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가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런던 가제트》는 1665년 런던 대역병을 피해 옥스포드로 피난한 찰스 2세와 왕실에 의해 《옥스포드 가제트》로 창간된 영국 관보이다. 1666년 런던으로 이전하여 《런던 가제트》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초창기에는 구독자에게 발송하는 형태로 판매되었다. 왕실인쇄청을 거쳐 현재는 왕실 주관 사기업에서 발행하며, 영국 의회 법안에 대한 국왕 재가, 공직 임명, 서훈, 파산 등 다양한 정보를 게재한다. 전쟁 중 특파원 보고서 게재, 군인 진급, 파산 공표 등 '가제티드(gazetted)'라는 용어로도 사용되며, 런던 가제트를 본떠 만든 식민지 관보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65년 창간 - 왕립학회의 철학적 거래
왕립학회의 철학적 거래는 20세기 초 과학적 방법론과 철학적 논쟁의 교류 중심에 있던 왕립학회의 활동을 지칭하며,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의 등장으로 촉발된 과학자와 철학자 간의 소통과 토론의 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1665년 창간 - 저널 데사반스
《저널 데 사반》은 1665년 창간되어 프랑스 혁명으로 중단 후 재발행된 프랑스의 학술 저널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다루며 프랑스 학술원 등의 후원을 받아 발행되었고, 프랑수아 베르니에의 인종 분류,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 등 학술 발전에 기여했다. - 영국 국립 공문서관 - 둠스데이 북
둠스데이 북은 1086년 윌리엄 1세의 명령으로 잉글랜드 전역의 토지 소유 현황과 가치를 기록한 대규모 토지 조사 기록으로, 왕의 재정적 권리 확립과 왕실 소유권 분쟁 대비, 앵글로색슨 사회 토지 소유 구조에 영향을 미쳤으며, 《리틀 둠스데이 북》과 《그레이트 둠스데이 북》 두 권으로 구성되어 당시 잉글랜드 사회의 경제, 사회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영국 국립 공문서관 - 후세인-맥마흔 서한
후세인-맥마흔 서한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이 아랍 반란 지원의 대가로 아랍 독립 국가를 약속했지만 조건과 범위가 불명확하여 논란을 낳았고, 특히 팔레스타인 지역 포함 여부 해석이 달라 현대 중동 분쟁에 영향을 미쳤다. - 관보 - 대한민국의 관보
대한민국의 관보는 정부가 발행하는 공식 간행물로, 헌법, 법률, 조약, 명령 등의 공포와 예산 관련 사항 등이 실리며, 현재는 전자 관보 형태로 발행되고 종이 관보는 이를 보완한다. - 관보 - 일본의 관보
일본의 관보는 정부가 발행하는 공문서로 법령, 조약, 인사 이동 등 정보를 공시하는 매체이며, 국립인쇄국에서 발행하고 2025년부터 전자판으로 대체될 예정이나 시스템 안정성 및 개인 정보 보호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다.
런던 가제트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유형 | 일간 신문 |
판형 | 브로드시트 |
창간일 | 1665년 11월 7일 |
언어 | 영어 |
본사 | 영국 |
웹사이트 | thegazette.co.uk |
발행 | |
소유주 | 영국 국왕 |
추가 정보 | |
역사 | |
설립 | 1665년 11월 7일 |
초기 역사 | 1665년 11월 7일, 옥스퍼드에서 처음으로 발행됨 찰스 2세가 런던을 떠나면서 런던에서 발행하지 못함 원래 "옥스퍼드 가제트"라는 이름으로 발행됨 24번째 호부터 "런던 가제트"로 이름 변경 |
주요 사건 | 1666년 9월 3일부터 10일까지, 런던 대화재에 대한 보도 1723년 1월 4일 발행 1724년 4월 4일 발행 |
기록 | 영국 정부의 공식 공공 기록 영국 국왕의 재량으로 영국 출판국에서 운영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신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신문 중 하나 1665년 11월 7일 첫 호 발행 |
관련 법률 | 공식 고시를 게시할 법적 요건이 있는 사람들은 반드시 런던 가제트에 고시해야 함 국왕의 저작권에 의해 보호됨 과거에는 공공기관정보국에서 관리, 현재는 출판국에서 관리 |
특징 | |
