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보이쩌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보이쩌우는 베트남의 독립운동가로, 베트남 북부 응에안 성에서 태어났다. 그는 유신회 결성, 동유운동을 통해 베트남 청년들의 유학을 지원하며 독립 사상을 전파하려 했다. 일본의 지원을 얻지 못하고 프랑스에 의해 추방당한 후 중국에서 베트남 광복회를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25년 프랑스 당국에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사면되어 가택 연금 상태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베트남 망국사, 베트남 국사고 등 독립 운동을 위한 저술 활동을 활발히 펼쳤으며, 그의 생가와 묘는 기념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에 거주한 베트남인 - 호찌민
호찌민은 베트남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초대 주석이었으며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독립운동을 이끌고 베트남 독립을 선언, 건국 후 베트남 통일을 위한 투쟁을 이어갔다. - 일본에 거주한 베트남인 - 재일 베트남인
재일 베트남인은 16세기부터 일본에 거주한 베트남 국적 또는 베트남계 사람들로, 동유 운동, 인도차이나 난민 수용, 기능 실습생 유입을 거쳐 2023년 말 약 56만 명으로 증가하여 재일 외국인 중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차지하며, 아이치현, 오사카부, 도쿄도 등 대도시 지역에 주로 거주하고 기능 실습생, 유학생, 기술·인문 지식 관련 종사자 등 다양한 재류 자격으로 체류하고 있다. - 일본에 거주한 베트남인 - 응우옌뚜언아인
응우옌 뚜언 아인은 호앙 아인 잘라이 - 아스널 JMG 아카데미 출신으로 V리그와 일본 무대에서 활약하고 베트남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뛰어난 기술과 넓은 시야를 가진 베트남 축구 미드필더이다.
판보이쩌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반패주 (판 보이 쩌우) |
로마자 표기 | Phan Bội Châu |
다른 이름 | 해투 사오남 |
출생일 | 1867년 12월 26일 |
출생지 | 응에안 성 사남, 대남 |
사망일 | 1940년 10월 29일 |
사망지 | 후에, 안남 |
사망 원인 | 알 수 없음 |
국적 | 대남 |
활동 | 동유 운동 |
조직 | |
소속 단체 | 베트남 유신회 베트남 광복회 |
기타 | |
베트남어 발음 (IPA) | /faːn ɓôjˀ cəw/ |
2. 생애
판보이쩌우는 베트남 북부 응에안 성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판반산(Phan Văn San|판반산vi)이다.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으로 유학 경전과 고전을 배우면서 자주독립과 애국 사상을 키웠다.
1904년 응우옌 왕조의 황족 권덕(權德)을 지도자로 추대하여 베트남 유신회를 만들었고, 1905년 일본에 건너가 도움을 요청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그곳에서 량치차오 등과 교류하며 동유운동을 시작하여 베트남 청년들을 일본에 유학시켜 새로운 사상을 퍼뜨리려 했다.[34]
1907년과 1909년 일본에서 추방되어 타이로 망명했다.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광둥으로 간 판보이쩌우는 베트남 유신회를 해산하고 1912년 베트남 광복회를 조직했다. 이후 몇 차례 투옥을 겪으면서도 중국에서 베트남 독립 운동을 이끌었다.
1925년 상하이에서 프랑스 당국에 체포되어 하노이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베트남 국내 여론의 반발로 사면된 후 후에에 연금되어 생을 마감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판보이쩌우는 베트남 북부 응에안 성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판번산'''(Phan Văn San, 潘文珊)이다. 아버지는 판번포(Phan Văn Phổ)로, 가난했지만 학문에 뛰어난 학자 집안 출신이었다.[3]판보이쩌우는 처음 3년 동안 어머니의 고향인 사남(Sa Nam)에서 자랐고, 이후 아버지의 고향인 딴니엠(Đan Nhiệm)으로 이사했다. 다섯 살까지는 어머니로부터 시경(Classic of Poetry) 구절을 암송하며 유교 윤리와 미덕을 배웠다.[3]
다섯 살 때부터 아버지의 수업을 듣기 시작한 판보이쩌우는 삼자경(Three Character Classic)과 같은 중국 고전을 빠르게 익혔다. 특히 삼자경은 단 3일 만에 암기할 정도로 뛰어난 학습 능력을 보였다. 아버지는 그의 재능에 놀라 논어(Analects)와 같은 더 심오한 유교 경전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판보이쩌우는 바나나 잎에 필사하며 공부했다. 여섯 살 때는 논어의 내용을 풍자할 정도로 능숙해졌다.[3]
당시 베트남 중부는 뜨득제(Tự Đức) 황제의 통치 아래 있었지만, 남부는 프랑스 식민지가 되어가고 있었다. 1862년과 1874년의 사이공 조약(Treaty of Saigon)으로 베트남은 남부 지역을 프랑스에 할양해야 했다. 응에틴성(Nghệ Tĩnh province)에서는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평서(Bình Tây)'(프랑스를 평정하다)라는 반프랑스 운동(Văn Thân movement)이 일어났다. 판보이쩌우는 일곱 살 때 급우들과 '평서' 놀이를 하며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반응했다.[3]
