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네시아 문학은 말레이어 고전 문학 시대인 푸장가 라마 시대를 시작으로, 말레이어 고전 문학, 인도네시아 근현대 문학으로 이어져 왔다. 푸장가 라마 시대에는 히카얏, 판툰, 샤이르 등의 다양한 장르가 발전했으며, 고전 말레이어 문학 시대에는 유럽의 영향으로 번역 및 과도기적인 문학 작품이 등장했다. 인도네시아 근현대 문학은 발레이 푸스타카 문학, 푸장가 바루 문학, 45세대 문학으로 구분되며, 각 시기마다 민족주의, 사회 현실 비판, 독립에 대한 열망 등을 담은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50세대 이후에는 소설, 시 등 다양한 장르가 발전했으며, 1980-1990년대에는 로맨스 소설이 주류를 이루었다. 1998년 레포르마시 세대 이후에는 여성 작가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며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실험하는 문학이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 문학 - 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
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은 자카르타 예술위원회가 주관하는 인도네시아의 소설 공모전으로, 《사만》, 《Dadaisme》 등 인도네시아 문학에 중요한 작품들을 배출하며 문학 신인 발굴에 기여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문화 - 루마 가당
미낭카바우족의 전통 가옥인 루마 가당은 솟아오른 용마루와 물소 뿔 모양 지붕이 특징이며, 모계 사회의 문화와 관습을 반영하고 건축 양식과 장식에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어 코토 필리앙과 보디 카니아고 두 가지 기본 설계로 나뉜다. - 인도네시아의 문화 - 프람바난
프람바난은 9세기 중반 자와섬에 건설된 힌두교 사원 단지로, 마타람 왕국의 왕실 사원이었으나 10세기 중반에 버려졌다가 재발견 및 복원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인도네시아 문학 | |
---|---|
인도네시아 문학 | |
![]() | |
개요 | |
정의 | 인도네시아에서 쓰이거나 인도네시아를 주제로 한 문학 |
언어 | 주로 인도네시아어 사용 |
배경 | 동남아시아의 다양한 문화적, 역사적 맥락 반영 |
역사 | |
초기 문학 | 구전 전통 (민담, 신화, 전설) 고대 자바어, 말레이어 문헌 종교적 영향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
식민 시대 문학 | 서구 문학의 영향 (네덜란드) 국수주의와 민족주의 반영 발라이 푸스타카 시대 |
독립 이후 문학 | 1945년 세대 작가들의 등장 (예: 카이릴 안와르) '66세대 문학'과 '70년대 문학' 다양한 주제와 스타일의 발전 |
현대 문학 | 다양한 장르와 형식의 실험 여성 작가들의 활약 증가 국제적인 관심 증가 |
주요 장르 | |
시 | 전통 시 (판툰) 현대 시 (자유시, 소네트) |
소설 | 역사 소설 사회 소설 심리 소설 로맨스 소설 |
단편 소설 | 다양한 주제와 형식 |
희곡 | 전통 극 현대 극 |
수필 |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평 |
주요 작가 | |
초기 작가 | 하무자 판수리 아부 누와스 |
1945년 세대 | 카이릴 안와르 이드루스 프라무디아 아난타 투르 |
현대 작가 | 누르 스탄 이스칸다르 아유 우타미 에카 쿠르니아완 |
특징 | |
주제 | 민족주의와 반식민주의 사회적 불평등과 정치적 억압 종교와 전통 개인의 정체성과 고뇌 사랑과 가족 관계 |
스타일 | 낭만주의 현실주의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마술적 리얼리즘 |
영향 | 네덜란드 문학 서구 문학 이슬람 문학 인도 문학 |
참고 자료 | |
관련 기관 | 인도네시아 국립 문학 센터 인도네시아 교육문화부 |
외부 링크 | |
관련 웹사이트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인도네시아 문학 인도네시아 문학 박물관 |
2. 푸장가 라마 (고전 문학)
인도네시아 문학사에서 최초의 시기는 말레이어로 문학 작품이 쓰인 '''푸장가 라마'''(고전기/Pujangga Lama}} {{해석id)이다. 이 시기의 문학은 현재의 말레이시아 지역에서 전개된 말레이어 고전 문학을 포함하며, 인도 문학, 불교 문학, 이슬람 문학의 강한 영향을 받아 다양한 장르가 발전했다.[35]
- 히카얏(Hikayat): 10세기 무렵부터 중요한 고전 산문 양식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35] 압둘라의 히카얏 압둘라 등이 있다.
- 판툰(Pantun): 1연이 4행으로 구성되며 각 행은 4개의 단어로 구성되고 총 8-10음절로 간결하며, A-B-A-B 형태의 각운을 취하는 전통 운문 양식이다.[36]
- 샤이르(Syair): 1연이 4행으로 구성되는 것은 판툰과 같지만, 각 행의 단어 개수는 제한이 없고 총 8-12음절(보통 10음절)을 취하며, A-A-A-A 형태의 각운을 가진다.[36] 함자 팡수리는 샤이르 ''시당 아흘리 술룩'' 등의 작품을 남겼다.

- 구린담(Gurindam): 1연 2행, 1행 3-6개로 구성되는 연작시이다.[37]
- 만트라(Mantra): 불교와 힌두교의 비의문학에서 유래한 시이다.[35]
- 나잠(Nazam): 1연이 2행으로 구성되고 1행이 4-6개의 단어로 구성되는 운문 형식이다.[37]
- 트롬바(Teromba): 제약 없는 자유시로서 사회 관습을 주제로 한다.[37]
- 슬로카(Seloka): 자유시로서 해학이나 비유를 담는다.[37]

초기 인도네시아 문학은 말레이 문학에서 기원하며, 이러한 뿌리의 영향은 20세기까지도 널리 미쳤다. "푸장가 라마"(Pujangga lama, 직역: "옛 시인들")가 창작한 문학은 주로 20세기 이전, 이슬람이 들어온 이후에 쓰여졌다.[3]
2. 1. 주요 장르
인도네시아 문학의 초기 시대는 말레이어로 문학 작품이 쓰인 '푸장가 라마'(고전기/Pujangga Lama}} {{해석id)이다. 이 시기에는 인도 문학, 불교 문학, 이슬람 문학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장르가 발전했다.[35]
- 히카얏(Hikayat): 이슬람 문학의 영향을 받은 산문 양식으로, 영웅 서사시, 역사 이야기, 종교적 교훈 등을 담고 있다.[35] 예시로는 압둘라 히카야트(Hikayat Abdullah), 항투아 히카야트(Hikayat Hang Tuah) 등이 있다.
- 판툰(Pantun): 4행으로 이루어진 전통 운문 양식으로, 각 행은 8-10음절로 구성되며 A-B-A-B 각운을 가진다. 주로 사랑, 자연, 종교 등을 주제로 한다.[36] 말레이 연대기(Sejarah Melayu)와 같은 다른 작품에도 판툰이 포함되어 있다.[5]
- 샤이르(Syair): 판툰과 유사하게 4행으로 이루어진 운문 양식이지만, 각 행의 음절 수는 8-12음절이며 A-A-A-A 각운을 가진다. 서사적인 내용이나 종교적인 내용을 담는 경우가 많다.[36] 함자 팡수리는 샤이르 부룽 웅가스(Syair Burung Unggas), 샤이르 다강(Syair Dagang) 등 다양한 샤이르 작품을 남겼다.
