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스퍼거 증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스퍼거 증후군은 사회적 상호 작용의 어려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사 및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한 유형이다. 1944년 한스 아스퍼거가 처음 기술했으나, 1980년대 로나 윙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2013년 DSM-5와 2018년 ICD-11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통합되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사를 보이며, 지능이나 언어 발달의 지연은 없다. 치료는 증상 완화와 사회 적응을 목표로 하며, 행동 요법, 인지 행동 치료, 약물 치료 등이 사용된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낙인과 차별에 직면하며, 자살 위험이 높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스퍼거 증후군 - 희생자 게임
    《희생자 게임》은 연쇄 살인 사건을 중심으로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는 감식관과 기자가 진실을 파헤치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금종상 각본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전반적 발달장애 - 레트 증후군
    레트 증후군은 주로 여아에게 발병하는 신경발달 질환으로, MECP2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초기 정상 발달 후 퇴행, 언어 및 운동 능력 손상, 특징적인 손 움직임, 간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증상 완화와 기능 개선을 목표로 치료한다.
  • 전반적 발달장애 - 취약 X 증후군
    취약 X 증후군은 X 염색체 FMR1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하며, CGG 삼핵산 반복 횟수 증가로 FMR1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어 지적 장애, 학습 장애, 특징적인 신체적 특징,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을 동반하는 유전 질환이다.
  • 아동기 정신의학 장애 - 야경증
    야경증은 수면 중 갑작스럽게 공포에 질려 깨어나는 수면 장애로, 주로 소아에게 나타나 의사소통이 어렵고 다음 날 기억을 못하며, 아동기에 자연스레 사라지지만 성인에게도 발생 가능하고, DSM-5를 기준으로 진단하며 수면 습관 개선, 심리 치료, 약물 치료 등으로 관리한다.
  • 아동기 정신의학 장애 - 이식증
    이식증은 영양가 없는 물질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행위로, 섭취 물질에 따라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나뉘며, 영양 결핍, 정신 건강 문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한 소년이 분자 모형을 가지고 놀고 있다.
제한적인 관심사나 반복적인 행동은 아스퍼거 증후군의 특징일 수 있으며, 이 소년은 자기적으로 연결된 장난감으로 분자 모형을 만들고 있다.
기본 정보
분야임상심리학, 정신의학, 소아과, 산업의학
다른 이름아스페르거 증후군
아스퍼거 장애 (AD)
아스퍼거스
수하레바 증후군
소아기 분열성 장애
자폐성 정신병질
증상사회적 상호작용,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 반복적인 행동 및 제한적인 관심사
합병증사회적 고립, 취업 문제, 가족 스트레스, 학교폭력, 자해
발병 시기2세 이전
지속 기간평생
원인불확실
진단증상에 기반
관리사회 기술 훈련, 인지행동치료, 물리치료, 언어 치료, 부모 훈련
약물 치료관련 질환에 따라
유병률전 세계적으로 3720만 명 (0.5%) (2015년)
명칭 유래한스 아스페르거
국제 질병 분류
추가 정보
메쉬(MeSH)Asperger+syndrome
메쉬 번호(MeSH Number)F03.550.325.100
OMIM608638
질병 데이터베이스(DiseasesDB)31268
메드라인플러스(MedlinePlus)001549
이메디신 주제(eMedicineSubj)ped
이메디신 토픽(eMedicineTopic)147

2. 역사

증후군의 이름은 오스트리아의 소아과 의사 한스 아스페르거(Hans Asperger, 1906~1980)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78] 그러나 아스퍼거 증후군과 유사한 증후군에 대한 첫 기술은 1925년 소련의 아동 정신과 의사 그루냐 수하레바(Grunya Sukhareva, 1891~1981)에 의해 이루어졌다.[152][3]

1944년 한스 아스퍼거는 지능이 정상 수준이지만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또래 아이들과 공감하지 못하며 신체적으로 서투른 특징을 보이는 네 명의 아동 사례를 연구하여 "아동기 자폐성 정신병질"(Autistische Psychopathie|아우티스티셰 프시코파티de)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44][21] 그는 이러한 아동들이 보이는 특징을 사회적 고립으로 묘사했다.[21] 아스퍼거는 지적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지능 수준에서 자폐성 정신병질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았으며,[156] 이들이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일부는 성인이 되어 뛰어난 업적을 이루거나 독창적인 사고를 할 잠재력이 있다고 믿었다.[12][44] 그러나 그의 논문은 제2차 세계 대전독일어로 발표되었기 때문에 영어권에서는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다.[151] 이는 1943년 미국의 정신과 의사 레오 칸너(Leo Kanner)가 발표한 조기 영유아 자폐증에 관한 논문이 영어권에서 더 큰 영향력을 가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스퍼거의 연구는 1981년 영국의 아동 정신과 의사 로나 윙(Lorna Wing)에 의해 재조명되었다. 윙은 사회성, 의사소통, 상상력의 세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지만 기존의 자폐증 진단 기준에는 맞지 않는 아동 사례들을 연구하던 중, 아스퍼거가 기술한 사례와 유사점을 발견하고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58][159][151] 윙은 1976년에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157] 1981년 관련 사례 연구 발표를 통해 영어권 의학계에 이 용어를 널리 알렸다.[158][159][151] 이후 1991년 우타 프리트(Uta Frith)가 아스퍼거의 논문을 영어로 번역하면서 그의 연구가 더욱 알려지게 되었다.[12]

1980년대 후반부터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진단 기준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160] 그 결과, 1992년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CD-10) 제10판과 1994년 미국정신의학회(APA)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 제4판에 아스퍼거 증후군(DSM-IV에서는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아스퍼거 장애영어))이 공식 진단명으로 포함되었다.[21][319] 이로써 아스퍼거 증후군은 표준적인 의학 진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이후 관련 연구 및 서적이 급증하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유병률 추정치도 높아졌다.[151]

그러나 아스퍼거 증후군을 고기능 자폐증(HFA)과 구분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었다.[288][31][32][33] 두 진단 간의 구분이 모호하며,[288][295][296] 기존의 ASD 분류가 실제 임상 양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297][35] 또한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기준 자체의 경험적 타당성에 대한 의문도 꾸준히 제기되었다.[31][36][37]

이러한 논의 끝에, 2013년 발표된 DSM-52018년 발표되어 2022년부터 시행된 ICD-11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별도의 진단명을 삭제하고, 이를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는 포괄적인 범주로 통합하였다.[161][14][15] DSM-5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심각도 수준을 평가하는 척도를 도입했는데, 과거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진단받았던 사람들은 대부분 '1단계(지원이 필요한 수준)'에 해당될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 심각도 수준 분류는 자폐인 커뮤니티의 반발에 부딪혔고, ICD-11에는 포함되지 않았다.[162] 이러한 진단 기준 변경은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자체만큼이나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38][39]

대한민국에서는 2005년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고, 2006년에는 장애인복지법 개정으로 장애인 자립 지원 체계가 마련되었다. 이후 2013년에는 장애인 자립 지원 관련 법률이 장애인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등으로 정비되는 등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의 권리 보장 및 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이 강화되어 왔다.

3. 분류

아스퍼거 증후군은 과거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0에서 전반적 발달 장애(PDD)의 하위 유형이자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한 종류로 분류되었다.[178][40] 미국정신의학회의 DSM-IV에서도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었다.[319] 당시 표준 진단 기준은 언어인지 발달에 심각한 지연 없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반복적이고 제한적인 행동, 활동, 관심사를 보이는 것이었다.[298]

그러나 2013년 개정된 DSM-5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진단명이 삭제되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라는 포괄적인 진단명 아래 그 중증도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통합되었다.[178][179] 이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포함한 관련 장애들이 신경발달장애의 하나로서 연속적인 스펙트럼 위에 존재한다는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178] 이후 개정된 ICD-11에서도 마찬가지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통합되었다.[38][39] 현재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한 유형으로 간주된다.[178] 이러한 진단 체계 변화는 기존 진단자와 전문가 사이에서 논란을 낳기도 했다.[38][39]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에 속하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사 및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광범위한 분류이다.[292] ASD는 일반적으로 영유아기에 시작되어 안정적인 경과를 보이며, 뇌 발달 과정과 관련된 변화로 인해 어려움이 나타난다.[292] ASD는 더 넓은 개념인 '포괄적 자폐 표현형'(broader autism phenotype, BAP)의 일부이며, BAP에는 ASD 진단 기준에는 미치지 않지만 사회적 어려움 등의 특징을 보이는 사람들도 포함된다.[293]

아스퍼거 증후군과 고기능 자폐증(HFA, 지적 장애가 없는 자폐증)의 구분 및 중복 정도는 명확하지 않다.[288][295][296][180][181][31][32][33] 일부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이 고기능 자폐증보다 자폐 증상의 정도가 약하고, 특정 상황에서 사회성이 비교적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차이로 지적하기도 하지만, 이는 명확한 기준은 아니다. 이러한 분류의 모호함으로 인해 현재의 ASD 분류 체계가 실제 임상 양상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297][34][35]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자체의 타당성에 대한 의문도 꾸준히 제기되었다.[36][37] 아스퍼거 증후군을 자폐증이나 PDD-NOS 같은 다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구별하는 실질적인 이점이 있는지 불분명하며,[91] 사용하는 선별 도구에 따라 같은 사람에게 다른 진단이 내려질 수도 있다.[21]

또한 아스퍼거 증후군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오진되거나 과잉 진단될 가능성이 있다.[192] 오진되기 쉬운 질환으로는 조현병, 분열성 성격장애, 조현병형 성격장애, 강박성격장애, ADHD, 기면증, 간질 등이 언급된다.[193] DSM-IV 편찬 위원장이었던 앨런 프랜시스(Allen Frances)는 DSM-IV에 아스퍼거 장애가 포함된 이후 진단이 예상보다 크게 늘었으며, 특히 미국과 한국에서는 진단받은 사람 중 상당수가 실제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194][195] 약물 치료의 보편화나 사회적 지원 혜택 등이 과잉 진단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90] 감별 진단이 필요한 주요 질환으로는 사회불안장애, 강박장애, 분열성 성격장애 등이 있다.[178]

4. 특징

아스퍼거 증후군은 하나의 증상이 아닌 여러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패턴으로 이해된다.[298] 주요 특징으로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어려움, 정형적이고 제한된 활동과 관심사를 보이는 점 등이 있지만,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인지 발달이나 언어 발달의 지연은 동반하지 않는다.[298][41]

여러 개의 색색깔 깡통을 서로 위에 쌓아 올리고 있는 어린 소년의 모습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종종 이 소년의 깡통 쌓기처럼 제한적이거나 특수한 관심사를 보입니다.


