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르주 쇠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르주 쇠라는 19세기 후반 활동한 프랑스의 신인상주의 화가이다. 파리에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에콜 데 보자르에서 미술을 공부했으며, 징병 후 파리로 돌아와 흑백 드로잉 작업에 몰두했다. 쇠라는 과학적 색채 이론을 회화에 적용하여 점묘법을 개발했고, 이를 통해 감정과 조화를 표현하고자 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아스니에르의 물놀이》, 《서커스》 등이 있으며, 큐비즘에도 영향을 미쳤다. 쇠라는 31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지만, 그의 작품은 20세기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탈인상주의 화가 - 앙리 루소
    프랑스의 화가 앙리 루소는 정규 미술 교육 없이 세관원으로 일하며 독학으로 그림을 그린 소박파 화가로, 전통적인 회화 기법을 따르지 않은 독특한 화풍으로 환상적이고 이국적인 정글 그림을 그려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며 초현실주의 미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탈인상주의 화가 - 앙리 마티스
    앙리 마티스는 20세기 프랑스 화가로, 강렬한 색채와 단순한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작품을 통해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야수파 운동을 이끌고 니스 시대를 거쳐 종이 오리기 기법을 발전시키다 1954년에 사망했다.
  • 예술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예술에 관한 - 현대 미술
    현대 미술은 19세기 후반 모더니즘의 실험 정신을 바탕으로 추상을 지향하며 시작되어 다양한 미술 운동을 거치면서 미술의 자율성과 순수성을 추구하며, 재료, 형태, 주제 등 다양한 특징을 갖지만 대중의 가치관과 상반된다는 비판과 예술에 대한 논쟁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 1891년 사망 - 찰스 스튜어트 파넬
    찰스 스튜어트 파넬은 19세기 후반 아일랜드의 국민주의 지도자였으며, 아일랜드 의회에서 토지 개혁과 자치 운동을 이끌었으나, 피곳 사건과 오셰이 부인과의 불륜으로 인해 정치적 몰락을 겪었다.
  • 1891년 사망 - 쥘 그레비
    쥘 그레비는 공화주의 변호사 출신으로 프랑스 제3공화국 대통령을 지내며 의회 중심 체제를 확립하고 공화주의적 개혁을 추진했으나, 사위의 훈장 매매 사건으로 사임한 인물이다.
조르주 쇠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88년의 쇠라
1888년 쇠라
본명조르주피에르 쇠라
출생일1859년 12월 2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사망일1891년 3월 29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서명
활동
분야회화
사조후기인상주의
신인상주의
점묘주의
주요 작품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아스니에르에서의 물놀이
그림 목록
개인 정보
배우자마들렌 크노블로흐
자녀2명

2. 생애

쇠라는 1859년 파리의 부유한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샹파뉴 출신의 법률 공무원이었고, 어머니는 파리 출신이었다. 쇠라는 조각가 쥐스탱 르캥에게서 처음 예술을 배웠다. 1878년1879년에는 에콜 데 보자르에서 수학했으며, 브레스트 육군사관학교에서 1년간 복무한 뒤 1880년 파리로 돌아와 2년간 흑백화를 그리는 데 몰두했다.

1883년 첫 주요 작품인 〈아스니에르에서의 물놀이〉를 그렸으나, 파리 살롱에서 거절당했다. 1884년 막시밀리안 루스 등 다른 예술가들과 함께 독립 예술가 협회(Société des Artistes Indépendants)를 결성, 폴 시냑을 만나 점묘주의에 대한 생각을 공유했다. 같은 해 여름부터 걸작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를 그리기 시작하여 2년 만에 완성했다.

이후 클리쉬 거리 근처의 작업실로 옮겨 젊은 모델 마들렌 크노블로흐와 비밀리에 동거했다. 1890년 2월 아들을 출산했지만, 가족에게 부인과 아들을 소개한 지 이틀 만에 사망했다.[38] 사인은 수막염, 협심증, 폐렴, 디프테리아 중 하나로 추정된다.[38] 그의 마지막 작품인 〈서커스〉는 미완성으로 남았다. 쇠라는 신인상주의 화가로, 점묘화라는 새로운 기법을 창조했다.

2. 1. 가족과 교육

파리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쇠라는 1878년1879년 에콜 데 보자르에서 수학했다.[32][33] 앙리 르만(Henri Lehmann)에게서 교육을 받았으며, 고전 조각의 석고상을 그리고 옛 거장들의 그림을 베끼는 전통적인 학문적 훈련을 받았다.[11] 그의 정식 미술 교육은 1879년 11월, 1년간의 군 복무를 위해 보자르를 떠나면서 끝났다.[12] 브레스트 육군사관학교(Brest Military Academy)에서 1년을 보낸 후 1880년 파리로 돌아왔다.[11]

그의 아버지 앙투안 크리소스톰 쇠라(Antoine Chrysostome Seurat)는 샹파뉴(Champagne) 출신의 전직 법률 공무원으로 부동산 투기를 통해 부를 축적했고, 어머니 에르네스틴 페이브르(Ernestine Faivre)는 파리 출신이었다.[9] 조르주에게는 형인 에밀 오귀스탱(Émile Augustin)과 누나인 마리 베르트(Marie-Berthe)가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르랭시(Le Raincy)에 살면서 일주일에 한 번 마젠타 거리에 있는 아내와 자녀들을 방문했다.[10]

쇠라는 가족이 살던 마젠타 거리 근처에 있는 조각가 저스틴 르퀴앙(Justin Lequien)이 운영하는 시립 조각 및 드로잉 학교(École Municipale de Sculpture et Dessin)에서 처음 미술을 공부했다.[11] 이후 그는 클리쉬 거리(Boulevard de Clichy)에서 가까이에 있는 작업실로 옮겨, 젊은 모델 마들렌 크노블로흐와 비밀리에 함께 살았다. 1890년 2월 그녀는 아들을 출산했다. 쇠라는 부인과 아들을 그의 부모에게 소개한 지 2일도 되기 전에 사망했다.[38]

2. 2. 초기 활동과 신인상주의

쇠라는 파리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1878년과 1879년 에콜 데 보자르에서 수학하고 브레스트 육군사관학교에서 1년간 복무한 뒤, 1880년 파리로 돌아와 2년간 흑백화를 그리는 데에 노력을 쏟았다.

