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스 웨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 웨인은 1860년에 태어난 영국의 예술가로, 의인화된 고양이 그림으로 유명하다. 그는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며 여러 잡지에 그림을 게재했고, 100권이 넘는 어린이 책의 삽화를 그렸다. 웨인은 경제적인 어려움과 정신 질환을 겪었으며, 그의 작품은 정신 분열증의 증상을 보여주는 예시로 언급되기도 한다. 그는 고양이에 대한 권위자로 인정받아 고양이 클럽 회장을 역임했으며, 그의 삶은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미술가 - 로렌스 언홀트
1980년대부터 그림책에 관심을 갖고 아내 헬렌 언홀트와 함께 그림책을 만들기 시작한 로렌스 언홀트는 《정말 못된 늑대 이야기》를 시작으로 '루이스 시리즈'를 포함하여 60권이 넘는 그림책을 출판한 일러스트레이터이다. - 아웃사이더 예술가 - 릴 비
미국의 래퍼 릴 비는 힙합 그룹 The Pack 멤버로 데뷔해 "Vans"로 인기를 얻었으며, 솔로 활동 후 실험적인 스타일과 'Based' 철학으로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고, 작가, 연설가, 앱 개발자로도 활동하며 다른 래퍼 및 NBA 선수들과의 갈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 아웃사이더 예술가 - 세라핀 루이
프랑스 화가 세라핀 루이는 독학으로 그림을 시작해 풍성하고 화려한 화풍을 선보였으며, 수호 천사의 계시를 받았다고 믿고 그림을 그리다 독일 미술 평론가의 후원을 받았으나 정신 질환으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과 예술은 영화 등으로 재조명되었으며 작품은 여러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프랑스계 잉글랜드인 - 헨리 7세
헨리 7세는 1485년 보즈워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 튜더 왕조를 창시하고, 요크 가문과의 결혼을 통해 장미 전쟁을 종식시키며 왕권을 강화하고 잉글랜드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한 인물이다. - 프랑스계 잉글랜드인 - 헨리 5세
헨리 5세는 1413년부터 1422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랭커스터 왕조의 두 번째 왕으로, 왕권 강화, 프랑스와의 아쟁쿠르 전투 승리, 트루아 조약으로 프랑스 왕위 계승권 확보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셰익스피어 희곡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루이스 웨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루이스 윌리엄 웨인 |
출생 | 1860년 8월 5일 |
출생지 | 클러큰웰, 런던, 잉글랜드 |
사망 | 1939년 7월 4일 |
사망지 | 냅스베리 병원, 런던 콜니, 하트퍼드셔, 잉글랜드 |
안장지 | 세인트 메리 가톨릭 묘지, 켄설 그린, 런던 |
직업 | 화가 |
배우자 | 에밀리 리처드슨 (1884년 결혼, 1887년 사별) |
예술 활동 | |
분야 | 화가 |
대상 | 주로 고양이 |
2. 생애
루이스 웨인은 1860년 8월 5일 런던 클러큰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윌리엄 매튜 웨인은 섬유 상인이었고, 어머니 줄리 펠리시 보이트는 프랑스 출신이었다.[17] 웨인은 여섯 남매 중 첫째이자 외아들이었다. 그의 다섯 여자 형제는 모두 결혼하지 않았고, 서른 살 때 막내 동생은 정신병으로 정신병원에 입원하였다. 남은 자매들은 어머니와 평생을 함께 보냈으며, 루이스 또한 삶의 대부분을 이들과 함께 했다.
웨인은 구순구개열을 가지고 태어났다. 의사는 웨인의 부모에게 그가 열 살이 될 때까지 학교에 보내지 말 것을 권고했다. 어린 시절, 그는 학교를 자주 빠지고 런던을 돌아다니며 시간을 보냈다. 이후 웨스트 런던 예술 학교에서 공부하였고, 그곳에서 짧은 기간 동안 교사로 일했다. 스무 살이 되던 해, 웨인은 아버지가 사망한 후 어머니와 다섯 동생의 생계를 책임지게 되었다.
웨인은 곧 교사를 그만두고 프리랜서 미술가가 되었다. 그는 동물과 시골 풍경을 전문으로 그렸으며, 《일러스트레이티드 스포팅 앤 드라마틱 뉴스》에서 4년간 일했고, 1886년부터는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에서 일하였다. 1880년대 웨인의 작품에는 영국 시골 주택과 토지의 세밀한 삽화, 농업박람회의 의뢰로 그린 가축 그림 등이 있었다. 이 시기 그의 작품에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이 담겼으며, 그는 평생 동안 다양한 동물을 그리는 실력을 유지했다. 한때 그는 개 초상화를 그려 생계를 유지하려 했다.
웨인은 스물세 살 때 여동생들의 여자 가정교사였던 에밀리 리처드슨과 결혼하여 런던 북부 햄프스티드로 이주하였다. 에밀리는 웨인보다 열 살 연상이었는데, 이는 당시 영국 사회에서 다소 문제가 되었다. 에밀리는 얼마 지나지 않아 유방암에 걸렸고, 결혼한 지 3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에밀리가 투병하는 동안, 부부는 비 오는 밤 울고 있는 고양이 소리를 듣고 검정과 하양 무늬를 가진 새끼 길고양이를 구조하여 피터라고 이름 지었다. 에밀리는 반려묘 피터로부터 많은 위로를 받았고, 루이스는 피터의 모습을 스케치하기 시작했다. 에밀리는 이 스케치들을 출판하도록 권유하였으나, 작품이 출판되기 전에 사망했다. 웨인은 계속해서 고양이 스케치를 그렸고, 훗날 피터에 대해 "단언컨대, 그는 내 경력의 창립이고, 내 최초의 노력의 발전이며, 내 작품을 성립시켰다."라고 회고했다.