제한된 주제에 대해 강한 집착을 보이거나, 상대방의 반응을 살피지 않고 일방적으로 이야기하는 경향, 운율이나 억양 사용의 미숙함, 서투른 신체 동작 등도 흔히 관찰되지만, 진단을 위한 필수 요소는 아니다.[299][31]

일반적으로 언어적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이 없다는 점에서 자폐증과 구별되지만, 고기능 자폐증과는 명확한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 증상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경미하여, 특정 환경이나 관심사가 맞는 사람과는 관계를 맺고 사회성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고전적 자폐증과 비교했을 때, 아스퍼거 증후군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제한된 관심 및 반복 행동이라는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일반적으로 IQ가 70 이상으로 지능 저하가 없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반면 고전적 자폐증에서는 지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성인은 일반 인구에 비해 자살 생각을 경험할 확률이 9배나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실제로 자살을 계획하거나 시도한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42][43]

4. 1.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아스퍼거 증후군의 핵심 증상 중 하나로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꼽을 수 있다. 특히 타인에 대한 공감 표현이 부족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286][44] 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본적인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데, 이는 자발적으로 친구를 사귀거나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300] 다른 사람들과 즐거움이나 성취를 공유하려는 시도(예: 관심 있는 물건 보여주기)가 부족한 것 등을 포함한다.[17] 감정 교환이 부족하고, 시선 접촉, 얼굴 표정, 자세,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300][17]

일반적인 자폐증과 달리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반드시 피하지는 않으며, 서투르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려 할 수 있다.[31] 하지만 사회적 상호작용에 부적절하게 반응하여 다른 사람의 감정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288][31] 예를 들어,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특정 주제에 대해 상대방의 반응이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이고 장황하게 이야기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288][31] 이러한 모습은 "적극적이지만 이상한" 상호작용 방식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7] 그러나 이는 의도적인 무례함이라기보다는 자신의 감각과 관심사에 집중하는 특성에서 비롯된 태도일 수 있다.[288] 모든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특정 사람에게만 말을 하는 선택적 함구증을 보이기도 한다.[45]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어린이들은 이론적으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제한된 상황에서의 사회적 규범을 명확히 설명할 수 있다.[285][17] 하지만 이러한 지식을 실제 생활의 유동적인 상황에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다.[288][31] 때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얻은 결과를 엄격한 규칙으로 만들고, 이를 어색하고 경직된 방식으로 적용하려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무례하거나 이상하게 보일 정도로 억지로 눈을 맞추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285][17]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공감 능력은 표현 방식의 차이 때문에 제대로 인식되지 못할 수 있다. 어떤 이들은 깊은 공감을 느끼지만 표정이나 언어로 잘 드러내지 못하며, 어떤 이들은 논리적 추론을 통해 공감에 도달하기도 한다.[50] 또한, "이중 공감 문제"라는 개념은 자폐인들이 비자폐인보다 다른 자폐인들과 더 원활하게 소통하고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51][52][53][54] 이들은 개인의 권리, 인류 복지, 동물 권리 등 인도주의적 가치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경우도 흔하다.[50]

비언어적 단서나 맥락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말이나 글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285] 이로 인해 유머, 풍자, 비유적 표현 등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96] 예를 들어, "개가 네 숙제를 먹어 버렸니?"와 같은 관용적인 질문을 들었을 때, 그 숨은 의미(숙제를 안 가져온 이유를 묻는 것)를 파악하지 못하고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혼란스러워할 수 있다. 이러한 오해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반복적인 실패 경험은 좌절감을 안겨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린 시절 친구를 사귀려 노력했으나 계속 실패한 후, 점차 관계를 맺으려는 시도를 포기하고 사회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285][17]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아동은 학교 폭력이나 왕따의 피해자가 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302] 이는 그들의 독특한 행동 방식, 말투, 관심사, 그리고 비언어적 메시지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 부족 등에 대한 주변의 몰이해와 편견에서 비롯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이 타인의 감정을 읽는 능력(마음이론)이 부족하다고 설명한다.[17] 또한, 자신의 주장이 부정당하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어 학습이나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은 성인이 된 후 직장 생활에서도 적응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182] 상황 파악의 어려움, 일방적인 대화 방식, 애매한 지시 이해의 어려움, 흑백논리적 사고, 사회적 상식 부족, 동시에 여러 업무 처리의 어려움, 갑작스러운 변화 대처 미흡 등 의사소통 및 사회성 관련 특성들이 직장 환경에서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182]

4. 2. 제한적이거나 반복된 행동과 관심사

아스퍼거 증후군의 진단에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는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활동, 관심사를 보이는 것이다.[41][304] 이러한 행동과 관심사는 종종 비정상적으로 강렬하거나 특정 대상에 매우 집중되는 양상을 띤다.[41]

=== 특정 관심사 ===

아스퍼거 증후군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 중 하나는 특정하고 좁은 관심 영역에 깊이 몰두하는 것이다.[17][285]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공룡, 특정 물건(예: 냄비), 날씨 데이터, 별 이름 등 비교적 좁은 주제에 대해 방대한 양의 세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17][285][288] 이러한 관심의 강도는 일반 아동의 흥미 수준을 넘어서는 경우가 많으며, 특정 대상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때로는 이러한 정보 수집이 해당 주제에 대한 더 넓고 깊은 이해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17][288] 예를 들어, 어린이가 사진술 자체에는 큰 관심이 없으면서 카메라 모델 번호를 줄줄이 외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17][285] 이러한 행동은 보통 만 5세 또는 6세, 초등학교 입학 무렵에 나타나기 시작한다.[17][285]

이러한 특수 관심사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의 관심사와는 다른 특이하고 좁은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으며,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31][288] 어린 시절의 특정 관심사(예: 공룡)는 다른 아이들에게서도 흔히 나타날 수 있어 초기에 증상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다.[31][288]

관심 분야가 학문적이거나 사회적으로 유용할 경우, 뛰어난 전문성으로 이어져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아스퍼거 증후군에 '천재들의 병'이라는 별명이 붙은 것도 이러한 맥락과 관련이 있다.[303] 한스 아스퍼거(Hans Asperger)는 자신의 어린 환자들이 특정 분야에 대해 교수 수준의 지식을 보이는 것을 보고 '작은 교수'라고 부르기도 했다. 질서 있고 규칙적인 것에 매료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같은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반면, 예측 불가능하거나 비합리적인 상황은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관심의 깊이가 실제 이해보다는 피상적인 정보 암기에 머무르는 경우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자신의 관심 분야가 아닌 것에는 인내심이 부족하여 학업 등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매우 뛰어난 열등생").[182] 성인 아스퍼거 평가(AAA) 진단 검사에 따르면, 허구적인 내용보다는 비허구적인 내용에 더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93]

=== 반복 행동 및 상동증 ===

특정한 행동을 정형화하여 반복하는 것 역시 아스퍼거 증후군 및 다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진단의 핵심 요소이다.[304][55] 여기에는 유연하지 않은 특정 순서나 루틴을 고수하거나, 물체의 특정 부분에 집착하거나, 물건을 일렬로 정렬하는 등의 강박적인 행동이 포함될 수 있다.[41]

상동적인 반복 행동, 즉 자극행동(stimming)도 흔히 나타난다.[55] 이는 스스로를 진정시키거나 감각 입력을 조절하기 위한 행동으로 여겨진다.[56] 손을 흔들거나 꼬는 동작, 또는 몸 전체를 사용하는 복잡한 움직임 등이 이에 해당한다.[41][298]

이러한 상동 행동은 보통 보다 더 천천히, 더 오랜 시간 동안 반복되며, 덜 주기적이고 덜 대칭적인 경향이 있다.[305][57] 하지만 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아스퍼거 증후군과 뚜렛 증후군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는 8~20%에 달하고, 어떤 종류든 틱을 보이는 경우는 80%까지 보고되었다.[57][58][59][98] 이는 공통적인 유전적 요인이나 도파민, 글루탐산염,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이상과 관련될 수 있다는 설명이 있다.[60]

특정 관심사에 대한 강한 몰두와 반복적인 행동 패턴은 다른 사람의 반응이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관심사에 대해서만 일방적으로 이야기하는 모습으로 이어질 수 있다.[299] 이는 사회적인 상황에서 어색하거나 부적절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직장 생활 등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182]

4. 3. 언어 사용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언어 습득에 큰 지연 없이 언어 능력을 획득하며, 회화 능력 자체에 심각한 결함이 나타나지는 않는다.[31][288] 그러나 언어를 습득하고 사용하는 방식은 종종 비정형적인 특징을 보인다.[31][288]

이러한 비정형적인 언어 사용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17][285][288]

  • 말투와 화법:
  • 장황하고 말이 많다. (과다언어증)[31]
  • 대화 주제를 갑작스럽게 바꾼다. (횡설수설)[31]
  • 듣는 사람의 반응이나 관심 여부를 살피지 않고 일방적으로 이야기한다.[288][31]
  • 억양과 운율의 범위가 제한적이거나 단조롭다.[31][285]
  • 목소리 크기, 높낮이, 리듬 등이 부자연스럽거나 특이하다. (예: 지나치게 빠르거나, 끊기거나, 크거나 단조로운 목소리)[31][285]
  • 지나치게 논리적이거나 격식을 차린 말투, 또는 특이한 말투를 사용한다.[17]
  • 모방언어(에콜라리아)가 나타나기도 한다.[61]

  • 언어 이해 및 표현:
  • 말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고, 뉘앙스나 함축된 의미,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285][31] (예: "개가 네 숙제를 먹어 버렸니?"와 같은 비유적 질문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임)
  • 비유적 표현, 유머, 반어, 놀림, 비꼼 등을 이해하기 어려워한다.[17][32] 유머의 인지적 원리는 이해할 수 있어도, 그 의도를 파악하지 못해 즐기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32]
  • 자신에게만 의미가 통하는 독특한 은유나 비유를 사용한다.[17][285]
  • 청각 지각에 결손이 있을 수 있다.[17]
  • 어린 나이에 어른스러운 어휘나 어려운 단어를 사용하여 "꼬마 교수님"처럼 보일 수 있다.[17][285]


임상적으로는 특히 부자연스러운 운율, 옆길로 새는 화법 및 장황함이라는 세 가지 의사소통 특징이 주요 관심사이다.[288][31] 이러한 언어적 특징으로 인해 대화 상대방은 무슨 말을 하는지 종잡기 어렵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으며,[288] 농담이나 비유를 오해하여 감정적인 갈등이 생기기도 한다.[296]

4. 4. 기타 특징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에게는 진단 기준과 직접 관련은 없지만 개인이나 가족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특징이 나타날 수 있다.[64] 여기에는 지각의 차이, 운동 기술의 문제, 수면 및 감정 관련 어려움 등이 포함된다.
지각아스퍼거인들은 시력이나 청력과 같은 감각이 일반인과 다르게 매우 민감하거나 또는 둔감한 경우가 많다.[306][67] 예를 들어, 물건의 배열이나 그림 등에서 나타나는 미세한 변화를 더 쉽게 알아차리는 등 뛰어난 지각 능력을 보이기도 한다.[307][66] 이는 주로 특정 영역에 국한되며, 세밀한 부분을 처리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66] 반면, 시각-공간 지각, 청각 지각, 시각 기억 등 일부 과제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17]