내용 | 정부 공고 법률적 통지 회사 공고 파산 통지 작위 수여 |
역사적 중요성 | 영국 정부의 공식 기록 역사적 사건에 대한 중요 정보를 제공 |
현재 |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인쇄본으로도 발행되지만, 온라인 버전이 우선시됨 |
기타 | |
관련 신문 | 스탬퍼드 머큐리 (Stamford Mercury) 배로우즈 우스터 저널 (Berrow's Worcester Journal) |
2. 역사
1665년 11월 7일 찰스 2세가 런던 대역병을 피해 옥스포드에서 《옥스포드 가제트》(''The Oxford Gazette'')로 창간했다. 런던에서 발행되는 신문을 통한 감염을 우려한 신하들을 위해 헨리 머디먼이 '관계 기관' 발행 형태로 창간했으며, 새뮤얼 피프스의 일기에도 언급되었다. 1666년 2월 5일 런던으로 돌아온 후 《런던 가제트》(''The London Gazette'') (제24호)로 발행되기 시작했다. 《가제트》는 구독자에게 발송되는 형태였고 일반인에게 판매되지 않았다.[18]
1889년 '왕실인쇄청'(''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이 발행을 인계받았고, 1990년대 왕실인쇄청 매각 후 '인쇄국'(''The Stationery Office'', TSO)으로 바뀌면서 관보 발행은 왕실 주관 사기업으로 이전되었다.[9]
2. 1. 창간 배경
1665년 11월 7일, 런던 대역병을 피해 옥스포드로 피난한 찰스 2세와 왕실에 의해 《옥스포드 가제트》(The Oxford Gazette)로 창간되었다. 신하들이 런던에서 발행되는 신문을 통한 감염을 우려하자, 헨리 머디먼이 '관계 기관'에 의해 발행하는 형태로 창간했다.[18] 창간호는 새뮤얼 피프스의 일기에도 언급되었다. 전염병이 끝나 왕이 런던으로 돌아왔을 때 가제트도 같이 이전하여, 1666년 2월 5일에 《런던 가제트》(The London Gazette)(제24호 표기)라는 종이 신문 형태로 최초로 발행되었다.[18] 《가제트》는 현대의 기준으로 보면 신문이 아니라 구독 계약자에게 발송되는 형태로 일반인에게 판매되지 않았다.2. 2. 런던 이전과 발전
1666년 2월 5일, 런던으로 돌아온 후 *런던 가제트*(''The London Gazette'')라는 이름으로 (제24호) 발행을 시작했다.[18] 초기에는 구독자에게 우편으로 발송되는 형태로, 일반 대중에게 판매되지는 않았다.[8] 1889년, 왕실인쇄청(''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이 발행을 인계받았다. 1990년대 왕실인쇄청 매각 후, 인쇄국(''The Stationery Office'', TSO)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관보 발행은 왕실 주관 사기업으로 이전되었다.[9]2. 3. 1752년 이전 날짜 표기
1752년 1월 1일(신율)에 1750년 달력(신율) 법령이 시행될 때까지, ''가제트''는 연초를 3월 25일로 하는 율리우스력을 기준으로 날짜를 표기하여 발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현대의 2차 출처에서는 원래의 일과 달을 유지하면서 연초를 1월 1일로 조정할 수 있는데, 이 조정을 사용하면 인쇄된 날짜가 1723년 3월 24일(구율)인 호는 1724년에 발행된 것으로 보고되며, 이는 2일 후인 1724년 3월 26일에 발행된 호와 같은 태양년이다.3. 현재
런던 가제트는 일반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 발행되며, 영국 의회 및 스코틀랜드 의회 법안에 대한 국왕 재가, 하원 의원 결원 발생 시 선거 고지 발행, 특정 공직 임명, 군 및 장교 승진, 기업 및 개인 파산, 서훈과 휘장 수여, 문장의 개명, 왕실 칙령 및 기타 선언 등의 내용이 게재된다.[20]
3. 1. 발행 주기 및 형식
영국의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 발행된다. 영국인쇄청(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에서 모든 호를 디지털화하여 온라인으로 공개하고 있다.[20] 파산 통지를 제외하고, XML(이메일/FTP 전송), 아톰 피드를 통한 XML/RDFa 등 여러 기계 판독 형식으로 제공된다.[21]3. 2. 주요 게재 내용
4. 관보 게재(Gazetted)
'가제티드(Gazetted)'는 런던 가제트에 특정 내용이 게재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19]
- 군사 분야: 전쟁에서 공을 세운 군인의 이름이나 진급 소식이 런던 가제트에 게재되는 것을 의미했다.
