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주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주언은 1907년 또는 1908년 베트남에서 태어나 프랑스 식민지 교육을 받고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했다. 1930년 인도차이나 공산당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투옥과 석방을 반복했고, 호찌민의 신뢰를 받으며 베트남 민주 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베트남 전쟁 시기, 실질적인 당무 총괄 책임자로서 노동당을 이끌었고, 호찌민 사망 후 당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 승리 후 통일 베트남의 사회주의화를 추진했으나, 외교 정책 실패와 경제 침체로 비판을 받았다. 1986년 사망했으며, 그의 정책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반중 감정 - 2014년 베트남 반중 시위
2014년 베트남 반중 시위는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석유 시추 설비 배치에 따른 반중 시위에서 폭동으로 확대되어 외국계 공장 피해를 야기했으나, 정부 대응과 중국의 철수로 점차 진정되었고 양국은 외교적 대화를 모색했다. - 베트남의 반자본주의자 - 호찌민
호찌민은 베트남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초대 주석이었으며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독립운동을 이끌고 베트남 독립을 선언, 건국 후 베트남 통일을 위한 투쟁을 이어갔다. - 꽝찌성 출신 - 번카인
번카인은 앨범, 곡, VCD, CD-DVD 등을 포함하는 음악 관련 항목이지만, 제공된 정보가 부족하여 상세한 내용 파악이 어렵고, '블루 아시아 밴드 활동' 항목에서 일본 밴드 '호텔 베트남'의 보컬 활동에 대한 일부 정보가 확인됩니다.
레주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레주언 |
로마자 표기 | Lê Duẩn |
출생 이름 | 레반년 |
출생일 | 1907년 4월 7일 |
출생지 | 꽝찌성, 안남 보호령,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사망일 | 1986년 7월 10일 |
사망지 | 하노이,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안장 장소 | 마이 dịch 묘지 |
자녀 | 7명 ( 레 부 안 포함) |
![]() | |
정치 경력 | |
직책 |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임기 시작 | 1960년 9월 10일 |
임기 종료 | 1986년 7월 10일 |
이전 직책 | 호찌민 (대행) |
다음 직책 | 쯔엉찐 |
직책 1 | 베트남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서기 |
임기 시작 1 | 1977년 |
임기 종료 1 | 1984년 |
이전 직책 1 | 보응우옌잡 |
다음 직책 1 | 반띠엔중 |
직책 2 |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 위원 |
임기 시작 2 | 1951년 |
임기 종료 2 | 1986년 7월 10일 |
직책 3 | 베트남 공산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위원 |
임기 시작 3 | 1951년 |
임기 종료 3 | 1986년 7월 10일 |
직책 4 | 코친차이나 당위원회 서기 |
임기 시작 4 | 1946년 |
임기 종료 4 | 1954년 |
소속 정당 | |
정당 | 베트남 공산당 (1930년–1986년) |
개인 정보 | |
