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연권은 인간에게 천부적으로 주어져 어떤 경우에도 침해될 수 없는 권리라는 개념으로, 고대 스토아 학파 시대부터 발전해왔다. 프랑스 인권 선언과 세계 인권 선언 등에서 나타나듯 생명, 자유, 재산 등을 포함하며, 이성, 종교적 원리, 또는 창조주로부터 부여받는다는 다양한 근거로 주장된다. 자연권 사상은 토머스 홉스, 존 로크, 토머스 페인 등 여러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현대 자유주의 정치 철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미국 독립 선언서와 캘리포니아 주 헌법 등에서 확인되며, 인권 개념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권 개념 - 자유, 평등, 우애
자유, 평등, 우애는 프랑스 혁명의 정신을 담은 표어로서 프랑스 공화국의 공식 표어로 채택되었으나 정치적 변동을 겪으며 그 가치가 변화해 왔고, 현재는 세계 여러 국가에서 추구하는 보편적인 가치로 여겨진다. - 인권 개념 - 존엄
존엄은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할 가치와 품위를 뜻하는 말로, 개인의 존중, 사회적 지위, 인간의 본질적 가치를 나타내며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 권리 - 기본권
기본권은 인간의 존엄성 보장을 위해 헌법 등에 의해 보장되는 기본적인 권리이며, 보편성, 고유성, 항구성, 불가침성, 자연권성을 특징으로 하고,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로운 쟁점과 과제가 존재한다. - 권리 - 정보의 자유
정보의 자유는 정부 및 민간 기관의 정보 접근을 보장하는 권리이며, 소비자의 정보 선택, 부패 방지, 정부의 투명성 및 책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며, 디지털 격차, 개인 정보 보호 등과 연관된다. - 윤리학 개념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윤리학 개념 - 필요악
필요악은 더 큰 선을 이루거나 더 큰 해악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악을 의미하며, 불편함이나 성가심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일부 사상가들은 그 개념 자체를 거부하고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진보와 보수 진영 간의 시각차를 보인다.
자연권 | |
---|---|
자연권 및 법적 권리 | |
분류 | 권리 |
주요 특징 | 자연권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된 권리이며, 법적 권리는 법에 의해 부여된 권리이다. 자연권은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법적 권리는 사회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자연권은 법적 권리의 근거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두 권리 간의 관계는 학문적으로 논쟁의 대상이다. |
역사 | |
배경 | 서양 문화에서 자연권 개념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시작되어 로마법과 기독교 사상을 통해 발전했다. 계몽주의 시대에 이르러 자연권 사상은 존 로크와 같은 사상가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
존 로크 | 로크는 자연권으로 생명권, 자유권, 재산권을 제시하였고, 이 권리들은 인간이 자연 상태에서 가지는 기본적인 권리라고 주장했다. 로크의 자연권 사상은 미국 독립 선언과 프랑스 인권 선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자연권 | |
주요 내용 | 주요 자연권에는 생명권, 자유권, 재산권이 포함된다. 다른 자연권에는 양심의 자유, 사상의 자유, 표현의 자유 등이 있을 수 있다. |
특징 | 자연권은 인간이 인간으로 태어날 때부터 가지는 기본적인 권리이다. 자연권은 어느 사회나 문화에서나 보편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자연권은 국가나 정부에 의해 침해될 수 없으며, 불가양도적이다. |
비판 | 자연권 개념은 인간 본성에 대한 특정한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자연권의 범위와 내용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
법적 권리 | |
주요 내용 | 법적 권리는 국가 또는 법률에 의해 개인에게 주어지는 권리이다. 법적 권리는 사회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국가의 법률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
특징 | 법적 권리는 자연권과 달리 실정법에 의해 명시되어야 한다. 법적 권리는 사회적 합의에 의해 규정되고 변경될 수 있다. 법적 권리는 국가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 |
비판 | 법적 권리가 자연권을 침해하거나, 소수자에게 불평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법적 권리는 시대와 사회 상황에 따라 변화하므로, 항상 정의롭다고 볼 수 없다는 비판도 있다. |
자연권과 법적 권리의 관계 | |
상호 관계 | 자연권은 법적 권리의 근거로 여겨지기도 한다. 즉, 법적 권리는 자연권을 보장하고 실현하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연권 사상은 법적 권리를 개선하고 확장하는 데 기여해 왔다. 자연권과 법적 권리 간의 충돌은 인권 문제나 법률 개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논쟁점 | 자연권과 법적 권리의 관계는 철학적, 법적 논쟁의 중요한 주제이다. 자연권이 모든 법적 권리의 기초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법적 권리가 자연권을 얼마나 잘 반영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