열세 살 때, 판보이쩌우는 아버지를 따라 지역 거인(cử nhân, 학사 학위 소지자)에게 공부를 배우러 갔다. 1883년, 프랑스는 베트남 북부마저 정복하여 베트남 전체를 프랑스 인도차이나(French Indochina)에 편입시켰다. 판보이쩌우는 "프랑스를 평정하고 북부를 회복하라"(bình Tây thu Bắc)는 호소문을 작성하여 저항 의지를 보였지만, 사회적 지위가 없었기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3]
1884년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아버지의 건강이 악화되자, 판보이쩌우는 가족을 부양해야 했다. 1885년에는 건왕 운동(Cần Vương movement)이 일어나 프랑스에 저항했지만, 판보이쩌우는 아버지의 만류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했다.[26] [3]
이후 판보이쩌우는 가족을 부양하면서도 손자병법(Sun Tzu), 도두이투(Đào Duy Từ), 쩐흥도(Trần Hưng Đạo) 등의 병법서를 공부하며 독립 의지를 키웠다. 또한, 건왕 운동(Cần Vương movement)의 지도자였던 판딘풍(Phan Đình Phùng)에 대한 이야기를 제자들에게 전하며 독립 사상을 고취했다.[3]
판보이쩌우는 여러 해 동안 과거 시험에 낙방했지만, 서른 살에 후에(Huế)로 가서 인맥을 넓히고 개인 지도를 받으며 시험을 준비했다. 후에에서 그는 응우옌터엉히엔(Nguyễn Thượng Hiền)을 만나 응우옌로트랙(Nguyễn Lộ Trạch)의 미발표 저서를 접하며 중국의 자강 운동(Self-Strengthening Movement)과 세계의 정치, 군사 개혁에 대해 알게 되었다. 1900년, 판보이쩌우는 응에안성 지역 과거 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했다.[3]
2. 2. 결혼과 가족
판 보이 쩌우는 22세에 같은 마을 출신인 응우옌 티 휘(Nguyễn Thị Huy, Thái Thị Huy, Thái Thị Huyên)와 결혼했다.[5] 이 결혼은 양가 부모의 오랜 지인 관계를 통해 이미 정해져 있었다. 판 보이 쩌우는 외아들이었고, 그의 첫 번째 부인은 처음에 자녀를 낳지 못했기 때문에 가계를 잇기 위해 응우옌 티 민(Nguyễn Thị Minh, Phạm Thị Minh)과 두 번째 결혼을 했다. 당시 유교 가문에서는 이러한 관습이 드물지 않았다. 그의 두 번째 부인은 아들(판 응이 뎦, Phan Nghi Đệ)과 딸을 낳았고, 첫 번째 부인은 나중에 또 다른 아들(판 응이 흐잉, Phan Nghi Huynh)을 낳았다.[5]판 보이 쩌우는 20년이 넘는 세월이 흐른 후, 화로 감옥(Hỏa Lò Prison)에서 사면되어 석방되었을 때 단 한 번 아내를 만났다. 그 후 그는 후에(Huế)에서 일종의 가택 연금을 받게 되었는데, 기차는 베트남 응에안 빈(Vinh)에 정차했다. 가는 길에 그의 아내는 “정말 기쁩니다. 이제부터 제 소원은 당신이 처음의 포부를 굳게 지키는 것입니다. 하고 싶은 일을 하세요. 아내와 자녀는 걱정하지 마세요.”라고 말했다.[6]
2. 3. 초기 반프랑스 활동
판보이쩌우는 베트남 북부 응에안 성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유학 경전과 고전을 배우며 자주독립과 애국사상을 키웠다. 당시 베트남 중부는 뜨득제(Tự Đức) 황제의 통치 하에 있었지만, 남부는 1860년대 코친차이나 원정(Cochinchina campaign)을 통해 프랑스 식민지가 되어가고 있었다. 1862년 응우옌 왕조는 동부 3개 성을 할양하는 사이공 조약 (1862년)에 서명했고, 1874년에는 서부 3개 성을 프랑스에 넘겨주는 사이공 조약 (1874년)을 체결하여 남부 6개 성 전체가 프랑스령 코친차이나가 되었다.응에틴 성(Nghệ Tĩnh province)에서는 '평서(Bình Tây)'(프랑스를 평정하다)라는 구호를 내건 유학자들 사이에서 반프랑스 운동(Văn Thân movement)이 일어났고, 판보이쩌우는 어릴 적부터 이에 영향을 받았다.[3] 1883년 프랑스가 베트남 북부를 점령하고 베트남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시키자, 판보이쩌우는 "프랑스를 평정하고 북부를 회복하라"(bình Tây thu Bắc)는 호소문을 작성하여 저항 운동 참여를 촉구하기도 했다.[3]
1885년 근왕 운동(Cần Vương movement)이 일어나자 판보이쩌우는 학생들을 모아 봉기에 참여하려 했으나, 프랑스군의 공격으로 실패했다.[26] [3] 이후 판보이쩌우는 독립 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중국의 자강 운동(Self-Strengthening Movement)과 같은 개혁 사상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3]
1904년 판보이쩌우는 응우옌 왕조 황족 권덕(權德)을 맹주로 베트남 유신회를 결성하고, 1905년 일본으로 건너가 원조를 요청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일본에서 량치차오 등과 교류하며 동유운동을 시작하여 베트남 청년들을 일본에 유학시켜 신사상을 보급하려 했다.[34]
3. 베트남 유신회와 동유 운동
1904년 판보이쩌우는 베트남 유신회를 결성하고, 1905년 일본으로 건너가 원조를 요청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그곳에서 량치차오 등의 사상가를 만나 교류하면서, 베트남 청년들을 일본에 유학시켜 신사상을 보급하려는 동유 운동을 구상하게 되었다.
