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드리고 카라소 오디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리고 카라소 오디오는 코스타리카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1978년부터 1982년까지 코스타리카 대통령을 역임했다. 대통령 재임 전에는 코스타리카 중앙 은행 이사, RECOPE 총괄 관리자, 코스타리카 입법 의회 의장을 지냈다. 재임 기간 동안 국제 연합 산하 평화 대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며, 석유 화학 산업 장려, 수력 발전소 개통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니카라과의 내전과 외교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했으며, 경제 불황과 콜론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다. 퇴임 후에는 IMF 등 금융 기관을 비판하고,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며, 평화 대학교 창립 의장을 역임했다. 2009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세기 코스타리카 사람 - 루이스 마린
    루이스 마린은 코스타리카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LD 알라후엘렌세에서 코스타리카 리그 우승 7회, CONCACAF 챔피언스컵 우승 1회 등을 기록했으며, 코스타리카 국가대표로도 활약,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클라우수라 우승을 차지했다.
  • 21세기 코스타리카 사람 - 파울로 완초페
    파울로 완초페는 코스타리카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공격수로 활동하며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했고, 코스타리카 국가대표로 2번의 FIFA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했다.
  • 20세기 코스타리카 사람 - 루이스 마린
    루이스 마린은 코스타리카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LD 알라후엘렌세에서 코스타리카 리그 우승 7회, CONCACAF 챔피언스컵 우승 1회 등을 기록했으며, 코스타리카 국가대표로도 활약,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클라우수라 우승을 차지했다.
  • 20세기 코스타리카 사람 - 파울로 완초페
    파울로 완초페는 코스타리카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공격수로 활동하며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했고, 코스타리카 국가대표로 2번의 FIFA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했다.
  • 코스타리카의 정치인 - 루이스 기예르모 솔리스
    코스타리카의 정치인이자 학자인 루이스 기예르모 솔리스는 시민 행동당 소속으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코스타리카 대통령을 역임하며 부패 척결, 경제 성장, 소득 불평등 감소를 목표로 사회적 진보주의 가치를 옹호했다.
  • 코스타리카의 정치인 - 아벨 파체코
    코스타리카의 정치인이자 작가인 아벨 파체코는 의사이자 텔레비전 진행자, 대학교 강사로 활동하다가 국회의원을 거쳐 코스타리카 대통령을 역임하며 부패 스캔들 논란에도 불구하고 저술 활동과 세계 시민상 수상으로 문화에 기여했다.
로드리고 카라소 오디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로드리고 카라소 오디오
본명로드리고 호세 라몬 프란시스코 데 헤수스 카라소 오디오
출생일1926년 12월 27일
출생지코스타리카, 카르타고
사망일2009년 12월 9일
사망지코스타리카, 산호세
배우자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1947년 결혼 ~ 2009년 사망)
자녀3명 (로드리고 알베르토 포함)
직업정치인, 경제학자
학력코스타리카 대학교 (경제학 학사)
수상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로드리고 카라소 서명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기독교사회통합당
이전 소속 정당민주갱신당 (1972년-1977년), 국민해방당 (1970년까지)
코스타리카 대통령
대수38대
임기 시작1978년 5월 8일
임기 종료1982년 5월 8일
부통령로드리고 알트만 오르티스, 호세 미겔 알파로 로드리게스
전임다니엘 오두베르 키로스
후임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알바레스
코스타리카 입법 의회
입법 의회 의장제12대
임기 시작1966년 5월 1일
임기 종료1967년 4월 30일
전임로돌포 솔라노 오르필라
후임에르난 가론 살라사르
코스타리카 입법 의회 의원
선거구산호세 1번 선거구
임기 시작1966년 5월 1일
임기 종료1970년 4월 30일
전임카를로스 에스피나크 에스칼란테
후임다니엘 오두베르 키로스

2. 초기 생애

로드리고 카라소 오디오는 코스타리카 카르타고에서 태어났다. 그는 대통령으로 재임하기 전 코스타리카 중앙은행 이사, RECOPE(코스타리카의 국영화된 정유 공장) 총괄 관리자, 코스타리카 입법 의회 의장(1966-1967)을 역임했다.[3]

1947년 4월 16일 산호세에서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자노와 결혼하여 로드리고 알베르토, 마리오 에르네스토, 호르헤 마누엘, 알바로, 롤란도 마르틴 등 다섯 자녀를 두었다.[4] 1979년 12월, 아들 롤란도는 코스타리카 로르모세에서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했다.[4] 그는 오토바이를 혼자 몰다 커브 길에서 통제력을 잃고 나무와 충돌했으며, 당시 26세였다.

3. 대통령 재임 (1978-1982)

로드리고 카라소 오디오는 1978년부터 1982년까지 코스타리카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재임 기간 동안 국내외적으로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있었다. 카라소는 평화 대학교 설립을 주도했고, 니카라과 내전에 개입했으며, 중앙 아메리카 민주주의 공동체 결성을 지원하고 쿠바와 단교하는 등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다.