현대 사회에서의 의미 | |
인권 | 현대 사회에서 자연권은 인권 개념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국제 인권법은 모든 인간이 기본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보장한다. |
민주주의 | 자연권 개념은 민주주의의 중요한 원칙인 자유, 평등, 정의의 기초를 형성한다. 자연권 사상은 정부 권력에 대한 견제와 시민의 권리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
쟁점 | 자연권과 법적 권리의 관계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인권의 범위와 내용에 대한 새로운 논쟁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
2. 역사
인간에게 특정 권리가 천부적이고 어떤 경우에도 박탈될 수 없다는 개념은 스토아 학파 시대부터 발전되어, 중세 시대를 거쳐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 종교 개혁, 그리고 계몽주의를 거치며 현재의 개념으로 탈바꿈했다.[12]
17세기와 18세기에 서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성장한 인권이라는 개념 자체가 자연권이라는 관념에서 나왔다.[69] 특정 권리가 자연적이거나 양도할 수 없다는 사상은 고대 후기의 스토아 학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초기 중세의 가톨릭법[11]을 거쳐 종교 개혁과 계몽주의를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왔다.[12]
자연권의 존재는 ''선험적인'' 철학적 추론이나 종교적 원리와 같이 서로 다른 전제 하에 여러 개인들에 의해 주장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이마누엘 칸트는 이성만으로 자연권을 도출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독립 선언서는 "모든 사람은... 창조주로부터 특정한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받았다"는 "자명한" 진리에 근거하고 있다.[13] 존 로크는 "생명, 자유, 재산"을 기본적인 권리로 강조했다. 그러나 토머스 제퍼슨은 행복의 추구를 "재산" 대신 미국 독립 선언서에 삽입했다.[15]
1789년 프랑스 인권선언문은 천부인권 개념을 도입하여 모든 인민이 양도 불가능한 자유와 평등의 권리를 태어나면서부터 획득한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자연권에 대한 주장은 민주주의와 함께 발달하여 유엔은 1948년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함으로써 천부적 인권을 세계에 천명했다.[12]
1948년 유엔 세계인권선언 서문은 "인류 가족 구성원 모두의 고유한 존엄성과 평등하고 양도할 수 없는 권리의 인정은 세계의 자유, 정의 및 평화의 기초이다."라며 권리가 양도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캘리포니아주 헌법 제1조 1항은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인정하고 "생명과 자유의 수호, 재산의 취득, 소유 및 보호, 안전, 행복 및 개인 정보 보호의 추구와 획득"을 그러한 권리 중 일부(전부는 아님)로 명시하고 있다.
2. 1. 고대와 중세
스토아 학파는 인간 본성이 평등하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모든 인간에게 태어날 때부터 주어지는 천부적인 권리가 있다는 개념을 발전시켰다.[19] 이러한 사상은 키케로와 세네카 등의 사상가들에게 계승되었다.[19] 키케로는 De Legibus에서 "우리는 정의를 위해 태어났으며, 권리는 견해가 아니라 자연에 근거한다"고 주장했다.[21] 세네카는 "노예 상태가 사람의 전체 존재에 스며든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의 더 나은 부분은 그것으로부터 면제된다. 몸은 실제로 복종하고 주인의 권력 아래 있지만, 마음은 독립적이며, 실제로 너무 자유롭고 야생적이어서, 그것이 감금된 몸이라는 이 감옥조차도 억제할 수 없다"고 하였다.[18]중세 시대에는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이 자연권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자연법을 통해 인간 이성이 선과 악을 분별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67] 이는 자연권 개념의 발전에 기여했다.[11]
2. 2. 종교개혁과 계몽주의
종교 개혁 시기 마르틴 루터는 "모든 사람은 자신의 신앙에 대해 책임이 있으며, 자신이 올바르게 믿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라고 주장하며 양심의 자유를 강조했다.[25] 이는 개인이 자신의 신념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판단할 권리가 있음을 의미하며, 세속 권력도 이를 침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루터의 주장은 개인의 내면적 자유와 권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이후 자연권 개념으로 발전하는 토대가 되었다.17세기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는 존 로크, 토머스 홉스, 장 자크 루소 등 여러 사상가들이 자연권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 존 로크는 그의 저서에서 자연권을 "생명, 자유, 재산"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기본권은 사회 계약을 통해서도 포기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26] 이는 정부 권력의 한계를 설정하고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원칙으로 작용했다.