- 구린담(Gurindam): 2행으로 이루어진 짧은 격언이나 교훈시이다.[37]
- 만트라(Mantra): 불교와 힌두교의 비의문학에서 유래한 주술적인 성격을 가진 시이다.[35]
- 나잠(Nazam): 1연이 2행으로 구성되고 1행이 4-6개의 단어로 구성되는 운문 형식이다.[37]
- 트롬바(Teromba): 제약 없는 자유시로서 사회 관습을 주제로 한다.[37]
- 슬로카(Seloka): 자유시로서 해학이나 비유를 담는다.[37]
이 외에도 바바드(역사 또는 연대기)와 같은 역사 서술 장르도 존재했다.
3. 고전 말레이어 문학 (1870-1942)
1870년부터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유럽의 강한 영향권 하에 링구아 프랑카였던 말레이어로 주로 화교나 유럽인 등에 의해 조금씩 과도기적인 문학 작품이 쓰이고 번역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는 '''고전 말레이어 문학'''(사스트라 믈라유 라마/Sastra Melayu Lamaid) 시기이다. 1890년에 쓰인 《포푸리(Boenga Rampai)》 등이 이 시기에 해당된다. 《로빈슨 크루소》, 《몬테크리스토 백작》, 《80일간의 세계 일주》 등의 작품도 이 시기에 최초로 말레이어로 번역되었다.
1870년부터 1942년까지의 문학은 주로 수마트라(랑카트, 타파눌리, 파당 등 지역), 중국, 유럽계 인도네시아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 초기 작품들은 시르(syair), 히카야트(hikayat), 서구 소설 번역이 주를 이루었다. 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로빈슨 크루소 (번역)
- Lawah-lawah Merah
- 80일간의 세계 일주(소설)(Mengelilingi Bumi dalam 80 hari) (번역)
- 몬테크리스토 백작 (번역)
- Kapten Flamberger (리 킴 혹(Lie Kim Hok)(1853-1912) 번역)
- 로캉볼(Rocambole) (리 킴 혹(Lie Kim Hok) 번역)
- G. 프란시스(G. Francis)의 Njai Dasima(인도네시아어)
- A.F. 반 데왈(A.F van Dewall)의 Bunga Rampai
- Kisah Perjalanan Nakhoda Bontekoe
- Kisah Pelayaran ke Pulau Kalimantan
- Kisah Pelayaran ke Makassar dan lain-lainnya
- H.F.R. 코머(H.F.R Kommer)의 Cerita Siti Aisyah(인도네시아어)
- Cerita Nyi Paina
- Cerita Nyai Sarikem
- Cerita Nyonya Kong Hong Nio
- Nona Leonie
- 카트 S.J.(Kat S.J.)의 Warna Sari Melayu
- F.D.J. 팡게마난(F.D.J. Pangemanann)(1870-1910)의 Cerita Si Conat (1900)
- Cerita Rossina
- F. 위거스(F. Wiggers)의 Nyai Isah
- 극 Raden Bei Surioretno
- Syair Java Bank Dirampok
- 고우 펑량(Gouw Peng Liang)의 Lo Fen Kui
- Thio Tjin Boen(1885-1940)의 Cerita Oey See (1903)
- Tambahsia
- R.M. 티르토 아디 수르조(Tirto Adhi Soerjo)(1880-1918)의 Busono
- Nyai Permana
- 하지 무크티(Hadji Moekti)(인도네시아어)의 Hikayat Siti Mariah
3. 1. 주요 작품
1870년부터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유럽의 강한 영향권 하에 링구아 프랑카였던 말레이어로 주로 화교나 유럽인 등에 의해 조금씩 과도기적인 문학 작품이 쓰이고 번역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는 '''고전 말레이어 문학'''(사스트라 믈라유 라마/Sastra Melayu Lamaid) 시기이다. 1890년에 쓰인 《포푸리(Boenga Rampai)》 등이 이 시기에 해당된다. 《로빈슨 크루소》, 《몬테크리스토 백작》, 《80일간의 세계 일주》 등의 작품도 이 시기에 최초로 말레이어로 번역되었다.4. 인도네시아 근현대 문학
인도네시아어로 쓰인 근현대 전간기 문학사는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19세기 말-20세기 초반에 네덜란드의 식민지 점령이 완성되자마자 고양된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의식과 높아진 교육열을 수용하며 식민 지배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 네덜란드 식민 정부는 1908년 고급 말레이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국민 독서 위원회를 설립하였다. 이는 식민 당국이 운영하는 출판사로, 여기서 학교 교육에 사용되는 말레이어를 발전시키고 말레이어로 된 각종 출판물을 발간하였다. 이 기구는 1917년에 확대 개편되어 발레이 푸스타카로 개명되었는데, 이때부터 이 출판사에서 문학 작품들이 본격적으로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이 기구에 바탕을 둔 1920년대 인도네시아에서의 발흥기 말레이어 근대 문학을 '''발레이 푸스타카 문학'''이라 한다. 이후에 문학의 저변이 좀 더 넓어져 1930년대에는 문학 동인들이 모여 푸장가 바루라는 문예지를 중심으로 문학 활동을 벌였는데, 이 1930년대 - 1945년 간의 문학을 '''푸장가 바루 문학'''이라 한다. 마지막으로 1945년을 기점으로 일본 식민기가 끝나고 인도네시아에 독립에 대한 열망과 민족주의의 기운이 팽배하게 되었다. 이 때부터의 문학을 '''45세대 문학'''(1945 세대 문학)이라 한다.[38]
4. 1. 발레이 푸스타카 (1920년대)
20세기 초, 인도네시아에서는 민족의식 고양과 함께 네덜란드 식민 정부의 변화된 정책, 그리고 신문의 등장으로 인도네시아 문학이 태동하기 시작했다.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인들의 자립과 성숙을 위한 교육 및 통합 정책을 일시적으로 추진했지만, 이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6]네덜란드 식민 정부는 1908년 '국민 독서 위원회'(Commissie voor de Volkslectuurnl)를 설립하고, 1917년에는 이를 발레이 푸스타카(Balai Pustaka)로 개편하여 출판 사업을 통제했다. 발레이 푸스타카는 고급 말레이어 사용을 장려하고, 식민 통치에 협조적인 내용의 작품을 주로 출판했다. 종교적 논쟁이나 "포르노그래픽"한 요소, 식민 정부에 대한 비판은 검열 대상이었다.[7] 이혼을 다룬 소설조차 다른 곳에서 출판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발레이 푸스타카는 학교 도서관 설립과 함께 새로운 출판물을 공급하며 인도네시아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네덜란드어 작품과 세계 문학 번역본 외에도, 토착 문학 작품들이 자바어, 순다어, 발리어, 바탁어, 마두라어 등으로 출판되었다.[7]
1920년대는 발레이 푸스타카의 전성기였다. 소설(단편 및 장편), 서구식 희곡, 시가 등장하여 기존의 시르(syair), 구린담(gurindam), 판툰(pantun), 히카야트(hikayat)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므라리 시르가르(Merari Siregar)의 『아자브 단 센가사라(Azab dan Sengsara)』(1920)는 인도네시아어로 출판된 최초의 현대 소설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은 강제 결혼 등 당대의 문제를 다루며 현실주의 전통을 따랐다.[8]
