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저 프라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저 프라이는 영국의 화가, 미술 평론가, 큐레이터, 그리고 디자이너였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후기 인상파 화가들의 전시회를 기획했으며, 블룸즈베리 그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프라이는 1913년 오메가 워크숍을 설립하여 디자인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시도를 했다. 그는 미술 평론가로서 후기 인상파에 대한 글을 썼으며, 저서로 《시각과 디자인》, 《세잔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룸즈버리 그룹 - E. M. 포스터
    E. M. 포스터는 20세기 초 영국 사회의 계급 차이와 위선을 다룬 소설, 휴머니즘, 계급 갈등, 성 정체성, 제국주의 비판 등의 주제, 섬세한 심리 묘사와 상징적인 표현으로 유명한 영국의 소설가, 수필가, 단편 작가이다.
  • 블룸즈버리 그룹 - 버지니아 울프
    20세기 영국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버지니아 울프는 모더니즘 문학의 선구자이자 의식의 흐름 기법의 대가로, 블룸즈베리 그룹의 핵심 인물로서 인간 내면 의식과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남겼으며,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다 자살로 생을 마감했지만 페미니즘과 모더니즘 문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영국의 미술사학자 - 케네스 클라크
    케네스 클라크는 영국의 미술사가, 박물관 관장, 방송인, 작가로서 20세기 영국 미술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내셔널 갤러리 관장, 전쟁 예술가 자문위원회 위원장, 옥스퍼드 대학교 슬레이드 미술 교수 등을 역임했고, BBC 다큐멘터리 《문명》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미술 대중화에 기여했다.
  • 영국의 미술사학자 - 앤서니 블런트
    앤서니 블런트는 영국의 미술사학자이자 소련 스파이로, MI5에서 복무하며 소련에 정보를 제공했고 왕실 회화 감정관으로 활동했으나, 간첩 행위가 폭로되어 기사 작위를 박탈당하고 사회적으로 몰락했다.
  • 영국의 화가 - 조지 버나드 쇼
    아일랜드 출신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는 풍자와 기지가 넘치는 희곡 작품과 날카로운 비평, 사회주의 운동 참여로 20세기 연극과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화가 - 마크 퀸
    영국의 조각가 마크 퀸은 자신의 혈액으로 만든 자화상 《셀프》로 유명하며, '영 브리티시 아티스트' 운동의 주요 인물로서 인체 관련 주제를 탐구하고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반영하는 작품들을 제작해왔다.
로저 프라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로저 엘리엇 프라이
출생 이름로저 엘리엇 프라이
출생일1866년 12월 14일
출생지세인트판크라스, 런던, 잉글랜드
사망일1934년 9월 9일
사망지로열 프리 병원, 햄프스테드, 런던, 잉글랜드
직업미술가, 미술 평론가
교육클리프턴 칼리지
모교킹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소속 그룹블룸즈버리 그룹
자화상 (1928)
자화상 (1928)
예술 활동
분야미술
기타
ISBN9780199532940
ISBN978-0226266428

2. 생애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 수학했고, 케임브리지 사도회(Cambridge Apostles)의 일원이었다. 그는 첫 번째 시험을 자연 과학에 합격한 후 파리와 이탈리아로 가서 그곳에서 이탈리아 미술을 공부했다. 그리고 그는 결국 풍경화 화가가 되었다.[4][5]

1910년, 그는 블룸즈베리 그룹의 멤버들과 함께 후기 인상파 화가들의 전시회를 런던에서 기획했다. 이 기획은 프라이가 애정을 품고 있었던 오토린 모렐이 후원했다. 1913년에는 ‘오메가 워크숍’(Omega Workshop)이라는 일종의 디자인 공방을 설립하였다. 여기에, 버네사 벨과 던컨 그랜트도 소속되어 있었다. 던컨 그랜트는 당시 버네사 벨의 연인이었다. 버네사의 여동생인 작가 버지니아 울프가 로저 프라이의 평전을 썼다.[8]

''River with Poplars'' (약 1912년)


1866년 런던에서 판사인 에드워드 프라이(Edward Fry)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하이게이트(Highgate)의 부유한 퀘이커 가정에서 자랐다. 그의 형제 자매로는 조앤 메리 프라이(Joan Mary Fry), 애그니스 프라이(Agnes Fry), 마저리 프라이(Margery Fry)가 있었으며, 마저리는 옥스퍼드 소머빌 대학(Somerville College, Oxford)의 학장이었다. 프라이는 클리프턴 대학(Clifton College)과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King's College, Cambridge)에서 교육을 받았는데, 거기서 그는 자유사상가들과 함께 케임브리지 사도들(Conversazione Society)의 일원이었다. 이들은 예술에 대한 그의 관심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그중에는 존 맥태거트(John McTaggart)와 골즈워디 로우스 디킨슨(Goldsworthy Lowes Dickinson)이 포함된다. 그는 자연과학 트리포스(tripos)에서 1등을 한 후 파리와 이탈리아로 유학을 가서 미술을 공부했다. 결국 그는 풍경화(landscape)를 전문으로 하게 되었다.

