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 가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마 가당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미낭카바우족의 전통 가옥이다. 여러 개의 박공지붕과 물소 뿔 모양의 곤종 장식이 특징이며, 나무로 지어진 긴집 형태를 띤다. 모계 사회인 미낭카바우족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여성에게 재산이 상속되고 남성은 특정 조건에서만 집에 머무르는 관습이 있다. 루마 가당은 곤종, 딘디앙 타피 등 각 요소가 고유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코토 필리앙과 보디 차니아고의 두 가지 기본 설계로 지어진다. 루마 가당의 건축 양식은 장식, 변형, 현대적 응용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미낭카바우 문화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건축 - 이스타나 메르데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이스타나 메르데카는 19세기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 관저로 건설되어 일본 점령기를 거쳐 1949년 인도네시아 독립 후 대통령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6.8 헥타르 부지에 여러 건물이 있다. - 인도네시아의 건축 - 조글로
조글로는 자바 전통 가옥의 복잡한 지붕 형태이며, 대들보 없이 기둥 구조로 중앙이 높아지는 특징을 가지며, 자바 건축의 상징으로 궁전, 거주지 등에 사용되었고 7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 인도네시아의 문화 - 인도네시아 문학
인도네시아 문학은 다양한 언어와 전통을 반영하며 말레이어 문학에 기반하여 발전해왔고, 여러 시대를 거치며 식민지배, 독립, 사회 변혁을 반영하는 다양한 경향과 작가들을 배출하며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문화 - 프람바난
프람바난은 9세기 중반 자와섬에 건설된 힌두교 사원 단지로, 마타람 왕국의 왕실 사원이었으나 10세기 중반에 버려졌다가 재발견 및 복원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루마 가당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루마 아다트 루마 가당 (Rumah Adat Rumah Gadang) 루마 아다트 루마 바곤종 (Rumah Adat Rumah Bagonjong) |
유형 | 전통 가옥 |
건축 양식 | 인도네시아 건축 |
위치 | 서수마트라 |
국가 | 인도네시아 |
소유주 | 미낭카바우 |
명칭 | |
루마 가당 (Rumah Gadang) 의미 | 커다란 집 |
루마 바곤종 (Rumah Bagonjong) 의미 | 뿔 모양 지붕의 집 |
2. 배경
루마 가당의 각 요소는 고유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미낭카바우의 아다트(Adat) 언어와 속담에 언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곤종(Gonjong)은 신에게 닿는 것을, 딘디앙 타피(Dinding Tapi)는 공동체의 강인함과 유용성을 상징한다. 지붕 꼭대기는 신에게 닿는 것뿐만 아니라 물소 뿔을 나타낸다고도 한다.
수마트라섬은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섬이며, 마르코 폴로 시대부터 '황금의 섬'으로 불려왔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자원이 풍부한 섬으로, 차, 후추, 고무 농장과 석유, 주석 등의 광물 자원이 있다.[2] 적도에 위치하여 계절풍 기후를 가지며, 10월부터 5월까지 강수량이 많지만, 장마가 없는 건조기는 없다. 대규모 삼림 벌채에도 불구하고, 수백만 에이커의 미개발 열대우림이 남아 있어 건축 자재를 제공하지만, 대규모 건설에 필요한 큰 경재는 현재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다.