1883년 그의 첫 주요 작품인 〈아스니에르에서의 물놀이〉를 제작하였으나, 파리 살롱에서 거절당했다. 1884년 다른 예술가들과 함께 독립 예술가 협회(Société des Artistes Indépendants)를 결성하고, 폴 시냑을 만나 점묘주의에 대한 생각을 공유했다. 1884년 여름부터는 걸작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를 그리기 시작해 완성하는 데 2년이 걸렸다. 쇠라는 신인상주의의 일파이며 '신인상주의'라는 이름에 걸맞게 점묘화라는 새로운 그림 표현 기법을 창조해내었다.

1884년에는 그의 대표작인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의 제작에 착수했다. "신인상파"라는 명칭은 이 작품을 본 비평가 펠릭스 페네옹(Félix Fénéon)이 처음 사용한 것이다.

2. 3. 개인적 삶과 죽음

쇠라는 파리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1878년1879년 에콜 데 보자르에서 공부했고, 브레스트 육군사관학교에서 1년간 복무한 뒤 1880년 파리로 돌아와 2년간 흑백화를 그리는 데에 노력을 쏟았다.

1890년 2월, 쇠라는 젊은 모델 마들렌 크노블로흐와의 사이에서 아들 피에르 조르주를 출산했다. 쇠라는 부인과 아들을 그의 부모에게 소개한 지 2일도 되기 전에 사망했다.[38] 그의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수막염, 협심증, 폐렴, 디프테리아 중 하나가 아닐까 추정되고 있다.[38] 그의 아들 역시 2주 후에 같은 병으로 사망했다.[19] 쇠라 사망 당시, 마들렌은 둘째 아이를 임신 중이었고, 아이는 출산 중 또는 직후 사망했다.[20]

쇠라의 마지막 작품인 〈서커스〉는 그의 죽음으로 영원히 미완성이 되었다. 1891년 3월 30일, 생뱅상 드 폴 교회에서 추모 예배가 거행되었고,[9] 쇠라는 1891년 3월 31일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10]

Jeune femme se poudrant (젊은 여인이 화장하는 모습), 1888–1890, 유채, 95.5 x 79.5 cm, 코르토 갤러리


쇠라는 자신의 그림인 ''Jeune femme se poudrant''에 등장하는 모델이자 화가였던 마들렌 크노블로흐(Madeleine Knobloch, 1868–1903)와의 관계를 숨겼다.[18] 마들렌이 임신하자, 두 사람은 39 엘리제-데-보자르 통로(현재는 앙드레 앙투안 거리)의 작업실로 이사했다. 그녀는 1890년 2월 16일 그곳에서 아들 피에르-조르주를 낳았다.[18]

3. 과학적 배경과 영향

19세기에 미셸 외젠 슈브뢸, 오그던 루드, 다비드 주터 등의 과학자들은 , 광학 효과, 지각에 대한 논문을 썼다. 헤르만 폰 헬름홀츠아이작 뉴턴 등의 과학적 발견도 비과학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번역되었다.

슈브뢸은 오래된 태피스트리를 복원한 프랑스 화학자인데, 태피스트리 복원 과정에서 주변 염료의 영향을 고려해야 정확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두 가지 색이 살짝 포개지거나 매우 가깝게 병치되면 멀리서 볼 때 다른 색깔로 보이는 효과를 낸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는 신인상주의 화가들의 점묘법 테크닉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슈브뢸은 한 색을 본 뒤에 정확히 반대되는 보색의 '잔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맥길 대학교의 앤 보슈멩(Anne Beauchemin) 교수는 대부분의 신인상주의 화가들은 슈브뢸의 책 대신 1867년에 슈브뢸의 발견을 소개한 샤를 블랑의 저서 ''Grammaire des arts du dessin''을 읽었을 것이라 한다. 블랑은 색은 '취향의 판단'에 맡겨야 하지만, 아무래도 현실에서 경험하는 것과 가까워야 한다고 했다.

오그던 루드는 안료가 함께 섞이거나 병치되었을 때 나타나는 효과에 대한 헬름홀츠의 분석을 바탕으로 저술을 했다. 그는 두 색을 병치하면 멀리서 볼 때 제3의 특이한 색처럼 보인다고 언급했다.

샤를 앙리는 1880년대 소르본에서 선과 색의 정서적 특징과 상징적 의미에 대해 말했는데, 이는 신인상주의의 창시자인 쇠라에게 영향을 주었다.

3. 1. 19세기 색채 이론

19세기에 미셸 외젠 슈브뢸, 오그든 루드, 다비드 주터 등의 과학자인 저술가들은 , 광학 효과, 지각에 대한 논문을 썼다. 헤르만 폰 헬름홀츠아이작 뉴턴 등의 과학적 발견도 비과학자들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번역되었다. 슈브뢸은 당시 예술가들에게 가장 중요했을 것인데, 그가 원색과 중간색의 색상환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슈브뢸은 오래된 태피스트리들을 복원한 프랑스 화학자이다. 태피스트리들을 복원하면서 슈브뢸은 없어진 양모 주위에서 색상들의 영향을 고려해야 정확한 복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주변의 염료가 무엇인지 모르면 정확한 색상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슈브뢸은 두가지 색이 살짝 포개지거나 매우 가깝게 병치된 것이 멀리서 보면 다른 색깔로 보이는 효과를 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현상의 발견은 신인상주의 화가들의 점묘법 테크닉의 기초가 되었다.