1896년 그는 화가 헬렌 쿰브(Helen Coombe)와 결혼하여 파멜라와 줄리안 두 자녀를 두었다. 헬렌은 곧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앓게 되었고, 부부는 조용한 환경이 그녀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서리주(Surrey) 길드퍼드(Guildford)로 이사했다.[6] 그러나 1910년 그녀는 정신병원에 수용되어 생애의 남은 기간을 그곳에서 보냈다. 프라이는 그의 누이 조앤 프라이(Joan Fry)의 도움을 받아 아이들을 돌보았다. 같은 해 프라이는 화가 바네사 벨(Vanessa Bell)과 그녀의 남편 클라이브 벨(Clive Bell)을 만났고, 그들을 통해 블룸즈베리 그룹에 소개되었다. 바네사의 여동생이자 작가인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는 나중에 프라이의 전기에 "그는 우리 모두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라고 썼다.

길드퍼드로 이주한 직후, 프라이는 챈트리 뷰 로드에 자신만의 디자인으로 '더빈스'라는 집을 지었다. 당시 이곳은 서리힐스(Surrey Hills)가 내려다보이는 마을 외곽에 있었다. 더빈스는 간결한 고전 양식으로 큰 창문이 네덜란드의 전례를 보여주었고, 프라이는 그것을 '진정하고 정직한 주거 건축'으로 여겼다.[6] 가장 특이한 특징은 이중 높이의 거실(프라이가 '하우스 플레이스'라고 불렀다)이다. 현재 이 건물은 2등급 건물(Grade II* listed building)로 등재되어 있다. 그는 1912년부터 1916년까지 로티 홉과 넬리 벅솔(Nellie Boxall)을 젊은 하녀로 고용했으나, 집을 임대하고 신탁을 설립하기로 결정하면서 그만두었다. 로티와 넬리는 그의 추천으로 레너드와 버지니아 울프를 위해 일하게 되었다.[7]

1911년 프라이는 유산을 겪고 있던 바네사 벨과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프라이는 그녀에게 남편에게서 부족하다고 느꼈던 부드러움과 보살핌을 제공했다. 바네사가 던컨 그랜트(Duncan Grant)와 사랑에 빠져 그와 함께 살기로 결정한 1913년 프라이의 마음이 상했지만, 그들은 평생 가까운 친구로 남았다.

화가 니나 햄넷(Nina Hamnett)과 조세트 코트멜렉(Josette Coatmellec)과 짧은 관계를 가진 후, 프라이는 헬렌 메이틀랜드 안렙(Helen Maitland Anrep)과 행복을 찾았다. 그들은 결혼하지 않았지만(그녀 또한 모자이크 예술가 보리스 안렙(Boris Anrep)과 불행한 첫 결혼을 했다) 그녀는 그의 생애의 나머지 기간 동안 그의 정서적 앵커가 되었다.

프라이는 런던 자택에서 낙상 후 사망했고 그의 죽음은 그의 관대함과 따뜻함을 사랑했던 블룸즈베리 그룹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다. 바네사 벨은 그의 관을 장식했다. 프라이의 유골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예배당(Kings College Chapel) 납골당에 안치되었다. 버지니아 울프는 그의 전기를 쓸 것을 맡았지만, 그의 가족이 바네사 벨과의 연애 관계를 포함한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을 생략해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8]

3. 예술 활동

1900년대에 프라이는 런던 대학교 슬레이드 미술학교에서 미술사를 가르쳤다.