1886년, 웨인이 처음으로 그린 의인화한 고양이가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의 크리스마스 특집에 "새끼 고양이들의 크리스마스 파티"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이 삽화는 피터를 닮은 150마리의 고양이가 초대장을 보내고, 종을 달고, 게임을 하고,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열한 조각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삽화의 고양이들은 아직 네 발로 걷고 옷을 입지 않았으며, 웨인의 후기 작품에서 나타나는 사람과 같은 다양한 감정 표현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이듬해부터 웨인이 묘사하는 고양이는 서서 걷고, 활짝 웃는 표정에 다른 과장된 표정도 지었으며, 투박하고 현대적인 옷을 입기도 하였다. 웨인의 삽화는 고양이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홍차를 마시고, 트럼프를 하고, 낚시를 하고, 흡연을 하고, 오페라에서 밤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의인화된 동물 묘사는 빅토리아 시대에 큰 인기를 끌었으며, 그림엽서와 존 테니얼의 풍자화 등에도 종종 등장했다.
웨인은 이후 30년 동안 다작을 하며 1년에 수백 점의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그는 백여 권의 어린이 도서 삽화를 그렸고, 그의 작품은 신문, 잡지, 그림 엽서 등 다양한 매체에 실렸다. 1901년부터 1915년까지는 《루이스 웨인 애뉴얼》이 발간되기도 했다. 1898년과 1911년에는 국제 고양이 클럽의 의장을 역임했다.
웨인의 삽화는 종종 인간의 행동, 유행, 패션을 풍자했다. 그는 "나는 식당이나 공공장소로 스케치북을 들고 가서 다른 자세를 가진 사람들의 모습을 가능한 한 그들의 인간적 특징에 가깝게 고양이로 그려낸다. 이것은 내게 이중성을 주며, 이 공부가 나의 가장 유머러스한 작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라고 기록했다.
웨인은 우리의 말 못하는 친구 연맹 관리 이사회, 고양이 보호를 위한 협회, 동물 생체해부 반대 협회 등 동물 자선 단체에서 활동했다. 그는 또한 국제 고양이 클럽에서 활동하며 위원회의 총장과 의장을 맡기도 했다. 그는 잉글랜드에서 고양이가 받는 멸시를 없애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믿었다.
웨인은 작품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평생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어머니와 자매들을 부양해야 했지만, 사업 감각이 부족했다. 웨인은 겸손하고 순진하여 쉽게 착취당했고, 출판 시장에서 불리한 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았다. 그는 종종 그림의 복제 생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고 작품을 완전히 팔아버렸다. 그는 새로운 발명이나 사업 계획에 투자했다가 사기를 당하기도 했다.
1907년, 웨인은 허스트 코퍼레이션 신문에 〈캣츠 어바웃 타운〉과 〈그리말킨〉 등의 코믹 스트립을 그리기 위해 뉴욕으로 갔다. 그의 작품은 뉴욕에서 큰 인기를 얻었지만, 비판적인 자세로 인해 언론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그는 새로운 형태의 호롱에 경솔하게 투자하여 이전보다 더 적은 돈을 가지고 영국으로 돌아왔다.
2. 1. 초기 생애
루이스 윌리엄 웨인은 1860년 8월 5일 런던 클러큰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윌리엄 매튜 웨인은 섬유 상인이었고, 어머니 줄리 펠리시 보이트는 프랑스 출신 교회 자수사였다. 웨인은 여섯 남매 중 첫째이자 외아들이었다. 그의 다섯 여자 형제는 모두 결혼하지 않았고, 서른 살 때 막내 동생은 정신병으로 정신병원에 입원하였다. 남은 자매들은 어머니와 평생을 함께 보냈으며, 루이스 또한 삶의 대부분을 이들과 함께 했다.웨인은 구순구개열을 가지고 태어났다. 의사는 웨인의 부모에게 그가 열 살이 될 때까지 학교에 보내지 말 것을 권고했다. 어린 시절, 그는 학교를 자주 빠지고 런던을 돌아다니거나, 로열 폴리테크닉 연구소에서 강의를 듣거나, 시골로 곤충 채집을 다니며 시간을 보냈다. 이후 루이스는 세인트 조셉 아카데미를 거쳐 웨스트 런던 미술학교에서 공부하였고, 그곳에서 짧은 기간 동안 교사로 일했다. 스무 살이 되던 해, 웨인은 아버지가 사망한 후 어머니와 다섯 동생의 생계를 책임지게 되었다.[1][2]
웨인은 곧 교사를 그만두고 프리랜서 미술가가 되었다. 그는 동물과 시골 풍경을 전문으로 그렸으며, 《일러스트레이티드 스포팅 앤 드라마틱 뉴스》에서 4년간 일했고, 1886년부터는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에서 일하였다. 1880년대 웨인의 작품에는 영국 시골 주택과 토지의 세밀한 삽화, 농업박람회의 의뢰로 그린 가축 그림 등이 있었다. 이 시기 그의 작품에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이 담겼으며, 그는 평생 동안 다양한 동물을 그리는 실력을 유지했다. 한때 그는 개 초상화를 그려 생계를 유지하려 했다.
