡아 세팅한 옷깃
착용 시기기원전 1575년경
역사 및 형태
유행 시기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
재료린넨
레이스
형태초기: 좁고 단순한 주름 깃
후기: 넓고 복잡한 형태, 레이스 장식 추가
특징목 주변을 감싸는 형태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 존재
사회적 지위와 부를 나타내는 상징
착용 계층귀족 및 상류층
용도장식, 격식 있는 자리
국가별 명칭
영어Ruff
프랑스어Fraise
일본어襞襟 (히다에리)

2. 역사

러프는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유행한 목둘레를 장식하는 옷깃이다. 셔츠나 슈미즈에 달린 작은 천 조각인 러플에서 진화했으며, 처음에는 실용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풀이 발명되면서 점차 크고 화려해졌으며, 부와 지위를 상징하게 되었다.

16세기 말에는 러프의 크기가 매우 커져서, 어떤 것은 폭이 약 0.30m에 달하기도 했다. 이러한 '카트휠 러프'는 철사 틀로 지탱해야 할 정도였다. 또한, 풀을 먹일 때 노란색, 분홍색, 연보라색 등으로 염색하기도 했다.

17세기 초, 서유럽에서는 윙 칼라나 늘어뜨리는 밴드(Bands영어)로 유행이 바뀌면서 러프 착용이 쇠퇴했지만, 네덜란드를 포함한 동쪽 지역에서는 더 오래 지속되었다.

오늘날에도 북독일의 한자 동맹 도시의 시의원이나 덴마크 루터교회 성직자, 바티칸 스위스 근위대 예복에는 러프가 남아있다.

2. 1. 기원과 발전

러프는 셔츠나 셔츠에 달린 작은 천 조각인 러플에서 진화했다. 러프는 착용자의 더블렛이나 가운이 목선에서 더러워지는 것을 막아주면서, 별도로 세탁할 수 있는 옷감의 교체 가능한 부분 역할을 했다. 의복의 뻣뻣함은 곧은 자세를 강요했으며, 실용성이 부족했기에 부와 지위의 상징이 되었다.[1]

러프는 주로 캠브릭 린넨으로 만들어졌으며, 저지대 국가에서 수입된 전분으로 빳빳하게 만들었다. 이후 러프는 때때로 16세기 초에 개발된 값비싼 장식인 레이스로 완전히 만들어지기도 했다.[1]

16세기 말로 갈수록 러프의 크기는 커졌다. 전분의 사용은 러프가 형태를 잃지 않으면서 더 넓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했다. 이후 러프는 별도의 의복으로 세탁하고, 전분을 먹이고, 가열된 원뿔 모양의 고프링 다리미를 사용하여 복잡한 8자형으로 접을 수 있었다. 가장 극단적인 형태의 "카트휠 러프"는 폭이 약 0.30m 이상이었으며, 이러한 ''카트휠 러프''는 유행하는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서포트아세'' 또는 ''언더프로퍼''라고 불리는 철사 틀이 필요했다.

17세기 초가 되면서 러프는 서유럽에서 윙 칼라와 늘어진 밴드를 선호하면서 유행이 시들해졌다. 이 유행은 네덜란드 공화국에서 더 오래 지속되어 17세기까지 초상화에서 러프를 볼 수 있었으며, 동쪽으로 더 멀리 퍼져나갔다.

2. 2. 쇠퇴

17세기 초, 서유럽에서는 윙 칼라와 늘어진 밴드를 선호하면서 러프 유행이 시들해졌다. 네덜란드 공화국에서는 17세기까지 초상화에서 러프를 볼 수 있었으며, 더 동쪽으로 퍼져나갔다.[3] 한자 동맹 도시의 시의원(''원로'')과 덴마크, 노르웨이, 페로 제도, 아이슬란드, 그린란드의 루터교 성직자는 의례복의 일부로 러프를 착용했다.