슈브뢸은 또한 관찰자가 한 색을 본 뒤에 정확히 반대되는, 보색의 '잔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예를 들어 붉은 색의 사물을 본 뒤에는 원래 사물에서 녹색 잔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보색(예를 들어 빨강에는 녹색)의 잔상 효과는 망막의 지속성 때문이다. 색들의 상호작용에 흥미를 가진 신인상주의 화가들은 자신들의 그림에 보색을 강하게 사용한다. 슈브뢸은 묘사할 물체의 색을 칠하기만 하지 말고, 조화를 얻기 위해 색상을 추가해 알맞게 조정하라고 예술가들에게 조언했다. 슈브뢸이 언급한 조화를 쇠라는 '정서'라고 불렀다.[21]

맥길 대학교의 Anne Beauchemin 교수는 대부분 신인상주의 화가들은 슈브뢸의 책을 읽지 않았을 것이고, 대신에 1867년에 슈브뢸의 발견을 소개한 샤를 블랑의 저서 ''Grammaire des arts du dessin''을 읽었을 것이라 한다.[11] 블랑의 책은 예술가들과 예술 감정가들을 위한 책이었다. 색은 그에게 정서적 중요성을 지녔고, 블랑은 신인상주의자들이 채택할 이 이론을 가까이하라고 예술가들에게 노골적으로 권장한다. 블랑은 색은 '취향의 판단'에 맡겨야 하지만, 아무래도 현실에서 경험하는 것과 가까워야 한다고 한다. 블랑은 색들의 강도를 일정하게 하지 말고, 각 색상들의 역할을 계획하고 이해할 것을 주장했다.[21]

역시 색과 광학 효과를 연구했던 오그던 루드 역시 신인상주의 화가들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슈브뢸의 이론이 뉴턴의 색 혼합에 대한 생각에 바탕을 두고 있었던 데 반하여 로드의 저작은 헬름홀츠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었는데, 그것은 안료가 함께 섞이고 병치되었을 때에 나타나는 효과에 대한 헬름홀츠의 분석이었다. 루드는 삼원색이 빨강, 녹색, 남색이라고 보았다. 슈브뢸이 그랬던 것 같이, 루드도 두 색을 병치하면 멀리서 볼 때에 제3의 특이한 색처럼 보인다고 언급했다. 원색을 다른 원색 옆에 병치하면 물감을 섞어서 같은 색을 만들 때보다 더욱 강렬하고 만족스러운 색상으로 눈과 정신이 지각한다고 루드는 지적했다. 루드는 안료의 색과 광학의 색(빛)이 같은 방식으로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색의 더함과 뺌의 특징(가산혼합과 감산혼합)의 차이를 인지하라고 예술가들에게 충고했다.

  • 안료(물감): 빨강 + 노랑 + 파랑 = 검정 (마젠타, 노랑, 시안은 섞으면 진정한 검정색이 됨; 빨강, 노랑, 파랑은 일반적으로 검정색이 되지 않음)
  • 광학적 빛: 빨강 + 녹색 + 파랑 = 흰색


'음악의 화성의 법칙을 배우듯이 조화의 법칙을 배울 수 있다.'[22]라는 대목이 있는 주터의 1880년작 저서 ''Phenomena of Vision''과 수학자 샤를 앙리가 1880년대 소르본에서 선과 색의 정서적 특징과 상징적 의미에 대해 한 말 역시 쇠라에 영향을 주었다. 신인상주의의 창시자에게 앙리의 생각은 받아들여졌다.[21]

''서커스 행렬 (Parade de Cirque)''(1889)의 세부 묘사. 점묘법과 색채 이론을 보여준다.

3. 2. 샤를 블랑과 오그던 루드의 영향

19세기에 미셸 외젠 슈브뢸(Michel Eugène Chevreul), 오그던 루드(Ogden Rood), 데이비드 서터(David Sutter) 같은 과학자와 작가들은 색채, 광학 효과, 지각에 관한 논문을 썼다. 이들은 헤르만 폰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와 아이작 뉴턴(Isaac Newton)의 과학적 연구를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었다.[21]

슈브뢸은 1차 및 중간 색조의 색상환을 제작한 프랑스의 화학자로, 태피스트리 복원 작업을 했다. 그는 복원 중 누락된 양모 부분을 제대로 복원하려면 주변 색상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주변 염료를 인식하지 못하면 적절한 색조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 슈브뢸은 두 가지 색상을 나란히 배치하거나 약간 겹치게 하면 멀리서 보았을 때 다른 색상의 효과를 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신인상파 화가들의 점묘 기법의 기초가 되었다.[21]

슈브뢸은 또한 색상을 본 후 보이는 "후광"이 보색( 보색 )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빨간색 물체를 보면 원래 물체의 청록색 잔상이 보일 수 있다. 이 보색은 망막 지속 현상 때문이다. 신인상파 화가들은 색상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갖고 그림에 보색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슈브뢸은 예술가들에게 중앙 물체의 색상뿐만 아니라 색상을 추가하고 적절히 조정하여 조화를 이루도록 조언했다. 슈브뢸이 말한 조화는 쇠라가 "감정"이라고 부른 것과 같다.[21]

