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돌프 폰 예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돌프 폰 예링은 1818년 독일에서 태어나 로마법 연구에 평생을 바친 법학자이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뮌헨 대학교,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등에서 수학했으며, 로마법의 정신에 대한 연구로 명성을 얻었다. 바젤 대학교, 로스토크 대학교, 킬 대학교, 기센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로마법 연구에 매진했고, 1868년 빈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어 오스트리아 황제로부터 귀족 작위를 받았다. 그의 대표 저서로는 《로마법의 정신》, 《권리를 위한 투쟁》, 《법 안에서의 목적》 등이 있으며, 법을 사회적 이익을 위한 투쟁의 산물로 보는 이익 법학을 발전시켰다. 예링의 사상은 19세기 독일 법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권리 의식 고취에도 기여했다.
루돌프 폰 예링은 1818년 8월 22일 하노버 왕국 아우리히에서 법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계는 동프리슬란트 지방에서 1561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유서 깊었다. 1772년에는 그의 선조 중 한 명을 기리기 위해 예링스페인이라는 마을 이름이 붙여지기도 했다.
예링은 법의 목적을 사회적 이익 실현으로 보았다. 그는 개인의 권리 투쟁이 법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로마법의 정신』(1852–1865), 『권리를 위한 투쟁』(1872), 『법의 목적』(1877–1883) 등이 있다.
2. 생애와 학문적 발전
183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 입학한 후, 괴팅겐 대학교, 뮌헨 대학교에서도 수학했으며, 1838년부터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푸흐타의 가르침을 받으며 박사 학위를 준비했다. 푸흐타는 예링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스승이었다.
예링은 평생 로마법 연구에 헌신했다. 19세기 후반, 예링의 명성은 전반기의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에 필적할 정도였으나, 두 사람의 방법론은 정반대였다. 사비니와 그의 학파가 역사적 접근 방식을 대표했다면, 예링은 법학을 인류의 도덕적, 사회적 이익을 발전시키는 과학으로 보았다.
예링은 민법에서 계약 이전에 발생하는 배상 책임 개념을 제시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2. 1. 초기 경력
1844년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예링은 베를린에서 로마법 사강사로 활동하며 평생의 연구 주제인 '로마법의 정신'에 대한 공개 강연을 시작했다.[4] 1845년 바젤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고, 이후 로스토크 대학교(1846년), 킬 대학교(1849년), 기센 대학교(1851년)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이 대학들에서 로마법 연구에 매진하며, 당대 다른 학자들보다 로마법에 생기를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2. 2. 빈 대학교 교수 시절과 학문적 전환
1868년, 예링은 빈 대학교의 로마법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그의 강의는 정규 학생들뿐만 아니라 모든 직업의 사람들, 심지어 고위 관리들로 붐볐다.[4] 1872년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는 그에게 세습 귀족 작위를 수여했다.[4]
빈 대학교 교수 시절 예링은 개념 법학에서 벗어나 법의 사회적 기능을 강조하는 법사회학적 관점으로 전환했다. 이러한 전환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저작은 1872년 빈에서 열광적인 청중 앞에서 강연한 '권리를 위한 투쟁'(Der Kampf um's Recht)이다. 이 강연은 출판 후 2년 만에 12판을 거듭했고, 26개 언어로 번역될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4] 이 저서에서 예링은 권리와 인격의 관계, 법과 권리의 연대성에 기초하여 자신의 자연적 및 법적 권리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의 의무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권리 침해를 개인의 가치와 명예에 대한 공격으로 보았으며, 모든 책임 있는 사람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4]
예링의 학술적 발전에서 특별히 강조되는 것은 그의 법 이론상의 전환이다. 미완으로 끝난 『각 발전 단계에서의 로마법의 정신』 초기에는 개념 법학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역사학파의 시스템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 저작의 3권부터 예링은 권리를 사회학적으로 고찰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7] 그의 새로운 관점은 『법에서의 목적』(Der Zweck im Recht)에서 더 상세히 해설되었는데, 이 책 또한 미완으로 끝났다. 예링은 법이 질서를 유지하고 이익 충돌을 최소화하여 개인과 사회의 이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았다(이익 법학).[7]
2. 3. 괴팅겐 대학교 교수 시절과 말년
1872년 빈 대학교를 떠나 괴팅겐 대학교 교수로 부임했으며, 라이프치히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초빙을 거절하고 1892년 9월 17일 사망할 때까지 괴팅겐에 머물렀다.[4]
빈에서의 사회적 지위는 오스트리아 황제로부터 귀족 칭호를 받을 정도였으나, 1872년 대도시 생활이 점차 귀찮아지자 초청을 받아 괴팅겐 대학교로 옮겼다. 이후 라이프치히와 하이델베르크에서도 초청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892년 사망할 때까지 괴팅겐에서 지냈다. 괴팅겐에서도 '법에서의 목적'(1877-1883) 등 주요 저서를 집필하며 사망 직전까지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
그의 외모는 키가 중간 정도였으며 턱수염은 깨끗하게 깎았고, 옷차림은 옛날식이었으며, 쾌활하고 인자한 성품이었다. 가까운 사람들을 자택에 초대하여 환대하는 자리에서 그의 인품이 가장 잘 드러났다.