또한 소리, 빛, 접촉, 감촉, 맛, 냄새, 통증, 온도 등 다양한 자극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특이한 감각 경험을 하기도 한다.[308][67] 예를 들어 특정 냄새를 맡고 색깔을 느끼는 것과 같은 공감각이 나타날 수도 있다.[308] 이러한 감각 반응은 아스퍼거 증후군이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발달장애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308][67] 감각 자극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일반인과 차이가 없다는 연구도 있어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309][68]
운동 기술한스 아스페르거의 초기 보고[17]를 포함한 여러 진단 기준[310][69]에서는 신체적으로 서투른 모습을 보이는 특징을 언급한다.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은 자전거 타기나 병뚜껑 열기처럼 섬세한 운동 기술이 필요한 활동을 배우는 데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285][17] 움직임이 어색하거나, 자신의 몸을 불편하게 느끼기도 하며,[285][17] 몸의 각 부분이 조화롭게 움직이지 못해 이상하거나 불안정한 걸음걸이 및 자세를 보이기도 한다.[285][17] 글씨를 쓰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악필), 눈으로 본 정보와 몸의 움직임을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285][17]

또한 고유수용성 감각(자신의 신체 위치나 움직임을 느끼는 감각)에 문제가 있어 균형을 잡기 어렵거나, 발 앞꿈치로 걷거나, 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마주 대는 동작(무지 병치) 등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285][17] 하지만 이러한 운동 기술의 문제가 아스퍼거 증후군을 다른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구분 짓는 명확한 기준이 되는 것은 아니다.[285][17]
수면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은 수면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밤에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잠자는 도중 또는 이른 아침에 자주 깨는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311][313][70][72] 최근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포함한 발달장애와 서카디안 리듬 수면장애(수면상 후퇴 증후군, 비24시간 수면각성증후군 등), 불면증, 과다수면 등 후천적인 수면장애와의 연관성이 주목받고 있다.[196] 수면은 뇌 기능 유지 및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에게 수면 문제는 이차적인 어려움으로 나타나기 쉽다.[196]
감정아스퍼거 증후군은 감정표현 불능증(알렉시티미아), 즉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증상과 관련이 깊다.[312][71] 아스퍼거 증후군, 수면의 질 저하, 감정표현 불능증 사이에는 서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 사이의 정확한 인과관계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313][72]

4. 5. 감각 과민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종종 뛰어난 청각 및 시각적 지각 능력을 보이기도 한다.[65][306]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들은 물체 배열이나 그림 패턴의 미세한 변화를 일반 아동들보다 더 쉽게 감지하는 경우가 많다.[307][66] 일반적으로 이러한 능력은 특정 영역에 국한되며 미세한 특징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다.[66] 반면, 고기능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과 비교하여 시각-공간 지각, 청각 지각 또는 시각 기억과 관련된 일부 과제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17]

또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특이한 감각 처리 및 지각 경험을 보고하는 경우가 많다.[67] 소리, 빛, 접촉, 감촉, 맛, 냄새, 통증, 온도 등 다양한 자극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하거나[308] 또는 지나치게 둔감할 수 있다.[67] 예를 들어, 특정 냄새가 색깔로 느껴지는 등의 공감각이 나타나기도 한다.[308]

하지만 이러한 감각 반응은 아스퍼거 증후군이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만 국한된 특징은 아니며, 다른 발달장애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308][67] 자폐증이 투쟁-도피 반응을 증가시키거나 습관화를 방해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며, 오히려 감각 자극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한다는 증거나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09][68]

5. 원인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스 아스페르거는 자신의 환자들의 가족 구성원, 특히 아버지들에게서 공통적인 특징을 설명했으며, 연구는 이러한 관찰을 뒷받침하고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유전적 기여를 시사한다.[17][96] 특정 유전적 요인이 아직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자폐증의 표현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7][96] 수백 개의 유전자가 아스퍼거 증후군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전자는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뇌의 성숙과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73] 행동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아스퍼거 증후군은 가족 내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이나 언어 및 읽기 기술과 관련된 일부 문제 등 유사한 제한적인 행동 증상을 가진 가족 구성원이 더 많은 경향이 있다.[21] 대부분의 행동 유전학 연구는 모든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공유된 유전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고 시사한다.[17] 특정 대립 유전자가 개인을 취약하게 만드는 공유 유전자가 있을 수 있으며, 다양한 조합이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각 개인에게서 다른 중증도와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21]

뇌영상 기술을 이용한 연구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뇌 특정 부위에서 일반인과 구조적 또는 기능적 차이가 발견되기도 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국소적인 영향과는 달리, 많은 또는 모든 기능적 뇌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76] 신경해부학적 연구와 기형 유발 물질과의 연관성은 기전에 수정란 수정 직후 뇌 발달의 변화가 포함되어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74] 비정상적인 태아 발달은 뇌의 최종 구조와 연결에 영향을 미쳐 사고와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 회로가 변화될 수 있다.[78] 2012년 교토 대학의 신경화학 연구팀 발표에 따르면,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는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측두회(上側頭溝), 방추상회(紡錘状回), 편도체(扁桃体), 내측 전전두엽(内側前頭前野), 하전두회(下前頭回) 등의 뇌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91]



몇몇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사례는 기형 유발 물질(선천적 기형을 유발하는 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수정 후 8주 이내에 발생한다. 이는 ASD가 발달 초기에 발생한다는 강력한 증거이다.[74] 출생 후에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많은 환경 요인이 있지만, 과학적 조사에 의해 확인된 것은 없다.[75] 이러한 환경 요소는 독립적이고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거나,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들의 기존 유전적 요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73] 특히 임신 중 특정 약물 복용과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 항우울제, 특히 SSRI(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임신 중에 사용하는 것은, 산모의 우울증을 고려하더라도, 아이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될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184]
  • 발프로산나트륨(바르프로산 나트륨)을 임신 중에 사용하는 것은, 산모의 간질을 고려하더라도, 자녀가 자폐증이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될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185][186][187][188][189][190]

6. 진단

표준 진단 기준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어려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활동 및 관심사 패턴을 특징으로 하며, 언어 발달이나 인지 발달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지연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41][292] 국제 기준과 달리, 과거 DSM-IV 기준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심각한 기능 장애를 추가적으로 요구하기도 했다.[41][298] 피터 사트마리(Peter Szatmari)나 크리스토퍼 길버그(Christopher Gillberg) 등이 제안한 다른 진단 기준도 존재한다.[316][317][87][88]

그러나 2013년 개정된 DSM-5와 이후 개정된 ICD-11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별도의 진단명을 삭제하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라는 포괄적인 범주에 통합하여 중증도에 따라 분류하게 되었다.[178][179] 이러한 변화는 아스퍼거 증후군과 고기능 자폐증 사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288][295][296][31][32][33] 등을 반영한 것이지만, 진단 기준 변경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38][39]

진단은 보통 만 4세에서 11세 사이에 가장 흔하게 이루어지지만,[17][285] 언어나 인지 능력 지연이 뚜렷하지 않아 청소년기나 성인기에 이르러서야 진단받는 경우도 있다.[318]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이 여러 환경에서의 관찰 결과를 종합하고, 신경학적 및 유전적 평가, 인지 기능 검사, 심리 운동 기능 검사, 언어 및 비언어적 강점과 약점 평가, 학습 양식, 독립 생활 기술 등을 포괄적으로 평가해야 한다.[21][44][94][286][290][321][285] 현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진단의 표준적인 방법으로는 임상적 판단과 함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구조화된 면담인 자폐증 진단 면담 개정판(ADI-R)과 아동과의 상호작용 및 놀이를 기반으로 하는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줄(ADOS)을 병행하는 것이 권장된다.[22][319]

일반적으로 부모는 자녀의 발달상 차이를 생후 30개월 이전에 인지하는 경우가 많으며,[96][322] 소아과 의사나 일반의는 정기적인 건강검진 과정에서 발달 선별 검사를 통해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한 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21][17][285][290] 아스퍼거 증후군 및 ASD 선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되지만, 이들 중 어떤 것도 아스퍼거 증후군과 다른 ASD를 명확하게 구별한다고 입증되지는 않았다.[17][285]


  •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척도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ASDS)[290][310][21][69]
  • 자폐 스펙트럼 검진 질문서 (Autism Spectrum Screening Questionnaire, ASSQ)[290][310][21][69]
  • 소아 자폐 스펙트럼 검사 (Childhood Autism Spectrum Test, CAST)[290][310][101]
  • 길리엄 아스퍼거 장애 척도 (Gilliam Asperger's Disorder Scale, GADS)[290][310][21][69]
  • 크루그 아스퍼거 장애 지수 (Krug Asperger's Disorder Index, KADI)[314][102]
  • 자폐 스펙트럼 지수 (Autism-Spectrum Quotient, AQ) (소아[103], 청소년[104], 성인[105] 버전)[315][21][69]


진단 과정에서는 여러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진단이 지연되거나 잘못된 진단이 내려질 경우, 개인과 가족에게 심리적 고통을 안겨주고 부적절한 치료(예: 잘못 처방된 약물로 인한 증상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94][89][321] 특히 많은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이 초기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로 오진받는 경우가 흔하다.[17][285] 성인의 경우, 진단 기준 자체가 아동에게 맞춰져 있고 증상이 나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진단이 더욱 까다롭다.[95][92][320] 또한, 진단 검사의 비용과 접근성 문제로 진단이 지연되는 '진단 누락' 문제와 함께, 약물 치료나 사회적 지원 혜택에 대한 기대 심리로 인해 ASD 진단이 남발되는 '과잉 진단' 문제도 지적된다.[90]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자체의 타당성, 즉 다른 ASD와 구별하는 실질적인 이점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어 왔다.[91]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질환과의 감별진단이 중요하다.[94][95]

7. 치료 및 관리

아스퍼거 증후군의 치료는 괴로운 증상을 관리하고,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습득하기 어려운 연령에 맞는 사회적 기술, 의사소통 능력, 직업 관련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17] 치료는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개인의 필요에 맞게 이루어진다.[106] 치료법 개발에 진전이 있었지만, 특정 치료법의 효능을 명확히 뒷받침하는 자료는 아직 제한적이다.[17][107]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관리에는 장애의 핵심 증상을 다루는 여러 치료법이 포함될 수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전문적인 지원을 일찍 받을수록 좋다고 보지만, 어떤 치료법 조합이 다른 것보다 우월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21] ASD에 대한 전문적인 지원은 개인의 언어 능력,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제공된다.[17]

전문적인 지원 프로그램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된다.[21]


  • 행동 관리 전략: 응용 행동 분석(ABA) 절차나 긍정적 행동 지원(PBS) 등을 포함하며, 부모와 교직원에게 행동 관리 전략 교육 및 지원을 제공한다. 보다 효과적인 대인 관계를 위한 사회 기술 훈련도 포함될 수 있다.[122]
  • 인지 행동 치료 (CBT): 불안이나 감정 폭발과 관련된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강박적인 관심사나 반복적인 일상을 줄이는 데 유용하다. 다만, 개인의 특수한 관심사를 부정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약물 치료: 주요 우울 장애나 불안 장애와 같이 함께 나타나는 다른 정신 건강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128]
  • 작업 치료 또는 물리 치료: 감각 처리 능력이나 운동 조절 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도움을 줄 수 있다.
  •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 일반적인 대화에서의 화용론이나 대화를 주고받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화된 언어 치료이다.[124]