맥길 대학교(McGill University)의 Anne Beauchemin 교수는 대부분의 신인상주의 화가들은 슈브뢸의 책을 읽지 않았을 것이고, 대신 1867년에 슈브뢸의 발견을 소개한 샤를 블랑(Charles Blanc)의 ''Grammaire des arts du dessin''을 읽었을 것이라고 한다.[11] 블랑의 책은 예술가와 미술 감정가를 대상으로 했으며, 색채의 감정적 중요성 때문에 신인상파가 채택한 이론과 가까운 권장 사항을 제시했다. 그는 색채는 "미적 판단"에 기반해서는 안 되며 현실에서 경험하는 것과 가까워야 한다고 말했다. 블랑은 예술가들이 색채의 강도를 균일하게 사용하지 않고, 각 색조의 역할을 의식적으로 계획하고 이해하기를 원했다.[21]

오그던 루드는 헬름홀츠의 연구를 바탕으로 재료 안료의 혼합과 병치 효과를 분석했다. 그는 원색으로 빨강, 녹색, 청자색을 중요하게 여겼다. 슈브뢸과 마찬가지로 그는 두 가지 색상을 나란히 배치하면 멀리서 보았을 때 세 번째 독특한 색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원색을 나란히 배치하면 페인트를 섞어서 만든 색상보다 눈과 마음으로 인지했을 때 훨씬 더 강렬하고 즐거운 색상을 만들어낸다고 지적했다. 루드는 재료 안료와 광학 안료(빛)가 같은 방식으로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예술가들이 색의 가산적 특성과 감산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재료 안료: 빨강 + 노랑 + 파랑 = 검정 (마젠타, 노랑, 시안은 섞으면 진정한 검정색이 됨; 빨강, 노랑, 파랑은 일반적으로 검정색이 되지 않음)
  • 광학/빛: 빨강 + 녹색 + 파랑 = 흰색


쇠라는 서터의 ''시각 현상''(1880)의 영향도 받았는데, 이 책에서 그는 "화음의 법칙은 음악의 화음과 법칙을 배우는 것처럼 배울 수 있다"고 썼다.[22] 그는 1880년대에 소르본느에서 수학자 샤를 앙리(Charles Henry)의 강의를 들었는데, 그 강의에서는 선과 색의 감정적 특성과 상징적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앙리의 사상이 쇠라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는 논란이 있다.[21]

3. 3. 샤를 앙리와의 교류

19세기에 미셸 외젠 슈브뢸, 오그던 루드, 다비드 주터 등의 과학자들은 , 광학 효과, 지각에 대한 논문을 썼다. 헤르만 폰 헬름홀츠아이작 뉴턴 등의 과학적 발견도 비과학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번역되었다.

슈브뢸은 오래된 태피스트리들을 복원한 프랑스 화학자인데, 태피스트리 복원 과정에서 주변 염료의 영향을 고려해야 정확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두 가지 색이 살짝 포개지거나 매우 가깝게 병치되면 멀리서 볼 때 다른 색깔로 보이는 효과를 낸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는 신인상주의 화가들의 점묘화 테크닉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슈브뢸은 한 색을 본 뒤에 정확히 반대되는 보색의 '잔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맥길 대학교의 Anne Beauchemin 교수는 대부분의 신인상주의 화가들은 슈브뢸의 책 대신 1867년에 슈브뢸의 발견을 소개한 샤를 블랑의 저서 ''Grammaire des arts du dessin''을 읽었을 것이라 한다. 블랑은 색은 '취향의 판단'에 맡겨야 하지만, 아무래도 현실에서 경험하는 것과 가까워야 한다고 했다.

오그던 루드는 안료가 함께 섞이고 병치되었을 때 나타나는 효과에 대한 헬름홀츠의 분석을 바탕으로 저술을 했다. 그는 두 색을 병치하면 멀리서 볼 때 제3의 특이한 색처럼 보인다고 언급했다.

수학자 샤를 앙리는 1880년대 소르본에서 선과 색의 정서적 특징과 상징적 의미에 대해 말했는데, 이는 신인상주의의 창시자인 쇠라에게 영향을 주었다. 쇠라는 색채 이론가들의 회화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식이라는 개념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그는 음악가가 대위법과 변주를 사용하여 음악에서 조화를 창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화가가 색채를 사용하여 예술에서 조화와 감정을 창조할 수 있다고 믿었다.[21]

1890년 작가 모리스 보부르주에게 보낸 편지에서 쇠라는 "예술은 조화이다. 조화는 음조, 색채, 선의 상반되는 요소와 유사한 요소의 유추이다."라고 썼다.[23][24]

쇠라의 이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명랑함: 밝은 색조의 지배, 따뜻한 색채의 우세, 위쪽으로 향하는 선
  • 평온함: 밝고 어두운 색채의 균형, 따뜻한 색채와 차가운 색채의 균형, 수평선
  • 슬픔: 어둡고 차가운 색채와 아래쪽으로 향하는 선[21]

4. 쇠라의 정서와 과학의 융합

〈샤위춤〉은 쇠라가 1889년에서 1890년에 그린 그림이다.