배우자 | 레 티 스엉 (1929년 - ?) 응우옌 투이 가 (1950년 - 1986년) |
종교 | 무신론 |
훈장 | |
![]() | |
![]() | |
![]() | |
![]() | |
![]() | |
![]() |
2. 어린 시절
레주언은 꽝찌성에서 가난한 대장장이의 아들로 태어났다.[2] 어린 시절 이름은 레 반 냐우(Lê Văn Nhuận[16]/黎文潤[17])였다. 1920년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타지로 떠났지만, 가정 형편으로 인해 학업을 그만두었다. 1925년 판보이쩌우 사면 요구 운동에 참가하였고, 이후 여러 민족주의 독립운동가의 사면 요구 운동에 참가하며 반식민주의 운동가가 되었다.[20] 1926년 5월부터 다낭의 철도원으로 일하면서 임금 협상 및 파업을 동반한 노동운동에 관여했고, 이 과정에서 카를 마르크스의 저작을 접하며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다.[21]
레주언은 1928년 베트남 혁명 청년 연맹에 가입했고,[2] 1930년 인도차이나 공산당 창립 멤버가 되었다.[24] 입당 후 노동자 투쟁을 통해 프랑스 식민 정부에 저항하다가 1930년 12월 투옥되어 1936년 프랑스 인민전선 정부에 의해 석방될 때까지 수감 생활을 했다.[23]
1954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남북으로 분단된 후, 레주언은 남베트남과 중부 베트남에서 싸운 전투원들을 재편성하는 책임을 맡았다.[1] 1956년에는 '남진의 길(The Road to the South)'이라는 글을 통해 통일을 위한 혁명을 촉구했는데, 이 글은 1956년 제11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행동 청사진으로 채택되었다. 다만, '남진의 길'은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실행은 1959년까지 미뤄졌다.[2]
1928년 신월혁명당(新越革命黨, 인도차이나 공산당의 전신)에 입당하였다. 1930년에는 인도차이나 공산당 창당 일원으로 참가하였다.[22]
3. 독립운동 및 공산당 활동
석방 후, 인도차이나 공산당 중기 지방 위원회 비서를 맡았고, 1939년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940년 노동자 봉기를 계획한 혐의로 다시 투옥되었다.[24] 1945년 8월, 베트남 독립동맹회가 하노이를 해방하면서 석방되었다.[24]
1947년 남부 지방 위원회 비서, 1951년 남부 중앙국 비서를 맡았고, 같은 해 베트남 노동당 결당 대회(공식적으로 제2차 전당대회)에서 당 정치국원 겸 비서국원으로 선출되었다. 레주언은 베트남 노동당 내에서 급진파로, 남베트남 지하 조직 확대를 지도하며 '남부파'로 주목받았다. 1954년 남부 중앙국을 개편한 남부 위원회 비서로 취임했다.
4. 베트남 전쟁 시기의 활동
1956년 레주언은 당 서기처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8월 정치국의 명령을 받고 남베트남의 혁명 투쟁을 지휘했다. 그는 우 민에서 벤쩌까지 여행하며 남부 공산주의자들에게 종교 분파를 명분으로 싸우는 것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2] 같은 해, 당은 쯔엉찐과 보응우옌자프의 지지를 받는 호치민 대통령 사이의 파벌 갈등으로 분열되었는데, 이는 북부의 토지 개혁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었다. 레주언은 중립을 지켜 1956년 말 호치민을 대신해 제1서기(공산당 수장) 직무를 대행했고, 1957년에는 정치국 위원이 되었다.[1]
쯔엉찐 제1비서가 해임되면서 1957년 수도 하노이로 와 제1비서 직무를 대행했고, 1960년 제3차 전당대회에서 제1비서로 취임했다. 그는 호치민 주석에 이어 당내 서열 2위로 실질적인 당무 총괄 책임자로서 베트남 전쟁 시기 노동당을 이끌었다.