웨인은 스물세 살 때 여동생들의 여자 가정교사였던 에밀리 리처드슨과 결혼하여 런던 북부 햄프스티드로 이주하였다. 에밀리는 웨인보다 열 살 연상이었는데, 이는 당시 영국 사회에서 다소 문제가 되었다. 에밀리는 얼마 지나지 않아 유방암에 걸렸고, 결혼한 지 3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에밀리가 투병하는 동안, 부부는 비 오는 밤 울고 있는 고양이 소리를 듣고 검정과 하양 무늬를 가진 새끼 길고양이를 구조하여 피터라고 이름 지었다. 에밀리는 반려묘 피터로부터 많은 위로를 받았고, 루이스는 피터의 모습을 스케치하기 시작했다. 에밀리는 이 스케치들을 출판하도록 권유하였으나, 작품이 출판되기 전에 사망했다. 웨인은 계속해서 고양이 스케치를 그렸고, 훗날 피터에 대해 "단언컨대, 그는 내 경력의 창립이고, 내 최초의 노력의 발전이며, 내 작품을 성립시켰다."라고 회고했다. 피터의 모습은 웨인의 초기 출판 작품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1886년, 웨인이 처음으로 그린 의인화한 고양이가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의 크리스마스 특집에 "새끼 고양이들의 크리스마스 파티"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이 삽화는 피터를 닮은 것도 많은 150마리의 고양이가 초대장을 보내고, 종을 달고, 게임을 하고,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열한 조각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삽화의 고양이들은 아직 네 발로 걷고 옷을 입지 않았으며, 웨인의 후기 작품에서 나타나는 사람과 같은 다양한 감정 표현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그는 조지 헨리 톰슨이라는 가명으로 어니스트 니스터가 출판하고 클립튼 빙햄이 지은 수많은 어린이용 도서의 삽화를 그리기도 했다.
이듬해부터 웨인이 묘사하는 고양이는 서서 걷고, 활짝 웃는 표정에 다른 과장된 표정도 지었으며, 투박하고 현대적인 옷을 입기도 하였다. 웨인의 삽화는 고양이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홍차를 마시고, 트럼프를 하고, 낚시를 하고, 흡연을 하고, 오페라에서 밤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의인화된 동물 묘사는 빅토리아 시대에 큰 인기를 끌었으며, 그림엽서와 존 테니얼의 풍자화 등에도 종종 등장했다.
2. 2. 미술가 경력
루이스 웨인은 1880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어머니와 다섯 자매를 부양하기 위해 20세에 웨스트 런던 예술 학교의 교사직을 그만두고 프리랜서 미술가가 되었다. 그는 《일러스트레이티드 스포팅 앤 드라마틱 뉴스》와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등 여러 잡지에서 동물 그림과 시골 풍경을 전문으로 그렸다. 1880년대에는 영국 시골 주택과 토지, 농업 박람회의 가축 그림 등을 그렸다.[17] 한때 그는 개 초상화를 그려 생계를 유지하려 했다.23세에 웨인은 여동생들의 여자 가정교사였던 에밀리 리처드슨과 결혼했다. 에밀리는 웨인보다 10살 연상이었는데, 당시 영국 사회에서는 다소 논란이 되었다. 두 사람은 북런던 햄프스티드에서 살았지만, 에밀리는 유방암에 걸려 결혼 3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에밀리는 투병 중 반려묘 피터에게 큰 위로를 받았고, 웨인은 피터의 모습을 스케치하며 시간을 보냈다. 에밀리는 웨인에게 이 스케치들을 출판하도록 격려했고, 웨인은 이후 피터에 대해 "내 경력의 창립이고, 내 최초의 노력의 발전이며, 내 작품을 성립시켰다"라고 회고했다.
1886년, 웨인의 첫 의인화된 고양이 그림이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 크리스마스 특집에 "새끼 고양이들의 크리스마스 파티"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이 그림은 150마리의 고양이가 초대장을 보내고, 종을 달고, 게임을 하는 등 다양한 모습을 11개의 패널로 묘사했다. 이 고양이들은 아직 네 발로 걷고 옷을 입지 않았으며, 이후 웨인 작품의 특징인 인간적인 표정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듬해부터 웨인이 묘사하는 고양이는 뒷다리로 서서 걷고, 활짝 웃는 표정과 함께 다양한 표정을 짓고, 현대적인 옷을 입는 등 의인화된 모습으로 변화했다. 웨인의 삽화는 고양이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차를 마시고, 카드놀이를 하고, 낚시를 하고, 담배를 피우고, 오페라를 즐기는 등 인간의 행동을 패러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의인화된 동물 묘사는 빅토리아 시대에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인쇄물, 기념일 카드, 존 테니얼의 풍자 삽화 등에서 자주 등장했다.
웨인은 이후 30년 동안 다작을 하며 1년에 수백 점의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그는 백여 권의 어린이 도서 삽화를 그렸고, 그의 작품은 신문, 잡지, 그림 엽서 등 다양한 매체에 실렸다. 1901년부터 1915년까지는 《루이스 웨인 애뉴얼》이 발간되기도 했다. 1898년과 1911년에는 국제 고양이 클럽의 의장을 역임했다.
웨인의 삽화는 종종 인간의 행동, 유행, 패션을 풍자했다. 그는 "나는 식당이나 공공장소로 스케치북을 들고 가서 다른 자세를 가진 사람들의 모습을 가능한 한 그들의 인간적 특징에 가깝게 고양이로 그려낸다. 이것은 내게 이중성을 주며, 이 공부가 나의 가장 유머러스한 작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라고 기록했다.
웨인은 우리의 말 못하는 친구 연맹 관리 이사회, 고양이 보호를 위한 협회, 동물 생체해부 반대 협회 등 동물 자선 단체에서 활동했다. 그는 또한 국제 고양이 클럽에서 활동하며 위원회의 총장과 의장을 맡기도 했다. 그는 잉글랜드에서 고양이가 받는 멸시를 없애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믿었다.
웨인은 작품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평생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어머니와 자매들을 부양해야 했지만, 사업 감각이 부족했다. 웨인은 겸손하고 순진하여 쉽게 착취당했고, 출판 시장에서 불리한 계약을 맺는 경우가 많았다. 그는 종종 그림의 복제 생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고 작품을 완전히 팔아버렸다. 그는 새로운 발명이나 사업 계획에 투자했다가 사기를 당하기도 했다.
1907년, 웨인은 허스트 코퍼레이션 신문에 〈캣츠 어바웃 타운〉과 〈그리말킨〉 등의 코믹 스트립을 그리기 위해 뉴욕으로 갔다. 그의 작품은 뉴욕에서 큰 인기를 얻었지만, 비판적인 자세로 인해 언론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그는 새로운 형태의 등잔에 경솔하게 투자하여 이전보다 더 적은 돈을 가지고 영국으로 돌아왔다.