1903년 영국 최초의 미술사 전문 학술지인 ''버링턴 매거진'' 창간에 참여했고, 1909년부터 1919년까지 라이오넬 커스트, 모어 에이디와 함께 공동 편집자를 역임했다. 프라이는 ''버링턴'' 창간 이래 자문위원회에 있었고, 편집 방침을 둘러싼 분쟁으로 편집장직을 그만둔 후에도 자문위원회의 영향력을 통해 후임자 로버트 래트레이 탯록을 선택했다.[16] 190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버링턴''에 200편이 넘는 글을 기고하며 후기 인상파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미술 평론가로서 프라이의 명성은 후기 인상파 화가들에 대한 수필에 기반하며,[17] 그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진술은 1920년 출판된 ''미학에 관한 에세이''이다.[18][19] 이 책에서 프라이는 예술 작품 감상 시 느끼는 반응이 작품의 형식, 즉 선, 질량, 색채, 디자인에서 온다고 주장했다. 그의 가장 큰 재능은 예술가에게 중요성을 부여하는 요소를 감지하는 능력이었다.[20] 프라이는 타고난 편지 작가이기도 하여, 예술과 인간에 대한 관찰을 친구와 가족에게 전달했다.[21]

1906년 프라이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회화 큐레이터로 임명되었다. 이 해는 그가 폴 세잔의 예술을 "발견"하고, 학문적 관심이 이탈리아 고전에서 현대 프랑스 미술로 이동하기 시작한 해이기도 하다.

1933년 프라이는 슬레이드 교수로 임명되었다.

1925년 프라이의 제안으로 새뮤얼 코톨드와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런던 예술가 협회를 설립했다.[30][31][32] 프라이와 코톨드의 관계는 코톨드가 런던 대학교에 미술사 교수직을 기증한 후 프라이가 ''버링턴 매거진''에서 이를 '오랫동안 간직해 온 희망의 예상치 못한 실현'으로 환영하며 더욱 깊어졌다.[33]

3. 1. 화가로서의 활동

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에서 수학했고, 거기서 케임브리지 사도(Cambridge Apostles)의 일원이 되었다. 그는 첫 번째 시험을 자연 과학에 합격한 후 파리와 이탈리아로 가서 그곳에서 이탈리아 미술을 공부했다. 그리고 그는 결국 풍경화 화가가 되었다.

1910년, 그는 블룸즈베리 그룹의 멤버들과 함께 후기 인상파 화가들의 전시회(마네와 후기 인상파전: 마네, 세잔, 고갱, 반 고흐 등)를 런던에서 기획한다. 이 기획은 프라이가 애정을 품고 있었던 오토린 모렐이 후원했다. 이 전시회는 런던 미술계에 큰 자극을 주었다.[22] 당시 대중이 익숙하지 않은 예술 작품을 선정했기 때문에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24]

1913년에는 ‘오메가 워크숍’(Omega Workshop)이라는 일종의 디자인 공방을 설립하였다. 여기에, 버네사 벨과 던컨 그랜트도 소속되어 있었다. 던컨 그랜트는 당시 버네사 벨의 연인이었다.

화가로서 프라이는 실험적인 면모를 보였으며(몇몇 추상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그의 최고 작품들은 직선적인 사실주의적 초상화였다.[9][10] 하지만 그는 자신을 전문 초상화가라고 주장하지 않았다.[11] 그의 예술에는 자신의 감각이 담겨 있으며, 점차 그의 개인적인 비전과 태도가 드러났다.[12] 그의 작품은 즐거움을 준다고 여겨졌으며, "예상치 못한 아름다움의 기쁨을 전달하고, 관람자의 감각을 더욱 예민하게 만들어 그 존재를 더욱 뚜렷하게 인식하게 한다"는 평가를 받았다.[13] 프라이는 자신을 위대한 예술가라고 생각하지 않았고, "다만 어느 정도 감수성과 취향을 지닌 진지한 예술가일 뿐"이라고 말했다.[14] 그는 "카우드레이 공원"을 자신의 최고 작품으로 여겼다. "내가 한 일 중 가장 좋은 것, 적어도 가장 완성도가 높은 것이다."[15]

로저 프라이가 그린 클라이브 벨의 초상화 (약 1924년)


''에드워드 카펜터'' (1894)


잉글리시 헤리티지 프라이와 그의 오메가 스튜디오를 위한 파란색 명판, 피츠로이 스퀘어, 피츠로비아, 런던 캠던 자치구


후에 바네사의 여동생이자 작가인 버지니아 울프가 평전 『로저 프라이 전』( 宮田恭子 역, みすず書房, 1997년)을 저술하였다.

3. 2. 미술 평론 및 기획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 수학하며, 케임브리지 사도회(Cambridge Apostles) 회원이 되었다. 자연 과학 시험을 통과한 후 파리와 이탈리아로 건너가 이탈리아 미술을 공부했고, 풍경화가가 되었다.

1910년, 블룸즈베리 그룹 회원들과 함께 후기 인상파 전시회(마네와 후기 인상파전: 마네, 세잔, 고갱, 반 고흐 등)를 런던에서 기획하였다. 이 기획은 프라이가 애정을 갖고 있던 오틀린 모렐이 후원하였으며, 런던 미술계에 큰 자극을 주었다.