누르 수탄 이스칸다르(Nur Sutan Iskandar)는 "발레이 푸스타카 세대의 왕"이라 불릴 정도로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이 시기 작가들의 소설은 미낭카바우인들을 중심으로 한 "수마트라 소설"이 주를 이루었다.[9]
발레이 푸스타카 외에도, 다른 잡지들이 인도네시아 작가들의 작품을 게재했다. 1918년, 젊은 수마트라 지식인 협회인 용 수마트라넨 본드(Jong Sumatranen Bond)의 기관지 『용 수마트라』(Jong Sumatra)가 주목할 만한 출판물이었다.[14]

주요 작가 및 작품
- 므라리 시르가르(Merari Siregar) (1896-1941)
- * 아자브 단 센가사라 (Azab dan Sengsara) (1920)
- * 비나사 크르나 가디스 프리앙간 (Binasa kerna Gadis Priangan) (1931)
- * 친타 단 하와 나프수 (Cinta dan Hawa Nafsu)
- 마라 루슬리 (Marah Roesli) (1889-1968)
- * 시티 누르바야 (Sitti Nurbaya) (1922)
- * 라 하미 (La Hami) (1924)
- * 아낙 단 케메나칸 (Anak dan Kemenakan) (1956)
- 무하마드 야민 (Muhammad Yamin) (1903-1962)
- * 타나 아리르 (Tanah Air) (1922)
- * 인도네시아, 툼파 다라쿠 (Indonesia, Tumpah Darahku) (1928)
- * 칼라우 데위 타라 수다 베르카타 (Kalau Dewi Tara Sudah Berkata)
- * 켄 아록 단 켄 데데스 (Ken Arok dan Ken Dedes) (1934)
- 누르 수탄 이스칸다르 (Nur Sutan Iskandar) (1893-1975)
- * 아파 다야쿠 카레나 아쿠 스오랑 페름푸안 (Apa Dayaku karena Aku Seorang Perempuan) (1923)
- * 친타 양 멤바와 마우트 (Cinta yang Membawa Maut) (1926)
- * 살라 필리 (Salah Pilih) (1928)
- * 카레나 멘투아 (Karena Mentua) (1932)
- * 투바 디발라스 덴간 수수 (Tuba Dibalas dengan Susu) (1933)
- * 훌루발랑 라자 (Hulubalang Raja) (1934)
- * 카탁 헨닥 멘자디 렘부 (Katak Hendak Menjadi Lembu) (1935)
- 툴리스 수탄 사티 (Tulis Sutan Sati) (1898-1942)
- * 탁 디상카 (Tak Disangka) (1923)
- * 센가사라 멤바와 니크마트 (Sengsara Membawa Nikmat) (1928)
- * 탁 멤발라스 구나 (Tak Membalas Guna) (1932)
- * 멤무투스칸 페르탈리안 (Memutuskan Pertalian) (1932)
- 잠알루딘 아디네고로 (Djamaluddin Adinegoro) (1904-1967)
- * 다라 무다 (Darah Muda) (1927)
- * 아스마라 자야 (Asmara Jaya) (1928)
- 아바스 수탄 파문트작 (Abas Soetan Pamoentjak)
- * 퍼르템무안 (Pertemuan) (1927)
- 압둘 무이스 (Abdul Muis) (1886-1959)
- * 살라 아수한 (Salah Asuhan) (1928)
- * 퍼르템무안 조도 (Pertemuan Djodoh) (1933)
- 아만 다툭 마조인도 (Aman Datuk Madjoindo)
- * 메네부스 도사 (Menebus Dosa) (1932)
- * 시 체볼 린두칸 불란 (Si Cebol Rindukan Bulan) (1934)
- * 삼파이칸 살람쿠 케파다냐 (Sampaikan Salamku Kepadanya) (1935)
4. 1. 1. 주요 작가 및 작품
- 므라리 시르가르(Merari Siregar) (1896-1941)
- * 아자브 단 센가사라 (Azab dan Sengsara) (1920)
- * 비나사 크르나 가디스 프리앙간 (Binasa kerna Gadis Priangan) (1931)
- * 친타 단 하와 나프수 (Cinta dan Hawa Nafsu)
- 마라 루슬리 (Marah Roesli) (1889-1968)
- * 시티 누르바야 (Sitti Nurbaya) (1922)
- * 라 하미 (La Hami) (1924)
- * 아낙 단 케메나칸 (Anak dan Kemenakan) (1956)
- 무하마드 야민 (Muhammad Yamin) (1903-1962)
- * 타나 아리르 (Tanah Air) (1922)
- * 인도네시아, 툼파 다라쿠 (Indonesia, Tumpah Darahku) (1928)
- * 칼라우 데위 타라 수다 베르카타 (Kalau Dewi Tara Sudah Berkata)
- * 켄 아록 단 켄 데데스 (Ken Arok dan Ken Dedes) (1934)
- 누르 수탄 이스칸다르 (Nur Sutan Iskandar) (1893-1975)
- * 아파 다야쿠 카레나 아쿠 스오랑 페름푸안 (Apa Dayaku karena Aku Seorang Perempuan) (1923)
- * 친타 양 멤바와 마우트 (Cinta yang Membawa Maut) (1926)
- * 살라 필리 (Salah Pilih) (1928)
- * 카레나 멘투아 (Karena Mentua) (1932)
- * 투바 디발라스 덴간 수수 (Tuba Dibalas dengan Susu) (1933)
- * 훌루발랑 라자 (Hulubalang Raja) (1934)
- * 카탁 헨닥 멘자디 렘부 (Katak Hendak Menjadi Lembu) (1935)
- 툴리스 수탄 사티 (Tulis Sutan Sati) (1898-1942)
- * 탁 디상카 (Tak Disangka) (1923)
- * 센가사라 멤바와 니크마트 (Sengsara Membawa Nikmat) (1928)
- * 탁 멤발라스 구나 (Tak Membalas Guna) (1932)
- * 멤무투스칸 페르탈리안 (Memutuskan Pertalian) (1932)
- 잠알루딘 아디네고로 (Djamaluddin Adinegoro) (1904-1967)
- * 다라 무다 (Darah Muda) (1927)
- * 아스마라 자야 (Asmara Jaya) (1928)
- 아바스 수탄 파문트작 (Abas Soetan Pamoentjak)
- * 퍼르템무안 (Pertemuan) (1927)
- 압둘 무이스 (Abdul Muis) (1886-1959)
- * 살라 아수한 (Salah Asuhan) (1928)
- * 퍼르템무안 조도 (Pertemuan Djodoh) (1933)
- 아만 다툭 마조인도 (Aman Datuk Madjoindo)
- * 메네부스 도사 (Menebus Dosa) (1932)
- * 시 체볼 린두칸 불란 (Si Cebol Rindukan Bulan) (1934)
- * 삼파이칸 살람쿠 케파다냐 (Sampaikan Salamku Kepadanya) (1935)
4. 2. 푸장가 바루 (1930년대-1945)
1930년대 인도네시아 문단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전하게 되었다. 젊은 지식인들 사이에서 민족 의식이 고취되었고, 이들은 여러 단체를 결성하여 조직화되었다. 국어의 필요성과 문학적 표현의 필요성이 절실했으며, 발라이 푸스타카(Balai Pustaka)와 같은 표현의 장이 존재했지만 정부의 통제를 받아 민족주의적 열망과 상반되었다. 네덜란드 담당자들의 개입은 검열로 여겨졌고, 편집 방침은 새로운 언어에 대한 부당한 통제로 간주되었다.[15] 동시에 젊은 지식인들은 고전 말레이 문학이 정형화되었다고 느꼈다.[16]이러한 상황에 대한 반발로 ''푸장가 바루(Angkatan Pujangga Baru)'' 운동이 일어났다. "새로운 문인 세대(혹은 새로운 시인 세대)"를 뜻하는 이 운동은 그 이름 ''푸장가 바루(Poedjangga Baroe)''에서 볼 수 있듯이 쇄신을 추구하며 전통 말레이 문학의 틀과 식민지의 속박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했다. 그 목표는 새로운 시학과 새로운 국가 의식의 창출이었다.
