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논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바논의 대통령은 레바논의 국가 원수이며, 레바논군과 치안군의 최고사령관이다. 1926년 프랑스 위임통치 시기 헌법에 따라 마론파 기독교인이 대통령직을 맡는 관례가 시작되었으며, 독립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대통령은 총리와 내각을 임명하고 해임하며, 법률 공포 및 거부, 의회 해산 권한을 갖지만, 의원 내각제 국가이므로 권한은 상징적인 역할이 크다. 대통령은 6년 임기로 선출되며, 선출에는 3분의 2의 찬성표가 필요하다. 헌법은 대통령직 공석 시 각료회의가 권한을 행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의 대통령 - 미셸 술레이만
미셸 술레이만은 레바논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레바논 대통령을 역임하면서 군 최고 사령관으로서 나흐르 알 바레드 난민촌 분쟁 및 2008년 정치적 위기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레바논 대학교에서 정치행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 레바논의 대통령 - 아민 제마옐
아민 제마옐은 1982년부터 1988년까지 레바논 대통령을 지낸 정치인으로, 카타이브 당 창립자의 아들이자 변호사 및 국회의원이었으며, 레바논 독립과 주권 재확립을 목표로 했고, 퇴임 후 망명 생활을 거쳐 귀국 후 정치 활동을 재개하여 카타이브 당 의장으로 임명되었으며, 푸마 헬리콥터 스캔들에 연루되기도 했다.
| 레바논의 대통령 | |
|---|---|
| 기본 정보 | |
| 직위 | 대통령 |
| 관할 | 레바논 |
| 원어 명칭 | (아랍어) |
![]() | |
| 직위 유형 | 국가 원수 |
| 거주지 | 바브다 궁전 베이트에딘 궁전(여름) |
| 급여 | £L225,000,000 (연간)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현직 | |
| 현직 여부 | 공석 |
| 취임일 | 2022년 10월 31일 |
| 임명권자 | 의회 |
| 임기 | 6년, 즉시 연임 불가, 비연속적으로는 연임 가능 |
| 스타일 | 각하 |
| 역사 | |
| 설립 | 1926년 9월 1일 |
| 최초의 대통령 | 샤를 드바 |
| 마지막 대통령 | 미셸 아운 |
| 구성 문서 | 레바논 헌법 |
| 기타 | |
| 약칭 | 해당 없음 |
| 후임 | 해당 없음 |
| 대리 | 해당 없음 |
2. 역사
레바논의 대통령직은 1926년 레바논 헌법 제정으로 시작되었다. 프랑스 위임통치 시기(1926-1943)에는 대통령이 레바논 의회에서 6년 임기로 선출되었고, 주요 종파(마론파 기독교, 수니파 무슬림, 시아파 무슬림) 간 권력 안배 관행이 있었으나, 이는 종파 간 갈등을 심화시키기도 했다.
독립 이후(1943-1975) 레바논은 1958년 레바논 위기를 겪는 등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레바논 내전 시기(1975-1990)에는 외부 세력의 개입, 대통령 암살, 두 정부 대립 등 혼란이 계속되었다. 타이프 협정으로 내전은 종식되었지만, 이후에도 대통령직 공석 사태가 반복되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1926년 헌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레바논 대통령직은 잦은 헌법 개정, 종파 간 권력 분배 문제, 외부 세력의 개입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2. 1. 프랑스 위임통치 시기 (1926-1943)
레바논의 역사도 참고하십시오.