응용 행동 분석(ABA)과 같은 행동 치료는 ASD 진단을 받은 많은 사람들과 자폐 권리 운동가들 사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들은 ABA가 자폐인들에게 자신의 신경다양성 특성이나 행동을 억누르고 소위 '신경전형인'의 기준에 맞추도록 강요한다고 주장한다.[108][109][110] ABA는 수년간 여러 비판에 직면해 왔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ABA가 학대적일 수 있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111][112][113][114][115][116] 자폐 자기옹호 네트워크와 같은 단체는 자폐증 치료에 ABA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117][118] 인지 행동 치료(CBT)나 대화 치료의 효과는 사람마다 다르며, 신경전형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도 보고된다.[119][120] 특히 자폐 아동의 불안 완화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보고도 있다.[121]

행동 기반 조기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소규모 사례 보고에 그치며, 자해, 공격성, 상동행위 등 특정 문제 행동 개선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은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125] 사회 기술 훈련이 널리 시행되고 있지만, 그 효과는 아직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다.[126]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문제 행동에 대한 부모 교육 모델 연구에서는, 교육에 참여한 부모들이 자녀의 행동 문제가 줄었다고 보고했다.[127] 나이가 많은 아동이나 성인에게는 면접 기술이나 직장 내 행동 규칙 등을 가르치는 직업 훈련이 중요할 수 있으며, 일정 관리 소프트웨어나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등이 업무 및 생활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17]

분변 미생물 이식(FMT)은 장내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여 증상을 완화하려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는 장-뇌 축(GBA)을 통해 장 건강과 신경계 기능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73]

아스퍼거 증후군의 핵심 증상을 직접 치료하는 약물은 아직 없다.[128] 약물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지만,[17] 불안 장애, 주요 우울 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공격성 등 함께 나타나는 증상(동반 질환)을 관리하는 데는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44][17] 자신의 감정이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기 어려워하는 경우, 약물 치료의 필요성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128]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인 리스페리돈, 올란자핀, 아리피프라졸 등은 아스퍼거 증후군과 관련된 일부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를 보였다.[17][129][130] 리스페리돈은 반복적 행동, 자해, 공격성, 충동성을 줄이고 사회적 관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계열 항우울제인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설트랄린 등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사나 행동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17][44][96] 메틸페니데이트와 같은 각성제는 주의력 결핍 증상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131] 옥시토신 호르몬이 사회적 행동과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73] 탄산리튬이 인지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으나,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약물이다. 한약[207]이나 침 치료[208], 수라마인[209] 등도 연구되고 있다.

약물 사용에는 신중함이 필요하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는 약물 부작용을 더 흔하게 경험할 수 있고, 부작용을 평가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동반 질환에 대한 약물 효과 연구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자가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128] 항정신병 약물은 체중 증가, 당뇨병 위험 증가, 심장 문제, 장기적인 신경계 부작용 등의 우려가 있다.[132][133][125] SSRI는 충동성, 공격성, 수면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96] 리스페리돈은 체중 증가, 피로, 추체외로 증상, 프로락틴 수치 증가 등을 유발할 수 있다.[96][134] 올란자핀은 진정 작용과 체중 증가가 더 흔하며 당뇨병과도 관련이 있다.[133][132] 약물의 진정 효과는 학령기 아동의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다.[135]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는 자신의 내적 상태를 파악하고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다른 사람에게는 사소한 부작용을 견디기 어려워할 수 있다.[136]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는 특정 분야에 뛰어난 집중력과 지식을 보일 수 있지만, 사회적 상황 파악 능력 부족, 세부 사항 집착, 감정 표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직장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182]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맥락 파악 어려움, 일방적 대화 경향, 모호한 지시 이해 곤란, 흑백논리, 상식 부족, 멀티태스킹 어려움, 변화 대처 미흡 등)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객업이나 팀워크가 중요한 직업에는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아스퍼거 증후군 성인이 정규직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다.[211] 직장에서는 명확한 업무 지시, 일정 및 절차 명시, 지시 대명사 사용 자제, 한 번에 여러 가지 업무 지시 피하기, 직무 코치 배치 등의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이차 장애로 우울증, 불안 장애, 강박 장애, 섭식 장애, 수면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우울증은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의 60% 이상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다. 수면 장애의 경우, 수면상 후퇴 증후군, 비24시간 수면각성증후군, 불면증, 과수면증 등 일주기 리듬 수면 장애가 흔하며, 이는 뇌 기능에 영향을 미쳐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196]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고, 증상 발생 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차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무리하게 일반적인 소통 방식이나 관심사 확장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행동 방식이 부정당하면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대인 관계의 어려움으로 결석이나 히키코모리 상태가 되기 쉽다. 대안학교특수학교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지만, 학력 인정 문제로 진학이나 취업에 불리할 수 있다.[197][198] 최근에는 다양한 학습 학교와 같이 학력 인정이 가능한 대안 교육 기관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199]

재택근무는 대인 관계 스트레스를 줄이고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여 아스퍼거 증후군을 포함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202][203][204][205]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과거에 비해 개선되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장애의 특성상 여전히 어려움이 많다. 겉으로는 평범해 보이기 때문에 오해를 받거나 "괴짜" 정도로 취급받기 쉬우며, 이는 당사자에게 큰 고통을 준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인간관계 갈등, 괴롭힘, 사회적 고립 등은 심각한 문제이다.

한국에서는 2005년 발달장애인 지원법이 제정되었고,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등 복지 제도가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지원 시스템은 부족한 실정이다.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재활시설(데이케어 포함), 장애인복지관 등을 통해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신장애인 등록을 통해 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취업지원 서비스나 직업재활 시설 이용도 가능하다. 금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사회복지협의회의 권리옹호 지원 사업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수용적인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개인마다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다르므로,[212] 획일적인 지원보다는 개인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세심한 지원과 사회 참여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214]

8. 예후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어린이의 경우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있으며, 최대 20%의 어린이는 성인이 되면 더 이상 진단 기준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지속될 수 있다.[22] 2006년 기준으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개인의 장기적인 결과를 다루는 연구나 어린이에 대한 체계적인 장기 추적 연구는 아직 없다.[31]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개인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수명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지만, 주요 우울 장애나 불안 장애와 같은 동반 질환의 유병률이 높아 예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22] 사회적 어려움은 평생 지속될 수 있지만, 결과는 일반적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중에서도 증상이 더 심한 경우보다는 긍정적인 편이다.[17] 예를 들어, 때때로 '고기능'으로 묘사되는 아스퍼거 증후군이나 자폐증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감소할 가능성이 더 높다.[137]

청소년기에는 자기 관리나 계획 세우기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사회적 관계나 연애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나타낼 수 있다. 인지 능력은 높을 수 있지만,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젊은 성인 대부분은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와 함께 지내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는 결혼하여 독립적으로 일하기도 한다.[17] 청소년기에 느끼는 '다름'은 정신적인 충격(외상)이 될 수 있다.[140] 불안은 일상이나 정해진 규칙이 깨질 가능성에 대한 걱정, 명확한 일정이나 기대 없이 상황에 놓이는 것, 또는 사회적 상황에서 실패할 것에 대한 두려움 등에서 비롯될 수 있다.[17] 이러한 스트레스는 부주의, 사회적 위축, 강박적인 행동에 대한 의존, 과잉 행동, 공격적이거나 반항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123]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으로 교류하려는 시도가 반복적으로 실패하면서 만성적인 좌절감을 느끼고, 이것이 우울증으로 이어져 치료가 필요한 기분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17] 한 연구에 따르면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성인은 일반 인구보다 자살 생각을 할 확률이 9배 높았으며, 자폐증 연구 참가자 중 66%가 자살 충동을 경험했고 35%는 자살을 계획하거나 시도한 적이 있었다.[42][43] 임상 경험상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자살률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아직 체계적인 연구로 확인되지는 않았다.[141]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현대 사회에 적응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으며, 여러 갈등 상황에 놓이거나 히키코모리가 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자신에 대한 열등감으로 인해 우울증과 같은 이차 장애를 겪거나 자살을 시도하는 경우도 적지 않아 이들에 대한 지원이 시급하다. 미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스퍼거 증후군 성인의 75~80%는 정규직(풀타임)으로 일하지 못하고 있다.[211]

조기에 진단하여 개입하면 예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성인기에 개입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효과는 비교적 덜하다.[44] 가족이 장애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고 대처 전략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아동의 예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44][48] 하지만 2005년 발달장애인 지원법 제정 등 제도적 노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스퍼거 증후군을 포함한 발달장애에 대한 복지 제도는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많다. 정신장애인보건복지카드 발급 기준이 일원화되지 않는 등[212]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개인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세심한 지원과 사회적 수용 환경 조성이 요구된다.[214]

9. 역학

아스퍼거 증후군의 발병률 추정치는 연구마다 매우 다양하다. 2015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3720만 명이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3] 2003년 아동 대상 역학 연구 검토에서는 자폐증 발생률이 1,000명당 0.03명에서 4.84명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자폐증과 아스퍼거 증후군의 비율은 1.5:1에서 16:1까지 보고되었다.[142] 이를 바탕으로 아스퍼거 증후군의 발생률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면 1,000명당 약 0.26명 수준이다.[143] 2007년 핀란드 8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사용된 진단 기준(ICD-10, 길버그 기준, DSM-IV 등)에 따라 1,000명당 1.6명에서 4.3명까지 다양한 결과가 나왔다.[160]

성별에 따른 유병률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남성이 여성보다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 연구에 따라 남녀 성비는 1.6:1에서 4:1까지 다양하게 추정되며,[160] 약 4배 정도 차이가 난다는 보고도 있다.[216] 전체 인구의 약 1%가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할 때, 남성은 약 1.6%, 여성은 약 0.4%의 유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계산될 수 있다.[216] 그러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여성이 과소 진단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144]

아스퍼거 증후군은 고기능 자폐증과 마찬가지로 강한 유전적 요인을 가지고 있다.[217] 한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증 환자가 있는 가족의 3분의 2에서 1촌 또는 2촌 친족 중에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8]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에게는 다른 정신 질환이나 의학적 상태가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22] 가장 흔하게 동반되는 질환은 불안 장애와 주요 우울 장애로,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 중 약 65%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17] 드물게 아미노산뇨증이나 관절 과잉 가동성과 같은 의학적 질환과의 연관성이 보고되기도 했으나, 이는 주로 소규모 연구 결과이다.[17] 아스퍼거 증후군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간질 발병률 증가와 함께 51%라는 높은 비언어 학습 장애 발병률이 보고되었다.[145] 또한 틱 장애, 뚜렛 증후군, 양극성 장애와의 연관성도 제기된다. 아스퍼거 증후군의 반복적인 행동은 강박 장애 및 강박적 성격 장애의 증상과 유사한 점이 많으며,[98] 젊은 성인 표본 연구에서는 26%가 편집성 인격 장애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연구는 임상 표본에 기초하거나 표준화된 측정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146][147][148]