2. 3. 근대 이후
1789년 프랑스 인권선언문은 천부인권 개념을 도입하여 모든 인민이 양도 불가능한 자유와 평등의 권리를 태어나면서부터 획득한다고 주장하였다.[11] 이후 자연권에 대한 주장은 민주주의와 함께 발달하여 유엔은 1948년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함으로써 천부적 인권을 세계에 천명했다.[12]미국 독립 선언서는 "모든 사람은... 창조주로부터 특정한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받았다"는 "자명한" 진리에 근거하고 있다.[13] 존 로크는 "생명, 자유, 재산"을 기본적인 권리로 강조했다. 그러나 토머스 제퍼슨은 로크의 혁명의 권리에 대한 영향력 있는 옹호에도 불구하고, "재산" 대신 행복의 추구를 미국 독립 선언서에 삽입했다.[15]
1948년 유엔 세계인권선언 서문은 "인류 가족 구성원 모두의 고유한 존엄성과 평등하고 양도할 수 없는 권리의 인정은 세계의 자유, 정의 및 평화의 기초이다."라며 권리가 양도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캘리포니아주 헌법 제1조 1항은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인정하고 "생명과 자유의 수호, 재산의 취득, 소유 및 보호, 안전, 행복 및 개인 정보 보호의 추구와 획득"을 그러한 권리 중 일부(전부는 아님)로 명시하고 있다.
3. 자연권 사상가
인간에게 특정 권리가 천부적이고 어떤 경우에도 박탈될 수 없다는 개념은 최소한 고대 그리스의 스토아 학파 시대부터 발전되어 왔다. 스토아 학파는 아무도 본성적으로 노예가 아니며, 노예제도는 영혼의 내적 자유와 대조되는 외부적 조건이라고 주장했다.[18] 이후 중세 시대를 거쳐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11], 종교 개혁, 근현대의 계몽주의를 거치며 현재의 개념으로 탈바꿈했다.[12]
자연권에 대한 대표적인 주장은 1789년 프랑스 인권선언문에 나타나 있다. 이 선언문은 천부인권 개념을 도입하여 모든 인민이 양도 불가능한 자유와 평등의 권리를 태어나면서부터 획득한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자연권 주장은 민주주의와 함께 발달하여 유엔은 1948년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함으로써 천부적 인권을 세계에 천명했다.
17세기와 18세기에 서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성장한 인권 개념은 자연권이라는 관념에서 나왔다.[69] 철학자들은 자연권 목록을 다르게 제시했지만, 대부분 생명권과 자유를 가장 중요한 두 가지 권리로 포함했다. H. L. A. 하트는 자유권이 다른 모든 권리에 의존하기 때문에 자유권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T. H. 그린은 자유로운 삶에 대한 권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최초로 자연권의 현대적 개념을 발전시킨 서구 사상가 중 한 명은 프랑스 신학자 장 쥐르송이다.[2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야기엘론 대학교 학장 파울루스 블라디미리는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자연권을 주장했다.[23]
마르틴 루터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신앙에 대해 책임이 있으며, 올바르게 믿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양심의 자유를 강조했다.[25]
프랜시스 허치슨은 양도 가능한 권리와 양도 불가능한 권리를 구분하고, 양도 불가능한 권리를 침해당하면 저항할 권리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공공선에 반하는 권리는 없다고 하여 양도 불가능한 권리에도 한계를 두었다.[27]
계몽주의 시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양도 불가능성 논증을 발전시켰다.[29] 에리히 프롬은 인간에 대한 권력은 오직 신만이 행사할 수 있으며, 신이 없다면 어떤 인간도 이러한 권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58]
제러미 벤담과 에드먼드 버크는 양도 불가능한 권리 개념을 비판했다. 벤담은 자연권을 "지팡이 위의 허튼소리"라고 폄하했고, 버크는 권리가 정부나 전통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36]
3. 1. 토머스 홉스
토머스 홉스는 그의 저서 《리바이어던》에서 자연 상태의 인간은 자기 보존을 위해 "자신의 힘을 자기 마음대로 사용하는" 무제한적인 권리, 즉 '자연권'을 가진다고 주장했다.[57] 홉스는 이 자연권을 "이성에 의해 발견된 계율 또는 일반적인 규칙"인 자연법과 구별했다. 자연 상태에서는 "모든 사람이 모든 것에 대한 권리를" 가지며, 이는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홉스는 이러한 혼란을 피하고 평화롭게 살기 위해 인간은 대부분의 자연권을 포기하고 사회 계약을 통해 시민 사회를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권리가 의무보다 우선하며, 주권의 힘 없이는 옳고 그름의 개념이 무의미하다고 보았다. 이는 의무를 권리보다 우선시했던 중세 자연법 이론과 중요한 차이를 보인다.