쇠라는 회화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식이라는 색채 이론가들의 개념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쇠라는 음악가가 음악의 화성을 위해 소리와 템포에서 변주를 하듯이, 화가도 미술에서 조화와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색채를 사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색채의 과학적인 적용이 다른 자연 법칙과 비슷하다는 이론을 세웠으며, 이 추측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쇠라는 자기 고유의 발견적 방법들을 기초로 지각 대상에 대한 인식과 광학 법칙으로 미술의 새로운 언어를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선과 색채의 강도, 색채 도식을 사용하여 이 언어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쇠라는 이 미술적 언어에 크로몰루미나리즘이라는 이름을 붙였다.[39]

1890년 모리스 보부르(Maurice Beaubourg)에게 보낸 서한에서 쇠라는 감성과 조화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어떻게 느끼는지 엿볼 수 있다. 쇠라는 '미술은 조화이다. 조화는 톤이 비슷하거나 요소들에서, 그리고 색채와 선에서 유추한다. 명랑함과 고요함, 슬픔의 혼합에서 이러한 것들이 빛의 영향과 지배 아래 있음을 생각하면 말이다.'라고 하였다.[39]

쇠라의 이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즐거운 정서는 선을 위로 향하게 하고, 따뜻한 색상을 주로 사용하여 밝은 색조들을 지배적으로 만든다면 낼 수 있다.
  • 고요함은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을 사용하여 밝음과 어둠을 균형있게 쓰고, 선을 수평적으로 쓰면 낼 수 있다.
  • 슬픔은 어둡고 차가운 색상을 사용하고 아래를 향하는 선을 쓰면 된다.

4. 1. 예술에서의 조화와 정서

쇠라는 회화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식이라는 색채 이론가들의 개념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쇠라는 음악가가 음악의 화성을 위해 소리와 템포에서 변주를 하듯이, 화가도 미술에서 조화와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색채를 사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색채의 과학적인 적용이 다른 자연 법칙과 비슷하다는 이론을 세웠으며, 이 추측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쇠라는 자기 고유의 발견적 방법들을 기초로 지각 대상에 대한 인식과 광학 법칙으로 미술의 새로운 언어를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선과 색채의 강도, 색채 도식을 사용하여 이 언어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쇠라는 이 미술적 언어에 크로몰루미나리즘이라는 이름을 붙였다.[39]

1890년 모리스 보부르(Maurice Beaubourg)에게 보낸 서한에서 쇠라는 감성과 조화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어떻게 느끼는지 엿볼 수 있다. 쇠라는 '미술은 조화이다. 조화는 톤이 비슷하거나 요소들에서, 그리고 색채와 선에서 유추한다. 명랑함과 고요함, 슬픔의 혼합에서 이러한 것들이 빛의 영향과 지배 아래 있음을 생각하면 말이다.'라고 하였다.[39]

쇠라의 이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즐거운 정서는 선을 위로 향하게 하고, 따뜻한 색상을 주로 사용하여 밝은 색조들을 지배적으로 만든다면 낼 수 있다.
  • 고요함은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을 사용하여 밝음과 어둠을 균형있게 쓰고, 선을 수평적으로 쓰면 낼 수 있다.
  • 슬픔은 어둡고 차가운 색상을 사용하고 아래를 향하는 선을 쓰면 된다.[21]

4. 2. 크로몰루미나리즘

쇠라는 회화의 과학적 접근에 대한 색채 이론가들의 개념을 중시했다. 쇠라는 음악가가 음악의 화성을 위해 소리와 템포에서 변주를 하듯이, 화가도 미술에서 조화와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색채를 사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쇠라는 색채의 과학적인 적용이 다른 자연 법칙과 비슷하다는 이론을 세웠으며, 이 추측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했다.[39] 그는 지각 대상에 대한 인식과 광학 법칙으로 미술의 새로운 언어를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선과 색채의 강도, 색채 도식을 사용하여 이 언어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쇠라는 이 미술적 언어에 크로몰루미나리즘이라는 이름을 붙였다.[21]

1890년 모리스 보부르(Maurice Beaubourg)에게 보낸 서한에서 쇠라는 '미술은 조화이다. 조화는 톤이 비슷하거나 요소들에서, 그리고 색채와 선에서 유추한다. 명랑함과 고요함, 슬픔의 혼합에서 이러한 것들이 빛의 영향과 지배 아래 있음을 생각하면 말이다.'라고 하였다.[39]

쇠라의 이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즐거운 정서는 선을 위로 향하게 하고, 따뜻한 색상을 주로 사용하여 밝은 색조들을 지배적으로 만든다면 낼 수 있다.
  • 고요함은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을 사용하여 밝음과 어둠을 균형있게 쓰고, 선을 수평적으로 쓰면 낼 수 있다.
  • 슬픔은 어둡고 차가운 색상을 사용하고 아래를 향하는 선을 쓰면 된다.[21]

4. 3. 즐거움, 고요함, 슬픔의 표현

쇠라는 색채 이론가들의 영향을 받아 그림에 과학적으로 접근했다. 그는 음악가가 소리와 템포를 조절하여 화음을 만들 듯, 화가도 색채를 사용하여 그림에서 조화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고 믿었다. 쇠라는 색채의 과학적 적용이 자연 법칙과 유사하다고 생각하여, 자신만의 방법으로 이를 증명하려 했다.[39] 그는 지각과 광학 법칙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술 언어를 만들 수 있다고 믿었고, 선, 색채 강도, 색채 도식을 사용하여 이를 표현했다. 쇠라는 이 언어를 크로몰루미나리즘이라고 불렀다.[21]

1890년 모리스 보부르에게 보낸 편지에서 쇠라는 "미술은 조화이다. 조화는 색조, 색채, 선의 유사성과 대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색조는 밝음과 어둠, 색채는 보색, 선은 직각을 이루는 선으로 대비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빛의 영향과 지배 아래에서 명랑함, 고요함, 슬픔을 표현한다."라고 썼다.[39],[23],[24]

쇠라의 이론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명랑함: 밝은 색조, 따뜻한 색, 위쪽으로 향하는 선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 평온함: 밝음과 어둠의 균형,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의 균형, 수평선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 슬픔: 어둡고 차가운 색, 아래쪽으로 향하는 선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21]


''서커스'', 1891년, 오르세 미술관, 파리

5. 작품 세계와 주요 작품

쇠라는 인상주의 화가들과 교류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자적인 화풍을 발전시켰다. 특히 점묘법을 발전시켜 '신인상주의'라는 새로운 미술 사조를 이끌었다.