2. 3. 결혼과 고양이 사랑
웨인은 스물세 살 때 여동생들의 가정교사였던 에밀리 리처드슨과 결혼하여 런던 북부 햄프스티드로 이주하였다. 에밀리는 얼마 지나지 않아 유방암에 걸렸고, 결혼한 지 3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17] 에밀리가 병을 앓는 동안, 웨인은 그의 경력을 특징지을 주제를 발견하게 되었다. 어느 비 오는 날 밤, 부부는 울고 있는 새끼 길고양이 소리를 듣고 검정과 하양 무늬를 가진 고양이를 구조하여 피터라고 이름 지었다. 에밀리는 투병 기간 동안 반려묘 피터에게서 많은 위로를 받았고, 루이스는 그런 피터의 모습을 스케치하기 시작했다. 에밀리는 이 스케치들을 출판하도록 권유하였으나, 안타깝게도 출판 전에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웨인은 계속해서 고양이 그림을 그렸고, 훗날 피터에 대해 "내 경력의 창립이고, 내 최초의 노력의 발전이며, 내 작품을 성립시켰다"라고 회고했다.[17] 피터의 모습은 웨인의 초기 출판 작품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1886년, 웨인이 처음으로 그린 의인화된 고양이가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의 크리스마스 특집에 "새끼 고양이들의 크리스마스 파티"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이 삽화는 피터와 닮은 150마리의 고양이가 초대장을 보내고, 종을 달고, 게임을 하고,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열한 조각으로 묘사되었다. 이 삽화에서 고양이들은 아직 네 발로 걷고 옷을 입지 않은 상태였으며, 훗날 웨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인간과 같은 다양한 감정 표현은 보이지 않았다. 그는 조지 헨리 톰슨이라는 가명으로 어니스트 니스터가 출판하고 클립튼 빙햄이 지은 수많은 어린이용 도서의 삽화를 그리기도 했다.
이듬해부터 웨인이 묘사하는 고양이는 서서 걷고, 활짝 웃는 표정을 짓거나 과장된 표정을 짓는 등 더욱 인간다워졌으며, 투박하고 현대적인 옷을 입기도 하였다. 웨인의 삽화는 고양이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차를 대접하고, 카드놀이를 하고, 낚시를 하고, 담배를 피우고, 오페라에서 밤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의인화된 동물 묘사는 빅토리아 시대에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인쇄물, 기념일 카드, 존 테니얼의 풍자 삽화 등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었다.
2. 4. 의인화된 고양이 그림
1886년, 웨인이 처음으로 그린 의인화한 고양이가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의 크리스마스 특집에 "새끼 고양이들의 크리스마스 파티"라는 제목으로 실렸다.[17] 이 삽화는 피터를 닮은 것도 많은 150마리의 고양이가 초대장을 보내고, 종을 달고, 게임을 하고,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열한 조각으로 펼쳐져 묘사되어 있다.[17] 이 삽화에는 고양이들이 아직 네 발로 걷고 옷을 입지 않고 있으며, 웨인의 후기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과 같은 다양한 감정 표현을 하고 있지 않다. 그는 조지 헨리 톰슨이라는 가명으로 어니스트 니스터가 출판하고 클립튼 빙햄이 지은 수많은 어린이용 도서의 삽화를 그렸다.이듬해부터 웨인이 묘사하는 고양이는 서서 걷고, 대체로 웃는 표정에 다른 과장된 표정도 지었으며, 투박하고 현대적인 옷을 입기도 하였다. 웨인의 삽화는 고양이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차를 내오고, 카드놀이를 하고, 낚시를 하고, 담배를 피우고, 오페라에서 밤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의인화된 동물 묘사는 빅토리아 잉글랜드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인쇄물, 기념일 카드, 존 테니얼의 풍자 삽화에도 종종 찾아볼 수 있었다.
웨인은 그 다음 30년 동안 다작을 한 예술가였으며, 때때로 1년에 몇백 장이나 되는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다. 그는 백여 권의 어린이 도서 삽화를 그렸으며, 그의 작품은 신문, 잡지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1901년부터 1915년까지 《루이스 웨인 애뉴얼》이 발간되기도 하였다. 또한 그의 작품은 정기적으로 그림 엽서로 재생산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이 엽서들을 찾는 수집가들의 수요가 매우 높다. 웨인은 1898년과 1911년 국제 고양이 클럽의 의장을 역임하였다.
웨인의 삽화는 종종 인간의 행동, 풍자된 일시적 열풍, 당시의 패션을 패러디하였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나는 식당이나 공공장소로 스케치북을 들고 가서 다른 자세를 가진 사람들의 모습을 가능한 한 그들의 인간적 특징에 가깝게 고양이로 그려낸다. 이것은 내게 이중성을 주며, 이 공부가 나의 가장 유머러스한 작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1890년 고양이들의 크리스마스 파티를 그린 두 개의 삽화는 그가 고양이를 그리는 스타일의 새로운 발전을 보여주었는데, 웨인이 종종 공공장소에서 사람들의 예비 스케치를 하면서 고양이가 더 인간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다.
웨인의 작품에는 시대의 유행을 따라가려는 인간 사회에 대한 풍자와 비판이 담겨 있다. 웨인은 "레스토랑 등에 스케치북을 가지고 들어가,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을 고양이로 바꿔, 최대한 인간적인 모습을 남기면서 그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상의 이중성을 얻을 수 있고, 유머러스한 최고의 작품이 된다"라고 말했다.