- 파산: 파산 사실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했다.
- 기타: 약혼이나 결혼 발표, 재산 사냥꾼을 지칭하는 표현 등.
4. 1. 군사 분야
전쟁 중, 여러 분쟁 지역에 파견된 특파원들은 런던 가제트에 게재된다. 게재된 특파원은 게재된 파견인(Mentioned in dispatches, 약칭 MiD)으로 칭해진다.[19] 군인이 진급을 하면, 그러한 사항들이 이곳에 게재되며, 그런 사람들이 가제티드(gazetted, 게재)되었다고 언급된다.[19]4. 2. 파산 공표
"가제티드(gazetted 또는 in the gazette)"는 파산 사실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1772년 검소한 소작농과 1822년의 사치스러운 가짜 상류층 농민을 비교한 아래 10행시가 그 예이다.[19]
:남자는 밭 갈고 (Man to the plough)
:아내는 소 키우고 (Wife to the cow)
:딸은 물레질 하고 (Girl to the yarn)
:아들은 축사 일 하네 (Boy to the barn)
:그래야 소작료 낼 수 있다네 (And your rent will be netted)
:남자는 여우 사냥하고 (Man tally-ho)
:딸은 피아노 치고 (Miss piano)
:아내는 비단과 새틴 걸치고 (Wife silk and satin)
:아들은 그리스어와 라틴어 배우고 (Boy Greek and Latin)
:그러면 모두 관보에 실리게 된다네 (And you’ll all be Gazetted)
4. 3. 기타 용례
"가제티드(gazetted 또는 in the gazette)"는 파산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했다. 1772년의 검소한 소작농과 1822년의 사치스러운 젠트리 농민을 비교한 시와 같은 예가 있다.[19]
:남자는 쟁기질하고 (Man to the plough)
:아내는 소를 키우고 (Wife to the cow)
:딸은 물레질하고 (Girl to the yarn)
:아들은 헛간 일하고 (Boy to the barn)
:그러면 소작료 낼 수 있고 (And your rent will be netted)
:남자는 여우 사냥하고 (Man tally-ho)
:딸은 피아노 치고 (Miss piano)
:아내는 비단과 새틴 걸치고 (Wife silk and satin)
:아들은 그리스어와 라틴어 배우고 (Boy Greek and Latin)
:그러면 모두 관보에 실리게 된다네 (And you’ll all be Gazetted)
'관보 게재된 재산 사냥꾼'(gazetted fortune hunter)은 여기서 파생된 표현일 가능성이 있다. 약혼이나 결혼 발표도 과거 관보에 게재되었다.
5. 식민지 관보
런던 가제트를 본떠 만든 관보는 대부분의 영국 식민지에서 발행되었다. 이 중 많은 수가 독립 이후에도, 그리고 현재까지도 계속 발행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London Gazette
1723-01-04
[2]
간행물
London Gazette
1665-11-07
[3]
웹사이트
The Rutland & Stamford Mercury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Berrow's Worcester Journal – History of the newspaper
http://www.worcester[...]
Newsquest
[5]
웹사이트
Search Result
https://www.thegazet[...]
[6]
웹사이트
Data Re-use
https://www.thegazet[...]
[7]
간행물
London Gazette
1666-02-05
[8]
뉴스
Yet another end of an era: 'The London Gazette', the UK's most venerable publication, goes online
https://www.independ[...]
2013-12-30
[9]
뉴스
Stationery Office sale may net £100m
https://www.telegrap[...]
2006-04-25
[10]
의회록
Bankruptcy Act
https://hansard.parl[...]
1843-06-26
[11]
서적
(제목 없음)
Hunt and Clarke
1827
[12]
웹사이트
2015-04-21
[13]
간행물
London Gazette
1665-11-07
[14]
웹사이트
Search the London Gazette Archive
http://www.london-ga[...]
[15]
웹사이트
Data Re-use
http://www.london-ga[...]
London Gazette
[16]
간행물
London Gazette
1666-02-05
[17]
서적
(제목 없음)
Hunt and Clarke
1827
[18]
간행물
London Gazette
1666-02-05
[19]
서적
(제목 없음)
Hunt and Clarke
1827
[20]
웹사이트
Search the London Gazette Archive
https://www.thegazet[...]
[21]
웹인용
Data Re-use
https://www.thegazet[...]
The London Gazet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