1883년 살롱 드 파리(파리 살롱)에 데생 작품 1점이 입선되었고, 같은 해 그의 첫 대작인 아니에르의 뱃놀이 제작에 착수했다. 이 작품에는 부분적으로 점묘화에 가까운 기법이 보이지만, 인물의 피부 등은 전통적인 기법으로 그려져 있다. 쇠라는 대작을 완성하기까지 많은 데생과 유채 밑그림을 제작하여 전체 구도, 모티프의 선택과 배치, 인물의 포즈 등을 세밀하게 연구했다. 쇠라는 세로 16cm, 가로 25cm 정도의 판에 유채로 그린 밑그림("크로크통(クロクトン)"이라고 불렀다)을 많이 남겼으며, 아니에르의 뱃놀이를 위한 "크로크통"은 13점이 남아 있다.[32][33][34][35]

아니에르의 뱃놀이는 1884년에 완성되었지만 살롱에는 낙선되었고, 같은 해 앙데팡당전(독립 예술가 협회전)에 출품되었다.

쇠라는 아니에르의 뱃놀이,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 외에도 비교적 큰 작품 4점을 더 남겼다. 그의 유채 작품은 약 60점, 크로크통(유채 밑그림)은 약 170점, 데생은 약 230점이 남아있다.[36]

'''주요 작품 목록'''

작품명제작 연도소장처
아스니에르의 물놀이1883-84내셔널 갤러리 (런던)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1884-86시카고 미술관
포즈를 취하는 여인들(정면)1886-87오르세 미술관
폴앙베쌍의 외항1888오르세 미술관
샤위 춤1890크뢸러 뮐러 미술관
서커스1890-91오르세 미술관
앙상블(서커스의 관객 유치)1887메나드 미술관
마을로1883히로시마 미술관



'''그 외 작품'''

1888, ''흐린 날씨, 그랑 자트'', 필라델피아 미술관

5. 1. 점묘법과 신인상주의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 1884년-1886년, 시카고 미술관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는 여러 사회 계급의 사람들이 공원에서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러 색으로 칠해진 작은 점들은 감상자의 눈에서 시각적으로 섞여 원래 물감의 색과는 다른 색을 만들어낸다. 쇠라는 이 그림을 완성하는데 2년이 걸렸으며, 이 기간 동안 공원에서 작품을 준비하기 위해 60개 정도의 습작 스케치를 했다. 현재 시카고 미술관에 상설 전시되어 있다.

아스니에르의 목욕하는 사람들, 1884년, 캔버스에 유채, 201 × 301 cm, 내셔널 갤러리, 런던


1883년, 쇠라는 그의 첫 번째 주요 작품인 ''아스니에르의 목욕하는 사람들''을 그리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파리의 노동자 계급 교외의 센 강가에서 휴식을 취하는 젊은 남성들을 그린 대작이다. 인상주의의 색채와 밝은 색조에 영향을 받았지만, 매끄럽고 단순화된 질감과 세심하게 윤곽이 잡힌 조각적인 인물들은 그의 신고전주의적 훈련이 계속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평가 폴 알렉시는 이 작품을 "가짜 푸비 드 샤반"이라고 묘사했다.[1][2] 쇠라는 아틀리에에서 캔버스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여러 장의 드로잉과 유화 스케치를 준비함으로써 인상주의적 이상에서 벗어났다.[3][4]

''아스니에르의 목욕하는 사람들''은 파리 살롱에서 거절당했고, 대신 1884년 5월 그룹 데 자르티스트 앙데팡당에서 전시되었다. 그러나 곧 앙데팡당의 부실한 조직에 실망한 쇠라와 그를 통해 만난 다른 몇몇 예술가들(샤를 앙그랑, 앙리-에드몽 크로스, 알베르 뒤부아-필레, 폴 시냐크 포함)은 새로운 조직인 소시에테 데 자르티스트 앙데팡당을 설립했다.[5] 쇠라의 새로운 점묘화에 대한 아이디어는 폴 시냐크에게 특히 강한 영향을 주었고, 이후 시냐크는 같은 기법으로 그림을 그렸다.

5. 2.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는 여러 사회 계층의 사람들이 공원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러 색으로 칠해진 병치된 작은 점들은 감상자의 눈에서 시각적으로 혼합되게 해주는데, 이는 물감의 안료가 원래 갖고 있는 색과는 다른 색이다.[13] 쇠라는 약 3m 너비인 이 그림을 완성하는 데 2년이 걸렸는데, 이 시간 동안 그는 공원에서 작품을 준비하기 위해 습작 스케치를 하며 시간을 보냈다. (60개 정도의 습작이 있다고 한다.)[13] 현재 시카고 미술관에 상설 전시되어 있다.[13]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1884-1886년, 캔버스에 유채, 207.5 × 308.1 cm, 시카고 미술관


1884년 여름, 쇠라는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작업을 시작했다.[13] 이 그림의 소재가 된 그랑자트 섬은 센 강의 중도로, 파리 북부 교외의 쿠르브부아 근처에 있다. 그랑자트 섬에 모인 약 50명의 인물을 점묘화로 그린 이 대작은 1886년 제8회 인상파전(마지막 인상파전)에 출품되어 화제가 되었다. "신인상파"라는 명칭은 이 작품을 본 비평가 펠릭스 페네옹(Félix Fénéon)이 같은 해 발표한 잡지 기사에서 처음 사용한 것이다.