연구에 따르면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 LGBT 정체성이나 관련 성적 감정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으며,[149] 무신론자일 가능성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50]

영국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성인이 일반 성인보다 자살 위험이 9배 이상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사회적 고립, 배척, 실업 등으로 인한 이차적인 우울증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깊으며, 따라서 자살 위험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적절한 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219]

10. 사회적 상황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본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17] 이는 공감 능력 부족으로 오해받기 쉬우나,[44] 실제로는 시선 접촉, 얼굴 표정, 자세,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이 다르거나[17] 사회적 또는 정서적 상호성이 부족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17]

다른 형태의 자폐증과 비교했을 때,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덜 내향적일 수 있으며, 서투르더라도 먼저 다가가기도 한다.[31] 예를 들어, 자신이 좋아하는 주제에 대해 일방적이고 장황하게 이야기하면서 상대방의 반응이나 감정을 잘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31] 이러한 사회적 어색함은 때때로 "적극적이지만 이상한" 방식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7] 이러한 행동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이거나 무례하게 비칠 수 있지만,[31] 반드시 의도적인 것은 아니다. 일부는 선택적 함구증을 보이기도 한다.[45]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어린이들은 이론적으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사회적 규범을 말로 설명할 수 있지만,[17][285] 실제 생활의 복잡하고 유동적인 상황 속에서 이러한 지식을 자연스럽게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31][288] 때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얻은 정보를 엄격한 규칙으로 만들어 적용하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융통성 없고 부자연스러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예: 억지로 눈을 맞추는 행동).[17][285] 친구를 사귀려는 시도가 반복적으로 실패하면서 사회적 관계에 대한 관심 자체가 줄어들기도 한다.[17][285]

이러한 사회적 어려움 때문에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또래에게 학교 폭력의 대상이 되거나 배척당하기 쉬우며,[302][50] 이는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높일 수 있다. 심각한 경우, 일반 인구보다 자살 생각을 더 높은 비율로 경험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2][43]

한편,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사회적 어려움을 이해하는 다른 관점들도 존재한다. 이들은 스스로를 '아스피(aspies)'라고 부르기도 하며,[163][164] 신경다양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자신들의 특성을 장애가 아닌 다른 인지 스타일로 보려는 시각도 있다.[165][166][167] 또한 '이중 공감 문제' 모델은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상호 이해 방식 차이가 사회적 어려움의 원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51][52][53][54]

10. 1. 주변에 미치는 영향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여러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이는 가족, 친구, 동료 등 주변인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핵심 증상 중 하나인 타인에 대한 공감 표현의 어려움[286]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곤란[300]은 관계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아스퍼거인은 다른 사람과 친해지려 할 수 있지만, 사회적 상황에 부적절하게 반응하거나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장황하게 이야기하는 등의 모습으로 인해 타인의 감정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288] 이는 의도적인 무례함이라기보다는, 자신의 감각 기능을 한 곳에 집중하는 특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288]

이들은 사회적 규칙을 이론적으로는 이해하더라도[285] 실제 상황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288] 때로는 관찰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엄격한 규칙으로 만들어 문자 그대로 적용하려다 오히려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운 소통을 하게 되기도 한다.[285] 이러한 경험 때문에 어린 시절 친구를 사귀려는 시도가 반복적으로 실패하면 친구 관계에 대한 관심을 잃을 수도 있다.[285] 또한, 독특한 행동 방식이나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로 인해 학교 폭력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도 많다.[302]

가족 관계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자녀는 부모의 말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예상치 못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누가 와도 문을 열어주지 말라"는 지시를 듣고, 외출에서 돌아온 부모에게도 문을 열어주지 않는 식이다. 성인의 경우, 파트너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상호 교류의 차이로 인해 상대방이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는 카산드라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실제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성인, 특히 남성의 경우 독신율이 높다는 보고가 있으며,[220] 자폐증 아동을 둔 부모의 이혼율이 높다는 지적도 있었다.[221]

직장 생활에서도 의사소통의 특이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대화가 일방적이거나, 애매한 지시를 이해하지 못하고, 동시에 여러 업무를 처리하거나 갑작스러운 변화에 대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82] 이러한 문제들이 반복되면 좌절감과 스트레스가 쌓여 우울증과 같은 이차적인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수도 있다.[182]

주변 사람들의 이해 부족 또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과 그 주변인 모두에게 부담을 가중시킨다. 겉으로는 장애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단순히 "특이한 사람"이나 "괴짜"로 여겨지기 쉽고, 이로 인해 오해를 받거나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 있다.[212] 따라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지원과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족 교육을 통해 대처 전략을 배우는 것이 당사자의 예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4][48]

한편, 이중 공감 문제 모델은 자폐인들이 비자폐인보다 다른 자폐인들과 더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51][52][53][54] 이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문제가 단순히 개인의 결함이 아니라, 서로 다른 신경 유형 간의 상호 이해 부족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10. 2. 아스퍼거 증후군을 '장애'로 보는 것에 대한 논의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스스로를 '아스피(aspies)'라고 부르기도 한다.[163][164] 일부 자폐인들은 아스퍼거 증후군을 포함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 아니라, 복잡한 증후군, 신경다양성, 또는 신경소수자의 인지 스타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신경다양성 패러다임 지지자들은 이상적인 뇌 구조라는 개념이나 규범에서 벗어난 것을 병리적인 것으로 보는 시각을 거부하며, 신경다양성에 대한 관용을 강조한다.[165][166][167] 이는 더 넓은 신경다양성 운동 내 자폐인 권리 및 자폐인 자긍심 운동의 기초가 된다.[168]

세 명의 아이들이 밝은 색깔의 글씨로
자폐증 인식 향상의 달을 지지하기 위해 행진하는 학생들과 가족들.


아스퍼거 증후군 당사자들은 대체로 치료를 원하지 않고 자신의 정체성에 자부심을 느끼는 반면,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자녀의 자폐증을 "치료"하려는 경향이 있어 대조를 보인다.[169]

일부 연구자들은 아스퍼거 증후군 및 기타 자폐증을 장애가 아닌 다른 인지 스타일로 간주할 수 있으며,[170] 과거 동성애가 정신질환 분류에서 제외된 것처럼, ''ICD''나 ''DSM'' 같은 의학 및 정신의학 진단 목록에서 제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71]

사이먼 배런-코헨과 같이 자폐증을 병리적 관점에서 연구해 온 일부 학자들조차 아스퍼거 증후군을 중립적인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2002년 그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세부 사항에 대한 정확한 안목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는 불리할 수 있지만, 수학, 컴퓨팅, 음악, 언어학, 공학, 과학 분야에서는 성공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그는 법적으로 필요한 특별 지원을 제공하고, 당시 자폐증과 관련 있다고 여겨졌던(현재는 이중 공감 문제 이론 등으로 반박되는) 공감 능력 부족으로 인한 정서적 어려움을 인식하기 위해 아스퍼거 증후군을 장애로 간주하는 것이 여전히 유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172] 배런-코헨은 또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와 관련된 유전적 요인이 최근 인류 진화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인류 역사에 중요한 기여를 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73]

반면, 피어 야르스마와 스티엘란 웰린은 2011년 연구에서 신경다양성 주장이 소위 '고기능' 자폐인에게만 타당하며, 지원 요구가 큰 다른 자폐인들에게까지 확장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고기능' 자폐인의 경우 정신의학적 진단이 불필요하거나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지만, 다른 유형의 자폐증은 여전히 정신의학적 진단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174]

주로 미국의 학회를 중심으로 아스퍼거 증후군 자체는 장애가 아니며 치료 대상이 아니라는 논의가 있다.[222] 또한, 아스퍼거 증후군을 '증후군'(syndrome)으로 불러야 할지, '장애'(disorder)로 불러야 할지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223] 이러한 논의는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의 공감 표현 방식이 다르거나(겉으로 드러나지 않거나 지적인 과정을 통해 공감에 도달),[50]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상호 이해 방식 차이(이중 공감 문제)[51][52][53][54] 등 기존의 이해 방식에 도전하는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특히 응용 행동 분석(ABA)이나 인지 행동 치료(CBT)와 같은 일부 치료법에 대해서는 자폐 권리 운동을 중심으로 비판적인 목소리가 높다. 이들은 해당 치료법들이 자폐인들에게 자신의 신경다양성 특성이나 행동을 신경전형적인 기준에 맞추도록 강요한다고 주장한다.[108][109][110] ABA는 학대적일 수 있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111][112][113][114][115][116] 자폐 자기옹호 네트워크와 같은 단체들은 ABA 사용 반대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117][118] CBT 역시 신경전형적인 사람들을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자폐인에게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비판이 있다.[119][120][121]

10. 3. 낙인

2001년 5월,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일본이 비디오 스루 방식으로 출시하려던 외국 영화(원제: ''Absence of the Good'', 1999년 미국 영화)가 “아스퍼거 죽음의 만찬”이라는 제목 때문에 항의를 받아 출시가 중단되는 사건이 있었다. 이 제목은 원제(직역하면 “선의의 부재”)와 관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영화 내용에도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인물은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224]

11. 아스퍼거 증후군과 범죄와의 관계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개인이 폭력적이거나 범죄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은 조사되었지만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46][47]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사람의 범죄율에 대해, 건강한 사람보다 높다는 보고와 거의 동일하다는 보고가 있으며, 결론이 일치하지 않는다. 오히려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을 받은 아동은 범죄자보다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증거가 많다.[48]

현재 정신의학계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이나 전반적 발달 장애 자체가 범죄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기보다는,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의 상호작용 결과로 범죄 행위에 이르게 된다는 견해가 우세하다.[227] 다카하시 사토시는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 부족, 오해, 방치, 괴롭힘 등 부적절한 대응이 비행이나 범죄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지적한다.[227][236] 스모리야 켄지(숙덕대학) 역시 “진정한 위험 요인은 발달장애가 아니라 발달장애를 둘러싼 사회의 장벽이며, 이차 장애로 이어지는 배려 없는 사회의 모습”이라고 강조한다.[227]

사회 운동가이자 전 중의원 의원인 야마모토 요우지는 자신의 복역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복지 시스템 미비로 인해 정신장애인이 교도소에 다수 수용되어 복지 시설을 대체하는 현실을 비판했다. 그는 “지적장애인이나 발달장애가 있는 수형자 대부분은 복지와 가족으로부터 외면당하고 극심한 빈곤 속에서 절도나 무전취식 등을 저지르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죄의 경우 “사회적 동조 압력괴롭힘으로 인한 고통이 범죄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면서도 “장애가 있다고 해서 범죄를 저지르기 쉽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라고 분명히 했다.[237] 야마모토에 따르면, 많은 장애인 수형자가 사회적 차별을 피해 교도소에 남기를 원하며,[238] 판사들도 동정심에 교도소행이 낫다고 판단해 실형을 선고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239] 야마모토는 이즈미 부스케 등과 함께 정신질환 출소자 복지 연구 위원회를 발족했고, 이후 아카시 시장이 된 이즈미는 관련 지원 부서를 설치하고 “아카시시 개선 지원 및 재범 방지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240]