4. 1. 베트남 전쟁 지도
1957년 5월 1일 열병식에서 쯔엉찐은 여전히 국가의 두 번째로 강력한 인물로 자리잡고 있었다. 레 즈언은 점차 레득토를 비롯한 자신의 지지자들을 요직에 배치하여 라이벌들을 제압할 수 있었다. 그는 1957년 11월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전쟁 계획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1] 1957년 12월, 호치민은 제13차 전체회의에서 "이중 혁명"을 언급했고, 쯔엉찐은 북부의 사회주의 혁명을 담당하게 된 반면, 레 즈언은 남부의 공세 계획에 집중했다.[2]
1958년까지 레 즈언은 쯔엉찐이 여전히 강력한 인물이었지만, 당 서열에서 호치민 다음으로 두 번째 자리에 올랐다. 레 즈언은 당원이었고 정부 요직을 역임한 적은 없었다.[2] 그는 1958년 남베트남을 짧고 비밀리에 방문하여 '남부 혁명의 길(The Path to Revolution in the South)'이라는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여기서 그는 북베트남이 남부 전투원들을 더 많이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중앙위원회는 1959년 1월 혁명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4]
5. 통일 베트남의 지도자
1969년 호찌민 사망 후, 베트남 노동당 제1서기였던 레주언은 명실상부 베트남의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 1976년 7월 2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건국된 후, 같은 해 12월 열린 제4차 당대회에서 베트남 노동당은 베트남 공산당으로 개칭되었고, 레주언은 당 서기장에 취임했다. 베트남 헌법은 공산당의 지도를 명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레주언은 베트남의 정치 구조상 최고 지도자였다.[16][17]
레주언은 소련과의 관계를 강화하여 1978년 코메콘에 가입하고, 같은 해 11월 소련-베트남 우호협력조약을 체결했다. 중국의 지원을 받던 캄보디아 폴 포트 정권을 타도하기 위해 1978년 12월 캄보디아 침공을 결행했다. 또한 국내 화교들을 중국으로 추방하여 1979년 중월전쟁이 발발했다. 이러한 외교 정책은 미국 주도의 국제적 고립을 초래했고, 경제 침체를 야기했다.[19]
신장병 악화로 1986년 1월부터 3월까지 소련에서 치료를 받았다. 같은 해 5~6월 제5기 중앙위원회 제10차 총회에서 레주언의 서기장 직무는 쯔엉찐, 팜반동, 레득토 3인의 정치국원이 대행하기로 결정되었다.[18] 이 총회에서 레주언은 권력을 잃었고,[19] 7월 10일 사망했다. 후임 서기장에는 쯔엉찐이 취임하여 같은 해 12월 제6차 당대회에서 도이머이 정책이 시행될 때까지 과도기 역할을 수행했다.
레주언은 호찌민에게서 이어받은 조국 통일을 달성했지만, 이후 정책에 대한 비판이 강하며, 특히 "자신을 호찌민에 비견하려 했다"는 언행이 있었다고 여겨져 시민들의 평가는 높지 않다.
5. 1. 경제 정책
레주언은 남베트남의 급속한 사회주의화를 추진하여, 계획 경제에 기반한 사회주의 경제 시스템을 관철하려 했다. 1979년부터는 신경제정책을 도입, 생산 청부제를 실시하고 농산물 거래를 일부 자유화했다. 1985년에는 가격 통제를 폐지하고 디노미네이션을 단행했으나, 대규모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여 국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18] 당내에서도 근본적인 경제 개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병상에 누워있던 레주언은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했다.[19]베트남은 전쟁 기간 동안 거의 발전하지 못했다. 북부와 남부 모두 산업 기반이 미약했고, 외국 원조에 의존했다. 농업 인프라 역시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남부에는 약 2만 개의 폭탄 구덩이, 1천만 명의 난민, 36만 2천 명의 전쟁 부상자, 100만 명의 미망인, 88만 명의 고아, 25만 명의 마약 중독자, 30만 명의 매춘부, 300만 명의 실업자가 있었다.
베트남 전쟁 승리와 베트남 공화국 패망 이후인 1975년 4월, 레주언은 낙관적인 분위기였다. 한 중앙위원회 위원은 "이제 더 이상 일어날 일이 없다. 우리가 직면한 문제는 과거에 비하면 사소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레주언은 1976년 베트남 국민들에게 10년 안에 각 가정이 라디오, 냉장고, TV를 소유하게 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남베트남의 소비자 사회를 농업 중심의 북베트남과 쉽게 통합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 같다. 1976년 제4차 전당대회에서 베트남은 20년 안에 사회주의 혁명을 완료할 것이라고 선포했지만, 이러한 낙관론은 근거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베트남은 경제 위기를 반복했다.