이를 위해 1933년, 수탄 타크디르 알리샤바나(Sutan Takdir Alisjahbana), 아미르 함자(Amir Hamzah),[18] 그리고 아르민 판(Armijn Pane)이 최초의 국내 문학 잡지인 ''푸장가 바루(Poedjangga Baroe)''를 창간했다.[17] 주요 인물은 세 명의 창립자와 아르민 판의 형제인 사누시 판(Sanusi Pane)이었다.

이 잡지는 1933년부터 1942년까지 발행되었다. 일본이 점령하자 편집자들이 발행 허가를 요청했지만 답변이 없었고, 이는 사실상 거절을 의미했다.[19] 1948년에 발행을 재개하여 1953년에 최종적으로 폐간되었다.
《푸장가 바루》(Poedjangga Baroe)는 국어로 된 최초의 문학 잡지였다. 《판지 푸스타카》(Panji Pustaka, 발라이 푸스타카 잡지)와는 달리, 편집자들은 모두 인도네시아인이었으며, 1920년대 정부 출판사에서 일하며 편집 훈련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 단 한 가지 예외는 네덜란드 국적이지만 강한 민족주의적 동정심을 가진 인도유럽인(유라시아인) 작가 베프 뷔크(Beb Vuyk)였다.[22]
이 잡지의 내용은 수필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종종 새로운 문학의 요구 사항과 긴급 상황을 다루었다. 그리고 현대적인 시가 실렸다. 이러한 모더니즘은 전통으로부터의 의식적인 탈피였지만, 두 가지 상당히 다른 경향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한편, (대개 네덜란드식 교육을 받은) 시인들은 네덜란드 시의 후기 낭만주의 운동인 타흐티허르(Tachtigers) 운동과 연관되어 있었다.[23]
- 이 "1880년대 운동"은 감정의 개인적 표현을 강조했으며, 새로운 인도네시아 시에 반영되었다. 개인적 감정의 중심적 역할은 ''Mengeluh''("불평"), ''Kematian Anak''("아이의 죽음"), ''Di Kakimu''("당신 발 아래")와 같은 제목에서 알 수 있다.[24]
- 또한 자연 시는 ''Sawah''("벼 논")이나 ''Bintang''("별")과 같은 제목으로 이 운동의 낭만적인 성격을 보여주었다.[24]
- 세 번째 측면은 신비주의를 포함하며, 사누시 파네(Sanusi Pane)의 시 ''Do'a''("기도")가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진 예일 것이다.[25]
원문 | 번역 |
---|---|
- 낭만주의의 영향은 서구화된 운율 형식, 특히 소네트의 사용에서도 알 수 있다. 이것은 전통적인 ''샤이르(syair)''와 ''판툰(pantun)''과의 단절을 의미했다. 동시에 새로운 소네트 형식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판툰''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26]
네덜란드의 예가 무조건적으로 따르지는 않았다. 특히 인간 경험에서 엄격하게 개인적인 것에 대한 강조는 거부되었다. ''푸장가 바루(Poedjangga Baroe)''는 시인의 임무는 사회적 대리인이자 국가 발전을 위한 힘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구성원들에게는 시인의 역할이 종교적인 것이기도 했다.[27]
반면, 이 운동의 일부 구성원들은 서구의 영향에 전적으로 찬성하지 않았다. 전통적인 동양 문학에서 반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영향력이 느껴졌다. 아미르 함자는 천일야화에 큰 매력을 느꼈지만, 이 작품을 인도네시아어로 번역하려던 그의 의도는 실현되지 않았다. 그는 『바가바드 기타』를 인도네시아어로 번역했다.[28] 사누시 파네의 희곡 「마누시아 바루」(인간 새사람)는 인도를 배경으로 했다.[29] 자바의 과거를 배경으로 한 희곡들도 있었다. 아미르 함자는 동양 시를 선집으로 엮었다.[30]
주요 작가 및 작품
- 수탄 탁디르 알리샤바나(Sutan Takdir Alisjahbana): 《펼쳐진 돛(Layar Terkembang)》(1936)은 현대 인도네시아의 젊은 여성들을 감각적으로 묘사하고 있다.[31]
- 함카(Hamka): 《카바의 보호 아래에서(Di Bawah Lindungan Ka'bah)》(1938)
- 아르메인 파네(Armeijn Pane): 《족쇄(Belenggu)》(1940)는 부정적인 관계를 다루어 처음에는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결국 고전이 되었고 인도네시아 최초의 심리 소설로 여겨진다.[31]
- 아미르 함자(Amir Hamzah): 《고요한 노래(Nyanyi Sunyi)》(1937)
4. 2. 1. 주요 작가 및 작품
- 수탄 탁디르 알리샤바나(Sutan Takdir Alisjahbana): 《펼쳐진 돛(Layar Terkembang)》(1936)은 현대 인도네시아의 젊은 여성들을 감각적으로 묘사하고 있다.[31]
- 함카(Hamka): 《카바의 보호 아래에서(Di Bawah Lindungan Ka'bah)》(1938)
- 아르메인 파네(Armeijn Pane): 《족쇄(Belenggu)》(1940)는 부정적인 관계를 다루어 처음에는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결국 고전이 되었고 인도네시아 최초의 심리 소설로 여겨진다.[31]
- 아미르 함자(Amir Hamzah): 《고요한 노래(Nyanyi Sunyi)》(1937)
4. 3. 45세대 (1945-1950년대 초)
45세대(angkatan '45) 작가들의 작품은 일제 강점기와 독립 투쟁의 경험을 바탕으로, 푸장가 바루(pujangga baru) 세대의 낭만적 이상주의적 경향에서 벗어나 현실주의적인 경향을 띄었다. 이들의 작품에는 자유와 독립에 대한 열망, 그리고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하이릴 안와르, 이드루스 등이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진보 성향 작가인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가 이 시기에 활동하며 인도네시아 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주요 작가 및 작품은 다음과 같다.