2. 5. 경제적 어려움과 뉴욕 생활
웨인은 인기에도 불구하고 평생 동안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어머니와 여동생들을 부양해야 했지만, 사업 감각이 부족했다. 그는 순진하고 남에게 쉽게 속는 성격이었고, 출판 시장에 대한 이해도 부족했다. 그는 종종 그림의 저작권을 완전히 팔아넘겨 복제 권리를 주장하지 못했다.[17] 새로운 발명이나 사업 계획에 속아 사기를 당하기도 했다.1907년, 웨인은 뉴욕으로 건너가 허스트 신문사에서 〈캣츠 어바웃 타운〉(Cats About Town)과 〈그리말킨〉(Grimalkin) 등의 만화를 그렸다. 그의 작품은 큰 인기를 얻었지만, 뉴욕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로 인해 언론의 비난을 받았다. 그는 새로운 형태의 호롱에 경솔하게 투자했다가 돈을 잃고 영국으로 돌아왔다.[2][3]
3. 정신 질환
루이스 웨인은 말년에 정신 질환을 앓았으며, 이는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변 사람들에게 '매력적이지만 약간 이상한 사람'으로 평가받던 웨인은 점차 현실과 환상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증상을 보였다.
웨인은 정신 분열증 증세를 보이며 망상에 시달렸고, 다정했던 성격은 의심 많고 적대적인 성격으로 변했다. 그는 "영화 스크린의 깜빡임이 뇌에서 전기를 빼앗아 간다[11]"는 등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
1924년, 웨인은 가족들에 의해 스프링필드 정신 병원의 빈민 병동에 수용되었다. 1년 후, 허버트 조지 웰스 등의 탄원과 당시 수상의 개입으로 그의 치료 환경은 개선되었다. 그는 왕립 베들레헴 병원으로 옮겨졌고, 1930년에는 냅스버리 병원으로 전원되었다. 웨인은 사망할 때까지 이 시설에서 보내며, 이전처럼 고양이 그림을 그렸지만, 원색을 많이 사용한 추상적인 기하학 무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웨인의 작풍 변화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그의 정신 질환과 작풍 변화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특히, 그의 작품에 제작 날짜가 명확하게 기록되지 않아, 작품의 변화 순서와 정신 질환의 악화 정도를 정확하게 연결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3. 1. 발병과 증상
일부 학자는 웨인의 조현병 발병이 고양이의 배설물로 감염되는 톡소포자충에 의해 촉진되었다고 추측한다.[18] 톡소플라스마증이 조현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 학설은 1953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아직도 현재진행형인 연구 주제이다.[19][20][21][22]1924년, 그의 자매들이 더 이상 그의 변덕스러운 행동과 간헐적인 폭력을 견딜 수 없게 되자, 그는 투팅에 위치한 스프링필드 정신병원의 빈민 병동에 수용되었다. 1년 후, 그곳에서 발견되어 상황이 널리 알려지면서 H. G. 웰스 등의 탄원과 당시 수상의 개입으로 그의 치료 환경이 개선되었다. 웨인은 서더크의 베들렘 왕립 병원으로 이동하였고, 1930년에는 북런던 하트포드셔 주 세인트올번스 근처의 냅스버리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 병원은 정원과 고양이 무리가 많은 상대적으로 쾌적한 곳이었고, 그는 마지막 15년을 이곳에서 보냈다. 웨인은 점점 착란에 빠지기 시작했지만, 변덕스러운 감정 기복은 사그라들었고, 계속 재미삼아 그림을 그렸다. 이 시기에 그의 작품은 주요 주제는 동일하게 남아있었으나 밝은 색상, 꽃, 복잡하고 추상적인 무늬를 특징으로 하였다.
마이클 피츠제럴드 박사는 웨인의 조현병 가능성에 이의를 제기하며, 그의 증상이 아스퍼거 증후군에 더 가깝다고 주장하였다. 피츠제럴드는 웨인의 예술이 나이가 들면서 추상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지만, 조현병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화가로서의 기교 감소는 일어나지 않았다고 지적하였다.[24]
웨인이 그린 일련의 그림은 일반적으로 심리학 교과서에서 그의 심리 상태가 악화되면서 작풍도 변화한다고 추정하여 보여주는 예시로 사용된다. 그러나 웨인이 이 작품들에 날짜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교과서에 나오는 순서대로 그림이 그려졌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루이스 웨인: 고양이를 그린 남자》(Louis Wain: The Man Who Drew Cats)의 저자 로드니 데일은 이 그림들이 웨인의 정신 건강 악화의 예시로 사용될 수 있다는 믿음을 비판하며 "웨인은 틀에 박힌 고양이 그림을 그렸던 삶에서 아주 늦게 무늬와 고양이들을 실험하였고, 아마 10년 뒤 그의 [추측건대] '후기' 작품은 고양이보다 무늬에 가깝다"라고 적었다.[25]
2012년, 케빈 반 에켈렌 박사는 루이스 웨인의 초기 작품인 루이스 웨인 새끼 고양이 책(Louis Wain Kitten Book)에서 이미 정신병 환자의 무늬가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이 분석은 '정상'과 '광기' 사이의 연속에 초점을 맞춘 정신병의 모방적(지라디안)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26]
2012년 12월, 정신과 의사 데이비드 오플린 박사는 베들렘 왕립 병원 기록 보관소 박물관의 변화무쌍한 고양이 전시회 설명회에서, 이 일련의 작품들이 루이스 웨인과 정신과 의사 왈터 매클레이(1902~1964) 두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관점을 제의하였다. 오플린은 매클레이가 1930년대에 예술과 메스칼린이 정신병을 유발하는 상관관계에 대한 실험을 바탕으로, 이 그림들을 조현병 악화와 창조 능력 상실의 증거로 보았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하지만 아웃사이더 예술 경험에 따르면 이는 사실이 아니다. 오플린은 웨인의 후기 작품에서 정신병 악화가 아닌, 실험과 색상 사용을 보았다고 말했다. 그는 일련의 작품이 조합된 것이고 그림들이 1960년대부터 날짜가 기록되지 않았음에도 "작품에서 정신병의 악화라는 표현은 놀라울 정도로 끈질기다"며, 이 작품들이 "정신병원 예술의 모나리자"가 되었다고 말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웨인의 인기는 시들해졌다. 주변 사람들에게 '매력적이지만 약간 이상한 사람'으로 평가받던 웨인은 점차 현실과 환상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말하는 태도도 혀가 꼬여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게 되었고, 망상에 시달리며 다정했던 성격이 의심 많고 적대적으로 변했다. 웨인은 "영화 스크린의 깜빡임이 뇌에서 전기를 빼앗아 간다[11]"라고 주장하며, 밤에는 거리를 배회하고, 가구 배치를 বারবার 변경하고, 방에 틀어박혀 앞뒤가 맞지 않는 글을 썼다.