수마트라섬은 동남아시아 제도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이 사는 곳이다.[2] 이러한 다양성은 rumah adat|루마 아닷min으로 알려진 다양하고 종종 극적인 전통 가옥에 반영되어 있다. 가장 일반적인 주택 형태는 전통적으로 나무로 지어지고 기둥 위에 올려져 있으며, 현지에서 채취한 재료로 지어지고 지붕 경사가 가파르다. 미낭카바우인의 rumah gadang|루마 가당min 외에도, 토바 호 지역의 바탁족은 새 모양의 jabu|자부min를 짓는데, 이는 조각된 박공과 극적인 대형 지붕이 특징이며, 니아스 사람들은 거대한 철목 기둥 위에 요새화된 omo sebua|오모 세부아min 가옥을 짓는데, 웅장한 지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미낭카바우인은 중앙 수마트라 고원 지대의 원주민이다. 그들의 문화는 모계 사회이며, 재산과 토지는 어머니에게서 딸로 상속된다. 종교 및 정치 문제는 남성의 영역이다. 미낭카바우인들은 강력한 이슬람 신자이지만, 자신의 민족 전통 또는 아다트|아닷min를 따르기도 한다. 미낭카바우인의 아다트min는 이슬람이 들어오기 전에 샤머니즘과 힌두교-불교 신앙에서 유래되었으며, 실제로 이슬람을 실천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샤머니즘적 신앙의 잔재가 남아 있다. 따라서 여성은 관습적으로 재산 소유자이며, 남편은 특정 시간과 특별한 조건 하에서만 집에 머물 수 있으며, 자매의 집으로 돌아가서 자야 한다.[3] 이러한 관습을 보완하는 것은 메란타우|메란타우min 관습인데, 많은 남성들이 일을 위해 먼 곳으로 여행을 가서 주기적으로 고향 마을로 돌아온다. 이러한 여행에서 번 돈은 현대식 rumah adat|루마 아닷min 건설에 사용된다.[3]
3. 건축 양식 및 구성 요소
이상적인 루마 가당의 기둥은 집의 길이를 따라 5열로 배열되며, 내부를 란자르(Lanjar)라고 불리는 네 개의 긴 공간으로 나눈다. 집 뒤쪽의 란자르는 침실(루앙(Ruang))로 나뉜다. 아다트에 따르면, 루마 가당은 적어도 다섯 개, 이상적으로는 아홉 개의 루앙을 가져야 한다. 다른 란자르는 라부아 가자(Labuah Gajah, 코끼리 길)라고 불리는 공동 공간으로 사용되어 생활과 의식 행사에 사용된다.
루마 가당에는 여러 개의 쌀 창고(랑키앙(Rangkiang))가 있으며, 각각 다른 이름과 기능을 가진다. 랑키앙 시틴자우 라우익(Rangkiang Sitinjau Lauik)에는 가족과 아다트 의식을 위한 쌀이, 랑키앙 시탕카 라파(Rangkiang Sitangka Lapa)에는 가난한 마을 주민에게 기증하거나 마을의 기근 시기에 사용할 쌀이, 랑키앙 시바야우-바야우(Rangkiang Sibayau-Bayau)에는 가족의 일일 필요량을 위한 쌀이 보관된다.
전통적으로 대규모 공동체 루마 가당은 부모 가족의 기혼 자매와 딸들을 위해 지어진 작은 집들로 둘러싸여 있었다. 여성의 외삼촌은 가족 내의 모든 결혼 적령기 여성이 자신의 방을 갖도록 하는 책임이 있었으며, 새로운 집을 짓거나 원래 집에 증축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했다. 집에 있는 기혼 딸의 수는 뿔 모양의 확장 부분을 세어 알 수 있었는데, 대칭적으로 추가되지 않기 때문에 루마 가당은 때때로 불균형해 보일 수 있다.[5] 사춘기 소년들은 전통적으로 마을의 미낭카바우식 예배당(Surau)에서 생활했다.
3. 1. 건축 양식
루마 가당은 여러 개의 박공지붕과 위로 솟은 용마루가 있는 긴 집(Longhouse) 형태로, 주로 나무로 지어진다. 물소 뿔 모양의 곤종(Gonjong) 장식이 특징적이다. 일반적으로 3단의 돌출부가 있으며, 넓고 나무 말뚝 위에 세워져 지면에서 최대 3m 높이에 이른다. 때로는 집 앞면에 베란다가 있어 접견실, 식당, 손님 숙소로 사용된다.