- 하이릴 안와르(Chairil Anwar)
- * ''케리킬 타잠'' (Kerikil Tajam) (1949)
- * ''데루 캄푸르 데부'' (Deru Campur Debu) (1949)
- 이드루스(Idrus)
- * ''다리 아베 마리아 케 잘란 라이 케 로마'' (Dari Ave Maria ke Jalan Lain ke Roma) (1948)
- 프라모에디야 아난타 투르 (Pramoedya Ananta Toer)
- * ''크란지 단 베카시 자투'' (Kranji dan Bekasi Jatuh) (1947)
- * ''부칸 파사르 말람'' (Bukan Pasar Malam) (1951)
4. 3. 1. 주요 작가 및 작품
- 하이릴 안와르(Chairil Anwar)
- * ''케리킬 타잠'' (Kerikil Tajam) (1949)
- * ''데루 캄푸르 데부'' (Deru Campur Debu) (1949)
- 이드루스(Idrus)
- * ''다리 아베 마리아 케 잘란 라이 케 로마'' (Dari Ave Maria ke Jalan Lain ke Roma) (1948)
- 프라모에디야 아난타 투르 (Pramoedya Ananta Toer)
- * ''크란지 단 베카시 자투'' (Kranji dan Bekasi Jatuh) (1947)
- * ''부칸 파사르 말람'' (Bukan Pasar Malam) (1951)
4. 4. 50세대 (1950년대)
1950년대 문학은 H.B. 야신 (1917~2000)이 설립한 잡지 키사로 특징지어진다. 이 시대 인도네시아 문학은 단편 소설과 시집이 주를 이루었다.[39]- 목타르 루비스는 《자카르타의 황혼(Senja di Jakarta; Twilight in Jakarta)》(1963), 《탁 아다 에속 (Tak Ada Esok)》(1950)을 저술했다.
- 엔하 디니는 《두아 두니아 (Dua Dunia)》(1950)를 저술했다.
- 시토르 시투모랑은 《잘란 무티아라 (Jalan Mutiara)》(1954)를 저술했다.
4. 4. 1. 주요 작가 및 작품
- 목타르 루비스(Mochtar Lubis)는 《자카르타의 황혼(Senja di Jakarta; Twilight in Jakarta)[39]》(1963), 《탁 아다 에속 (Tak Ada Esok)》(1950)을 저술했다.
- 엔하 디니(Nh. Dini)는 《두아 두니아 (Dua Dunia)》(1950)를 저술했다.
- 시토르 시투모랑(Sitor Situmorang)은 《잘란 무티아라 (Jalan Mutiara)》(1954)를 저술했다.
4. 5. 66세대 (1960년대)
수카르노 정권의 몰락과 수하르토 정권의 등장은 인도네시아 사회에 큰 혼란과 정치적 격변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32] 1966년 세대는 모흐타르 루비스가 이끌었던 문예지 《호리존》을 중심으로 활동했다.[32] 레크라(Lekra) 또는 좌익 단체와 관련되었던 작가들은 탄압을 피해 해외로 망명하여 '인도네시아 망명 문학'을 형성했다.[33]주요 작가 및 작품
- 우마르 카얌(Umar Kayam) (1932-2002): 《스리부 쿠낭-쿠낭 디 맨해튼 (Seribu Kunang-kunang di Manhattan)》, 《스리 수마라 단 바우크 (Sri Sumarah dan Bawuk)》, 《레바란 디 카렛 (Lebaran di Karet)》, 《파다 수아투 사앗 디 반다르 상깅 (Pada Suatu Saat di Bandar Sangging)》, 《켈리르 타나 바타스 (Kelir Tanpa Batas)》, 《파라 프리야이 (Para Priyayi)》, 《잘란 메니쿵 (Jalan Menikung)》
- 타우픽 이스마일(Taufik Ismail) (1935년생): 《말루 (아쿠) 자디 오랑 인도네시아 (Malu (Aku) Jadi Orang Indonesia)》, 《티라니 단 벤텅 (Tirani dan Benteng)》, 《부쿠 타무 무심 페르주앙안 (Buku Tamu Musim Perjuangan)》, 《사작 라당 자궁 (Sajak Ladang Jagung)》, 《케날칸 (Kenalkan)》, 《사야 헤완 (Saya Hewan)》, 《푸이시-푸이시 랑잇 (Puisi-puisi Langit)》
- 구나완 모하마드(Goenawan Mohamad) (1941년생): 《파리케시트 (Parikesit)》 (1969), 《인터루드 (Interlude)》 (1971), 《포트렛 스오랑 펜야이르 무다 스버가이 시 말린 쿤당 (Potret Seorang Penyair Muda Sebagai Si Malin Kundang)》 (1972), 《섹스, 사스트라, 단 키타 (Seks, Sastra, dan Kita)》 (1980)
- 수타르지 바흐리(Sutardji Bachri)
- 푸투 위자야(Putu Wijaya)
- 쿤토위조요(Kuntowijoyo)
- 이완 시마투팡(Iwan Simatupang)
4. 5. 1. 주요 작가 및 작품
- 우마르 카얌(Umar Kayam) (1932-2002): 《스리부 쿠낭-쿠낭 디 맨해튼 (Seribu Kunang-kunang di Manhattan)》, 《스리 수마라 단 바우크 (Sri Sumarah dan Bawuk)》, 《레바란 디 카렛 (Lebaran di Karet)》, 《파다 수아투 사앗 디 반다르 상깅 (Pada Suatu Saat di Bandar Sangging)》, 《켈리르 타나 바타스 (Kelir Tanpa Batas)》, 《파라 프리야이 (Para Priyayi)》, 《잘란 메니쿵 (Jalan Menikung)》
- 타우픽 이스마일(Taufik Ismail) (1935년생): 《말루 (아쿠) 자디 오랑 인도네시아 (Malu (Aku) Jadi Orang Indonesia)》, 《티라니 단 벤텅 (Tirani dan Benteng)》, 《부쿠 타무 무심 페르주앙안 (Buku Tamu Musim Perjuangan)》, 《사작 라당 자궁 (Sajak Ladang Jagung)》, 《케날칸 (Kenalkan)》, 《사야 헤완 (Saya Hewan)》, 《푸이시-푸이시 랑잇 (Puisi-puisi Langit)》
- 구나완 모하마드(Goenawan Mohamad) (1941년생): 《파리케시트 (Parikesit)》 (1969), 《인터루드 (Interlude)》 (1971), 《포트렛 스오랑 펜야이르 무다 스버가이 시 말린 쿤당 (Potret Seorang Penyair Muda Sebagai Si Malin Kundang)》 (1972), 《섹스, 사스트라, 단 키타 (Seks, Sastra, dan Kita)》 (1980)
4. 6. 1980-1990 세대
이 시대 인도네시아 문학은 로맨스 소설이 주도했다. 또한 시인들은 여성성과 인도네시아에 존재하는 여성의 독특한 성 정체성과 같은 개념을 탐구했는데, 투티 하라티(Toeti Haraty)와 시토르 시투모랑(Sitor Situmorang)의 작품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정체성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제3의 성 개념과 관련이 있다. (태국의 경우는 카토이(kathoey) 참조). 그 외에도 1980년대는 힐만 하리위자야(Hilman Hariwijaya)가 쓴 루푸스(Lupus)와 같은 인기 스토리의 부상으로 특징지어진다.4. 6. 1. 주요 작가 및 작품