3. 2. 정신 병원 생활
1924년, 그의 자매들은 그의 변덕스러운 행동과 간헐적인 폭력을 더 이상 견딜 수 없어, 그를 투팅에 있는 스프링필드 정신병원의 빈민 병동에 수용했다.[23] 1년 후, 그는 그곳에서 발견되었고, 그가 처한 상황이 널리 알려지면서 H. G. 웰스와 총리의 사적인 중재를 통한 호소가 이어졌다. 웨인은 서더크의 베들렘 왕립 병원으로 이동했고, 1930년에는 런던 북부 하트포드셔 주 세인트올번스 근처의 냅스버리 병원으로 다시 옮겨졌다.[23] 이 병원은 정원과 고양이 무리가 있는 상대적으로 쾌적한 곳이었고, 그는 마지막 15년을 이곳에서 보냈다.[23] 웨인은 점점 착란 증세를 보였지만, 변덕스러운 감정 기복은 사그라들었고, 계속해서 그림을 그렸다. 이 시기 그의 작품은 주요 주제는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나, 밝은 색상, 꽃, 복잡하고 추상적인 무늬가 특징이었다.[23] 그는 1939년 7월 4일 사망하여 런던 켄잘그린의 세인트 메리 로만 카톨릭 공동묘지에 있는 아버지의 무덤에 함께 묻혔다.[23]

마이클 피츠제럴드 박사는 웨인의 조현병 가능성에 이의를 제기하며, 그의 증상이 아스퍼거 증후군에 더 가깝다고 주장했다.[24] 그는 웨인의 예술이 나이가 들면서 추상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지만, 조현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화가로서의 기교 감소는 일어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24]

웨인이 그린 일련의 그림은 일반적으로 심리학 교과서에서 그의 심리 상태가 악화되면서 화풍도 변화한다고 추정하여 보여주는 예시로 사용된다. 그러나 웨인이 이 작품들에 날짜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교과서에 나오는 순서대로 그림이 그려졌는지는 알 수 없다. 《루이스 웨인: 고양이를 그린 남자》의 저자 로드니 데일은 이 그림들이 웨인의 정신 건강 악화의 예시로 사용될 수 있다는 믿음을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웨인은 틀에 박힌 고양이 그림을 그렸던 삶에서 아주 늦게 무늬와 고양이들을 실험했고, 아마 10년 뒤 그의 [추측건대] '후기' 작품은 고양이보다 무늬에 가깝다."[25]
2012년, 케빈 반 에켈렌 박사는 1930년 루이스 웨인의 초기 (이야기) 작품인 루이스 웨인 새끼 고양이 책에서 이미 정신병 환자의 무늬가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이 분석은 '정상'과 '광기' 사이의 연속에 초점을 맞춘 정신병의 모방적(지라디안)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26]
2012년 12월, 정신과 의사 데이비드 오플린 박사는 베들렘 왕립 병원 기록 보관소 박물관의 변화무쌍한 고양이 전시회 설명회에서, 이 작품들이 루이스 웨인과 정신과 의사 왈터 매클레이(1902년~1964년) 두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관점을 제시했다. 오플린은 매클레이가 이 작품들을 1930년대 예술과 메스칼린이 정신병을 유발한다는 실험을 바탕으로 한, 조현병 악화와 인간 창조 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보았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아웃사이더 예술 경험에 따르면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오플린은 웨인의 후기 작품이 정신병 악화가 아닌, 중대한 실험과 색상 사용을 보여준다고 이해했다. 그림들이 1960년대부터 날짜가 기록되지 않았고, 작품 순서가 조합된 것으로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작품에서 정신병 악화를 보여주는 표현은 없으며, 놀라울 만큼 확고하다." 이 작품들은 "정신병원 예술의 모나리자"가 되었다.
3. 3. 작풍 변화에 대한 논쟁
루이스 웨인의 작풍 변화는 그의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일부 학자들은 웨인의 조현병이 고양이 배설물로 감염되는 톡소포자충에 의해 촉진되었다고 추측한다.[18] 톡소플라스마증이 조현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가설은 1953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여전히 연구 중인 주제이다.[19][20][21][22]
웨인은 1924년 스프링필드 정신병원에 수용되었고, 이후 H. G. 웰스와 총리의 중재로 베들렘 왕립 병원, 냅스버리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 시기 그의 작품은 밝은 색상, 꽃, 복잡하고 추상적인 무늬를 특징으로 한다.[23]
마이클 피츠제럴드 박사는 웨인의 증상이 아스퍼거 증후군에 더 가깝다고 주장하며, 그의 예술적 기교 감소는 일어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24]
웨인의 그림들은 심리학 교과서에서 정신 상태 악화에 따른 작풍 변화의 예시로 사용되지만, 그림에 날짜가 없어 정확한 순서는 알 수 없다. 로드니 데일은 웨인이 말년까지 틀에 박힌 고양이 그림을 그렸다고 비판한다.[25]
2012년 케빈 반 에켈렌 박사는 웨인의 초기 작품에서 이미 정신병적 징후가 나타난다고 주장했다.[26]
2012년 12월, 데이비드 오플린 박사는 웨인의 작품을 정신과 의사 왈터 매클레이가 의도적으로 배열했다고 주장했다. 오플린은 매클레이가 정신병 악화와 창조 능력의 상관관계를 주장하기 위해 웨인의 작품을 이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아웃사이더 예술 경험에 따르면, 웨인의 후기 작품은 정신병의 악화가 아닌 실험과 색상 사용의 중대한 변화를 보여준다.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웨인의 그림에 대한 수요는 감소했고, 그의 재정 상황은 악화되었다. 그는 영화 애니메이션에 잠시 손을 댔지만 실패했고, 1921년 마지막 ''루이스 웨인 연감''이 출판되었다. 이 책에 실린 웨인의 그림은 패턴화된 직물의 두드러짐이 특징이다.