전쟁 후 1인당 소득은 101달러였다. 유엔 통계에 따르면 1980년에는 91달러, 1982년에는 99달러로 감소했다. 팜반동은 1인당 소득이 "10년 전에 비해 증가하지 않았다"고 인정했다. 보건부에 따르면 레주언 시대에 신체 건강은 악화되고 영양실조는 증가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약 600만 명의 베트남인들이 영양실조로 고통받고 있으며, 정부가 유엔식량농업기구에 원조를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레주언의 정책과 폴 포트(1976-1979) 및 중국(1979)과의 전쟁은 생활 수준을 급격히 하락시켰다. 북부의 월별 1인당 소득은 1976년 82달러에서 1980년 58달러로 감소했다.
제4차 전당대회에서 시작된 베트남 제2차 5개년 계획(1976-1980)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 농업에서의 도약 달성 및 경공업 발전
# 기존 중공업 생산능력 활용 및 새로운 산업 시설 건설 (특히 기계 산업 중심)
# 남부에서 사회주의 혁명 완료
베트남 지도부는 상호경제원조평의회(COMECON)의 경제 원조와 자본주의 국가 국제 기구의 대출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 했다. 제4차 전당대회는 농업 사회화를 명확히 했으나, 제2차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사회화 조치는 실패했다. 농업 사회주의 혁명 위원회 위원장이자 정치국 위원인 보치꽁은 1980년까지 계획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남부에서는 1980년까지 약 1만 개의 사회주의 협동조합이 붕괴되었다. 정치국 위원 레탄응이는 하급 간부들을 비판했다. 집단화는 1977년과 1978년에 식량 생산 감소를 초래했고, 중앙위원회 제6차 전원회의는 농업 정책을 전면 개편했다.

중공업에 대한 지도부의 입장은 혼란스러웠다. 레주언은 "제4차 정치 보고서"에서 농업과 경공업 발전을 기반으로 중공업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했지만, 보고서의 다른 부분에서는 경공업 우선을 주장했다. 주석이자 내각 의장인 팜반동의 입장도 혼란스러웠다. 레주언은 실제로 중공업을 우선시했다. 제2차 5개년 계획에서 국가 투자의 21.4%, 제3차 5개년 계획(1981-1985)에서 29.7%가 중공업에 투자되었고, 경공업은 각각 10.5%, 11.5%에 불과했다.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산업은 성장했지만, 1979년부터 1980년까지 공업 생산은 감소했다. 제2차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산업은 0.1% 성장했다. 중앙위원회 제6차 전원회의는 국가 소유 정책을 비판했다.
제5차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이전, 레주언은 베트남이 위험한 상황이라고 인식했지만 개혁 논의는 없었다. 1979년부터 레주언은 당과 국가 지도부의 경제 정책 실수를 인정했다.
제6차 전원회의까지 계획가들이 우세했다. 전원회의는 과거 방식을 비난하고 경제가 "객관적인 법칙"에 따라 통치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계획과 시장 역할이 처음으로 공개 논의되었고, 가족과 사적 경제 역할이 강화되었으며, 특정 시장 가격이 당에 의해 공식 지원되었다. 레주언은 1982년 제5차 전당대회에서 개혁을 지지하며 중앙 계획 경제와 지역 경제를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레주언은 보고서에서 제2차 5개년 계획의 경제적 실패를 인정했다.