광서(Guangxi)와 광동(Guangdong)에서 베트남 혁명가들은 베트남 여성과 중국 장교의 결혼을 통해 국민당(Kuomintang)과 동맹을 맺었다.[11] 이들의 자녀들은 두 언어를 모두 구사하여 혁명가들의 대리인으로 활동하며 국경을 넘어 혁명 이념을 전파했다. 이러한 중국과 베트남 사이의 혼혈은 프랑스에게 우려를 샀다. 판보이쩌우의 혁명 네트워크는 이를 광범위하게 활용했고, 중국 상인들도 베트남 여성과 결혼하여 자금과 도움을 제공했다.[11]
동유 운동은 1908년 유학생 수가 200명으로 정점에 달했지만, 1907년 프랑스-일본 조약 체결 이후 프랑스 정부의 압력으로 인해 1909년 판보이쩌우가 일본에서 추방되면서 좌절을 겪게 된다.[12]
3. 1. 베트남 유신회 결성
1904년, 판보이쩌우는 꺼엉더이를 회장으로, 자신을 사무총장으로 하는 '베트남 유신회'(Việt Nam Duy Tân Hội)를 결성했다.[10] 유신회는 회원이 늘었지만 재정난을 겪었다. 판보이쩌우는 청불전쟁(Sino-French War) 이후 중국이 베트남과의 종주국(suzerain) 관계를 포기했기에 중국에서 재정 지원을 받기 힘들다고 판단했다.[4][6]이에 판보이쩌우와 꺼엉더이는 러일전쟁(Russo-Japanese War)에서 승리하고 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끈 일본에 지원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일본은 주변 아시아 국가 혁명가들을 도울 의지가 더 클 것으로 보였다.[7] 1905년 판보이쩌우는 유신회 유지를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일본으로 건너갔다.[7]
판보이쩌우는 일본어를 모르고 일본에 인맥이 없어, 껀똠 운동(Cần Vương movement)의 전직 지휘관이었던 Tăng Bạt Hổ|땅바트호vi와 동행했다. 땅바트호는 껀똠 운동 실패 후 중국 광서(Guangxi), 광동(Guangdong)으로 도망쳐 류영복(Liu Yongfu)에게 의지해 타이완(Taiwan)에 머물렀고, 이후 태국에 숨어 있었다.[3] 판보이쩌우와 땅바트호는 1905년 3월 홍콩(Hongkong)에 도착했다.[3]
판보이쩌우는 량광(Liangguang) 총독 선춘훤(Cen Chunxuan)을 만나지 못하고, 일본에 망명 중이던 량치차오(Liang Qichao)에게 도움을 요청했다.[3] 량치차오는 판보이쩌우를 오쿠마 시게노부(Ōkuma Shigenobu) 등 일본 유력 정치인들에게 소개했다. 판보이쩌우는 오쿠마에게 베트남 혁명가들의 활동 자금 지원을 요청하며, 일본이 "같은 민족, 같은 문화, 같은 대륙"으로서 베트남을 도울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6] 그러나 일본 정부는 프랑스와의 관계를 우려해 지원을 거절했고, 야당 의원들은 베트남 유학생 지원은 약속했지만, 혁명 운동은 자제하라고 조언했다.[7][8]
일본의 반응에 실망한 판보이쩌우에게 량치차오는 일본의 지원은 순진한 생각이며, 베트남 국민 스스로 지원과 재정 후원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량치차오는 판보이쩌우에게 혁명 지지 팜플렛을 쓰고 배포하여 베트남인들과 해외로부터 지지를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7] 판보이쩌우는 이 조언을 받아들여 즉시 혁명 운동 지지 자료를 출판하기 시작했다.[7]
이러한 노력으로 ''Việt Nam vong quốc sử''(베트남 멸망사), ''Tân Việt Nam''(신베트남; 1907), ''Ai Việt điếu Điền''(베트남과 운남을 위한 애도; 1907), ''Hải ngoại Huyết thư''(해외에서 온 피로 쓴 편지; 1907), ''Việt Nam quốc sử khảo''(베트남 역사 연구; 1908) 등의 글을 발표했다.[6] 이 글들은 처음에는 고전 중국어로 쓰였고, 이후 국어(Quốc ngữ)로 번역되어 베트남으로 밀반입되었다. 특히 ''Việt Nam vong quốc sử''는 베트남에서 민족주의적 열정을 고조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7]
3. 2. 동유 운동
1904년 판보이쩌우는 베트남 유신회를 결성하고, 1905년 일본으로 건너가 원조를 요청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그곳에서 량치차오 등의 사상가를 만나 교류했다. 이후 베트남 청년들을 일본에 유학하게 하여 신사상을 보급하려는 동유 운동을 일으켰다.[12]1905년, 베트남 근대화 협회는 일본으로부터 군사 지원 또는 무기를 얻기 위해 판 보이쩌우를 일본으로 파견하기로 합의했다. 러일전쟁에서 일본의 승리 이후 일본이 곧 아시아에서 서구 제국주의 열강을 제거하는 데 주의를 돌릴 것이라는 대중적 믿음이 확산되면서 ''두이떤 호이''(Duy Tân Hội)는 더욱 급진적으로 변했다. 그러나 판보이쩌우는 곧 일본의 군사 원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동두(Đông Du)''(동방 방문) 학회를 설립하여 일본을 베트남 젊은 학생들을 훈련하고 교육하는 기지로 활용하는 데 주력했다. 일본으로 유학을 간 베트남 학생 수는 1908년 2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특히 1907년 프랑스-일본 조약 체결 이후 프랑스 정부의 압력으로 인해 일본은 1909년 판보이쩌우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선언하고 추방했다.[12]

판보이쩌우는 망명 중인 량치차오를 통해 알게 된 이누카이 쓰요시 등으로부터 인재 육성의 필요성을 듣고, 베트남 청년들을 일본 제국에 유학시키는 동유 운동(동주 운동)을 일으켰다. 의사 아사바 사키타로의 지원을 받으며 활동했으나,[34] 위기감을 느낀 프랑스가 일불협약을 통해 일본 정부에 압력을 가해 1909년에 추방당했다.