3. 2. 존 로크
존 로크(1632~1704)는 사회 계약론을 주장한 영국의 철학자이다. 로크는 그의 저서에서 자연권을 "생명, 자유, 재산"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기본권은 사회 계약에서 포기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26] 로크가 제시한 세 가지 자연권은 다음과 같다.- 생명: 모든 사람은 살 권리가 있다.[47]
- 자유: 모든 사람은 생명권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원하는 것을 할 자유가 있다.[47]
- 재산: 모든 사람은 생명권과 자유권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자신이 창출하거나, 선물 받거나, 거래를 통해 얻은 것을 소유할 권리가 있다.[47]
로크는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에 대한 보고서에서 영향을 받아 자연권 개념을 발전시켰다. 그는 원주민들을 "자유의 상태"에서 완벽한 자유를 누리지만, "무절제의 상태"는 아닌 자연인으로 보았다.[48] 로크는 사회의 평등을 지지하며 모든 사람을 동등하게 대우했다.[49] 그의 철학은 모든 사람이 독특하고 사회에 중요하며, 이상적인 정부는 모든 사람을 보호하고 모든 사람에게 권리와 자유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49]
로크의 사상은 미국 독립 혁명과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그의 사상은 현대 민주주의의 기초로 여겨지며,[49] 미국의 시민권 운동과 여성의 권리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52] 토머스 제퍼슨은 미국 독립 선언서에서 "행복의 추구"를 "재산" 대신 넣어 로크의 자연권 사상을 반영했다.[15]

로크의 사회계약은 공유된 법 체계 안에서 살기로 한 국가 구성원 간의 합의이다. 정부는 세 가지 자연권을 보호하는 법을 제정하기 위해 설립된다. 만약 정부가 이러한 권리를 제대로 보호하지 않는다면, 국민은 정부를 전복할 수 있다.[53]
3. 3. 토머스 페인

토머스 페인은 그의 저서 ''인권론(Rights of Man)''(1791)에서 자연권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했다.[54] 그는 어떤 특허나 헌장에 의해 권리가 부여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면 그 권리는 법적으로 취소될 수 있으며, 그런 경우 권리는 특권으로 전락하기 때문이다.
페인은 정부가 국민의 자연권을 침해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국민 스스로 정부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4. 기타
장 자크 루소는 ''사회 계약론''에서 양도 불가능한 권리가 존재한다면 헌법, 법률, 권리 체계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권리와 책임이 정부와 국민 간의 합의, 즉 사회 계약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31]이마누엘 칸트는 이성만으로 자연권을 도출했다고 주장했다.[13]
프랜시스 허치슨은 양도 가능한 권리와 양도 불가능한 권리를 구분했다. 그는 ''아름다움과 미덕에 대한 우리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탐구''(1725)에서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침해당하면 저항할 권리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공공선에 반하는 권리는 없다고 하여 양도 불가능한 권리에도 한계를 두었다.[27]
장 쥐르송은 1402년 논문 ''De Vita Spirituali Animae''에서 현대 자연권 이론의 초기 개념을 제시하여, 자연권의 현대적 개념을 발전시킨 초기 서구 사상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22]
제러미 벤담과 에드먼드 버크는 양도 불가능한 권리의 개념을 비판했다. 벤담은 자연권을 "지팡이 위의 허튼소리"라고 폄하했고, 버크는 권리가 정부나 전통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36]
4. 자연권의 현대적 의의
인권 개념은 17세기와 18세기 서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성장하였는데, 이는 자연권이라는 관념에서 비롯되었다.[69] 자연권 개념은 최소한 고대 그리스의 스토아 학파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중세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 종교 개혁, 계몽주의를 거치며 현대적 개념으로 변화하였다.[11][12]
1789년 프랑스 인권선언은 모든 인민이 양도 불가능한 자유와 평등의 권리를 태어나면서부터 획득한다는 천부인권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후 자연권 주장은 민주주의와 함께 발달하여, 유엔은 1948년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하여 천부적 인권을 세계에 천명하였다.