- 유숩 빌랴르타 망운위자야(W. B. Mangunwijaya)
- * 메추라기 새들 (Burung-burung Manyar, 1981)
- 부디 다르마(Budi Darma)
- * 오랑-오랑 블룸링턴(Orang-Orang Bloomington, 1980)
- 아마둔 요시 헤르판다(Ahmadun Yosi Herfanda)

- 세노 구미라 아지다르마 (1958년생)
- * 인간의 방 (Manusia Kamar, 1988)
- * 목격자 (Saksi Mata, 1994)
- * 욕실에서 노래하는 것을 금합니다 (Dilarang Menyanyi di Kamar Mandi, 1995)
- 아르스웬도 아트모윌로토
- * 칸팅 (Canting, 1986)
- 힐만 하리위자야
- * 루푸스 - 28편의 소설 (Lupus, 1986–2007)
- * 어린 루푸스 - 13편의 소설 (Lupus Kecil, 1989–2003)
- * 롤라 롤러스케이트 (Olga Sepatu Roda, 1992)
- * 십대 루푸스 - 11편의 소설 (Lupus ABG, 1995–2005)
- 토에티 헤라티 (1933–2021)
- * 1938년 여성의 그림 (Lukisan Wanita 1938, 1989)
- * 오슬로에서 온 편지 (Surat Dari Olso, 1985)
- 아마두운 요시 헤르판다 (1958년생)
- * 푸른 들판 (Ladang Hijau, 1980)
- * 무용수의 시 (Sajak Penari, 1990)
- * 웃기 전에 금지합니다 (Sebelum Tertawa Dilarang, 1997)
- * 패배의 단편들 (Fragmen-fragmen Kekalahan, 1997)
- * 풀의 기도 (Sembahyang Rumputan, 1997)
- 도로테아 로사 헤르리아니
- * 시끄러운 노래 (Nyanyian Gaduh, 1987)
- * 흐르는 태양 (Matahari yang Mengalir, 1990)
- * 고요한 고치 (Kepompong Sunyi, 1993)
- * 억새 결혼식 (Nikah Ilalang, 1995)
- * 떨어지는 올리브 잎의 꿈 (Mimpi Gugur Daun Zaitun, 1999)
- 탄 리오 이에 (1958년생)
- * 우리는 형제입니다 (Kita Bersausara, 1991)
- * 치암 시: 예언의 시들 (Ciam Si: Puisi-puisi Ramalan, 2015)
- 라트나 인드라스와리 (1949–2011)
- * 람포르 (Lampor, 1994)
- * 레마 탄중 (Lemah Tanjung, 2003)
- * 도니의 가방 속 립스틱 (Lipstik di Tas Doni, 2007)
- 아프리잘 말나
- * 달리는 세기 (Abad Yang Berlari, 1984)
- * 마이크로폰 속에 머무르는 것 (Yang Berdiam Dalam Mikropon, 1990)
- * 비의 건축 (Arsitektur Hujan, 1995)
- * 친구로부터 받은 목걸이 (Kalung Dari Teman, 1998)
- Y.B 망군위자야 (1929-1999)
- * 메추라기 새들 (Burung-burung Manyar, 1981)
- 소니 파리드 마울라나 (1962-2022)
- * 한 장의 안개 (Sehampar Kabut, 2006)
- * 안가사나 (Angsana, 2007)
- * 물의 발자국 (Telapak Air, 2013)
- * 시 쓰기, 하나의 경험 (Menulis Puisi Sebuah Pengalaman, 2013)
- 다르만 무니르
- * 바코 (Bako, 1983)
- * 덴당 (Dendang, 1988)
- 구스타프 리잘
- * 네모난 깨진 면 (Segi Empat Patah Sisi, 1990)
- * 세 개의 다리가 없는 삼각형 (Segi Tiga Lepas Kaki, 1991)
- * 벤 (Ben, 1992)
- * 빛의 반짝임과 눈먼 여자 (Kemilau Cahaya dan Perempuan Buta, 1999)
- 신두나타
- * 요정이 바람을 몰고 (Anak Bajang Menggiring Angin, 1984)
- 레미 실라도 (1945년생)
- * 카 바우 칸 (Ca Bau Kan, 1999)
- * 진홍색 베일 (Kerudung Merah Kirmizi, 2002)
- 위지 투쿨 (1963년생)
- * 펠로 시 (Puisi Pelo, 1984)
- * 다르만과 다른 사람들 (Darman dan Lain-lain, 1994)
- * 넓은 땅을 찾아서 (Mencari Tanah Lapang, 1994)
- 밤방 위디아트모코 (생년 미상)
- * 전투 (Pertempuran, 1980)
- * 시계 종교 (Agama Jam, 2002)
- * 이야기 단어 (Hikayat Kata, 2011)
4. 7. 레포르마시 세대 (1998-2004)
위지 투쿨(Widji Thukul)은 수하르토 시대 이후 인도네시아의 첫 번째 세대이다. 이 시대의 주목할 만한 성과 중 하나는 2000년경에 등장하여 정치, 종교, 성과 같은 논란이 되는 문제들을 다룬 젊은 도시 인도네시아 여성들이 쓴 문학 운동인 ''사스트라 왕이''이다.[34]- 위지 투쿨(Widji Thukul)
- 아유 우타미(Ayu Utami)

- * 사만 (1998)
4. 7. 1. 주요 작가 및 작품
- 위지 투쿨(Widji Thukul)
- 아유 우타미(Ayu Utami)
- * 사만 (1998)
4. 8. 2000 세대 (2000년대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도네시아 문학은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실험하는 경향을 보이며 발전하고 있다. 특히 여성 작가들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아유 우타미(Ayu Utami)
- * 사만(Saman)
- 세노 구미라 아지다르마(Seno Gumira Ajidarma)
- 데위 르스타리(Dewi Lestari)
- 안드레아 히라타(Andrea Hirata)
- * 블리퉁섬의 무지개 학교(원제 Laskar Pelangi )
- 안드레아 히라타(Andrea Hirata) (1967년생)
- * 라스카르 펠랑이(Laskar Pelangi, 2005)
- * 상 펨핌피(Sang Pemimpi, 2006)
- * 에덴소르 (Edensor, 2007)
- * 마리아마 카르포프 (Maryamah Karpov, 2008)
- * 드윌로기 파당 불란 & 친타 디 달람 겔라스 (Dwilogi Padang Bulan & Cinta Di Dalam Gelas, 2010)
- * 세벨라스 파트리오트 (Sebelas Patriot, 2011)
- * 시르쿠스 포혼 (Sirkus Pohon, 2017)
- * 오랑-오랑 비아사 (Orang-Orang Biasa, 2019)
- 데위 르스타리(Dewi Lestari)