1621년 스페인 펠리페 4세는 보수적인 스페인 엘리트의 관성과 권력을 줄이려는 상징적인 시도로 러프를 금지했다.[3]

2. 3. 조선시대의 러프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일본에서는 남만 무역을 통해 "남만 의상" 중 하나로 러프가 전래되었다. 도쿠가와 요리노부(그레고리오력 1602년–1671년)나 다테 마사무네(서기 1567년–1636년) 등 다이묘와 부유한 상인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했으며, 일본 옷과 조합하여 입기도 했다. 이 때문에, 이 시대의 남만 무역과 기독교 관련 인물을 묘사할 때 중요한 의상 소품 중 하나가 되었다.[15][16][17][18]

3. 색상

가장 인기 있고 기본적인 러프의 색상은 흰색이었다.[5] 러프를 빳빳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 전분에 염료를 첨가하여 파스텔 색상을 띠게 하기도 했다. 식물성 염료는 러프를 분홍색, 연보라색, 노란색,[6] 또는 녹색으로 만들었다.[7] 연보라색은 코치닐을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었다.[6] 노란색은 사프란에서,[8] 옅은 파란색은 스멀트에서 얻을 수 있었다.[6]

러프의 푸른 빛은 착용자의 안색을 더 창백하게 보이게 하여 당시 사람들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었다.[9] 엘리자베스 1세는 이 색깔을 싫어하여 왕실 특권을 발동시켰다. "여왕 폐하의 뜻에 따라, 파란색은 스코틀랜드 국기의 색이므로, 여왕 폐하의 신하들은 파란색 전분을 사용하거나 착용해서는 안 된다...".[10]

염색된 러프 중에서는 노란색이 유럽 전역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다.[7] 영국에서는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된 살인자 앤 턴너가 노란색 전분을 발명했다고 여겨지면서 노란색이 유행에서 밀려났다. 그녀의 재판 동안 노란색으로 염색된 러프는 도덕성의 쇠퇴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앤의 동시대인들에 따르면, 그녀는 재판에 노란색 러프를 착용했고, 그 후 처형인은 아이러니하게도 그녀의 형을 집행하기 위해 같은 색상을 착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것은 당시의 소문에 불과할 수 있는데, 이 세부 사항을 언급하지 않는 다른 주요 출처도 있기 때문이다.[11]

색깔이 있는 러프는 흰색 러프보다 인기가 적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 복원가들이 흰색이 러프의 "올바른" 색상이라고 믿고 다시 칠했기 때문에 초상화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다.[6]

4. 현대의 러프

러프를 착용한 덴마크 교회의 사제 (2015)


러프는 덴마크 교회와 페로 제도 교회 주교 및 기타 성직자들의 공식 복장의 일부로 남아 있으며, 일반적으로 예배에 착용된다. 노르웨이 교회에서는 1980년에 성직자 유니폼에서 제거되었지만, 뵈레 크누센과 같은 일부 보수적인 사제들은 계속 착용했다. 일부 성공회 교회 합창단의 소년 소프라노들이 착용하기도 한다.

현재에도 북독일의 한자 동맹 도시의 시의원, 덴마크를 포함한 해당 지역 루터교회 성직자, 바티칸 스위스 근위대의 예복에 러프가 남아 있다.[15]

5. 갤러리

이토 만시오, 1585년


엘리자베스 1세 (1533년-1603년)

참조

[1] 뉴스 The Fashion Historian: Ruffs http://www.thefashio[...] 2017-05-22
[2] 서적 Bess of Hardwick, Empire Builder
[3] 서적 Europe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Pearson
[4] 웹사이트 croftdesignshop http://www.croftdesi[...] croftdesignshop 2012-08-24
[5] 간행물 Elizabethan Ruffs https://historicalbr[...] Historical Britain 2013-07-22
[6] 간행물 Liza Picard 2014
[7] 간행물 The Dictionary of Costume 1979
[8] 간행물 Shakespeare's Plants and Gardens: A Dictionary 2014
[9] 간행물 The Culture of Fashion 1994
[10] 간행물 Chronicle from Aldgate 1971
[11] 간행물 Renaissance Clothing and the Materials of Memory 2000
[12] 간행물 2001
[13] 간행물 2019
[14] 웹사이트 展示案内 「I.貴婦人の肖像」 http://www.yma-web.j[...] 山口県立美術館 2024-09-12
[15] 간행물 1979
[16] 웹사이트 主な収蔵品:伊達政宗所用の陣羽織 http://www.city.send[...] 仙台市博物館 2024-09-12
[17] 간행물 1999
[18] 간행물 2000
[19] 간행물 2009
[20] 웹사이트 天草四郎像 http://www.little-sn[...] 2006-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