이마누엘 칸트는 이성만으로 자연권을 도출했다고 주장한 반면, 미국 독립 선언서는 "모든 사람은... 창조주로부터 특정한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받았다"는 "자명한" 진리에 근거한다고 밝혔다.[13]
존 로크는 "생명, 자유, 재산"을 기본적인 권리로 강조했지만, 토머스 제퍼슨은 미국 독립 선언서에서 "재산" 대신 "행복의 추구"를 삽입했다.[15]
마르틴 루터는 "모든 사람은 자신의 신앙에 대해 책임이 있으며, 자신이 올바르게 믿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확인해야 한다"며 양심의 자유를 옹호했다.[25]
조지 메이슨은 버지니아 권리장전 초안에서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자유롭게 태어나며" "어떤 계약으로도 그들의 후손에게서 박탈하거나 빼앗을 수 없는 특정한 고유한 자연권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26]
프랜시스 허치슨은 양도할 수 없는 권리에 대한 침해가 있을 때 완전하거나 외부적인 저항권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27]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인격을 사물과 구별하며, 인격의 본질적인 측면은 양도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29]
에른스트 카시러는 토마스 홉스의 사회 계약론을 비판하며, "인간이 자신의 인격을 포기할 수 있다면 그는 도덕적인 존재가 되는 것을 멈출 것"이라고 주장했다.[31]
리처드 프라이스는 "우리를 행위자로 만드는 자발성이나 자결의 원칙"에 근거하여, 모든 사회 계약이나 협약은 구속력이 없고 무효라고 주장했다.[32]
노예 제도 폐지론자들은 미국 독립 선언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 구절을 헌법 원칙으로 받아들였다. 살먼 P. 체이스는 도망 노예 법 위반 혐의를 받은 존 반 잔트 사건에서, "모든 인간에게 자유에 대한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부여하는 창조주의 법은 인간이 재산이라고 주장하는 어떤 내부 법으로도 폐지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장 자크 루소는 사회 계약론에서 권리와 책임이 정부와 국민 사이의 합의된 계약에서 파생된다고 주장했다.
제러미 벤담과 에드먼드 버크는 자연권 개념을 "지팡이 위의 허튼소리"라고 비판했지만, 제임스 윌슨은 버크의 견해를 "폭정"이라고 비판했다.[36]
세계인권선언 서문은 "인류 가족 구성원 모두의 고유한 존엄성과 평등하고 양도할 수 없는 권리의 인정은 세계의 자유, 정의 및 평화의 기초이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헌법 제1조 1항은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인정하고, "생명과 자유의 수호, 재산의 취득, 소유 및 보호, 안전, 행복 및 개인 정보 보호의 추구와 획득"을 명시하고 있다.
에리히 프롬은 인간에 대한 어떤 권력은 오직 신만이 행사할 수 있으며, 신이 없다면 어떤 인간도 이러한 권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58]
자유지상주의, 무정부 자본주의, 객관주의는 고전적 자유주의 전통을 계승하는 현대 정치 철학이다. 머레이 로스바드는 자발적 노예제를 불법적이고 자기 모순적이라고 일축했다.[63]
5. 비판적 관점
자연권 개념은 그 내용이 추상적이고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는다.[37] 자연권의 실제 존재 여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제러미 벤담과 에드먼드 버크는 권리가 정부의 행동이나 전통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며 자연권 개념을 비판했다.[36] 벤담은 자연권을 "지팡이 위의 허튼소리"라고 폄하하기도 했다.[36]
장 자크 루소는 사회 계약론에서 권리와 책임이 정부와 국민 간의 합의된 계약에서 파생된다고 주장하며, 자연권 개념이 헌법이나 법률 체계에 불필요하다고 보았다.
일부 비판가들은 자연권 옹호자들이 주장하는 '자연권' 목록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자연권 개념이 단지 정치적 도구에 불과하다는 증거로 제시하기도 한다.