3. 1. 국내 정책

카라소 정부는 세계 경제 불황으로 경제 불안정과 사회적 혼란을 겪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석유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코스타리카의 주요 작물인 커피의 가치는 하락했다. 에르난 사엔스 히메네스 재무부 장관과 국제 통화 기금(IMF)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카라소는 코스타리카 중앙 은행에 경제 회복이 임박했다는 희망으로 현지 통화인 코스타리카 콜론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대규모 차입을 지시했다. 그 정책은 결국 지속 불가능해져 1980년 9월에 파국적인 급격한 평가 절하로 이어졌다. 중앙 은행이 떠안은 막대한 부채 부담은 코스타리카가 그 이후로 겪은 사상 최고 수준의 인플레이션에 기여했다.[1]

카라소는 재임 중, 그리고 퇴임 직후에 평화 대학교 설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정부는 또한 국가의 석유 화학 산업에 집중하고 이를 장려했으며, 탈라만카 산맥 근처에서 석유 탐사 및 시추를 시작했다. 에너지 분야에서 그의 정부는 아레날 호수의 수력 발전소를 개통했다. 카라소 정부는 또한 국가 남부 지역의 채굴을 규제했다.[1]

3. 2. 니카라과 내전과 외교 정책

카라소는 국제적으로 소모사 독재 정권에 반대하며, 산디니스타 민족 해방 전선이 부상하면서 시작된 니카라과 내전을 다루어야 했다. 코스타리카 정부는 산디니스타 반군을 지원했고, 국경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가 코스타리카 영토로 번지는 일이 발생했다. 카라소 정부는 소모사에게 국경을 넘지 말라고 경고했고, 소모사의 공격을 격퇴하기 위해 방위군 창설을 계획했다.[1]

1979년 산디니스타가 니카라과를 장악하고 소모사가 망명하면서 상황은 종료되었지만, 국민들의 반발과 야당의 비판이 있었다. 카라소 정부가 소모사의 탈출을 돕기 위해 미국 헬리콥터의 코스타리카 영토 착륙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이는 국가 주권 침해라는 비난으로 이어졌다.[1]

1982년, 미국의 지원으로 코스타리카 산호세에서 중앙 아메리카 민주주의 공동체가 결성되었다. 이는 공산 정권이 집권한 니카라과를 중앙 아메리카에서 고립시키려는 목적이었다. 1981년, 카라소 정부는 피델 카스트로쿠바와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1]

3. 3. 국제 평화 증진 노력

로드리고 카라소 오디오는 재임 중 및 퇴임 직후 국제 연합 산하 교육 기관인 평화 대학교 설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 그는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 민족 해방 전선을 지원했으며, 소모사 정권에 대항하는 운동을 지지했다.[1] 코스타리카 영토에 대한 소모사의 공격 시도를 격퇴하기 위해 방위군 창설을 계획하기도 했다.[1]

1982년에는 미국의 지원으로 코스타리카 산호세에서 중앙 아메리카 민주주의 공동체가 결성되었는데, 이는 공산 정권이 집권하고 있는 니카라과를 중앙 아메리카에서 고립시키기 위한 것이었다.[1] 1981년, 카라소 정부는 피델 카스트로쿠바와의 모든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1]

4. 퇴임 이후 활동

로드리고 카라소 오디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서방 국가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구상에서 지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1990년대 초에 여러 차례 평양을 방문했다. 그의 노력은 미국과 북한 간의 비공식적인 소통 채널 개설에 기여했다.

카라소는 평화 대학교와 유나이티드 월드 칼리지 코스타리카의 창립 의장이었다.

2009년 12월 9일, 카라소는 심부전과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산호세의 멕시코 병원에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그는 아내인 전 영부인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자노와 로드리고 알베르토, 마리오 에르네스토, 호르헤 마누엘, 알바로 등 4명의 자녀를 남겼다.[4]

5. 사망

카라소는 2009년 12월 9일, 심부전과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산호세의 멕시코 병원에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그는 전 영부인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자노와 5명의 자녀 중 로드리고 알베르토, 마리오 에르네스토, 호르헤 마누엘, 알바로 등 4명을 남겼다.[4]

6. 유산

카라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서방 국가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구상에서 지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1990년대 초 여러 차례 평양을 방문했으며, 그의 노력은 미국과 북한 간의 비공식적인 소통 채널 개설에 기여했다.

카라소는 평화 대학교와 유나이티드 월드 칼리지 코스타리카의 창립 의장이었다.

2009년 12월 9일, 심부전과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산호세의 멕시코 병원에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사망 당시 아내인 전 영부인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자노와 5명의 자녀 중 로드리고 알베르토, 마리오 에르네스토, 호르헤 마누엘, 알바로 등 4명의 자녀가 생존해 있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Political Leaders: Costa Rica http://www.terra.es/[...]
[2] 문서 El Tribunal Supremo de Elecciones: Presidentes de la República de Costa Rica http://www.tse.go.cr[...]
[3] 웹사이트 Legislative Assembly Official website https://web.archive.[...]
[4] 뉴스 Falla en tres órganos causó muerte a expresidente Carazo http://wvw.nacion.co[...] La Nación (San José) 2009-12-09
[5] 뉴스 코스타리카,野執權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8-02-07
[6] 웹인용 코스타리카 카라소 전 대통령 별세 https://news.naver.c[...] 2009-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