3. 3. 동유 운동의 한계와 좌절
1904년 판보이쩌우는 뀌엉 더이를 회장으로, 자신을 사무총장으로 하여 ''Việt Nam Duy Tân Hội''(베트남 근대화 협회)를 설립했다.[10] 협회는 회원 수가 증가했지만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판보이쩌우는 청불전쟁(Sino-French War) 이후 중국이 베트남과의 종주국(suzerain) 관계를 포기해야 했기 때문에 중국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기 어려웠다.[4][6]이에 판보이쩌우와 뀌엉 더이는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개혁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인근 아시아 국가의 혁명가들을 돕는 데 더 적극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일본에 지원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판보이쩌우는 Duy Tân Hội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기로 했다.[7]
판보이쩌우는 일본어를 할 줄 몰랐고 일본에 인맥이 없었기 때문에, 껀똠 운동(Cần Vương movement)의 전직 지휘관이었던 동료를 선택했다.[3]
1905년, 베트남 근대화 협회는 일본으로부터 군사 지원 또는 무기를 얻기 위해 판보이쩌우를 일본으로 파견하기로 합의했다. 러일 전쟁에서 일본의 승리 이후 일본이 곧 아시아에서 서구 제국주의 열강을 제거하는 데 주의를 돌릴 것이라는 대중적 믿음이 확산되면서 ''두이떤 호이''(Duy Tân Hội)는 더욱 급진적으로 변했다. 그러나 판보이쩌우는 곧 일본의 군사 원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동두(Đông Du)''(동방 방문) 학회를 설립하여 일본을 베트남 젊은 학생들을 훈련하고 교육하는 기지로 활용하는 데 주력했다. 일본으로 유학을 간 베트남 학생 수는 1908년 2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특히 1907년 프랑스-일본 조약 체결 이후 프랑스 정부의 압력으로 인해 일본은 1909년 판보이쩌우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선언하고 추방했다.[12]
4. 베트남 광복회와 무장 투쟁
1909년 일본에서 추방된 판보이쩌우는 권덕(權德)과 함께 홍콩으로 건너갔다. 그는 홍콩에서 자금을 모으고, 일본 유학 후 흩어진 베트남 학생들을 태국으로 데려올 계획을 세웠다. 이전에 태국에 거점을 마련해 둔 덕분이었다.[3]
황화탐(Hoàng Hoa Thám)이 이끄는 베트남 무장 봉기 소식을 접한 판보이쩌우는 홍콩의 동지들을 모아 일본으로 보내 아리스카 30년식 소총 500정을 구입하게 했다. 그러나 봉기를 지원하기 위한 무기는 확보했지만, 이를 베트남으로 밀반입할 배를 구할 자금이 부족했다. 판보이쩌우는 7월에 태국 정부에 밀반입 지원을 요청했으나, 프랑스와의 외교적 마찰을 우려한 태국 외무장관은 이를 거절했다. 결국 그는 홍콩으로 돌아가 자금을 기다려야 했다.[3]
그러나 자금은 도착하지 않았고, 자금 조달 책임자였던 당타이턴Đặng Thái Thân|당타이턴vi(호는 응어하이(Ngư Hải))의 사망과 봉기 실패 소식이 전해졌다. 판보이쩌우는 쑨원의 군대에 소총 480정을 기증하고, 남은 20정은 일등석 수하물로 위장하여 태국을 통해 밀반입하려 했으나 실패했다.[3]
1910년 상반기, 판보이쩌우는 거리에서 구걸하고 책을 팔며 대부분의 돈을 술로 탕진했다. 그러다 주바린(Chu Bá Linh)(Chu sư-thái)이라는 노년 여성을 만나 그의 거처로 모든 운동을 옮겼다. 이후 자금이 도착하자 태국 이주 계획을 세웠고, 1910년 11월 태국에 도착한 그는 자신을 따르는 학생과 추종자들과 함께 농업에 종사했다.[3]
1912년 베트남 광복회를 조직하여 무력을 통한 베트남 해방을 목표로 하였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4. 1. 베트남 광복회 결성
1911년 10월 10일 중국에서 발생한 신해혁명은 빠르게 확산되어 중화민국을 선포했다. 판보이쩌우는 중국 혁명가들과 많은 친구가 있었기에 이 사건에 큰 영감을 받았다. 그는 새로운 정권이 옛 중국의 모든 잘못을 바로잡고 일본과 연합하여 유럽인들을 물리치고 강력한 아시아를 건설할 것이라고 생각했다.[3]회원들이 흩어지면서 사실상 해체된 옛 베트남 근대화 협회를 대신하여, 중국 혁명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의제를 가진 새로운 조직이 필요했다. 1912년 3월 말에 대규모 회의가 열렸고, 새로운 단체인 ''Việt Nam Quang Phục Hội''(베트남 광복회)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권덕(權德)이 회장 겸 의장이 되었고 판보이쩌우가 부회장이 되었다.[3]