최초의 레바논 헌법은 1926년 5월 23일에 공포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되었다. 프랑스 제3공화국의 헌법을 모델로 한 이 헌법은 하원과 상원(후자는 결국 폐지됨), 대통령, 그리고 내각인 각료회의로 구성된 양원제 의회를 규정했다. 대통령은 하원에서 6년 임기로 선출되며, 재선은 6년 후에나 가능했다. 하원의원은 종교적 구분에 따라 선출되었다.[2]
이 시기에는 주요 정치 지도자뿐만 아니라 공공 행정의 최고위직을 인구의 주요 종파 비율에 따라 선택하는 관습이 강화되었다. 예를 들어, 대통령은 마론파 기독교인, 총리는 수니파 무슬림, 하원의장은 시아파 무슬림이어야 했다. 그리스 정교회와 드루즈는 항상 내각에 참여했다. 이러한 관행은 마론파 대통령에게 총리 선택 권한 등 과도한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종파 간의 긴장을 증가시켰고, 레바논의 국가 정체성 형성을 방해했다.[2] 헌법에 따라, 프랑스 고등판무관은 여전히 최고의 권력을 행사했으며, 이는 처음에는 레바논 민족주의자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정교회 신자인 샤를 데바스는 헌법 채택 3일 만에 레바논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32년 데바스의 첫 임기가 끝나자, 비샤라 엘-쿠리와 에밀 에데가 대통령직을 놓고 경쟁하면서 하원이 분열되었다.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일부 의원들은 트리폴리의 무슬림 지도자이자 각료회의 의장인 셰이크 무하마드 알 지스르를 타협 후보로 제안했다. 그러나 프랑스 고등판무관 앙리 퐁소는 1932년 5월 9일에 헌법을 정지하고 데바스의 임기를 1년 연장하여 무슬림이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것을 막았다. 퐁소의 행동에 불만을 품은 프랑스 당국은 그를 백작 다미앵 드 마르텔로 교체했고, 그는 1934년 1월 30일 하비브 파샤 에스-사드를 1년 임기(나중에 1년 연장)의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에밀 에데는 1936년 1월 30일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년 후, 그는 1926년 헌법을 부분적으로 복원하고 하원 선거를 실시했다. 그러나 1939년 9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헌법은 다시 프랑스 고등판무관에 의해 정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프랑스가 1940년 프랑스 영토에 대한 권력을 장악했을 때, 앙리 덴츠 장군이 레바논의 고등판무관으로 임명되었다. 이 새로운 전환점은 1941년 4월 4일 레바논 대통령 에밀 에데의 사임을 초래했다. 5일 후, 덴츠는 알프레드 나카체를 단 3개월간의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비시 당국은 나치 독일이 시리아를 통해 이라크로 항공기와 물품을 이동하도록 허용했으며, 이는 영국군에 대항하는 데 사용되었다. 영국은 나치 독일이 약한 비시 정부에 압력을 가해 레바논과 시리아를 완전히 장악할 것을 우려하여 자신의 군대를 시리아와 레바논으로 보냈다.[3]
레바논에서 전투가 끝난 후, 샤를 드골 장군이 이 지역을 방문했다. 레바논 내부 및 외부의 다양한 정치적 압력 하에, 드골은 레바논의 독립을 인정하기로 결정했다. 1941년 11월 26일, 조르주 카트루 장군은 레바논이 자유 프랑스 정부의 권한 하에 독립하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3]
1943년에 선거가 실시되었고, 1943년 11월 8일, 새로운 레바논 정부는 일방적으로 위임통치를 폐지했다. 프랑스는 이에 반발하여 새로운 정부를 투옥했다.
2. 2. 독립 이후 (1943-1975)
1952년, 푸아드 셰하브는 베샤라 엘 쿠리 대통령의 사임을 요구하는 봉기에 군대가 개입하는 것을 막았다. 셰하브는 레바논 총리와 국방부 장관을 겸임하며, 비상 대통령 선거를 보장하기 위해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4일 후, 카미유 샤문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6] 샤문의 재임 기간 동안 레바논은 건설, 은행, 관광 부문에서 경제 호황을 누렸으며, 1954년 합자회사 설립, 1956년 은행 비밀 유지에 관한 법을 시행했다.[7] 파와즈 트라불시에 따르면, 샤문은 권력을 자신에게 집중시켜 민주주의와 독재의 경계를 모호하게 했다.[7]1958년, 카미유 샤문 대통령이 재선을 위해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가말 압델 나세르를 지지하는 범아랍주의자 및 무슬림(특히 수니파) 단체들이 샤문 정부를 전복하려 했다. 이후 수니파 아랍 민족주의자와 친정부 기독교인 간에 충돌이 발생했다. 미국은 오퍼레이션 블루 배트를 통해 개입했다.