지붕은 트러스와 교차 보 구조로, 전통적으로 설탕야자 섬유(미낭카바우어: ijuk)로 만든 짚으로 덮여 있다. 이 섬유는 100년 동안 지속될 수 있을 정도로 질기다.[4] 그러나 현대에는 골판지 철판을 더 자주 사용한다. 지붕 봉우리 자체는 여러 개의 작은 널빤지와 서까래로 만들어지며, 지붕 장식 마감재는 장식용 금속 띠로 묶고 뾰족하게 만들어 물소 뿔을 닮았다고 한다.
가옥을 함께 사용하는 여성들은 벽에 나란히 설치된 벽감에서 잠을 잔다. 전통적으로 벽감은 홀수 개였다. 조리 및 저장 공간은 종종 별도의 건물에 있다.
건축 요소를 미낭카바우어와 함께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용어 | 설명 |
---|---|
곤종(gonjong) | 뿔 모양의 지붕 구조 |
싱콕(singkok) | 곤종 끝자락 아래켠의 삼각형 벽 |
프렝(pereng) | 싱콕 아래의 선반 모양 받침대 |
안주앙(anjuang) | 출입문의 층계 끝에서 올라와 있는 마루 |
딘디앙 아리(dindiang ari) | 측면의 벽 |
딘디앙 타피(dindiang tapi) | 전면과 후면의 벽 |
파판 바냑(papan banyak) | 건물의 파사드 |
파판 사카피앙(papan sakapiang) | 건물 주변부의 선반 모양 받침대 |
살랑코(salangko) | 그 위에 건물이 지어져 있는 기둥 주위의 공간을 감싸는 벽 |
각각의 구성 요소는 미낭카바우 문화에서 독특한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곤종은 신에게로의 접근을 상징하고, 딘디앙 타피는 공동체의 힘과 유용함을 상징한다.
3. 2.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상징적 의미 |
---|---|---|
곤종(Gonjong) | 뿔 모양의 지붕 구조 | 신에게로의 접근 |
싱콕(Singkok) | 곤종 끝자락 아래켠의 삼각형 벽 | |
프렝(Pereng) | 싱콕 아래의 선반 모양 받침대 | |
안주앙(Anjuang) | 출입문의 층계 끝에서 올라와 있는 마루 | |
딘디앙 아리(Dindiang Ari) | 측면의 벽 | |
딘디앙 타피(Dindiang Tapi) | 전면과 후면의 벽 | 전통적으로 대나무 조각을 꼬아 만들며, 공동체의 힘과 유용함을 상징 |
파판 바냑(Papan Banyak) | 건물의 파사드 | |
파판 사카피앙(Papan Sakapiang) | 건물 주변부의 선반 모양 받침대 | |
살랑코(Salangko) | 건물이 지어져 있는 기둥 주위의 공간을 감싸는 벽 |
4. 장식
미낭카바우족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루마 가당의 나무 벽, 기둥, 천장을 저부조로 조각된 나무 모티브로 장식하는데, 이는 그들의 adatmin을 반영하고 상징한다. 모티브는 단순한 기하학적 구조를 기반으로 한 풍부한 꽃 무늬로 구성된다. 이 모티브는 미낭카바우의 직조 송켓min 직물과 유사하며, 색상은 중국 견직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6]
전통적으로 이 모티브는 동물이나 사람을 사실적으로 보여주지는 않지만, 일부는 동물, 인간 또는 그들의 활동이나 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모티브는 자연 환경을 기반으로 표현이 항상 이루어지는 그들의 세계관(''Alam Minangkabau'')의 일부인 미낭카바우의 미적 개념에 기반한다. 잘 알려진 adatmin 속담에 "자연은 우리의 스승이다"라고 한다.