1924년, 웨인은 정신이상자로 판정되어 스프링필드 정신 병원에 입원했다. 그는 병원에서도 계속 그림을 그렸고, 그의 누이들은 그림을 판매했다. 당시 총리였던 램지 맥도널드는 웨인의 누이들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고 국고 연금을 지급하도록 주선했다. 웨인은 베들레헴 병원으로 옮겨졌고, 이후 냅스베리 병원으로 옮겨져 그림을 계속 그렸다. 1931년 그의 작품 전시회가 성공적으로 열렸으며, 수익금은 그의 누이들에게 돌아갔다.
1938년 뇌졸중을 앓은 웨인은 1939년 사망하여 켄살 그린 세인트 메리 가톨릭 묘지에 묻혔다.
웨인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매력적이지만 약간 이상한 사람'으로 평가받았고, 점차 현실과 환상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그는 정신 분열증을 앓았고, 망상에 시달렸으며, 다정했던 성격에서 의심 많고 적대적인 성격으로 변했다. 그는 "영화 스크린의 깜빡임이 뇌에서 전기를 빼앗아 간다[11]"고 주장했다.
1924년, 웨인은 스프링필드 정신 병원에 수용되었다. 1년 후 허버트 조지 웰스 등의 탄원과 당시 수상의 개입으로 그의 치료 환경이 개선되었다. 웨인은 왕립 베들레헴 병원으로 옮겨졌고, 1930년에는 냅스버리 병원으로 전원되었다. 웨인은 사망할 때까지 이 시설에서 보내며, 이전처럼 고양이 그림을 그렸지만, 원색을 많이 사용한 추상적인 기하학 무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신 병리학 교과서에서는 웨인의 회화 작품 표현의 변천이 그의 정신 증상 악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널리 다루어진다.[12] 하지만 웨인은 작품에 제작 날짜를 넣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알 수 없다. 로드니 데일은 이러한 그림들이 웨인의 정신 상태 악화를 보여준다는 설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13]
2012년, 케빈 반 에케렌 박사는 웨인의 초기 작품에 이미 정신병적인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는 설을 제기했다.[14]
2012년 12월, 데이비드 오 플린 박사는, 이 순서는 "작품을 제작한 루이스 웨인과, 이것을 일련의 순서로 배열한 정신 분석의 월터 맥레이"라는 두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4. 유산
H. G. 웰스는 "그는 고양이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그는 고양이 양식, 고양이 사회, 고양이 세계 전체를 창조하였다. 잉글랜드의 고양이가 루이스 웨인의 고양이처럼 보지도 살지도 않는 것은 그들에게 부끄러운 일이다."라고 평가했다.[27]
웨인은 고양이 전문가로 여겨져 전국 고양이 클럽의 회장과 의장을 역임했으며 고양이 쇼 심사위원을 맡았다. 동물 복지에 헌신하는 여러 단체로부터 많은 요청을 받았다. 고양이의 사회적 지위를 높여, 국회의원들조차 공개적으로 고양이에 대한 애정을 드러낼 수 있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5] 다만, 고양이 번식과 본성에 대한 웨인의 일부 이론은 다소 괴짜로 여겨졌다.[5]
웨인은 인생의 마지막 15년을 정신 병원에서 보냈기 때문에, 그의 정신 상태에 대한 추측과 정신 분열증을 앓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의 작품은 심리학 교과서에 정신 질환의 예시로 등장하기도 했다.[6] 1939년 정신과 의사 월터 맥클레이는 웨인의 그림 몇 점을 연대순으로 배열하여 정신 분열증으로 인한 정신 상태 악화를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웨인이 추상적인 "만화경" 디자인뿐만 아니라 이전 스타일로도 계속 그림을 그렸기 때문에 반박되었다.[7][8] 웨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고양이 전문가 시드니 덴햄은 ''가디언''에서 웨인의 정신 쇠약이 여러 차례의 심각한 정신적 충격 이후 발생한 머리 부상 때문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5]
4. 1. 작품의 가치
H. G. 웰스는 "그는 고양이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그는 고양이 양식, 고양이 사회, 고양이 세계 전체를 창조하였다. 잉글랜드의 고양이가 루이스 웨인의 고양이처럼 보지도 살지도 않는 것은 그들에게 부끄러운 일이다."라고 평가했다.[27] 그의 작품은 소장 가치가 높지만 위조품이 흔하다. 웨인은 암포라 세라믹에서 생산한 많은 도자기 조각을 만들었는데, "미래파 고양이"라고 불리는 이 조각들은 각진 모양에 고양이와 개들이 기하학적인 무늬와 함께 그려져 있어 입체파 예술 양식과 도자기에 드러난 웨인의 예술적 표현으로 간주된다.[27]1925년 웨인을 지원하기 위한 방송에서 H. G. 웰스는 "그는 고양이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그는 고양이 스타일, 고양이 사회, 고양이 세계 전체를 발명했다. 루이스 웨인의 고양이처럼 보이지 않고 살지 않는 영국의 고양이들은 부끄러움을 느낄 것이다."라고 말했다. 같은 해 램지 맥도널드는 "루이스 웨인은 15년에서 20년 전쯤 우리 벽에 모두 걸려 있었다. 아마도 그보다 더 많은 젊은이들에게 즐거움을 준 예술가는 없을 것이다"라고 썼다.[5]
웨인은 고양이에 대한 권위자로 여겨져 전국 고양이 클럽의 회장과 의장을 역임했으며 고양이 쇼의 심사위원을 맡았다. 그는 또한 동물 복지에 헌신하는 단체들로부터 많은 요청을 받았다. 그는 고양이의 사회적 지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5]
4. 2. H.G. 웰스의 평가
H. G. 웰스는 루이스 웨인에 대해 "그는 고양이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그는 고양이 양식, 고양이 사회, 고양이 세계 전체를 창조하였다. 잉글랜드의 고양이가 루이스 웨인의 고양이처럼 보지도 살지도 않는 것은 그들에게 부끄러운 일이다."라고 평가했다.[27]4. 3. 대중 문화 속의 루이스 웨인
웨인의 후기 작품은 고양이들이 만화경처럼 추상적인 패턴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1960년대 사이키델릭 아트의 중요한 전조로 여겨진다.[9]1972년,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은 웨인의 작품을 주제로 한 주요 전시회를 열었다.[7]