베트남 남부 사람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군주제 대신 민주주의를 위해 운동하기로 투표했다. 이 단체의 유일한 목적은 프랑스를 축출하고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자금이 없었고 베트남으로 혁명 선전물을 전달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새로운 중국 정부는 너무 바빠서 베트남 동지들을 교육 및 훈련 시스템에 참여시키는 것 외에는 이 운동을 전혀 도울 수 없었다. ''Việt Nam Quang Phục Hội''는 새로운 국기 디자인을 제안했다. 이전에는 베트남에 국기가 없었고 왕실을 대표하는 깃발만 있었다. 그들의 국기 디자인은 가운데 별 하나를 포함하여 다섯 개의 별이 정사각형으로 배열된 모양이었으며, 이는 베트남의 다섯 지역을 상징했다. 국기는 노란색 바탕에 붉은 별이 있었고, 군기는 붉은색 바탕에 흰 별이 있었다. 노란색은 그들의 민족을, 붉은색은 중국 남쪽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불을, 흰색은 그들의 무기를 나타내는 금속을 나타냈다(주역 참조). 그들은 또한 군대를 위한 군사 전략과 규정에 관한 책을 만들었다. 심지어 그들은 권력을 잡으면, 또는 "만약" 권력을 잡으면 존중하기로 합의한 자체 통화를 발행했는데, 승리하면 쉽게 사람들에게 돈을 갚을 수 있었고, 패배하더라도 그들에게는 아무런 손실이 없었다. 이 "돈"은 중국 지폐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쇄되었다.[3]
그들은 또한 ''Chấn-Hoa Hưng-Á Hội''(중국 부흥 협회)라는 조직을 결성했다. 이 조직은 베트남을 시작으로 소규모 아시아 국가의 독립 운동에 대한 중국의 지원을 얻는 데 전념했다. 의료 센터를 겉으로 내세우고 화려한 사무실을 사용하여 자신들이 매우 성공적인 조직이라는 잘못된 인상을 만들었다. 수백 명의 사람들을 가입시켰고, 그들이 만든 가짜 통화를 대량으로 판매했다. 중국인이 참여할 수 있도록 ''Việt-Nam Quang-Phục Hội''의 일부 지도부 직책을 변경했다. 그러나 어떤 종류의 군사 공격으로 자신을 증명할 때까지 더 많은 무기를 살 만큼 충분한 돈을 얻을 수 없었다. 베트남 사람들이 인내심이 부족했기 때문에 크고 폭발적인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모두들 말했다. 그래서 판보이쩌우는 수류탄 몇 개를 가지고 5명을 베트남의 세 지역으로 보냈다. 북부로 보낸 수류탄은 타이빈성의 지사, 두 명의 장교, 프랑스 레스토랑 주인 등 사소한 표적에 사용되었으며, 이들은 모든 관리들이 모일 과거 시험에 사용될 예정이었다. 태국을 통해 중부로 보낸 사람들은 당시 베트남에 도착하지 못했고, 수류탄을 버려야 했다. 남부로 보낸 사람들은 일부 베트남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다. 북부의 공격은 프랑스를 격분시켰고, 프랑스는 판보이쩌우의 체포를 요구했지만 중국 정부는 거부했다. 그러나 판의 특수 통화 가치는 실패 후 급격히 하락했다.[3]
그들은 돈이 없었기 때문에 일본의 제약 회사를 속여 많은 고가의 약을 외상으로 제공하도록 했다. 그런 다음 의료 센터를 폐쇄하고 빚을 갚지 않았다. 그러나 회원 수는 서서히 줄어들었고, 베트남으로 들어가는 것이 점점 어려워졌다. 그리고 중국 지방 정부의 변화가 일을 어렵게 만들었고, 결국 사무실을 폐쇄하고 동지들을 보내야 했다.
4. 2. 무장 투쟁 시도와 실패
1909년, 일본에서 추방된 판보이쩌우는 강덕(Cường Để)과 함께 홍콩으로 갔다. 그는 거기서 자금을 모으고 일본에서 유학했지만 이제 흩어진 베트남 학생들을 태국으로 데려올 계획을 세웠다. 그는 이전에 태국에 거점을 마련할 선견지명을 가지고 있었다.[3]하지만 그는 황화탐(Hoàng Hoa Thám)(Đề Hoàng Yên-Thế)이 이끄는 베트남의 무장 봉기 소식을 접했다. 그래서 그는 홍콩에 있는 동지들을 모아 두 사람을 일본으로 보내 아리스카 삼십년식 소총(Type 30 rifle) 500정을 구입하게 했다. 그러나 봉기를 지원하기 위해 무기를 구입한 후에는 소총을 베트남으로 밀반입할 배를 고용할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7월에 판보이쩌우는 태국으로 가서 밀반입을 도와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외무장관은 그러한 직접적인 지원이 누출될 경우 프랑스와의 큰 외교적 사건을 일으킬 것이므로 거절했다. 그래서 그는 홍콩으로 돌아가 밀반입에 필요한 돈을 기다려야 했다. 돈은 결코 도착하지 않았고, 그의 자금 조달 책임자였던 Đặng Thái Thân|당타이턴vi (호(號)는 '''응어하이(Ngư Hải)''')가 사망하고 봉기가 잘못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판보이쩌우는 쑨원(Sun Yat-sen)의 군대에 소총 480정을 기증했다. 그런 다음 그는 나머지 20정의 소총을 일등석 수하물로 위장하여 태국을 통해 밀반입하려고 했다. 이 시도는 실패했다.[3] 그는 1910년 상반기를 거리에서 구걸하고 책을 팔며 대부분의 돈을 술에 탕진하며 보냈다. 그러다가 주바린(Chu Bá Linh)(Chu sư-thái)이라는 노년 여성을 만나 그의 모든 운동을 그녀의 집으로 옮겼다.[3] 자금이 도착하자 그는 태국으로 이주할 계획을 세웠다. 그는 1910년 11월에 태국에 도착했고, 그를 따를 수 있었던 그의 모든 학생과 추종자들은 그곳에서 농업에 종사했다.[3]
5. 제1차 세계 대전과 사회주의와의 관계
1914년 판보이쩌우는 중국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투옥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풀려났다. 그는 프랑스를 물리치기 위한 계획을 세웠으나 실패하고, 중국을 떠돌아다니며 프랑스와의 협력을 고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곧 생각을 바꾸고 프랑스와의 협력자들을 비난했다.[3]
