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라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라드는 그 의미가 불분명한 이름으로, "해" 또는 "배신"을 의미하는 "læ"와 관련하여 "배신의 주선자"로 해석되거나, "피난처"를 의미하는 "hléradr"에서 유래하여 "보호의 제공자"로 번역될 수 있다. 문헌상에서는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등장하며, 오딘의 전당 위에 있는 나무로 묘사된다. 이 나무의 가지를 염소 헤이드룬과 수사슴 에이크쉬르니르가 갉아먹고, 헤이드룬의 젖에서 꿀술이, 에이크쉬르니르의 뿔에서 물이 흘러나와 흐베르겔미르로 흘러간다. 일부 학자들은 레라드를 세계수인 이그드라실과 동일시하며, 오딘의 홀에 위치한다는 점과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한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르만 신화의 나무 - 위그드라실
위그드라실은 북유럽 신화에서 세계를 지탱하고 여러 영역을 연결하는 거대한 물푸레나무로, 헬헤임, 서리 거인, 인간 세계로 뻗은 세 개의 뿌리와 독수리, 다람쥐 라타토스크, 사슴, 뱀 니드호그 등이 서식하며 생명, 지혜, 운명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게르만 신화의 나무 - 웁살라의 영목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세르클란드
세르클란드는 관련 연구 문헌을 다루는 문서이며, 투레 요한손 아르네, 스벤 B. F. 얀손, 칼 L. 툰베리 등이 세르클란드와 관련된 연구를 발표했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아스가르드
아스가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아스 신족의 거처이자 요새로, 문헌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며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통해 접근 가능한 신들의 회의 장소와 여러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되지만, 아시아 지역의 실제 국가로 해석되기도 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레라드 | |
---|---|
일반 정보 | |
유형 | 신성한 나무 |
위치 | 발할라 지붕 위 |
특징 | 암염소를 위한 훌륭한 사료를 제공함 |
관련 동물 | 헤이드룬과 에이크쉬르니르 |
2. 어원
레라드(Læraðr / Léraðr)의 의미는 불분명하다. "læ"의 의미 중 하나는 "해", "배신"이다. 따라서 레라드의 가능한 번역은 "배신의 주선자"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오딘의 자기 희생 장소로서의 위그드라실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4] 또 다른 해석으로는 *hléradr*가 있는데, 그 첫 번째 구성 요소는 "피난처"를 의미하며, 따라서 "보호의 제공자"로 번역될 수 있다.[1]
Læraðrnon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두 절에 걸쳐 언급된다.[5][2] 오딘의 전당 위에 서서 Læraðrnon의 가지를 씹는 --이라는 염소와 --라는 수사슴이 등장한다. 헤이드룬의 젖통에서는 번쩍이는 봉밀주가 끊이지 않고, 에이크쉬르니르의 뿔에서 떨어진 물방울은 흐베르겔미르로 흘러 모든 물줄기의 근원이 된다.
3. 문헌상의 등장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헤이드룬이 발할라 지붕 위에서 레라드라는 나무 줄기를 갉아먹고, 젖통에서 엄청난 양의 봉밀주를 생산한다고 묘사된다.[6] 에이크쉬르니르 역시 발할라 지붕 위에서 나무 줄기를 씹으며, 뿔에서 나오는 정수가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진다고 한다.[6]
3. 1. 《고 에다》
Læraðrnon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 두 절에 걸쳐 언급된다.[5][2]
:헤이드룬이라는 염소가 있는데,
:놈은 오딘의 전당 위에 서서
:Læraðrnon의 가지를 씹는다.
:그 그릇에 채워진
:번쩍이는 봉밀주는
:절대로 떨어지는 일이 없으리.
:에이크쉬르니르라는 수사슴이 있는데,
:놈은 오딘의 전당 위에 서서
:Læraðrnon의 가지를 씹는다.
:그 뿔에서 떨어진
:방울이 흐베르겔미르로 흐르는데
:그곳에서 모든 물줄기가 시작된다.
3. 2. 《신 에다》
〈길피의 속임수〉에 따르면, 헤이드룬이라는 암염소가 발할라 지붕 위에 서서 레라드라는 이름의 매우 유명한 나무 줄기를 갉아먹는다. 이 염소의 젖통에서는 엄청난 양의 봉밀주가 매일같이 가득 들어찬다.[6] 또한, 수사슴 에이크쉬르니르는 발할라 지붕 위에서 나무 줄기를 씹는데, 그 뿔에서 나오는 풍부한 정수가 흐베르겔미르로 떨어져 거기서 흘러나오는 물줄기들을 강이라고 한다.[6]
4. 해석 및 이론
레라드의 의미는 불분명하다. "læ"의 의미 중 하나는 "해", "배신"이다. 따라서 레라드의 가능한 번역은 "배신의 주선자"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오딘의 자기 희생 장소로서의 위그드라실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4] 또 다른 해석으로는 *hléradr*가 있는데, 그 첫 번째 구성 요소는 "피난처"를 의미하며, 따라서 "보호의 제공자"로 번역될 수 있다.[1]
존 린도우에 따르면, 레라드를 세계수인 이그드라실과 동일시하는 첫 번째 이유는 "레라드가 오딘의 홀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우주의 중심에 해당한다"는 것이다.[4] 또 다른 주장은 이그드라실에 독수리, 다람쥐 라타토스크, 네 사슴, 많은 뱀, 그리고 용 니드호그와 같은 많은 동물들이 살고 있다는 것이다. 스노리 또한 흐베르겔미르가 이그드라실 아래에 위치해 있다고 기록했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D. S. Brewer
1996
[2]
서적
Edda Sæmundar Hinns Froða: The Edda Of Sæmund The Learned
Trübner & Co.
1866
[3]
서적
Snorri Sturluson: The Prose Edda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1916
[4]
서적
Norse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Heroes, Rituals, and Belief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5]
서적
Edda Sæmundar Hinns Froða: The Edda Of Sæmund The Learned
Trübner & Co.
1866
[6]
서적
Snorri Sturluson: The Prose Edda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1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