카토 신쇼는 아스퍼거 증후군 관련 범죄는 대부분 대인 의사소통 기술 부족으로 사회 시스템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발생하는 경미한 경우라고 본다.[235]

반면, 일부 연구는 아스퍼거 증후군과 범죄율 간의 연관성을 시사한다. 사회학자 이데 소헤이(ja)는 가정법원 송치 소년범죄 데이터와 DSM-5 유병률을 분석하여 아스퍼거 증후군의 범죄 친화성이 5.6배(확진 시 12.6배, 의심 진단 포함 시 28.6배)로, ADHD(1.1배)나 지적장애(2.2배)보다 높다고 주장했다. 스웨덴 연구[229] 데이터를 통해서도 범죄 친화성이 10배 이상이라고 계산했다.[230] 미국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 청년의 대인범죄(폭력, 학교 방해 행위) 비율이 일반 비교군보다 2배 높았으나, 재산범죄 등은 적었다.[231] 아동정신과 의사 시미즈 야스오(ja) 등의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특정 타해 행위 빈도가 일반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232] 후지카와 요코는 미성년 범죄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ADHD 아동의 범죄율이 다소 높다고 언급했다.[227] 2008년의 한 소규모 연구(n=37) 검토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 폭력 범죄자의 약 80%가 조현병적 정신질환 등 다른 정신질환을 함께 앓고 있었다.[49] 정신과 의사 야마자키 아키히로(ja) 등은 아스퍼거 증후군의 촉법 행위가 장애 자체나 지능 저하와 관련 있으며 약물 치료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았다.[234] 이치카와 히로노부(ja) 등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자의 촉법 행위 재범 문제를 보고했다.[233]

아스퍼거 증후군과 범죄의 관계는 언론의 선정적인 보도에 의해서도 왜곡될 수 있다. 사세보 소학교 6학년 여아 동급생 살해 사건 당시 가해자가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알려지자 대대적인 보도가 이어졌고, 작가 모리 타츠야(森達也)는 이러한 보도 방식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와나미 아키라(岩波明)는 당시 미성년자 살인이 드물었기에 이 사건이 "아스퍼거 증후군에 기인한 이상한 사건"으로 인지 편향(집단 심리)의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발달장애 정의의 모호함, 이해 부족, 정신 감정에서의 안이한 진단, 재판 과정에서의 불리함(분위기를 읽지 못해 반성하지 않는다고 오해받는 등)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아스퍼거 증후군이 사회적으로 크게 주목받은 계기는 2000년 토요카와시 주부 살인 사건이었다. 카토 신쇼는 최근 아스퍼거 진단이 남용되는 경향을 지적하며, "아스퍼거 장애가 범죄와 직결된다는 이해는 잘못이며, 동기가 이해하기 어려운 일부 '극단적인' 범죄에서 장애 특성과의 관련성이 주목될 뿐"이라고 설명했다.[241]

아스퍼거 증후군 관련 주요 사건 (일본)
사건 발생일사건명내용
2000년토요카와시 주부 살인 사건아스퍼거 증후군이 사회적으로 크게 주목받는 계기가 됨.[241]
2003년 7월 1일나가사키 남아 유괴 살인 사건가해자의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사실이 알려지며 언론 보도 논란 및 일본 자폐증 협회 항의 발생.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242]
2004년 6월 1일사세보 소학교 6학년 여아 동급생 살해 사건가해자가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추정되어 대대적으로 보도됨.[243] 언론의 선정적 보도에 대한 비판 제기됨.
2011년 7월 25일히라노구 시영주택 살인 사건아스퍼거 증후군 피고인에게 1심에서 구형보다 무거운 징역 20년 선고. 사회적 수용 가능성 부재를 이유로 장기 격리 필요성을 언급하여 논란. (재판원 재판의 공정성 문제 제기)[247] 항소심에서 1심 파기 후 징역 14년으로 감형 확정.[244][245][246][248]


12. 관련 인물 및 작품

아스퍼거 증후군은 오스트리아의 소아과 의사 한스 아스퍼거(Hans Asperger, 1906~1980)의 이름에서 유래했지만, 그가 처음 사용한 용어는 아니다.[151] 아스퍼거보다 앞서 1925년 소련의 아동 정신과 의사 그루냐 수하레바(Grunya Sukhareva, 1891~1981)가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기술한 바 있다.[152][3] 한스 아스퍼거는 1944년 발표한 논문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는 네 명의 아동 사례를 제시하며 이를 "자폐성 정신병질"이라고 불렀다.[44][21]

이후 영국의 정신과 의사 로르나 윙(Lorna Wing)이 1976년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1981년 관련 사례 연구를 발표하면서 영어권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57][158][159][151] 또한, 독일 출신의 심리학자 우타 프리트(Uta Frith)는 1991년 한스 아스퍼거의 논문을 영어로 번역하여 소개했다.[12] 이러한 연구자들의 노력을 통해 아스퍼거 증후군 개념이 정립되고 알려지게 되었다.

12. 1.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유명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기준의 일부를 충족하는 유명인은 많으며, 이는 연구자나 위인에 대한 "괴짜 천재"라는 고정관념 형성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아스퍼거 증후군과 같은 고기능 자폐증의 존재가 널리 알려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특히 1980년대 이후에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에 과거 인물에 대한 언급은 대부분 남겨진 기록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의 추측이며 공식적인 진단은 아니다. 이러한 사후 추측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다음은 아스퍼거 증후군 등의 진단을 받았음을 스스로 공표한 유명인들의 일부 목록이다. (ADHD나 학습 장애를 동반한 경우 포함)

'''학자'''

'''의사'''

'''음악가'''

'''영화 감독, 배우'''

'''작가'''

'''프로그래머, 해커'''

'''화가, 만화가'''

'''탤런트'''

'''활동가'''

'''실업가'''

12. 2.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추정되는 역사적 인물

스기야마 토시로의 2011년 저서 『발달장애의 지금』(고단샤, p.66)에서 인용한,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추정되는 역사적 인물 목록은 다음과 같다. 다만, 이들 인물이 의사로부터 직접 진단을 받은 것은 아니며 후세의 추측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분야인물
학자・정치가스리니바사 라마누잔
학자・정치가아이작 뉴턴
학자・정치가토머스 제퍼슨
학자・정치가찰스 다윈
학자・정치가버트런드 러셀
학자・정치가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학자・정치가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학자・정치가앨런 튜링
문학가・예술가미켈란젤로
문학가・예술가조너선 스위프트
문학가・예술가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문학가・예술가루이스 캐럴
문학가・예술가빈센트 반 고흐
문학가・예술가에릭 사티
문학가・예술가앤디 워홀
문학가・예술가글렌 굴드


12. 3. 아스퍼거 증후군을 소재로 한 작품


  • 모차르트와 고래: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남성 주인공과 광범위성 발달장애를 가진 여성의 연애를 다룬 영화.
  • 음표와 다시마: 미각 장애를 앓지만 푸드 코디네이터로 일하는 주인공 앞에 갑자기 나타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언니와의 자매애를 그린 영화.
  • 메리 & 맥스: 왕따를 당하는 외로운 소녀와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외로운 노인이 20년에 걸쳐 편지를 주고받으며 소통하는 이야기를 다룬 클레이 애니메이션 영화.
  • 사랑하는 우주: 천문학에 대해 남다른 지식을 가진 아스퍼거 증후군 주인공과 동화 작가를 꿈꾸는 여성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를 그린 영화.
  • 내 이름은 칸: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주인공이 자신과 다른 종교를 믿는 여성과 결혼하지만, 이로 인해 아이가 차별받고 목숨을 잃게 되자 절망 속에서 아내의 원망을 듣고 미국 대통령을 만나기 위한 여정을 떠나는 이야기.
  •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가까이: 9.11 테러로 아버지를 잃은 소년이 대인 관계에 어려움을 겪으며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의심받지만, 아버지의 유품인 열쇠의 주인을 찾아 낯선 사람들과 교류하며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
  • 심플 시몬: 물리학SF를 좋아하며, 마음에 들지 않는 일이 생기면 드럼통 안에 숨어버리는 아스퍼거 증후군 주인공 시몬이 유일한 이해자인 형 샘의 연애를 엉망으로 만든 후, 형을 위한 새로운 여자친구를 찾아주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