1913년에는 바네사 벨과 던컨 그랜트 등이 소속된 디자인 공방 "오메가 워크숍"(Omega Workshop)을 설립했다. 던컨 그랜트는 당시 바네사 벨의 연인이었다.

훗날 바네사의 여동생이자 작가인 버지니아 울프가 평전 『로저 프라이 전』(宮田恭子 역, みすず書房, 1997년)을 저술하였다.

3. 3. 오메가 워크숍

1913년 로저 프라이는 런던 피츠로이 스퀘어에 디자인 작업실 오메가 워크숍을 설립했다. 바네사 벨, 던컨 그랜트 등 블룸즈베리 그룹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오메가 워크숍은 모든 제품에 그리스 문자 Ω(오메가)를 표시하는 실험적인 디자인 집단이었다. 생산된 제품에는 러그, 도자기, 가구, 의류 등이 있었다. 프라이는 1913년 한 기자에게 "가구와 직물에 재미를 불어넣을 때가 되었다.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지루하고 진지한 것들에 시달렸다"고 말했다.[25]

오토린 모렐 여사, 모드 커너드 같은 상류층 인사들과 버지니아 울프, 조지 버나드 쇼, H.G. 웰스, W.B. 예이츠, E.M. 포스터, 거트루드 스타인 등 현대 미술 애호가들이 1910년대 런던 방문 중 고객으로 참여했다.[25] 윈덤 루이스, 프레데릭 에첼스, 에드워드 워즈워스, 앙리 고디에-브레즈카 등도 작업실에 모였으나, 프라이와 루이스의 갈등으로 루이스는 1914년 반역 예술 센터를 설립하고 보르티시즘 운동을 이끌었다.[26]

오메가 워크숍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도 운영되었지만 1919년 문을 닫았다. 코톨드 갤러리는 오메가 워크숍 예술가들의 디자인과 장식품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으며,[27] 2017년 '블룸즈베리 예술과 디자인' 전시회를 개최했다. 전시된 작품 중 상당수는 로저 프라이가 코톨드 예술연구소에 기증한 것이다.[28] 2009년 '블룸즈베리 너머: 오메가 워크숍의 디자인 1913-19' 전시회에는 1958년 프라이의 딸 파멜라 디아만드가 코톨드 갤러리에 기증한 오메가 워크숍 작업 도면이 포함되었다.[29]

3. 4. 후기 활동

1926년 9월 프라이는 ''더 다이얼''에 쇠라에 관한 결정적인 에세이를 썼다.[34] 그는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35] 10년 동안 상징주의 시인 스테판 말라르메의 시를 번역했다.[36] 1929년부터 1934년까지 BBC에서 12개의 방송 시리즈를 통해, 예술 감상은 고급 문화 예술을 칭찬하는 경향이 아닌 형태에 대한 감각으로 시작해야 한다는 자신의 믿음을 전달했다. 또한 아프리카 조각이나 중국 화병이 그리스 조각만큼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의 작품은 테이트 브리튼, 애슈몰린 박물관, 리즈 미술관, 런던 국립 초상화 미술관, 스코틀랜드 국립 현대 미술관, 맨체스터 미술관, 섬머빌 칼리지, 뉴질랜드 테 파파 통가레와 박물관, 코톨드 갤러리 등에서 볼 수 있다. 아트 펀드는 1928년 코톨드 갤러리가 그의 자화상(위)을 구입하는 것을 도왔고,[37] 1994년에는 다른 작품을 구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8] 코톨드에 기증된 회화와 장식 미술품, 로저 프라이 컬렉션[39][40]에는 코누에이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사진도 포함되어 있다. 코누에이 도서관은 광범위한 코톨드 커넥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주로 건축 이미지로 구성된 컬렉션을 디지털화하고 있다.[41] 1927년부터 1930년까지 프라이가 제작한 석판화는 테이트 브리튼뉴질랜드 테 파파 통가레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42] 석판화는 프랑스에서 그려졌으며(캠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그린 한 점 제외), 많은 작품이 10점의 건축 석판화 포트폴리오에 실렸다.[42]

1952년 세인트 제임스 스퀘어 갤러리에서 열린 예술위원회 전시회 '로저 프라이 회화와 드로잉'은 예술가로서 그의 명성을 확고히 했다. 2010년 5월 20일 피츠로이 스퀘어에 푸른 명판이 공개되었다.[23]