레바논 대통령은 레바논 의회에서 선출된다.[8] 의회는 서방과 샤문을 지지하는 세력, 나세르와 아랍 연합 공화국을 지지하는 세력으로 분열되었다. 셰하브는 타협 후보로 여겨졌으며,[9] 온건한 정책으로 다양한 종교, 세속, 종교 세력과 협력하여 긴장을 완화하고 국가를 안정시켰다.
1964년, 정치적 연계가 없던 미셸 엘루가 푸아드 셰하브의 뒤를 이어 4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0] 6일 전쟁(1967년)은 레바논의 종파 간 관계를 악화시켰다. 많은 무슬림은 레바논의 참전을 원했고, 많은 기독교인은 반대했다. 엘루는 레바논의 개입을 막으려 했지만, 짧은 공습을 제외하고는 긴장을 억제하기 어려웠다. 1968년 의회 선거는 국가의 양극화를 심화시켰다.
정부 권위는 남부의 무장 팔레스타인 게릴라로 인해 도전받았고, 레바논 군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 간의 충돌이 빈번해졌다. 엘루는 팔레스타인 게릴라의 요구에 저항했지만, 1969년 군사적으로 반란을 종식시키지 못하자 굴복했다.
1970년, 엘루는 엘리아스 사르키스를 후임자로 지지했지만,[11] 사르키스는 국회 선거에서 술레이만 프란지에에게 한 표 차이로 패했다.
2. 3. 레바논 내전 (1975-1990)
레바논의 역사 참고.레바논의 내전은 1975년 4월 13일에 시작되었다.[12] 1976년, 술레이만 프란지에 대통령은 분쟁 종식을 위한 헌법 문서를 발표했다.[12] 이 문서는 총리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 의회에서 기독교인과 무슬림 간 동등한 대표성을 제안했지만, 주요 정치인과 종교 지도자들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12][13]
1970년 선거에서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던 엘리아스 사르키스는 1976년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는 내전 종식을 희망했으나, 시리아 등 외부 세력 개입으로 상황이 악화되었다. 1980년, 사르키스는 국가적 합의를 위해 단결, 독립, 의회 민주주의, 캠프 데이비드 협정 거부를 골자로 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1982년, 내전이 격화된 가운데 레바논 포스 지도자 바시르 제마옐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14] 취임 전 암살당했다. 그의 동생 아민 제마옐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1988년, 아민 제마옐 대통령은 임기 만료 직전 미셸 아운을 총리로 임명해 군사 정부를 구성했지만, 무슬림 정치인들의 반발로 두 개의 경쟁 정부가 들어섰다. 아운은 바브다의 대통령궁을 점령했고, 알-호스는 무슬림이 지배하는 서베이루트에 사무실을 설립했다. 1990년, 아운이 시리아와 레바논 군대의 대통령궁 공격 이후 항복하면서 내전이 종식되었다. 알-호스는 이후 오마르 카라미를 지지하며 총리직에서 사임했다.[16]
레바논 내전 종식을 위한 타이프 협정 이후, 1989년 르네 무아와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취임 17일 만에 카 바폭탄 테러로 암살당했다.[17] 이후 엘리아스 흐라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18] 바브다 궁전이 파괴된 후에는 라피크 하리리의 아파트에서 집무했다.[19]
1998년에는 시리아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 헌법 개정을 통해[20] 에밀 라후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1] 그는 헤즈볼라와 동맹을 맺고 셀림 알-호스를 총리로 임명하여 라피크 하리리와 갈등을 빚었다.[22][23] 2007년, 그의 임기 만료 후 6개월간의 정치적 교착 상태 끝에 미셸 술레이만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5]
2. 4. 내전 이후 (1990-현재)
레바논 내전을 종식시키기 위한 타이프 협정 이후, 1989년 11월 5일 르네 무아와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7] 그러나 그는 선출 17일 만인 11월 22일, 250kg의 카 바폭탄 테러로 암살당했다.[17] 이틀 뒤인 11월 24일, 엘리아스 흐라위가 후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8] 1990년 10월에는 바브다 궁전이 시리아군에 의해 파괴되기도 했다.[19]1998년에는 에밀 라후드가 육군 참모총장의 공직 출마를 허용하는 헌법 개정 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0] 그는 헤즈볼라와 동맹을 맺고 셀림 알-호스를 총리로 지명하여 라피크 하리리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22][23] 2007년 그의 임기 만료 후, 6개월간의 정치적 교착 상태 끝에 미셸 술레이만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5]