- 아유 우타미(Ayu Utami)
- * 사만(Saman)
- 세노 구미라 아지다르마(Seno Gumira Ajidarma)
- 이르마 아그리안티(Irma Agryanti) (1986년생)
- * 레퀴엠 인가탄 (Requiem Ingatan, 2013)
- * 안징 구눙 (Anjing Gunung, 2018)
- 에르니 알라드자이(Erni Aladjai) (1985년생)
- * 페산 친타 다리 후잔 (Pesan Cinta dari Hujan, 2010)
- * 케이 (Kei, 2012)
- 삽다 아르만디오(Sabda Armandio) (1991년생)
- * 카무: 체리타 양 티닥 페를루 디페르차야 (Kamu: Cerita yang Tidak Perlu Dipercaya, 2015)
- * 24 아워스 위드 가스파르: 어 디텍티브 스토리 (24 Hours with Gaspar: A Detective Story, 2019 [2017])
- 베니 아르나스(Benny Arnas) (1983년생)
- * 친타탁 페르나흐 투아 (Cinta Tak Pernah Tua, 2014)
- * 께푸난 (Kepunan, 2016)
- * 커리큘럼 비타에 (Curriculum Vitae, 2017)
- 프리마도나 안젤라(Primadonna Angela) (1976년생)
- * 레셉 친타 (Resep Cinta, 2007)
- * 두니아 아라디아 (Dunia Aradia, 2009)
- 리아 N. 바다리아(Ria N. Badaria) (1984년생)
- * 포르투나타 (Fortunata, 2008)
- 릴리 율리안티 파리드(Lily Yulianti Farid) (1971년생)
- * 마이아사우라 (Maiasaura, 2008)
- * 마꾼라이 (Makkunrai, 2008)
- * 패밀리 룸 (Family Room, 2010)
- 아마드 푸아디(Ahmad Fuadi) (1972년생)
- * 네게리 5 메나라 (Negeri 5 Menara, 2009)
- * 라나 3 와르나 (Ranah 3 Warna, 2011)
- * 란타우 1 무아라 (Rantau 1 Muara, 2013)
- * 아낙 란타우 (Anak Rantau, 2017)
- 마후드 이크완(Mahfud Ikhwan) (1980년생)
- * 캄빙 단 후잔: 스부아 로만 (Kambing dan Hujan: Sebuah Roman, 2015)
- * 다욱: 키사 켈라부 다리 룸북 란두 (Dawuk: Kisah Kelabu dari Rumbuk Randu, 2017)
- * 안와르 토하리 멘차리 마티 (Anwar Tohari Mencari Mati, 2021)
- 리오 요한(Rio Johan) (1990년생)
- * 이부 수수 (Ibu Susu, 2017)
- * 레카야사 부아 (Rekayasa Buah, 2021)
- 누눅 Y. 쿠스미아나(Nunuk Y. Kusmiana) (생년 미상)
- * 렝킹 부룽 카수아리 (Lengking Burung Kasuari, 2016)
- * 가디스 페시시르 (Gadis Pesisir, 2019)
- * 위파사나 (Wipassana, 2019)
- 오키 마다사리(Okky Madasari) (1984년생)
- * 엔트록 (Entrok, 2010)
- * 마리아 (Maryam, 2012)
- * 케루무난 테라키르 (Kerumunan Terakhir, 2016)
- * 양 베르타한 단 비나사 퍼라한 (Yang Bertahan dan Binasa Perlahan, 2017)
- 이카 나타사(Ika Natassa) (1977년생)
- * 트위보르티아레 (Twivortiare, 2012)
- * 크리티컬 일레븐 (Critical Eleven, 2015)
- 마리나 노비안티(Marina Novianti) (1971년생)
- * 아쿠 마티 디 판타이 (Aku Mati Di Pantai, 2012)
- * 렐라키 베루시아 세하리 (Lelaki Berusia Sehari, 2018)
- * 스리부 밈피 시 보루 파레메 (Seribu Mimpi Si Boru Pareme, 2020)
- 이베 S. 팔로가이(Ibe S. Palogai) (1993년생)
- * 쿠아차 부룩 스부아 부쿠 푸이시 (Cuaca Buruk Sebuah Buku Puisi, 2018)
- * 스트룩투르 친타 양 푸다르 (Struktur Cinta yang Pudar, 2019)
- 유시 아비안티 파레아놈(Yusi Avianti Pareanom) (1968년생)
- * 그레이브 씬 No. 14 앤드 아더 스토리즈 (Grave Sin No. 14 and Other Stories, 2015)
- * 라덴 만다시아 시 펜추리 다깅 사피 (Raden Mandasia Si Pencuri Daging Sapi, 2016)
- 디마스 인디아나 센자(Dimas Indiana Senja) (1990년생)
- * 나드홈 친타 (Nadhom Cinta, 2012)
- * 술룩센자 (SulukSenja, 2015)
- 키키 술리스티오(Kiki Sulistyo) (1978년생)
- * 디 암페난, 아파 라기 양 카우 카리? (Di Ampenan, Apa Lagi yang Kau Cari?, 2017)
- 일라나 탄(Ilana Tan) (생년 미상)
- * 서머 인 서울 (Summer in Seoul, 2006)
- * 오텀 인 파리스 (Autumn in Paris, 2007)
- * 윈터 인 도쿄 (Winter in Tokyo, 2008)
- * 스프링 인 런던 (Spring in London, 2010)
- 알로이시우스 슬라멧 위도도(Aloysius Slamet Widodo) (1952년생)
- * 켄튭 (Kentut, 2006)
- * 나마쿠 인도네시아 (Namaku Indonesia, 2012)
- 지기 제스야제오비엔나자브리스키(Ziggy Zezsyazeoviennazabrizkie) (1993년생)
- * 디 타나 라다 (Di Tanah Lada, 2015)
- * 스무아 이칸 디 랑잇 (Semua Ikan di Langit, 2016)
4. 8. 1. 주요 작가 및 작품
- 안드레아 히라타(Andrea Hirata) (1967년생)
- * 라스카르 펠랑이(Laskar Pelangi, 2005)
- * 상 펨핌피(Sang Pemimpi, 2006)
- * 에덴소르 (Edensor, 2007)
- * 마리아마 카르포프 (Maryamah Karpov, 2008)
- * 드윌로기 파당 불란 & 친타 디 달람 겔라스 (Dwilogi Padang Bulan & Cinta Di Dalam Gelas, 2010)
- * 세벨라스 파트리오트 (Sebelas Patriot, 2011)
- * 시르쿠스 포혼 (Sirkus Pohon, 2017)
- * 오랑-오랑 비아사 (Orang-Orang Biasa, 2019)
- 데위 르스타리(Dewi Lestari)
- 아유 우타미(Ayu Utami)
- * 사만(Saman)
- 세노 구미라 아지다르마(Seno Gumira Ajidarma)
- 이르마 아그리안티(Irma Agryanti) (1986년생)
- * 레퀴엠 인가탄 (Requiem Ingatan, 2013)
- * 안징 구눙 (Anjing Gunung, 2018)