이 그림은 제임스 라파인과 스티븐 손드하임의 뮤지컬 '''선데이 인 더 파크 위드 조지'''[14][15][16]에 영감을 주었으며, 존 휴즈의 영화 '''페리스 뷰엘러의 성공적인 하루'''에서 중요한 상징적 역할을 했다.[17]

5. 3. 기타 주요 작품

쇠라는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와 〈아스니에르의 목욕하는 사람들〉 외에도 비교적 큰 작품 4점을 더 남겼다. 그의 유채 작품은 약 60점, 크로크통(유채 밑그림)은 약 170점, 데생은 약 230점이 남아있다.

'''기타 주요 작품 목록'''

작품명제작 연도소장처
아스니에르의 물놀이1883-84내셔널 갤러리 (런던)
포즈를 취하는 여인(정면)1886-87오르세 미술관
폴앙베쌍의 외항1888오르세 미술관
샤위 춤1890크뢸러 뮐러 미술관
서커스1890-91오르세 미술관
앙상블(서커스의 관객 유치)1887메나드 미술관
마을로1883히로시마 미술관

[36]

6. 영향

1908년부터 1910년까지는 폴 세잔의 작품이, 1911년부터는 쇠라의 작품이 큐비스트들의 주목을 받았다.[25] 쇠라는 복사 현상과 대비 효과에 대한 관찰을 통해 새로운 기술적 방법으로 미학적 체계를 완성했다.[26]

신인상주의는 색채 영역에서 객관적인 과학적 기반을 구축하려 했으며, 쇠라는 ''서커스''와 ''무용수들''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었다. 이후 큐비즘은 형태와 역동성 영역에서, 오르피즘은 색채 영역에서 이를 추구했다.[25]

2021년 12월 2일, 구글은 쇠라의 162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구글 두들을 선보였다.[27][28][29]

6. 1. 큐비즘에 미친 영향

폴 세잔의 작품이 프로토큐비즘에 큰 영향을 준 시기(1908년~1910년)가 있었으나, 1911년부터는 큐비스트들이 쇠라의 작품에 주목했다. 쇠라의 작품은 평평하고 선적인 구조를 가졌기 때문이다.[25] 쇠라는 짧은 활동 기간 동안 복사 현상과 대비 효과를 관찰하여, 전통적인 지침 없이도 새롭게 창조하고 완벽하게 적합한 새로운 기술적 방법을 사용해 미학적 체계를 완성했다.[26]

미술사학자 로버트 허버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1910년에서 1911년에 단색 큐비즘이 등장하면서 형태에 대한 질문이 색채에 대한 관심을 대체했고, 이러한 측면에서 쇠라는 더욱 중요해졌다. 여러 전시회 덕분에 그의 그림과 드로잉은 파리에서 쉽게 볼 수 있었고, 그의 주요 작품의 복제품은 큐비스트들 사이에 널리 유통되었다. 르 샤위(Rijksmuseum Kröller-Müller, Otterlo)는 앙드레 살몽에 의해 '새로운 헌신의 위대한 상징 중 하나'라고 불렸고, 서커스(Musée d'Orsay, 파리)와 함께 기욤 아폴리네르에 따르면 '거의 종합 큐비즘에 속한다'고 한다."[21]

''서커스 광대극 (Parade de Cirque)'', 1887–88,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프랑스 예술가들 사이에서는 회화가 색채와 형태 모두에서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개념이 확립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수학적 표현은 표현된 대상의 객관적 진실보다 더욱 독립적이고 설득력 있는 "객관적 진실"을 가져왔다.[25]

신인상주의자들은 색채 영역에서 객관적인 과학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쇠라는 ''서커스''와 ''무용수들''에서 두 가지 문제 모두를 다루었다. 곧 큐비스트들은 형태와 역동성 영역에서, 오르피즘은 색채에서도 그렇게 할 것이다.[25]

6. 2. 객관적 진실의 추구

쇠라는 몇 년간의 활동 기간 동안, 복사 현상과 대비 효과에 대한 관찰을 통해 어떠한 전통적인 지침 없이도 새롭게 창조하고, 그 표현에 완벽하게 적합한 새로운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미학적 체계를 완성했다.[26]

프랑스 예술가들 사이에서는 회화가 색채와 형태 모두 측면에서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개념이 확립되었고, 이러한 수학적 표현은 표현된 대상의 객관적 진실보다 더욱 독립적이고 설득력 있는 "객관적 진실"을 가져왔다.[25]

실제로 신인상주의자들은 색채 영역에서 객관적인 과학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으며(쇠라는 ''서커스''와 ''무용수들''에서 두 가지 문제 모두를 다루었다), 곧 큐비스트들은 형태와 역동성 영역에서, 오르피즘은 색채에서 그렇게 할 것이었다.[25]

7. 전시

1883년 살롱에 출품된 에드몽 아망장(Edmond Aman-Jean)의 초상화


쇠라는 1883년부터 세상을 떠날 때까지 파리 살롱(Salon (Paris)), 독립파 살롱(Salon des Indépendants), 브뤼셀의 레 뱅(Les XX) 등 프랑스와 해외의 여러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했다.[30]

7. 1. 주요 전시

1883년부터 쇠라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는 파리 살롱, 독립파 살롱, 브뤼셀의 레 뱅, 8회 인상주의 전시회 등 프랑스와 해외의 여러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했다.[30]