처음에는 계획가들의 반대와 간부들의 혼란, 두려움으로 인해 변화가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1981년부터 1984년까지 농업 생산량은 증가했지만, 정부는 비료, 살충제, 연료 등 농업 투입재 생산이나 소비재 생산을 늘리지 않았다. 1985년에서 1986년 레주언 통치 말기, 인플레이션은 연간 100%를 넘어 경제 정책 입안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5. 2. 외교 정책
레주언은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소련과의 관계를 강화했다.[19] 1978년에 코메콘에 가입하고,[19] 같은 해 11월에는 소월우호협력조약을 체결했다.[19] 같은 해 12월, 중국이 지원하는 이웃나라 캄보디아의 폴 포트 정권을 타도하기 위해 캄보디아 침공을 결행하였다.[19] 또한 국내의 화교들을 중국으로 추방하였고,[19] 1979년에 중월전쟁이 발발했다.[19] 이러한 외교 정책은 미국이 주도한 국제적인 고립의 빌미가 되었으며,[19] 경제 침체를 야기했다.[19]6. 사망과 유산
레주언은 1986년 1월부터 3월까지 신장병 치료를 위해 소련에 체류했다.[18] 같은 해 5~6월 제5기 중앙위원회 제10차 총회에서 쯔엉찐, 팜반동, 레득토 3명의 정치국원이 서기장 직무를 대행하기로 결정되었다.[18] 이 총회에서 레주언은 권력을 잃었고,[19] 1986년 7월 10일 사망했다.
후임으로는 쯔엉찐이 서기장에 취임하여 같은 해 12월 제6차 당대회에서 도이머이가 시행될 때까지 과도기 역할을 수행했다. 레주언은 마이디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레주언은 호찌민으로부터 이어받은 조국 통일을 달성했지만, 이후 정책에 대한 비판이 강하며, 특히 "자신을 호찌민에 비견하려 했다"는 언행이 있었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시민들의 평가는 높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Vietnam ambivalent on Lê Duẩn's legacy
http://news.bbc.co.u[...]
BBC World News. BBC
2006-07-14
[2]
뉴스
Who Called the Shots in Hanoi?
https://www.nytimes.[...]
2017-02-14
[3]
논문
The War Politburo: North Vietnam's Diplomatic and Political Road to the Tet Offensive
[4]
서적
Vietnam: A History
Penguin
[5]
서적
The General Offensives of 1968–69
General Research Corporation
[6]
웹사이트
Re-education in Unliberated Vietnam: Loneliness, Suffering and Death
https://www.ocf.berk[...]
1982-10-01
[7]
웹사이트
Vietnam – China
http://lcweb2.loc.go[...]
U.S. Library of Congress
2012-11-30
[8]
웹사이트
Chinese invasion of Vietnam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org
2012-11-30
[9]
뉴스
Vietnam ambivalent on Le Duan's legacy
http://news.bbc.co.u[...]
2006-07-14
[10]
웹사이트
Dòng cảm tưởng của Tổng bí thư về nhà lãnh đạo kiệt xuất Lê Duẩn
https://vietnamnet.v[...]
2017-04-05
[11]
웹사이트
Tình yêu thương của hai người mẹ
https://vietnamnet.v[...]
2007-04-08
[12]
웹사이트
Phu nhân cố Tổng bí thư Lê Duẩn từ trần
https://tuoitre.vn/p[...]
2018-10-27
[13]
간행물
Constitutional Evolution
1987-12-01
[14]
웹사이트
1982: Granma Archives Index – LANIC
http://lanic.utexas.[...]
[15]
웹사이트
Řád Klementa Gottwalda – za budování socialistické vlasti (zřízen vládním nařízením č. 14/1953 Sb. ze dne 3. února 1953, respektive vládním nařízením č. 5/1955 Sb. ze dne 8. února 1955): Seznam nositelů (podle matriky nositelů)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TỔNG BÍ THƯ LÊ DUẨN
https://daihoidang.v[...]
베트남 통신사(베트남어)
2022-07-02
[17]
웹사이트
越共中央总书记 黎笋
https://zh.daihoidan[...]
베트남 통신사(중국어)
2022-07-02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The Vietnam War
University of Wisconsin
[21]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22]
서적
Victory at Any Cost: The Genius of Viet Nam's Gen. Vo Nguyen Giap
Potomac Books, Inc.
[23]
서적
Ho Chi Minh: The Missing Years, 1919–19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ABC-CL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