1921년 초, 판보이쩌우는 사회주의와 소련의 지원을 얻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후세 다쓰지의 "러시아 혁명의 기록"을 중국어로 번역하고, 베이징에서 소련 대표 그리고리 보이친스키 등을 만나 지원을 요청했다. 소련은 베트남 학생들을 교육하고 훈련시키는 데 드는 비용을 지불하겠다고 제안했지만, 학생들이 나중에 베트남에서 사회 혁명에 참여하고 사회주의를 가르쳐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판보이쩌우는 소련과 접촉한 최초의 베트남 혁명가였다.[3]
5. 1.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베트남
1914년, 판보이쩌우는 중국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라이벌 중국 당국을 도왔다는 혐의로 투옥되었다. 중국 육군 장관의 개입으로 처형이나 프랑스에 인도되는 것은 막았지만, 1917년까지 거의 4년 동안 투옥되었다.[3] 얼마 지나지 않아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베트남은 여전히 프랑스 제국의 일원이었고, 많은 베트남인들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전쟁 중 베트남에서는 수많은 반식민지 봉기가 발생했지만, 모두 프랑스에 의해 쉽게 진압되었다.[3]투옥 중 판보이쩌우는 동료들이 태국에 있는 독일 정부와 만나도록 조직했다. 독일 정부는 많은 돈을 기부했고, 프랑스에 대항하여 베트남에서 눈에 띄는 행동을 한다면 더 많은 돈을 약속했다. 동료들은 행동을 시도했지만 완전히 실패하여 모든 돈을 낭비했다.[3] 석방 후 판보이쩌우는 베이징, 일본, 그리고 중국의 여러 지역을 여행하며 베트남으로 돌아가려고 했다. 결국 윈난성과 베트남 국경에 도착했을 때,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났고 프랑스를 물리치는 데 이용하려던 그의 계획은 희망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3] 이후 판보이쩌우는 수년 동안 중국을 떠돌아다녔지만 중요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는 이제 프랑스 사회당이 통치하는 프랑스와의 협력을 고려했고, 프랑스와의 협력이 좋은 이유에 대한 소책자를 썼다. 그는 나중에 생각을 바꾸고 이러한 사고방식을 판 바 응옥(Phan Bá Ngọc) 탓으로 돌렸는데, 판보이쩌우는 판 바 응옥을 프랑스와의 협력자로 비난했다.[3]
5. 2. 사회주의와의 관계 모색
1921년 초, 판보이쩌우는 사회주의 단체로부터 지원을 얻고자 사회주의와 소련을 연구했다. 그는 후세 다쓰지(Fuse Tatsuji)의 저서 "러시아 혁명의 기록"을 중국어로 번역했다. 그 후 그는 베이징으로 가서 소련 대표 그리고리 보이친스키(Grigori Voitinsky)와 랍 티엔 생(tiên sinh)을 만났다. 랍은 소련이 판보이쩌우가 보내고 싶어하는 베트남 학생들을 교육하고 훈련시키고 비용을 지불할 것이라고 말했는데, 단 그 학생들은 나중에 베트남에서 사회 혁명에 참여하고 사회주의를 가르쳐야 한다는 조건이었다. 판보이쩌우는 소련과 접촉한 최초의 베트남 혁명가였기 때문에, 랍은 베트남의 정치 상황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어했다. 랍은 판보이쩌우에게 베트남의 상황에 대한 책을 영어로 써달라고 요청했지만, 판보이쩌우는 영어를 할 줄 몰랐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었다.[3]6. 체포와 가택 연금, 그리고 죽음
1925년, 판보이쩌우는 상하이에서 프랑스 당국에 체포되었다.[13][14][15][16] 당시 그는 호찌민을 만나기 위해 상하이에 도착했는데, 호찌민은 르 튀이라는 가명을 사용하고 있었다. 호찌민은 판보이쩌우를 광저우에서 만나자고 초청했고, 소련 대사관에서 비서, 번역가 등으로 일하며 소련 시민으로 알려져 있었다. 일설에 따르면 호찌민은 돈을 받고 프랑스 경찰에게 판보이쩌우의 도착을 알렸다고 한다.[13][14][15][16]
그러나 소피 퀸-저지와 던컨 매카고는 프랑스가 이미 자체 스파이로부터 정보를 얻었기 때문에 이것은 반공 작가들의 선전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17][18] 또한, 호찌민은 판보이쩌우를 경쟁자가 아닌 후계자로 여겼고, 베트남 민족주의 운동의 지지를 얻고 있었기 때문에 판보이쩌우를 제거할 동기가 없었다고 한다.[17][18]
판보이쩌우는 하노이로 이송되어 화로 감옥에 수감되었다. 처음에는 그의 실명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곧 신원이 알려졌다. 프랑스 당국은 1913년 결석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던 사건을 포함하여 살인 선동 등의 혐의로 재판을 열었고, 법원은 무기징역을 선고했다. 그러나 1925년 12월 24일, 알렉상드르 바렌 총독은 여론의 항의에 따라 판보이쩌우를 석방했다.[19]
1925년 12월 25일, 판보이쩌우는 하노이를 떠나 후에에 도착했다. 그는 가족과 지지자들을 만나기 위해 응에안, 하띤, 꽝빈을 방문했다. 1926년 2월 16일, 꽝빈을 떠나 후에에 도착한 그는 벤응어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20][21]
판보이쩌우는 프랑스 인도차이나 일본 점령 후 약 한 달 만인 1940년 10월 29일에 사망했다.[22]
7. 저술 활동