2014년 5월 미셸 술레이만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된 후, 2016년 10월 31일까지 약 2년 반 동안 대통령직이 공석이었다. 2016년 10월 31일, 미셸 아운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2022년 10월 30일까지 재임했다. 그 이후로 대통령직은 다시 공석 상태이다.
레바논 정치에서는 대통령직 공석이 반복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1998년 이후 공석 없이 후임자에게 권력이 이양된 경우는 없었다.[39] 레바논 헌법은 대통령직이 공석일 경우 각료회의가 대통령 권한을 대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40]
3. 선출 및 자격 요건
레바논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의회 의원과 동일한 자격을 갖춰야 하며, 레바논 시민권을 보유하고 21세 이상이어야 한다.[29] 1943년 국가 협약이라는 헌법 관례에 따라 대통령직은 마론파 기독교인으로 제한된다.[29][26] 이는 베샤라 엘 후리 대통령과 리야드 알 솔흐 총리 간의 신사 협정에 따른 것으로, 총리는 수니파 무슬림, 의회 의장은 시아파 무슬림이 맡도록 규정했다.[26]
대통령은 취임 시 "레바논 국가의 헌법과 법률을 준수하고 레바논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유지할 것"을 맹세해야 한다.[27]
대통령 임기 만료 30~60일 전, 국회의장은 새 대통령 선출을 위한 특별 회기를 소집한다. 1차 투표에서 3분의 2 찬성을 얻어야 하며, 미달 시 2차 투표에서 과반수로 선출한다. 대통령은 첫 임기 만료 후 6년이 지나야 재선될 수 있다.[38] 헌법은 의회 대통령 선거 회의 소집에 필요한 정족수를 명확히 규정하지 않아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38]
3. 1. 선출
대통령 임기 만료 30~60일 전, 국회의장은 새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특별 회기를 소집한다. 비밀 투표로 6년 임기의 후보자를 선출하며, 선출에는 3분의 2의 찬성표가 필요하다. 만약 어떤 후보자도 3분의 2의 과반수를 얻지 못하면, 과반수만으로 선출할 수 있는 2차 투표가 진행된다. 개인은 첫 임기가 만료된 후 6년이 지나야 대통령으로 재선될 수 있다.[38]헌법은 의회 대통령 선거 회의를 소집하기 위해 필요한 정족수에 대해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 않다. 대통령을 선출하는 데 필요한 정족수를 지정하는 명확한 규정이 없으므로 헌법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한 견해에 따르면, 의회의 모든 회의에 필요한 과반수(50% + 1)를 구성하는 정족수가 의회 대통령 선거 회의에도 충분하다고 본다. 다른 견해는 헌법 제49조가 첫 번째 라운드에서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해 3분의 2의 투표 과반수를 요구하고, 정족수가 과반수 + 1이라면 회의에 참석한 의원 수가 정족수를 초과하지 않을 때 3분의 2의 투표 과반수를 요구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므로 정족수는 국회의원 총수의 3분의 2 과반수라고 주장한다.[38]
3. 2. 자격 요건
레바논 헌법은 대통령이 의회 의원과 동일한 자격을 갖출 것을 요구하며, 이는 레바논 시민권을 보유하고 21세 이상이 되는 것이다.[29]헌법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1943년에 합의된 국가 협약으로 알려진 헌법 관례에 따라 관례적으로 대통령직은 마론파 기독교인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제한된다.[29][26] 이는 1943년 레바논이 프랑스로부터 독립했을 때 베샤라 엘 후리 대통령과 리야드 알 솔흐 총리 사이에 합의된 신사 협정에 기반하며, 대통령은 마론파 기독교인, 총리는 수니파 무슬림, 의회 의장은 시아파 무슬림이 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26]
레바논 헌법 제50조는 대통령이 취임 시 다음과 같은 선서를 할 것을 요구한다:[27]
: 나는 전능하신 하느님께 레바논 국가의 헌법과 법률을 준수하고 레바논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유지할 것을 맹세합니다.