6. 한국 사회와 자연권
한국 사회는 역사적으로 외세의 침략과 억압을 경험하면서 인권에 대한 인식이 성장해왔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은 자연권 사상을 바탕으로 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주장했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도 인권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대한민국 헌법은 국민의 기본권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는 자연권 사상에 기반한 것이다. 특히, 1987년 6월 항쟁은 자연권 사상에 기반한 민주주의 운동으로 평가되며, 이 과정에서 국민의 기본권 보장이 강화되었다.
7. 미국
미국 독립 선언서는 "생명, 자유, 행복 추구"를 양도 불가능한 권리로 선언하며, 이는 자연권 사상에 기반한다.[15] 토머스 제퍼슨은 존 로크의 "생명, 자유, 재산"에서 "재산" 대신 "행복 추구"를 넣어 자연권 개념을 확장했다.[15]
미국 연방 대법원은 "자연권으로서 보호된다"는 표현 대신 "적법절차 조항에 의해 보호된다"는 표현을 쓰며, 적법절차 이론을 발전시켰다.[70] 적법절차는 절차적 적법절차와 실체적 적법절차로 나뉘며, 미국 수정헌법 제5조와 미국 수정헌법 제14조에 근거해 실체적 적법절차 법리로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한다.[71]
- 미국 수정헌법 제5조 (형사사건에서의 제권리)
- * 누구라도, 대배심에 의한 고발 또는 기소가 없이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 또는 파렴치죄로 심리받지 않는다. ... 누구라도 같은 범행으로 생명이나 신체에 대한 위협을 다시 받지 않으며, 어떤 형사 사건에서도 자신에게 불리한 증언을 강요받지 않으며, '''누구라도 정당한 법 절차에 의하지 않고는 생명, 자유 또는 재산을 빼앗기지 않는다.''' ...
- 미국 수정헌법 제14조(공민권)
- * 제1항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귀화하여 미국의 관할권에 속하는 모든 사람은 미국 및 그가 거주하는 주의 시민이다. 어떤 주도 미국 시민의 특권과 면책권을 빼앗는 법률을 만들거나 시행할 수 없다. '''어떤 주도 정당한 법 절차에 의하지 않고는 어떤 사람에게서 생명, 자유 또는 재산을 빼앗을 수 없으며,''' 그 관할권 안에 있는 어떤 사람에게도 법에 의한 평등한 보호를 거부할 수 없다.
미국 독립 선언 서명자들은 모든 사람이 "창조주로부터 특정한 양도 불가능한 권리를 받았다"는 것을 "자명한 진리"로 여겼다. 미국 노예 제도 폐지 운동은 이 구절을 헌법 원칙으로 받아들였으나, 미국 헌법은 미국 노예 제도를 인정하고 보호했다. 살먼 P. 체이스는 도망 노예 법 위반 혐의를 받은 존 반 잔트 사건에서 "모든 인간에게 자유에 대한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주는 창조주의 법은, 인간이 재산이라고 주장하는 어떤 내부 법으로도 폐지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atural Rights {{!}} History of Western Civilization II
https://courses.lume[...]
2020-10-14
[2]
서적
The Natural Law: A Study in Legal and Social Philosophy
https://oll.libertyf[...]
Liberty Publishing
2022-03-07
[3]
성경
[4]
논문
Systèmes de pensées et de croyances médiévaux
https://journals.ope[...]
2022-05-31
[5]
서적
Rights
Palgrave Macmillan
[6]
일반
[7]
웹사이트
Human Rights
http://plato.stanfor[...]
2019-08-05
[8]
웹사이트
human rights – Natural law transformed into natural rights
https://www.britanni[...]
2022-08-03
[9]
서적
Plurality of Peaces in Legal Action: Analyzing Constitutional Objections to Military Services in Colombia
LIT Verlag
2012
[10]
서적
A Three-Dimensional Theory of Law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0
[11]
서적
The Idea of Natural Rights
Eerdmans
[12]
서적
Inventing the Individual: The Origins of Western Liberalism
Belknap Press
[13]
웹사이트
America's Founding Documents | National Archives
https://www.archives[...]
2016-10-12
[14]
서적
Lectures on the Principles of Political Obligation
[15]
웹사이트
American Enlightenment Thought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1-05-19
[16]
서적
All the Shah's Men: An American Coup and the Roots of Middle East Terror
Wiley
[17]
웹사이트
Principle Doctrines
http://epicurus.net/[...]