루마 가당에서 94가지의 모티브가 관찰되었다. 그중 37가지는 kaluak pakumin('고사리 덩굴'), saluak lakamin('엮인 등나무'), pucuak rabuangmin('대나무 순'), 아레카야자, lumuik hanyuikmin('씻겨진 이끼')와 같은 식물을 나타낸다. 28가지 모티브는 tupai tatagunmin('놀란 다람쥐'), 협력과 귀향하는 방랑자를 상징하는 itiak pulang patangmin('오후에 집으로 돌아가는 오리')[7], kumbang jantimin(금색 벌)과 같은 동물을 나타낸다. 나머지 29가지 모티브는 rajo tigomin(왕국 3왕), kambang manihmin(온화한 소녀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달콤한 꽃), jalo takambangmin(그물 던지기)와 같이 인간과 때로는 그들의 활동이나 행동을 나타낸다.
5. 변형
루마 가당은 크게 코토 필리앙(Koto Piliang) 양식과 보디 차니아고(Bodi Caniago) 양식으로 나뉜다. 코토 필리앙 양식은 귀족적이고 계층적인 사회 구조를 반영하여 집 양 끝에 안주앙(anjuangmin, 높이 올라간 바닥)이 있어 의식 행사 중 씨족 지도자들이 높은 자리에 앉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반면, 보디 차니아고 양식은 바닥이 평평하고 한 평면에 있어 민주적인 사회 구조를 반영한다.[7]
현관이 없는 변형은 바파세렉(bapaserekmin) 또는 수람비 파펙(surambi papekmin)이라고 불린다. 더 크고 화려한 집들은 더 높은 벽과 여러 개의 지붕을 가지며, 종종 다섯 개의 요소가 서로 삽입되어 있고 큰 나무 기둥으로 지탱된다. 기둥 수에 따른 변형으로는 40개의 기둥을 사용하여 더 짧고 굵은 형태를 만드는 가자 마하람(gajah maharammin, 무릎 꿇은 코끼리)과 50개의 기둥을 사용하여 더 가는 형태를 만드는 라조 바반디앙(rajo babandiangmin, 웅장한 디자인)이 있다. 코토 필리앙 양식에는 안주앙에 각 끝에 6개의 기둥이 더 필요하다.
미낭카바우 전통 평의회 홀(balai adatmin)은 루마 가당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벽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다는 차이점이 있다. 파가루융 궁전(Pagaruyung Palace)은 전통적인 미낭카바우 루마 가당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지만, 3층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서부 수마트라의 일부 현대 정부 및 상업 건물과 주택(rumah gedungmin)은 루마 가당 양식의 요소를 채택했다.
17세기부터 말레이시아 네게리 셈빌란에 상당한 규모의 미낭카바우 정착촌이 있었는데, 이 지역의 미낭카바우는 말레이식 지붕 구조를 채택하여 특징적인 곡선 지붕이 사라지고 처마가 더 무뎌졌다.[7]
6. 현대적 응용
파가루융 궁전(Pagaruyung Palace)은 전통적인 미낭카바우 건축 양식인 루마 가당으로 지어졌지만, 특이하게도 3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서부 수마트라의 일부 현대 정부 및 상업 건물, 주택은 루마 가당 양식의 요소를 차용하고 있다.
17세기부터 말레이시아 네게리 셈빌란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미낭카바우 정착촌이 있었는데, 이들은 말레이식 지붕 구조를 채택하여 변형된 루마 가당 양식을 보여준다. 야자수 잎으로 덮은 지붕은 특징적인 곡선이 사라지고 처마가 무뎌졌지만, 여전히 아름다운 것으로 여겨진다.[7] 이슬람의 영향으로 내부 구조에도 변화가 생겨, 수마트라 미낭카바우의 모계 사회와 달리 여성들이 집 뒤쪽에 더 제한적으로 머무르게 되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Istano Basa Pagaruyung: Restored to glory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2013-11-23
[2]
서적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Indonesia
Thames and Hudson
[3]
서적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Indonesia
Thames and Hudson
[4]
서적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Indonesia
Thames and Hudson
[5]
서적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Indonesia
Thames and Hudson
[6]
서적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Indonesia
Thames and Hudson
[7]
서적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Indonesia
Thames and Hudson
[8]
서적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Indonesia
Thames and Hud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