참조

[1] 웹사이트 Asperger syndrome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2018-05-16
[2] 웹사이트 Asperger's syndrome https://en.oxforddic[...] 2018-05-16
[3] Report Sukhareva – Prior to Asperger and Kanner http://urn.kb.se/res[...] 2015-08-00
[4]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ICD-10): F84.5 Asperger syndrome http://apps.who.int/[...] 2016-00-00
[5] 웹사이트 Autism spectrum disorder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19-07-13
[6] 웹사이트 Autism Spectrum Disorders – Pediatrics https://www.merckman[...] 2019-01-26
[7]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Text Revision (DSM-5-T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2-03-18
[8] 백과사전 6A02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icd.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02-00
[9] 웹사이트 Asperger syndrome https://rarediseases[...]
[10] 논문 The Diagnosis of Autism: From Kanner to DSM-III to DSM-5 and Beyond 2021-12-00
[11] 웹사이트 F84.5 Asperger syndrome http://apps.who.int/[...] 2015-00-00
[12] 서적 Autistic psychopathy in childhoo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www.nimh.nih.[...]
[14] 웹사이트 ICD-11 https://icd.who.int/[...]
[15] 웹사이트 World Health Organisation updates classification of autism in the ICD-11 https://www.autismeu[...]
[16] 웹사이트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www.nimh.nih.[...] 2015-09-00
[17] 논문 Asperger's syndrome 2006-10-00
[18] 논문 Gene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2006-06-00
[19] 웹사이트 Making information and the words we use accessible https://www.england.[...] 2018-00-00
[20] 웹사이트 The psychiatric management of autism in adults (CR228) https://www.rcpsych.[...]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21] 웹사이트 Asperger syndrome fact sheet http://www.ninds.nih[...] 2007-07-31
[22] Submitted manuscript Asperger syndrome http://www.ssoar.inf[...] 2009-01-00
[23]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0
[24] 논문 Barriers to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for Young Women and Girls: A Systematic Review 2021-12-00
[25] 서적 Ferri's Clinical Advisor 2015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00-00
[26] 논문 Identifying the lost generation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conditions 2015-11-00
[27] 논문 Three diagnostic approaches to Asperger syndrome: implications for research 2005-04-00
[28] 서적 Asperger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Plenum press
[29] 논문 Asperger's syndrome: a comparison of clinical diagnoses and those made according to the ICD-10 and DSM-IV 2005-04-00
[30] 서적 Asperger's Syndrome: Intervening in Schools, Clinics, and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0-00
[31] 논문 Autismo e síndrome de Asperger: uma visão geral 2006-05-00
[32] 논문 Current trends in psychological research o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disorder 2005-09-00
[33] 논문 Examining the validit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subtypes 2008-10-00
[34] 논문 Qualitative or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Asperger's disorder and autism? Historical considerations 2009-11-00
[35] 논문 The classification of autism, Asperger's syndrome,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2000-10-00
[36] 서적 Early interven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a critical analysis Elsevier Science
[37] 서적 Asperger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Plenum press
[38] 학술지 Should the DSM V drop Asperger syndrome? 2010-09-00
[39] 학술지 Autism spectrum disorders
[40] 서적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World Health Organization
[41]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42] 논문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plans or attempts in adults with Asperger's syndrome attending a specialist diagnostic clinic: a clinical cohort study
[43] 학술지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uicidality in autistic and possibly autistic people without co-occurring intellectual disability 2023-03-00
[44] 학술지 Asperger syndrome revisited
[45] 웹사이트 Asperger's Syndrome http://emedicine.med[...] 2010-07-07
[46] 학술지 Offending behaviour in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2008-04-00
[47] 학술지 Violent behavior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s at risk?
[48] 학술지 Outcome research in Asperger syndrome and autism 2003-01-00
[49] 학술지 Violent crime in Asperger syndrome: the role of psychiatric comorbidity 2008-11-00
[50] 뉴스 Greta Thunberg responds to Asperger's critics: 'It's a superpower' https://www.theguard[...] 2019-09-02
[51] 웹사이트 We May Have Been Wrong About Autism And Empathy https://www.huffpost[...] 2016-03-29
[52] 웹사이트 Asperger Profiles: Emotions and Empathy https://www.aane.org[...] 2016-07-29
[53] 학술지 Divergent roles of autistic and alexithymic traits in utilitarian moral judgments in adults with autism 2016-03-00
[54] 학술지 Autism and the double empathy problem: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2021-03-00
[55] 학술지 Repetitive behavior profiles in Asperger syndrome and high-functioning autism 2005-04-00
[56] 서적 The Autism Experience: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Autism Parenting https://books.google[...] ReadHowYouWant.com 2011-10-00
[57] 학술지 Autism spectrum disorders: relevance to Tourette syndrome
[58] 학술지 What's new in autism? https://www.academia[...]
[59] 학술지 Psychiatric comorbidities in asperger syndrome and high functioning autism: diagnostic challenges 2012-06-00
[60] 학술지 Childhood autism and associated comorbidities 2007-06-00
[61] 학술지 Social communication and its disorder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1996-01-00
[62] 웹사이트 The Little Professor Syndrome https://archive.nyti[...] 2000-06-18
[63] 학술지 Humor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2004-10-00
[64] 학술지 The screening and diagnosis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1999-12-00
[65] 학술지 Emanuel Miller lecture: confusions and controversies about Asperger syndrome 2004-05-00
[66] 서적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Sensory Perceptional Issues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Different Sensory Experiences, Different Perceptual Worlds Jessica Kingsley
[68] 학술지 Annotation: what do we know about sensory dysfunction in autism? A critical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2005-12-00
[69] 학술지 The epidemiology of Asperger syndrome. A total population study 1993-11-00
[70] 학술지 A survey of sleep problems in autism, Asperger's disorder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2005-04-00
[71] 논문 The overlap between alexithymia and Asperger's syndrome 2006-05-00
[71] 논문 Response to "Letter to the Editor: The overlap between alexithymia and Asperger's syndrome", Fitzgerald and Bellgrov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6(4) 2006-11-00
[71] 논문 Self-referential cognition and empathy in autism 2007-09-00
[72] 논문 Asperger syndrome, alexithymia and perception of sleep
[73] 논문 Asperger Syndrome (AS): A Review Article 2022-11-00
[74] 논문 The teratology of autism
[75] 논문 Incid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changes over time and their meaning 2005-01-00
[76] 논문 The study of autism as a distributed disorder
[77] 논문 A clinical and neurobehavioural review of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s disorder 2002-12-00
[78] 논문 Developmental cortical anomalies in Asperger's syndrome: neuroradiological findings in two patients
[79] 논문 Time to give up on a single explanation for autism 2006-10-00
[80] 논문 The weak coherence account: detail-focused cognitive style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06-01-00
[81] 논문 Enhanced perceptual functioning in autism: an update, and eight principles of autistic perception 2006-01-00
[82] 논문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the consequences of its dysfunction 2006-12-00
[83] 논문 Broken mirrors: a theory of autism http://cbc.ucsd.edu/[...] 2006-11-00
[84] 논문 Abnormal imitation-related cortical activation sequences in Asperger's syndrome 2004-04-00
[85] 논문 Does the autistic child have a "theory of mind"? 1985-10-00
[86] 논문 The hyper-systemizing, assortative mating theory of autism http://www.autismres[...] 2006-07-00
[87] 논문 Asperger's syndrome: a review of clinical features 1989-08-00
[88] 논문 Asperger syndrome – some epidemiological considerations: a research note 1989-07-00
[89] 논문 Pharmacological treatment op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90] 논문 Issues related t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91] 논문 Asperger syndrome: diagnosis and external validity 2003-01-00
[92] 논문 The challenge of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2003-01-00
[93] 논문 Asperger's syndrome in adulthood 2009-01-00
[94] 논문 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 http://apt.rcpsych.o[...]
[95] 논문 The investigation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 in adults 2013-11-00
[96] 논문 Asperger syndrome: to be or not to be? 2003-10-00
[97] 논문 Social cognition in alcoholism: a link to prefrontal cortex dysfunction? 2008-05-00
[98] 논문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coexistence with other clinical disorders 2000-11-00
[99] 논문 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 2001-07-01
[100] 논문 Screening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Young Children: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6-02-00
[101] 웹사이트 Childhood Autism Spectrum Test http://psychology-to[...] 2013-07-03
[102] 논문 Diagnostic assessment of Asperger's disorder: a review of five third-party rating scales 2005-02-00
[103] 논문 The Autism Spectrum Quotient: Children's Version (AQ-Child) http://autismresearc[...] 2008-08-00
[104] 논문 The Autism-Spectrum Quotient (AQ)--adolescent version http://autismresearc[...] 2006-04-00
[105] 논문 Screening adults for Asperger Syndrome using the AQ: a preliminary study of its diagnostic validity in clinical practice http://autismresearc[...] 2005-06-00
[106] 논문 Asperger's disorder: a review of its diagnosis and treatment
[107] 논문 Frameworks for behavioral interventions 2003-01-01
[108] 웹사이트 Commentary: The autistic community is having a reckoning with ABA therapy. We should listen https://fortune.com/[...] 2023-10-31
[109] 논문 "Recalling hidden harms": autistic experiences of childhood applied behavioural analysis (ABA) https://strathprints[...] 2020-01-01
[110] 논문 "Putting on My Best Normal": Social Camouflaging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Conditions 2017-08-01
[111] 논문 Evidence of increased PTSD symptoms in autistics exposed to applied behavior analysis https://www.emerald.[...] 2018-01-02
[112] 논문 How much compliance is too much compliance: Is long-term ABA therapy abuse? 2019-01-01
[113] 논문 Ethical Concerns with Applied Behavior Analysi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2020-01-01
[114] 논문 Research Review: Conflicts of Interest (COIs) in autism early intervention research - a meta-analysis of COI influences on intervention effects 2021-01-01
[115] 논문 "Recalling hidden harms": autistic experiences of childhood applied behavioural analysis (ABA) https://www.emerald.[...] 2021-10-26
[116] 논문 Long-term ABA Therapy Is Abusive: A Response to Gorycki, Ruppel, and Zane 2021-06-01
[117] 웹사이트 Autistic Self Advocacy Network – Nothing About Us Without Us http://www.autistica[...]
[118] 웹사이트 Is the Most Common Therapy for Autism Cruel? https://www.theatlan[...] 2016-08-11
[119] 웹사이트 Why Doesn't Standard Talking Therapy Work for Autistic People? https://www.dralicen[...] 2023-11-03
[120] 웹사이트 Is CBT effective when working with autistic people? https://www.counsell[...] 2023-11-03
[121] 웹사이트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ay be only mildly effective for anxious, autistic children https://www.spectrum[...] 2023-11-03
[122] 논문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the autism spectrum: essential ingredients and a model curriculum 2003-01-01