4. 저서


  • 《시각과 디자인》 (''Vision and Design'', 1920)
  • * 수성사에서 2019년에 봉소 센・호리카와 레이코의 번역으로 출간되었다.
  • 《변형》 (''Transformations'', 1926)
  • 《앙리 마티즈》 (''Henri Matisse'', 1930)
  • 《프랑스 예술》 (''French Art'', 1932)
  • 《영국 회화의 고찰》 (''Reflections on British Painting'', 1934)
  • 《예술과 상업》 (1926)
  • 《학문으로서의 미술사》 (1933)
  • 《예술가와 정신분석》 (1924)
  • 《회화와 조각의 예술》 (1932)
  • 《세잔 연구: 그의 발전에 대한 연구》 (1927) [프랑스어 초판, « Le développement de Cézanne », 1926]
  • * 미스즈 서방에서 1990년에 츠지이 타다오가 번역하고 니미 시로가 해설한 번역본이 출간되었고, 2015년에 신장판이 나왔다.
  • 《조반니 벨리니》 (1899)
  • 《던컨 그랜트》 (1923)
  • 《플랑드르 미술》 (1927)
  • 《마지막 강의》 (1933)
  • 《카스티야의 표본》 (1923)
  • 《12점의 원본 목판화》 (1921)

'''번역서''':

  • 《말라르메의 시 몇 편》 (1936)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Results for England & Wales Births 1837-2006 - findmypast.co.uk http://search.findmy[...] 2018-04-09
[2] 서적 Fry, Roger Oxford
[3] 서적 A Roger Fry Read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간행물 Clifton College Register J. W. Arrowsmith for Old Cliftonian Society 1948-04-00
[5] acad
[6] 웹사이트 Durbins, including the summerhouse, Non Civil Parish https://historicengl[...] 2024-06-20
[7] 웹사이트 Nellie Boxall http://www.oxforddnb[...] 2004-09-23
[8] 서적 Roger Fry: A Biography Harcourt, Brace and Company; London: The Hogarth Press
[9] 서적 Dictionary of Art and Artists Oxford University Press
[10] 문서 Portrait of Edward Carpenter National Portrait Gallery, London
[11] 편지 Letter to Lady Fry 1928-01-22
[12] 서적 Roger Fry, A Biography Harcourt, Brace and Co
[13] 뉴스 Retrospective Exhibition New Statesman
[14] 편지 Letter to Marie Mauron 1920-06-20
[15] 편지 Letter to R. C. Trevelyan 1903-11-20
[16] 서적 Letters of Roger Fry
[17] 서적 Seurat Phaidon Press
[18] 서적 Vision and Design Dover Paperbacks
[19] 서적 Vision and design Chatto and Windus
[20] 서적 Letters of Roger Fry Chatto and Windus
[21] 서적 Letters of Roger Fry Chatto and Windus
[22] 웹사이트 Post-impressionism – Art Term https://www.tate.org[...]
[23] 웹사이트 Roger Fry Artist Blue Plaques https://www.english-[...]
[24] 서적 Desmond MacCarthy: The Post-Impressionist Exhibition of 191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5] 웹사이트 Beyond Bloomsbury: Designs of the Omega Workshops 1913-19 https://courtauld.ac[...]
[26] 웹사이트 Rebel Art Centre – Art Term https://www.tate.org[...]
[27] 웹사이트 The 20th Century https://courtauld.ac[...]
[28] 웹사이트 Bloomsbury Art & Design https://courtauld.ac[...]
[29] 웹사이트 Beyond Bloomsbury: Designs of the Omega Workshops 1913-19 https://courtauld.ac[...]
[30] 웹사이트 London Artists' Association Artist Biographies https://www.artbiogs[...]
[31] 웹사이트 Courtauld History https://courtauld.ac[...]
[32] 웹사이트 Collecting for Cambridge The Fitzwilliam Museum https://www.fitzmuse[...]
[33] 학술지 The Warburg and Courtauld Institutes https://www.burlingt[...]
[34] 서적 Seurat Phaidon Press
[35] 편지 Letter to Marie Mauron 1920-11-12
[36] 서적 Letters of Roger Fry Chatto and Windus 1972
[37] 웹사이트 Self-Portrait by Roger Fry https://www.artfund.[...] 2021-04-14
[38] 웹사이트 A&A Self-Portrait http://www.artandarc[...] 2021-04-14
[39] 웹사이트 The Courtauld Collection https://assets.court[...] 2020-12-15 # 추정 날짜. 파일 업로드 날짜로 추측
[40] 웹사이트 Courtauld Institute Galleries museum, London, United Kingdom https://www.britanni[...] 2021-04-14
[41] 웹사이트 Who made the Conway Library? http://blog.courtaul[...] 2021-04-14
[42] Wiki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