연도전시명장소비고
1883년 5월 1일~6월 20일파리 살롱에드몽 아망장(Edmond Aman-Jean)의 초상화 전시
1884년 5월 15일~6월 30일파리 독립파 살롱아스니에르의 수영(Une Baignade, Asnières) 출품, 화가 데뷔
1884년 12월 10일~1885년 1월 17일파리 독립파 살롱
1886년 4월~5월파리 인상주의 화가들의 유화 및 파스텔 작품뉴욕 미국 예술 협회폴 뒤랑뤼엘(Paul Durand-Ruel) 주최
1886년 5월 15일~6월 15일파리 인상주의 전시회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Un dimanche après-midi à l'Île de la Grande Jatte) 최초 전시
1886년 8월 21일~9월 21일파리 독립파 살롱
1886년 10월 10일~1887년 1월 15일인상주의 화가들낭트 쿠르 생 앙드레 궁전
1886년 12월~1887년 1월파리 마르티네 갤러리
1887년 2월브뤼셀 레 뱅
1887년 3월 26일~5월 3일파리 독립파 살롱
1887년 11월~1888년 1월파리 자유극장쇠라, 폴 시냐크(Paul Signac),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작품 전시
1888년 1월1월 전시회파리 라 르뷔 앵데팡당
1888년 2월2월 전시회파리 라 르뷔 앵데팡당
1888년 3월 1일~3일파리 오텔 드루오판매 전시회
1888년 3월 22일~5월 3일파리 독립파 살롱
1888년 6월네덜란드 판화 클럽 제2회 연례 전시회암스테르담 아르트 에트 아미시티아테오 반 고흐(Theo van Gogh (art dealer)) 대여 "카페 콘서트" 전시
1889년 2월브뤼셀 레 뱅
1889년 9월 3일~10월 4일파리 독립파 살롱
1890년 3월 20일~4월 27일파리 독립파 살롱르 샤위(Le Chahut), "화장하는 젊은 여자" 등 9점 전시
1891년 2월 7일~3월 8일브뤼셀 레 뱅르 샤위(Le Chahut) 등 6점 전시
1891년 3월 20일~4월 27일파리 독립파 살롱서커스와 그라블린 그림 4점 전시
사후 전시회
1938년솔로몬 R. 구겐하임 비대상 회화 컬렉션사우스캐롤라이나 기브스 기념 미술관[31]


8. 대표작


  •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1884-86) (시카고 미술관)
  • 아니에르의 물놀이 (1883-84) (내셔널 갤러리)
  • 서커스 (1890-91) (오르세 미술관)
  • 포즈를 취하는 여인(정면) (1886-87) (오르세 미술관)
  • 폴 안 베상의 외항 (1888) (오르세 미술관)
  • 샤유 춤 (1890) (크뢰러 뮐러 미술관)
  • 앙상블(서커스의 관객 유치) (1887) (메나드 미술관)
  • 마을로 (1883) (히로시마 미술관)

참조

[1] LPD
[2] EPD
[3] 웹사이트 Seurat, Georges Pierre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4] 사전 Seurat 2019-08-03
[5] 사전 Seurat 2019-08-03
[6] 백과사전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7] 논문 Essay The Dial 1926-09-00
[8] 웹사이트 Art Institute of Chicago http://www.artic.edu[...] Artic.edu 2014-03-13
[9] 책 Seurat
[10] 책 Seurat
[11] 학술지 Seurat's painting Practice: Theory, Development and Technology
[12] 논문 Brief Survey, in Revue Blanche 1899-00-00
[13] 웹사이트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http://www.metmuseum[...] 2010-04-25
[14] 웹사이트 Sunday in the Park with George – Chicago Shakespeare Theater http://www.theatrein[...] 2016-12-18
[15] 웹사이트 McDonald-LuPone-Cerveris Sunday in the Park with George Begins Sept. 3 http://www.playbill.[...] 2004-09-03
[16] 웹사이트 New Line Theatre 2003–2004 – Sunday in the Park with George http://www.newlineth[...] 2018-01-20
[17] 뉴스 John Hughes video explains 'Ferris Bueller' scene at Art Institute https://www.washingt[...] 2011-11-16
[18] 책 Seurat
[19] 웹사이트 Death of Seurat, CDC https://www.cdc.gov/[...] Cdc.gov 2011-04-14
[20] 책 Seurat
[21] 서적 Neo-impressionism Solomon R. Guggenheim Foundation
[22] 서적 Modern Art https://archive.org/[...] Harry N. Abrams
[23] 서적 Art of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Taschen 2014-03-13
[24] 편지 Seurat 1890-08-28
[25] 웹사이트 State of the Modern Art World, The Essence of Cubism and its Evolution in Time http://cubism-coldcr[...]
[26] 논문 Essay The Dial 1926-09-00
[27] 웹사이트 Georges Seurat's 162nd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1-12-02
[28] 뉴스 Who was Georges Seurat? Google Doodle honours Frenchman's birthday https://www.hitc.com[...] 2021-12-02
[29] 뉴스 Google Doodle goes neo-impressionist to celebrate the anniversary of artist Georges Seurat's 162nd birthday https://www.cnet.com[...] 2021-12-02
[30] 책 Seurat
[31] 웹사이트 Guggenheim Museum http://www.guggenhei[...]
[32] 학술지 Seurat's painting Practice: Theory, Development and Technology
[33] 책 Georges Seurat, 1859–1891
[34] 논문 Brief Survey, in Revue Blanche 1899-00-00
[35] 책 Georges Seurat, 1859–1891
[36] 웹사이트 Death of Seurat http://www.cdc.gov/n[...] CDC
[37] 웹인용 Art Institute of Chicago http://www.artic.edu[...] 2007-12-11
[38] 웹인용 Death of Seurat, CDC. http://www.cdc.gov/n[...] 2007-12-11
[39] 서적 Art of the 20th Century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