2021년, 아마존 스튜디오가 제작하고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웨인 역을, 클레어 포이가 그의 아내 에밀리 리차드슨 역을 맡은 영화 ''루이스 웨인의 전기적인 삶''이 개봉하였다. 한국에서는 《루이스 웨인, 사랑에 빠진 남자》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10]
5. 저서 목록
- Madame Tabby's Establishment영어 (1886)
- Our Farm: The Trouble of Successes Thereof영어 (1888)
- Dreams by French Firesides영어 (1890)
- Peter, A Cat O'One Tail: His Life and Adventures영어 (1892)
- Old Rabbit the Voodoo and Other Sorcerers영어 (1893)
- Cats영어 (1902)
- Pa Cats, Ma Cats and their kittens영어 (1903)
- The Louis Wain Kitten Book영어 (1903)
- Cat's Cradle영어 (1908)
- Daddy Cat영어 (1915)
- Somebody's Pussies영어 (1925)
- The Boy who shares my name영어 (1926)
- All Sorts of Comical Cats영어. 클리프턴 빙엄 작사
- Fun at the Zoo영어. 클리프턴 빙엄 작사
- Funny Favourites영어. 45점의 펜화
- The Dandy Lion영어 (1901)
- Claws and Paws영어 (1904)
- Mixed Pickles영어 (c. 1905)
- Pantomime Pussies영어 (c. 1908)
- Louis Wain's Cat Painting Book영어 (c.1910)
- Louis Wain's Cats and Dogs영어 (c. 1910)
- The Louis Wain Nursery Book영어 (c. 1910)
- Louis Wain's Cat Mascot영어 (엽서 색칠책, c.1910)
- Father Tuck's Struwwelpeter As Seen by Louis Wain, Told in Merry Rhymes by Norman Gale영어 (c.1910), 제2판 Fidgety Phil and Other Tales영어 (c. 1925)
- The Happy Family영어 (c. 1914)
- Little Red Riding Hood and Other Tales영어 (1919)
- Music in Pussytown영어 (c. 1920)
참조
[1]
서적
Louis Wain: the man who drew cats
Michael O'Mara Books Limited in association with Chris Beetles Limited
1991
[2]
웹사이트
Wain, Louis William (1860–1939), artist
https://www.oxforddn[...]
[3]
서적
Louis Wain's cats
Worth Press
2011
[4]
서적
Louis Wain (1860–1939): an exhibition
Chris Beetles Limited
1983
[5]
웹사이트
The Man who drew cats
https://static.guim.[...]
2023-08-22
[6]
웹사이트
How a mental disorder opened up an invisible world of colour and pattern
https://blogs.scient[...]
2023-08-22
[7]
웹사이트
Louis Wain’s cryptic cats
https://wellcomecoll[...]
2023-08-22
[8]
웹사이트
Two Men and Eight Cats: Louis Wain, Walter Maclay and the Kaleidoscope Cats
https://museumofthem[...]
2023-08-22
[9]
웹사이트
The Forgotten Artist Who Changed the Way We Look at Cats
https://www.anotherm[...]
2022-02-17
[10]
웹사이트
Louis Wain: The artist who changed how we think about cats
https://www.bbc.co.u[...]
2023-08-21
[11]
웹사이트
ルイスがたびたび口にする「電気」(この映画の原題は「The Electrical Life of Louis Wain」)という意味不明な言葉
https://ovo.kyodo.co[...]
2024-11-21
[12]
웹사이트
What Schizophrenia Does
http://www.schizophr[...]
The Huxley Institute for Biosocial Research
[13]
웹사이트
The false progression of Louis Wain
https://mindhacks.co[...]
2022-11-05
[14]
웹사이트
Louis Wain
https://nietzschegir[...]
2022-11-05
[15]
웹사이트
Neuroscience Art Gallery: Art by Psychotics. Louis Wain
https://cerebromente[...]
2022-11-05
[16]
문서
[17]
문서
[18]
웹인용
HOW MAD IS THAT CAT? Psychotic Patterns Starring In The Louis Wain Kitten Book
http://nietzschegira[...]
2014-10-19
[19]
저널
Prevalence of ''Toxoplasma'' infection in first-episode schizophrenia and comparison between ''Toxoplasma''-seropositive and ''Toxoplasma''-seronegative schizophrenia
[20]
저널
''Toxoplasma gondii'' and Schizophrenia
[21]
저널
Effects of ''Toxoplasma'' on Human Behavior
2007-01
[22]
웹사이트
LP: Dangerrrr: cats could alter your personality
http://www.libertypo[...]
[23]
웹사이트
FindAGrave.com: Louis Wain
http://www.findagrav[...]
[24]
문서
[25]
웹사이트
http://www.mindhacks[...]
[26]
웹사이트
http://nietzschegira[...]
[27]
웹사이트
Louis Wain & His Cats
http://www.worldcoll[...]
World Collectors 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