2019-06-27
[18]
서적
De beneficiis
[19]
서적
A History of Medieval Political Theory in the West
[20]
서적
The Growth of Political Thought in the West: From the Greeks to the End of the Middle Ages
https://archive.org/[...]
[21]
서적
De Legibus
[22]
서적
Philosophy and Government 1572–1651
[23]
서적
The Northern Crusade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4]
서적
The Problem of Slavery in Western Culture
Cornell University Press
[25]
서적
Concerning Secular Authority
[26]
서적
American Scripture: Making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lfred A. Knopf
[27]
서적
An Inquiry into the Original of Our Ideas of Beauty and Virtue in Two Treatises
[28]
서적
A System of Moral Philosophy
[29]
서적
Hegel's Philosophy of Right
Oxford University Press
[30]
논문
The Libertarian Case for Slavery: A Note on Nozick
[31]
서적
The Myth of the State
Yale University Press
[32]
서적
Observations on the Nature of Civil Liberty
Duke University Press
[33]
서적
Additional Observations on the Nature and Value of Civil Liberty
Duke University Press
[34]
서적
Intellectual Origins of American Radicalism
Vintage Books
[35]
서적
Inventing America
Vintage Books
[36]
서적
The Works of James Wilson
Harva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Natural Law & Natural Righ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8]
간행물
Introduction of the Bill of Rights in Congress
1789-06-08
[39]
서적
Jean Jacques Burlamaqui: A Liberal Tradition in American Constitutionalism
[40]
서적
Law as Culture and Culture as Law: Essays in Honor of John Phillip Reid
https://books.google[...]
Madison House Publishers
[41]
서적
Constitutional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The Authority To Tax
https://archive.org/[...]
[42]
서적
Constitutional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The Authority of Rights
https://archive.org/[...]
[43]
서적
The Spirit of Modern Republicanism: The Moral Vision of the American Founders and the Philosophy of John Lock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4]
서적
The Natural Rights Republic: Studies in the Foundation of the American Political Tradi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45]
서적
Natural Rights and the New Republica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46]
서적
Launching Liberalism: On Lockean Political Philosophy
University Press of Kansas
[47]
웹사이트
A Biography of John Locke
http://www.let.rug.n[...]
GMW – University of Groningen
2015-07-20
[48]
서적
Two Treatises of Government – Of Civil Government
Whitmore & Fenn
1821
[49]
서적
Understanding the Political Philosophers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Taylor and Francis
2014
[50]
서적
Two Treaties of Gover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51]
웹사이트
John Locke
https://iep.utm.edu/[...]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2-02-27
[52]
학술지
John Locke on Equality, Toleration, and the Atheist Exception
http://www.inquiries[...]
2021-05-26
[53]
웹사이트
Locke's Political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5-26
[54]
웹사이트
Thomas Paine's Rights of Man
http://www.bl.uk/lea[...]
2020-10-14
[55]
학술지
A cult of sensations: John Cowper Powys,s life philosophy and individualist anarchism.
[56]
서적
Instead of a Book
[57]
웹사이트
Literature of Liberty, Autumn 1981, vol. 4, No. 3 – Online Library of Liberty
http://oll.libertyfu[...]
2017-03-10
[58]
서적
The Revolution of Hope: Toward a Humanized Technology
Bantam
[59]
웹사이트
Individual Rights – Ayn Rand Lexicon
http://aynrandlexico[...]
2013-07-29
[60]
웹사이트
The Ethics of Liberty
https://mises.org/ro[...]
2005-07-20
[61]
서적
The Market for Liberty
[62]
학술지
A Libertarian Theory of Inalienability
https://mises.org/jo[...]
Mises Institute
2003-03-01
[63]
뉴스
A Crusoe Social Philosophy
https://web.archive.[...]
2007-02-09
[64]
학술지
Inalienability and Punishment: A Reply to George Smith
https://mises.org/jo[...]
1998-12-01
[65]
웹사이트
De Sciuridae et Homo Sapiens: The Origin of Rights and Duties
https://web.archive.[...]
[66]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
http://www.vatican.v[...]
[6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Natural Law
https://www.newadven[...]
[68]
백과사전
기본적 인권
글로벌 세계 대백과
[69]
서적
헌법학원론
박영사
[70]
논문
미국헌법상 적법절차 법리와 전개에 관한 연구 : 실체적 적법절차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71]
논문
미국헌법상 적법절차 법리와 전개에 관한 연구 : 실체적 적법절차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