판보이쩌우는 량치차오의 조언을 받아들여 혁명 운동 지지를 얻기 위한 자료를 출판하기 시작했다.[7] 량치차오는 판보이쩌우에게 베트남 내에서 지원과 재정적 후원을 찾아야 하며, 혁명을 지지하는 팜플렛을 쓰고 배포하여 베트남인들과 해외의 다른 사람들로부터 지지를 규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이러한 글들은 판보이쩌우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들이다.[7]
7. 1. 주요 저서
판보이쩌우는 혁명 운동에 대한 지지를 얻기 위해 많은 저서를 출판했다. 그의 저서들은 베트남 민족주의적 열정을 고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판보이쩌우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 | 연도 | 내용 |
---|---|---|
베트남 망국사(Việt Nam vong quốc sử) | 1905년 | 응우옌 왕조의 근대화 실패와 껀붕 운동에 대한 내용, 프랑스 식민 정책 비판.[4] 고전 중국어로 쓰여졌으며, 꾸옥응으로 번역되어 베트남으로 밀반입되었다.[6] |
Tân Việt Nam (신베트남) | 1907년 | |
Ai Việt điếu Điền (베트남과 운남을 위한 애도) | 1907년 | |
Hải ngoại Huyết thư (해외에서 온 피로 쓴 편지) | 1907년 | |
베트남 국사고(Việt Nam quốc sử khảo) | 1908년 | 훙 브엉부터 뜨득제까지 베트남의 4000년 역사를 요약.[24] |
Việt Nam nghĩa liệt sử (베트남 애국 순국사) | 1918년 | 1906년부터 1917년까지 베트남 독립을 위해 희생된 50명 이상의 짧은 이야기를 모은 책.[25] |
Ngục trung thư (옥중서) | 1913년 | 판보이쩌우가 사형 선고를 받고 투옥되었던 시기에 쓰여진 책.[26] |
Văn tế Nguyễn Thượng Hiền (응우옌트엉히엔 추모시) | 1925년 | 응우옌트엉히엔의 사망 소식을 접한 후 쓰여진 추모시.[28] |
Văn tế Phan Chu Trinh (판쩌우찐 추모시) | 1926년 | 판쩌우찐 추모식을 위해 쓰여진 추모시.[29] |
Phan Bội Châu niên biểu (판보이쩌우 연표) | 1925년 ~ 1940년 | 가택 연금 생활을 하던 중 비밀리에 쓰여진 책.[6] |
특히, ''베트남 망국사(Việt Nam vong quốc sử)''는 베트남 반식민지 운동 역사상 가장 중요한 책 중 하나로 여겨진다.[4] 이 책은 베트남 독립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결집시키고자 했으며, 당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던 "베트남"이라는 이름을 부활시키는 데 기여했다.[4] 판보이쩌우는 이 책에서 프랑스 식민 당국과 싸우려는 구체적인 동기를 가진 7개의 파벌 또는 이해 관계자 그룹으로 구성된 전국적인 독립 지지 전선을 구축할 것을 주장했다.[4]
판보이쩌우는 전통적인 글쓰기 스타일을 피하고 직접적이고 평범한 산문 스타일로 글을 썼다. 이러한 스타일은 이후 학자 관료 혁명가들 사이에서 새로운 글쓰기 스타일을 촉진했다.[4]
8. 유산과 평가
판보이쩌우는 베트남의 독립운동가로서, 그의 삶과 업적은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다.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맞서 싸운 선구자 중 한 명으로, 10대 시절부터 반프랑스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04년 권덕(權德)을 맹주로 위신회를 결성하여 독립운동을 이끌었다.[34]
일본의 지원을 받아 인재 육성을 위한 동유운동(동주운동)을 일으켰으나, 프랑스의 압력으로 일본에서 추방당했다. 이후 중국에서 베트남광복회를 결성, 무력 투쟁을 시도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25년 상하이에서 체포되어 하노이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베트남 국내 여론의 반발로 사면, 후(훼)에서 연금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1917년 일본에 밀입국하여 아사바 사키타로에게 받은 도움에 대한 보은으로 기념비를 건립하기도 했다.
8. 1. 기념
판보이쩌우 사후, 그의 동지였던 Huỳnh Thúc Kháng은 전국 각지의 동포들의 지원을 받아 1940년 말부터 1941년 초 사이에 그의 묘와 사당을 건립하였다.[30] 훼(Huế)에 있는 판보이쩌우 기념관은 그의 생가, 묘, 사당과 약 150점의 유물 및 그의 삶과 혁명 활동에 대한 서류를 포함하며, 1990년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다.[31]남딘(Nam Đàn) 지구에 있는 판보이쩌우 기념관은 2016년부터 특별 국가 사적지가 되었다. 사적지는 떤니엠(Đan Nhiệm) 마을의 유적지와 사남(Sa Nam) 마을의 유적지 두 곳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7년 일본의 지원으로 추가 전시관이 건립되었고, 2017년에는 재정비 및 보완을 거쳐 수백 점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32]
베트남의 대부분의 도시에는 판보이쩌우의 이름을 딴 주요 거리가 있다.[33]
투아티엔후에성 후에시에는 "판보이쩌우 기념관"이 있으며, 묘비와 말년에 생활했던 집, 그리고 아사바 사키타로(浅羽佐喜太郎) 서거 100주년을 기념하는 일본과 베트남의 "우정의 비"가 있다.[34] 2017년 3월 4일에는 일본에서 아키히토(明仁) 천황과 미치코(上皇后美智子) 상황황후가 방문하여, 판보이쩌우의 손녀인 판티우켓(ファン・ティウ・キャット)과 면담을 했다.