4. 권한과 역할
레바논의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조국의 단결을 상징한다. 헌법을 존중하고 헌법 조항에 따라 레바논의 독립, 단결 및 영토 보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최고 국방 회의 의장을 맡으며, 군대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각료 회의의 권한을 받는다.[28]
1960년대에 관저가 바브다 궁전으로 옮겨졌으며, 샤를 엘루가 처음으로 근무했다.[32] 1943년에는 베이티딘 궁전이 대통령의 공식 여름 별장으로 선포되었다.[33]
레바논 정치에서는 대통령직 공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있다. 1998년 엘리아스 흐라위가 에밀 라후드에게 권력을 이양한 이후, 공석 없이 후임자에게 직접적으로 권력을 이양한 레바논 대통령은 없었다.[39] 헌법은 "임시/대행" 대통령에 대해 언급하지 않으며, 대통령직이 공석일 경우 각료 회의가 위임에 의해 대통령의 권한을 행사한다고 명시하고 있다.[40]
4. 1. 헌법상 권한
대통령은 레바논군과 치안군의 최고사령관이며, 총리와 내각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다. 또한 의회가 통과시킨 법률을 공포하며,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고, 의회 해산을 할 수 있다. 또한, 칙령으로 "긴급" 법안을 발령할 수도 있다.[28] 그러나, 레바논이 의원 내각제 국가이기 때문에, 대통령은 본질적으로 유보 권한의 저장소이며, 그 직위는 대체로 상징적이다.[29]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은 대체로 행정부의 가장 중요한 구성원으로 남아있다.[30] 이는 그의 권한이 레바논 각료 회의의 권한 증가와 더불어 타'이프 협정에 따라 다소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총리와 내각을 지명하고 해임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개혁들이 대통령의 권력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못했기 때문이다.[28]타'이프 협정 이후 대통령의 주요 책임은 다음과 같다.[28]
- 총리(관례상 수니파 무슬림)를 독립적으로 임명하는 칙령을 발포한다.
- 정부(즉, 내각)를 구성하는 칙령을 발포하며, 이는 총리가 서명한다. 정부는 효력을 발휘하기 위해 의회의 신임 투표(51%)를 받아야 한다.
- 총리를 해임한다(자유 의지, 확인 불필요). 이는 자동으로 모든 정부, 즉 모든 장관을 해임하는 것을 의미한다.
- 개별 장관을 해임한다. 내각의 2/3의 동의와 총리의 서명이 필요하다. 최초 정부를 구성하는 장관의 1/3 이상이 해임/사임하는 경우, 전체 정부는 사임한 것으로 간주된다.
- 법률에 서명하고 공포한다(총리 부서명).
- 특정 부처와 관련된 칙령에 서명한다. 총리와 관련 장관이 부서명한다.
- 국제 조약을 협상하고 비준한다. 모든 조약은 발효되기 전에 내각의 2/3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총리가 부서명해야 한다. 매년 취소할 수 없는 지출을 수반하는 조약은 의회(51%)의 승인도 받아야 한다.