3. 주요 사상과 이론
특히 『권리를 위한 투쟁』에서는 권리와 인격의 관계, 법과 권리의 연대성에 기초하여 자신의 권리를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권리가 사회적 가치, 즉 명예의 일부라고 보았다. 따라서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가치와 명예를 공격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7]
예링은 인류의 도덕적, 사회적 이익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법학을 활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19세기 후반, 예링의 명성은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의 명성만큼 높았으며, 그들의 방법은 정반대였다. 사비니 학파는 역사적 접근 방식을 대표했지만, 예링은 법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다.
그의 재능이 잘 발휘된 저작으로는 1870년에 출판된 『일상생활의 법학』이 있다.
3. 1. 이익 법학
예링은 법 이론에서 중요한 전환을 이루었다. 초기에는 개념 법학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 법을 사회학적으로 고찰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7]
예링에 따르면, 법은 질서를 유지하고 개인 및 사회적 이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이익 충돌의 가능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링의 관점은 이익 법학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저서 『법에서의 목적』(Der Zweck im Recht)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3. 2. 권리를 위한 투쟁
예링은 저서 『권리를 위한 투쟁』에서 "권리의 생애는 투쟁이다."라고 주장하며, 개인이 자신의 권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쟁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권리 투쟁이 법의 발전과 사회 정의 실현에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예링의 견해에 따르면, 법이란 질서를 가져오고 이익 충돌의 기회를 최소화함으로써 개인 및 사회적인 이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이익 법학).[7]
3. 3. 계약 체결상의 과실 (Culpa in contrahendo)
예링은 계약 체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실에 대한 배상 책임을 인정하는 '계약 체결상의 과실' 이론을 제시하여 계약법 발전에 기여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계약 체결상의 과실(Culpa in contrahendo)'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예링의 법 이론 변화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예링은 초기에는 개념 법학에 기반한 시스템을 제시했으나, 점차 권리를 사회학적으로 고찰하는 이익 법학으로 전환했다.[7] 그는 법이 질서를 유지하고 개인 및 사회적 이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그의 저서 『법에서의 목적』(Der Zweck im Recht)에 잘 나타나 있다.
4. 주요 저서
- 《다양한 발전 단계 상에서의 로마법의 정신》(Der Geist des roemischen Rechts auf den verschiedenen Stufen seiner Entwicklungde) - 전4권, 1852년~1878년
- 《권리를 위한 투쟁》(Der Kampf ums Rechtde) - 1872년
- 《법 안에서의 목적》(Der Zweck im Rechtde) - 전2권, 1877년~1883년
- 《법학 안에서의 농담과 진담》(Scherz und Ernst in der Jurisprudenzde) - 1884년
- 《점유의 의사》(Der Besitzwillede) - 1889년[6]
5. 영향과 유산
예링의 사상은 19세기 후반 독일 법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와 함께 독일 법학의 양대 산맥을 이루었다고 평가받는다. 그의 강의는 학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종의 사회인과 고위 관리들까지 몰려들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빈에서의 그의 사회적 지위는 오스트리아 황제로부터 귀족 칭호인 '폰'을 받을 정도였다.
예링은 빈에서 "권리를 위한 투쟁(원제: Der Kampf ums Recht)"이라는 유명한 강연을 했다. 이 강연은 출판 후 2년 만에 12판을 거듭했고, 26개 국어로 번역되었다. 이 강연에서 예링은 "권리의 생애는 투쟁이다 - 민족의, 국가 권력의, 계급의, 그리고 개인의 투쟁이다."라고 주장하며, 권리 획득을 위한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권리는, 단순한 사상이 아니라, 생생한 힘"이라며, 정의의 여신이 한 손에는 저울을, 다른 한 손에는 칼을 든 비유를 통해 권리 실현을 위한 실천적 노력을 역설했다. 자신의 권리를 명확히 하는 것은 모든 책임 능력 있는 인간의 의무라는 그의 주장은, 그의 확고한 성격, 정의감, 그리고 방법론과 논리를 보여준다.
예링은 민법에서 계약 이전에 발생하는 배상 책임(Culpa in contrahendo) 개념을 "발견"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6. 비판과 논쟁
예링의 법 이론은 몇 가지 비판과 논쟁에 직면했다. 그의 이익 법학은 법 질서를 통해 개인 및 사회적 이익을 보호하고 이익 충돌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법의 안정성을 해치고 사회적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7]
특히, 예링의 점유 개념은 카를 폰 사비니 학파와의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891년에 간행된 『국가학 소사전』의 "점유" 관련 기사에서 예링은 사비니의 개념을 "점유"의 정의로 하는 진영과 대립했다.[7]
7. 가족 관계
예링은 이다 크리스티나 프뢰리히와 결혼했다.[4] 그의 장남은 독일계 브라질 동물학자 헤르만 폰 이에링(1850–1930)이었다. 예링은 또한 그의 딸 헬레네 에렌베르크와 독일 법학자 빅토르 에렌베르크의 결혼을 통해 호주 가수 겸 배우 올리비아 뉴턴존의 증조할아버지였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alogy of Tiemo Hollmann - von Ihering, Caspar Rudolph Ritter
http://www.tiemoholl[...]
2012-06-29
[2]
서적
Jhering, Rudolf von
[3]
웹사이트
Utilitarianism Definition, Philosophy, Examples, Ethics, Philosopher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3-14
[4]
웹사이트
Genealogy of Tiemo Hollmann - Frölich, Ida Christina
http://www.tiemoholl[...]
2012-06-29
[5]
웹사이트
R. von Jhering (1818 - 1892)
https://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6]
웹사이트
Bibliographie zu Rudolf von Jhering
https://www.uni-gies[...]
2008
[7]
문서
勝田=山内(2008)329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