- 에르니 알라드자이(Erni Aladjai) (1985년생)
- * 페산 친타 다리 후잔 (Pesan Cinta dari Hujan, 2010)
- * 케이 (Kei, 2012)
- 삽다 아르만디오(Sabda Armandio) (1991년생)
- * 카무: 체리타 양 티닥 페를루 디페르차야 (Kamu: Cerita yang Tidak Perlu Dipercaya, 2015)
- * 24 아워스 위드 가스파르: 어 디텍티브 스토리 (24 Hours with Gaspar: A Detective Story, 2019 [2017])
- 베니 아르나스(Benny Arnas) (1983년생)
- * 친타탁 페르나흐 투아 (Cinta Tak Pernah Tua, 2014)
- * 께푸난 (Kepunan, 2016)
- * 커리큘럼 비타에 (Curriculum Vitae, 2017)
- 프리마도나 안젤라(Primadonna Angela) (1976년생)
- * 레셉 친타 (Resep Cinta, 2007)
- * 두니아 아라디아 (Dunia Aradia, 2009)
- 리아 N. 바다리아(Ria N. Badaria) (1984년생)
- * 포르투나타 (Fortunata, 2008)
- 릴리 율리안티 파리드(Lily Yulianti Farid) (1971년생)
- * 마이아사우라 (Maiasaura, 2008)
- * 마꾼라이 (Makkunrai, 2008)
- * 패밀리 룸 (Family Room, 2010)
- 아마드 푸아디(Ahmad Fuadi) (1972년생)
- * 네게리 5 메나라 (Negeri 5 Menara, 2009)
- * 라나 3 와르나 (Ranah 3 Warna, 2011)
- * 란타우 1 무아라 (Rantau 1 Muara, 2013)
- * 아낙 란타우 (Anak Rantau, 2017)
- 마후드 이크완(Mahfud Ikhwan) (1980년생)
- * 캄빙 단 후잔: 스부아 로만 (Kambing dan Hujan: Sebuah Roman, 2015)
- * 다욱: 키사 켈라부 다리 룸북 란두 (Dawuk: Kisah Kelabu dari Rumbuk Randu, 2017)
- * 안와르 토하리 멘차리 마티 (Anwar Tohari Mencari Mati, 2021)
- 리오 요한(Rio Johan) (1990년생)
- * 이부 수수 (Ibu Susu, 2017)
- * 레카야사 부아 (Rekayasa Buah, 2021)
- 누눅 Y. 쿠스미아나(Nunuk Y. Kusmiana) (생년 미상)
- * 렝킹 부룽 카수아리 (Lengking Burung Kasuari, 2016)
- * 가디스 페시시르 (Gadis Pesisir, 2019)
- * 위파사나 (Wipassana, 2019)
- 오키 마다사리(Okky Madasari) (1984년생)
- * 엔트록 (Entrok, 2010)
- * 마리아 (Maryam, 2012)
- * 케루무난 테라키르 (Kerumunan Terakhir, 2016)
- * 양 베르타한 단 비나사 퍼라한 (Yang Bertahan dan Binasa Perlahan, 2017)
- 이카 나타사(Ika Natassa) (1977년생)
- * 트위보르티아레 (Twivortiare, 2012)
- * 크리티컬 일레븐 (Critical Eleven, 2015)
- 마리나 노비안티(Marina Novianti) (1971년생)
- * 아쿠 마티 디 판타이 (Aku Mati Di Pantai, 2012)
- * 렐라키 베루시아 세하리 (Lelaki Berusia Sehari, 2018)
- * 스리부 밈피 시 보루 파레메 (Seribu Mimpi Si Boru Pareme, 2020)
- 이베 S. 팔로가이(Ibe S. Palogai) (1993년생)
- * 쿠아차 부룩 스부아 부쿠 푸이시 (Cuaca Buruk Sebuah Buku Puisi, 2018)
- * 스트룩투르 친타 양 푸다르 (Struktur Cinta yang Pudar, 2019)
- 유시 아비안티 파레아놈(Yusi Avianti Pareanom) (1968년생)
- * 그레이브 씬 No. 14 앤드 아더 스토리즈 (Grave Sin No. 14 and Other Stories, 2015)
- * 라덴 만다시아 시 펜추리 다깅 사피 (Raden Mandasia Si Pencuri Daging Sapi, 2016)
- 디마스 인디아나 센자(Dimas Indiana Senja) (1990년생)
- * 나드홈 친타 (Nadhom Cinta, 2012)
- * 술룩센자 (SulukSenja, 2015)
- 키키 술리스티오(Kiki Sulistyo) (1978년생)
- * 디 암페난, 아파 라기 양 카우 카리? (Di Ampenan, Apa Lagi yang Kau Cari?, 2017)
- 일라나 탄(Ilana Tan) (생년 미상)
- * 서머 인 서울 (Summer in Seoul, 2006)
- * 오텀 인 파리스 (Autumn in Paris, 2007)
- * 윈터 인 도쿄 (Winter in Tokyo, 2008)
- * 스프링 인 런던 (Spring in London, 2010)
- 알로이시우스 슬라멧 위도도(Aloysius Slamet Widodo) (1952년생)
- * 켄튭 (Kentut, 2006)
- * 나마쿠 인도네시아 (Namaku Indonesia, 2012)
- 지기 제스야제오비엔나자브리스키(Ziggy Zezsyazeoviennazabrizkie) (1993년생)
- * 디 타나 라다 (Di Tanah Lada, 2015)
- * 스무아 이칸 디 랑잇 (Semua Ikan di Langit, 2016)
참조
[1]
웹페이지
Languages of Indonesia
[2]
서적
[3]
서적
[4]
웹페이지
Malay Canonical Texts
http://lawpark.jimdo[...]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Seribu Tahun Nusantara
[9]
서적
Ringkasan dan Ulasan Novel Indonesia Modern
Grasindo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웹페이지
Spelling reform#Indonesian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Pengantar Sejarah Sastra Indonesia
Grasindo
[33]
논문
Knowing Indonesia from Afar: Indonesian Exiles and Australian Academics
http://arts.monash.e[...]
17th Biennial Conference on the Asian Studies Association of Australia
2012-03-16
[34]
뉴스
Chick-lit becomes Hip Lit in Indonesia
http://news.bbc.co.u[...]
BBC News
2003-09-10
[35]
서적
인도네시아 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