- 의회를 해산한다. 총리가 부서명해야 하며, 내각의 2/3 승인이 필요하다.
- 의회의 승인 없이 "긴급 칙령"을 통과시킨다(제58조).[31] 장관의 과반수 동의가 필요하다. 의회의 승인 없이 긴급 칙령을 통과시키려면, 대통령이 이전에 긴급으로 선포한 법안에 대해 의회가 40일 동안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야 한다.
타'이프 협정 이전에는 대통령은 명확한 합의/과반수 대신 그의 장관들의 "호의적인 조언"만 필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이 "상징적인 역할"을 하거나 그의 장관들의 의지에 크게 종속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헌법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대통령은 언제든지 전체 정부를 해임할 권리를 유지하며, 여전히 모든 장관을 지명하는 사람이므로, 효과적으로 그들이 모두 그에게 호의적이도록 보장한다. 실제적으로, 대통령의 직위는 a) 의회 내 정당 및 블록의 명확한 다수 부재, b) "합의", 그리고 c) 분열된 내각 구성으로 인해 약화되었다. 따라서 대통령의 약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헌법적 문제라기보다는 정치적 문제에 뿌리를 두고 있다.
4. 2. 상징적 역할
타이프 협정 비준 이후 헌법은 대통령, 국무총리, 각료회의 등 세 개의 "핵심" 행정 직위를 규정했다. 헌법 전문은 다음과 같다.대통령직에 따르는 직위는 다음과 같다.
- 최고 국방 회의 의장.
- 군대 최고 사령관.
- 레바논 대통령 (국가 원수).
대통령 관저는 처음에는 베이루트에 있었고, 이후 신 엘 필과 주니에로 옮겨졌다. 1960년대에는 관저가 바브다 궁전으로 옮겨졌으며, 그곳은 베이루트 남동쪽에 위치해 있고 샤를 엘루가 처음으로 근무했다.[32] 1943년에는 베이티딘 궁전이 대통령의 공식 여름 별장으로 선포되었다.[33]
4. 3. 공석
미셸 술레이만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된 2014년 5월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 레바논 의회는 대통령을 선출하는 데 필요한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30번이 넘는 투표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약 2년 반 동안 대통령직은 공석이었다. 2016년 10월 31일, 미셸 아운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2022년 10월 30일까지 재임했고, 이후 다시 비슷한 이유로 대통령직은 공석 상태이다.[39]1998년 엘리아스 흐라위가 에밀 라후드에게 권력을 이양한 이후, 공석 없이 후임자에게 직접적으로 권력을 이양한 레바논 대통령은 없었다.[39] 레바논 헌법은 "임시/대행" 대통령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대통령직이 공석일 경우 대통령의 일부 권한은 각료회의로 이양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레바논 헌법 제62조는 "어떤 이유로든 대통령직이 공석이 될 경우, 각료회의는 위임에 의해 대통령의 권한을 행사한다."라고 규정한다.[40] 미셸 아운이 2022년 대통령직을 떠난 후, 나지브 미카티 총리는 대통령의 권한을 개인적으로 행사하지 않고, 전체 각료회의에 위임할 것이라고 밝혔다.[41][42]
참조
[1]
뉴스
Government session tomorrow morning, Wednesday, in preparation for announcing a ceasefire
https://www.annahar.[...]
[2]
서적
A History of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Viking
[3]
서적
Time
https://books.google[...]
Time Incorporated
1945
[4]
웹사이트
Election of the Presidents of the Lebanese Republic
https://monthlymagaz[...]
2020-11-17
[5]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0-08-29
[6]
웹사이트
الوزراء المتعاقبون على وزارة الدفاع الوطني
http://www.pcm.gov.l[...]
Government of Lebanon
2020-08-14
[7]
Citation
The Pro-Western Authoritarianism of Kamil Sham'un (1952–1958)
https://www.jstor.or[...]
Pluto Press
2012
[8]
뉴스
Lebanon Elects a New President
https://www.nytimes.[...]