8. 2. 현대적 관점에서의 재평가
판보이쩌우는 베트남의 독립운동가로서, 사후에도 베트남 사회에서 중요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그의 동지였던 Huỳnh Thúc Kháng은 1940년 말부터 1941년 초 사이 전국 각지의 동포들의 지원을 받아 훼(Huế)에 판보이쩌우의 묘와 사당을 건립하였다.[30] 1990년에는 훼에 있는 판보이쩌우 기념관이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는데, 여기에는 그의 생가, 묘, 사당과 약 150점의 유물 및 그의 삶과 혁명 활동에 대한 서류가 포함되어 있다.[31]2016년에는 남딘(Nam Đàn) 지구에 있는 판보이쩌우 기념관이 특별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이 사적지는 떤니엠(Đan Nhiệm) 마을과 사남(Sa Nam) 마을의 유적지 두 곳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97년 일본의 지원으로 추가 전시관이 건립되었고, 2017년 재정비 및 보완을 거쳐 수백 점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32]
베트남의 대부분의 도시에는 판보이쩌우의 이름을 딴 주요 거리가 있을 정도로,[33] 그는 베트남 국민들에게 잊혀지지 않는 독립 영웅으로 존경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han Bội Châu - the big patriot in the early 20th century
https://baonghean.vn[...]
2017-12-08
[2]
웹사이트
Phan Boi Chau, Vietnamese Patriot
https://www.britanni[...]
britannica
[3]
웹사이트
Phan Bội Châu niên biểu
https://www.thuvienp[...]
Nhóm nghiên cứu Sử - Địa. Compiled 1971 - Published 1973
[4]
문서
Marr 1970
[5]
웹사이트
Phan Bội Châu via French archived document - Part 1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Centre N1
2019-09-22
[6]
문서
Vĩnh Sính 1988
[7]
문서
Duiker 1971
[8]
문서
Phan Boi Chau 1957
[9]
서적
Cuoc Doi Cach Mang Cuong De
Ton That Le
[10]
서적
[11]
서적
Thailand and the Southeast Asian networks of the Vietnamese revolution, 1885-1954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Scarecrow
[13]
웹사이트
Vietnam after Ho Chi Minh An Interview with P. J. Honey
http://archive.theta[...]
[14]
웹사이트
United States – Vietnam Relations, 1945–1967: A Study Prepared by the Department of Defense/I. C. Ho Chi Minh: Asian Tito?
[15]
서적
The Tragedy of the Vietnam War
McFarland
[16]
뉴스
Ho Chi Minh Certainly No Viet 'Washington'
https://news.google.[...]
[17]
서적
Ho Chi Minh: The Missing Years, 1919-1941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03
[18]
서적
Rethinking Vietna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19]
웹사이트
Phan Bội Châu via French archived document - Part 5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Centre N1
2019-10-20
[20]
웹사이트
Phan Bội Châu visited homeland in Lunar New Year 1926
https://baonghean.vn[...]
2022-02-05
[21]
웹사이트
Phan Bội Châu a big patriot in the early 20th century
https://baonghean.vn[...]
2017-12-08
[22]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old man of Bến Ngự
https://repository.v[...]
Nghiên cứu Lịch sử. Trần Huy Liệu
[23]
웹사이트
Việt Nam vong quốc sử
https://www.dtv-eboo[...]
Tao Đàn. Translated and annotated by Nguyễn Quang Tô
[24]
웹사이트
Việt Nam quốc sử khảo
https://thuviensonla[...]
Nhà xuất bản Giáo dục. Translated and annotated by Chương Thâu
2018-10-11
[25]
웹사이트
Việt Nam nghĩa liệt sử'
https://thuongmaitru[...]
Chấn Á xã. Translated and annotated by Tôn Quang Phiệt
[26]
웹사이트
Ngục trung thư
https://thuviensach.[...]
Publisher Tân Việt. Translated by Đào Trinh Nhất
[27]
웹사이트
About two memorandums of Sào Nam
https://repository.v[...]
Nghiên cứu Lịch sử. Chương Thâu
[28]
웹사이트
Funeral oration for Nguyễn Thượng Hiền
https://www.thivien.[...]
[29]
웹사이트
Funeral oration for Phan Chu Trinh
https://www.thivien.[...]
[30]
웹사이트
Phan Bội Châu memorial site in Huế city
http://baotanglichsu[...]
[31]
웹사이트
The tomb, church and cemetery named after Phan Bội Châu - A national historic relic
https://thuathienhue[...]
2008-11-12
[32]
웹사이트
Discovering the Phan Bội Châu memorial site in Nghệ An
https://baonghean.vn[...]
2017-12-11
[33]
서적
Vietnam Country Map
Periplus Travel Maps
[34]
뉴스
ベトナム独立指導者の孫「東遊運動は成功」両陛下訪問
https://web.archive.[...]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03-05
[35]
웹사이트
袋井市指定文化財 浅羽佐喜太郎公紀念碑
http://fukuroi-rekis[...]
袋井市教育委員会
[36]
서적
Ho Chi Minh: A Life
Hachette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