1958-08-01
[9]
뉴스
Cehab Assumes Office in Beirut
https://www.nytimes.[...]
1958-09-24
[10]
서적
Diplomacy of a Tiny State
World Scientific
[11]
뉴스
A Lebanese Who Shuns Publicity Elias Sarkis
https://www.nytimes.[...]
1976-05-10
[12]
학술지
Ending conflict in wartime Lebanon: Reform, sovereignty and power, 1976–88
[13]
뉴스
The Maronites and Syrian withdrawal: from "isolationists" to "traitors"?
http://www.thefreeli[...]
2001-09-01
[14]
웹사이트
Cheikh Bachir Gemayel - Presidency of the Republic of Lebanon
https://www.presiden[...]
Presidency.gov.lb
2022-12-25
[15]
웹사이트
Timeline: Lebanon
https://www.bbc.co.u[...]
BBC News
2008-05-18
[16]
뉴스
Hoss Resigns as Premier of Lebanon
https://www.latimes.[...]
1990-12-19
[17]
뉴스
Lebanon's president killed
https://nytimes.com/[...]
[18]
뉴스
Former President Hrawi loses fight against cancer
http://www.dailystar[...]
2012-07-15
[19]
뉴스
Reconstructing Lebanon: The Role of President Elias Hrawi
http://www.wrmea.org[...]
1993-06
[20]
뉴스
Emile Lahoud
http://www.lebanon-t[...]
2012-06-14
[21]
웹사이트
Emile Lahoud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2012-07-15
[22]
학술지
The Assassination of Rafik Hariri: Foreign Policy Perspectives
[23]
학술지
Special Tribunal for Lebanon: A Tribunal of an International Character Devoid of International Law
http://digitalcommon[...]
2012-07-02
[24]
학술지
Emile Lahoud President of Lebanon
http://www.meforum.o[...]
2011-11
[25]
뉴스
Lebanon profile
https://www.bbc.co.u[...]
BBC
2012-06-14
[26]
웹사이트
Lebanon's Confessionalism: Problems and Prospects
http://www.usip.org/[...]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2016-07-15
[27]
웹사이트
Lebanon - Constitution
http://www.servat.un[...]
International Constitutional Law Project
2016-07-15
[28]
웹사이트
Lebanon - The President
http://countrystudie[...]
[29]
서적
Lebanon: A Country Study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7
[30]
웹사이트
Taif Accord - Reut Institute
http://reut-institut[...]
2018-03-24
[31]
웹사이트
Lebanon's Constitution of 1926 with Amendments through 2004
https://www.constitu[...]
[32]
서적
Minorities in the Middle East: A History of Struggle and Self-Expression
McFarland & Company
[33]
Bare URL
https://www.presiden[...]
2024-08
[34]
웹사이트
بالصورة: هذه هي السيارة التي سينتقل بها الرئيس عون الى بعبدا
http://www.lebanonfi[...]
2024
[35]
웹사이트
بالفيديو.. لحظة وصول الموكب الرئاسي الى ساحة النجمة
http://www.lebanon24[...]
[36]
웹사이트
Supporters of Lebanon's Free Patriotic Movement cheer as the...
http://www.gettyimag[...]
2016-10-31
[37]
웹사이트
بالفيديو .. وصول موكب الحرس الجمهوري إلى ساحة النجمة
http://www.lebanonde[...]
[38]
웹사이트
Lebanon: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Conflicting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6-07-15
[39]
뉴스
Lebanese Presidential Vacancy, Explained
https://www.the961.c[...]
2022-09-08
[40]
웹사이트
The Lebanese Constitution
https://www.presiden[...]
2022-11-04
[41]
뉴스
Mikati: The powers of the presidency will be delegated to the council of ministers
https://www.elnashra[...]
2022-11-04
[42]
뉴스
Mikati's makeshift Lebanese government to assume presidential powers
https://www.arabnews[...]
2022-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