[123] 논문 Behavioral forms of stress management for individuals with Asperger syndrome 2003-01-01
[124] 논문 Promoting social communication in high functioning individual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2003-01-01
[125] 논문 Determining treatment outcome in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a critical analysis of measurement issues in learning based interventions
[126] 논문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2008-02-01
[127] 논문 Parent management training and Asperger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valuate a parent based intervention 2004-09-01
[128] 논문 Strategies for pharmacologic treatment of high 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https://zenodo.org/r[...] 2003-01-01
[129] 논문 Aripiprazol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2016-06-01
[130] 논문 Aripiprazole for irritability associated with autistic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6–17 years 2010-09-01
[131] 논문 Manag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s://pediatrics.a[...] 2007-11-01
[132] 논문 Antipsychotic medications: metabolic and cardiovascular risk
[133] 논문 Atypical antipsychotics in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134] 논문 The effect of long-term antipsychotic treatment on prolactin 2006-06-01
[135] 논문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in the treatment of autistic disorder 2007-04-01
[136] 논문 Asperger syndrome and high functioning autism: research concerns and emerging foci
[137] 논문 Modeling clinical outcome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2005-07-01
[138] 논문 Mathematical ability of students with Asperger syndrome and high-functioning autism: a review of literature 2007-11-01
[139] 논문 Mathematical Talent is Linked to Autism 2007-06-01
[140] 논문 Asperger's may be answer to diagnostic mysteries
[141] 서적 Asperger's Disorder Informa Healthcare
[142] 학술지 Epidemiologic data on Asperger disorder 2003-01-01
[143] 서적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4] 학술지 The assess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dults 2016-01-04
[145] 학술지 One hundred males with Asperger syndrome: a clinical study of background and associated factors 2004-10-01
[146] 학술지 Personality disorder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what are the connections? 2012-05-01
[147] 학술지 Lifelong eccentricity and social isolation. II: Asperger's syndrome or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1988-12-01
[148] 서적 Integrated Treatment for Co-Occurring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and Addiction Routledge
[149] 학술지 Improving th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Health Care of Autistic Peopl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22-04-01
[150] 학술지 Mentalizing deficits constrain belief in a personal God 2012-01-01
[151] 학술지 What's so special about Asperger Syndrome? 2006-06-01
[152] 서적 Autistic Children Amazon 2022-01-01
[153] 학술지 Did Hans Asperger (1906–1980) have Asperger syndrome? 2007-11-01
[154] 서적 American Normal: The Hidden World of Asperger Syndrome https://archive.org/[...] Copernicus
[155] 학술지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case records of 'autistic psychopaths' diagnosed by Hans Asperger and his team at the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Vienna 2003-02-01
[156] 서적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7] 웹사이트 What is Asperger's Syndrome https://guidingpathw[...] Guiding Pathways header logo 2018-01-24
[158] 학술지 Asperger's Syndrome: A Clinical Account https://ndclibrary.s[...]
[159] 뉴스 Asperger's Children https://www.nytimes.[...] 2018-06-18
[160] 학술지 An epidemiological and diagnostic study of Asperger syndrome according to four sets of diagnostic criteria 2007-05-01
[161] 웹사이트 299.80 Asperger's Disorder http://www.dsm5.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62] 학술지 Profound Concerns about "Profound Autism": Dangers of Severity Scales and Functioning Labels for Support Needs 2023-01-19
[163] 서적 Pretending to be Normal: Living with Asperger's Syndrome https://archive.org/[...] Jessica Kingsley
[164] OED
[165] 웹사이트 Neurodiversity: Some Basic Terms & Definitions https://neuroqueer.c[...] 2014-01-01
[166] 웹사이트 Throw Away the Master's Tools: Liberating Ourselves from the Pathology Paradigm https://neuroqueer.c[...] 2013-01-01
[167] 서적 Children, Youth and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Integrating Multiple Perspectives Jessica Kingsley
[168] 서적 Children, Youth and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Integrating Multiple Perspectives Jessica Kingsley
[169] 학술지 Asperger's syndrom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understanding and those diagnosed
[170] 학술지 'Surplus suffering': differences betwee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s of Asperger's syndrome and those people who claim the 'disorder'
[171] 학술지 Reframing Asperger syndrome: lessons from other challenges to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and ICIDH approaches
[172] 학술지 Is Asperger syndrome necessarily viewed as a disability?
[173] 서적 Foundations of Evolutionary Psychology Lawrence Erlbaum
[174] 학술지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s://web.archive.[...] 2012-03-01
[175] 간행물 成人アスペルガー症候群への対応と支援 https://web.archive.[...] 日本精神神経学会 2015-04-01
[176] 웹사이트 https://dot.asahi.co[...]
[177] 웹사이트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www.nimh.nih.[...] 米国国立メンタルヘルス機構 2016-03-12
[178] 서적 カプラン臨床精神医学テキスト DSM-5診断基準の臨床への展開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6-05-31
[179] 웹사이트 299.80 Asperger's Disorder http://www.dsm5.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0-12-21
[180] 논문 Current trends in psychological research o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disorder
[181] 논문 Examining the validit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subtypes
[182] 뉴스 成績優秀なのに仕事ができない“大人の発達障害”急増の真実 https://diamond.jp/a[...] DIAMOND ONLINE 2015-04-15
[183] 논문 自閉症スペクトラム障害に併存するインターネット依存症のスクリーニング,および介入の必要性 https://journal.jspn[...]
[184] 논문 Antidepressant Use During Pregnancy and the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http://archpedi.jama[...] 2016-02-01
[185] 논문 Prenatal valproate exposure and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childhood autism. https://jama.jamanet[...] 2013-04-24
[186] 논문 Risks of in utero exposure to valproate. https://jama.jamanet[...] 2013-04-24
[187] 논문 Prenatal valproate exposure is associat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hildhood autism. https://linkinghub.e[...] 2013-09
[188] 논문 Prenatal exposure to sodium valproat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hildhood autism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http://ebn.bmj.com/c[...] 2014-07
[189] 논문 Valproate use during pregnancy was link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hildhood autism in offspring. https://annals.org/a[...] 2013-08-20
[190] 논문 Prenatal valproate exposure and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childhood autism. http://ep.bmj.com/co[...] 2014-10
[191] 웹사이트 自閉症スペクトラム障害でミラーニューロン回路の不全 http://www.kyoto-u.a[...] 京都大学 2012-08-15
[192] 뉴스 統合失調症 相次ぐ誤診 読売新聞 2008-12-26
[193] 서적 精神科セカンドオピニオン2―発達障害への気づきが診断と治療を変える シーニュ
[194] 서적 〈正常〉を救え―精神医学を混乱させるDSM-5への警告 講談社 2013-10
[195] 논문 Why So Many Epidemics of Childhood Mental Disorder?
[196] 웹사이트 https://natgeo.nikke[...]
[197] 웹사이트 発達障害の子どもを排除する厳格な「学校ルール」「普通に成長した子」しかいられない通常学級に https://web.archive.[...]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2-04-08
[198] 웹사이트 学びの新たな選択肢「学びの多様化学校」とは? https://web.archive.[...] NHK 2024-01-26
[199] 웹사이트 学びの新たな選択肢「学びの多様化学校」とは? https://web.archive.[...] NHK 2024-01-26
[200] 서적 みんなで学ぶアスペルガー症候群と高機能自閉症 星和書店
[201] 서적 みんなで学ぶアスペルガー症候群と高機能自閉症 星和書店
[202] 웹사이트 Workers with autism lose helpful remote work benefits as in-office mandates increase https://web.archive.[...] 2023-04-22
[203] 웹사이트 自閉症の人にとってメリットある「リモートワーク」機会の減少 https://web.archive.[...] 2023-05-09
[204] 웹사이트 Workers with autism lose helpful remote work benefits as in-office mandates increase https://web.archive.[...] 2023-04-22
[205] 웹사이트 自閉症の人にとってメリットある「リモートワーク」機会の減少 https://web.archive.[...] 2023-05-09
[206] 뉴스 自閉症障害治療、ホルモンを投与 東大など臨床研究 https://www.nikkei.c[...] 2014-11-01
[207] 서적 自閉症は漢方でよくなる!(健康ライブラリ) 講談社 2010-10-21
[208] 논문 発達障害での小児はり効果を検討 ADHDの薬剤投与で個性抹殺の懸念も 日本小児はり学会特別講演会 ナラティブ出版
[209] 뉴스 Single dose of century-old drug approved for sleeping sickness reverses autism-like symptoms in mice http://www.scienceda[...] 2014-06-17
[210] 서적 あの人はなぜ相手の気持ちがわからないのか もしかしてアスペルガー症候群!? PHP研究所
[211] 뉴스 Tackling the Unemployment Crisis for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http://asperger-empl[...] 2015-04-15
[212] 뉴스 発達障害児、地域でサポート 集団行動通じて社会性育成 静岡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4-07-12
[213] 뉴스 発達障害児の母、かの子さんへ (下)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4-04-07
[214] 뉴스 発達障害を支える (5)働く体験通じ「適職」知る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4-01-04
[215] 웹사이트 第32回「心に残る医療」体験記コンクール [一般の部・読売新聞社賞] 発達障害と向き合って http://www.yomidr.yo[...] 読売新聞 2014-03-28
[216] 논문 社会問題から見た心の病:「アスペルガー障害」 https://web.archive.[...] 日本神経精神薬理学会 2008-01
[217] 서적 ササッとわかる アスペルガー症候群との接し方 講談社
[218] 웹사이트 天才とは普通でないことかもしれない。アスペルガー、高機能自閉症の学生への教育 https://web.archive.[...] AUTISM RESEARCH INSTITUTE 2001-11
[219] 웹사이트 成人期アスペルガー症候群で高い自殺リスク-ランセット誌 http://www.qlifepro.[...] QLifePro 2014-07-24
[220] 서적 ゲフテッド 天才の育て方 学研
[221] 웹사이트 Divorce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dispelling urban legends http://aut.sagepub.c[...] 2013-11
[222] 웹사이트 'Surplus suffering': differences betwee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s of Asperger's syndrome and those people who claim the 'disorder' http://www.informawo[...] Taylor & Francis Group
[223] 웹사이트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an overview http://www.scielo.br[...] Scientific Electronic Library Online
[224] 웹사이트 発売中止に関するお詫び http://shibuya.cool.[...] LD親の会「けやき」 2001-04-18
[225] 웹사이트 Asperger syndrome: a clinical account. http://www.mugsy.org[...]
[226] 웹사이트 アスペルガー症候群を知っていますか? http://www.autism.jp[...] 東京都自閉症協会
[227] 논문 発達障がいがある子どもの触法行為と教育心理学 https://confit.atlas[...] 2018
[228] 논문 非行事例の鑑別における児童精神科医の関与の必要性-広汎性発達障害が疑われた事例の調査をもとに- https://jglobal.jst.[...] 2004
[229] 논문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institutionalized subjects http://www.tandfonli[...] 2008-01
[230] 논문 Brief report: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in seven-year-old children: a total population study https://www.ncbi.nlm[...] 1999-08
[231] 논문 The prevalence of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https://www.ncbi.nlm[...] 2012-09
[232] 논문 高機能広汎性発達障害にみられる反社会的行動の成因の解明と社会支援システムの構築に関する研究 高機能広汎性発達障害の幼児における他害行為の実態と親の意識-YRCの早期介入例の調査- https://jglobal.jst.[...] 2006
[233] 보고서 広汎性発達障害と触法行為に関する医療機関における実態調査 http://www.autism.or[...] 一般社団法人 日本自閉症協会
[234] 보고서 高機能広汎性発達障害の診断マニュアルと精神医学的併存症に関する研究 http://www.autism.or[...] 厚生労働省
[235] 서적 ササッとわかる「大人のアスペルガー症候群」との接し方 講談社
[236] 논문 発達障害の視点から見た非行少年の自立支援に関する研究 https://www2.u-gakug[...] 2018
[237] 웹사이트 服役して初めて知った、刑務所の「現実」『刑務所しか居場所がない人たち 学校では教えてくれない、障害と犯罪の話』 https://web.archive.[...] ダ・ヴィンチニュース 2018-06-20
[238] 웹사이트 「受刑者の20%は知的障害者」 日本では刑務所が福祉施設化というリアル https://web.archive.[...] デイリー新潮 2018-07-20
[239] 웹사이트 服役して初めて知った、刑務所の「現実」『刑務所しか居場所がない人たち 学校では教えてくれない、障害と犯罪の話』 https://web.archive.[...] ダ・ヴィンチニュース 2018-06-20
[240] 웹사이트 山本譲司さんに聞いた:「罪を犯した障害者」を、社会はどう受け入れるか https://web.archive.[...] マガジン9 2019-01-09
[241] 웹사이트 社会問題から見た心の病「アスペルガー障害」 https://web.archive.[...] 2015-07-11
[242] 뉴스 西日本新聞, 北海道新聞 2003-09-20, 2006-10-19
[243] 서적 追跡!「佐世保小六女児同級生殺害事件」 講談社
[244] 웹사이트 全文表示 - 発達障害者に求刑超え異例判決 「社会秩序のため」に賛否分かれる : J-CASTニュース https://www.j-cast.c[...]
[245] 뉴스 姉殺害:発達障害の被告に求刑超す懲役20年判決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12-07-30
[246] 웹사이트 大阪地裁判決についての意見表明 https://web.archive.[...] 共生社会を創る愛の基金 2012-08-03
[247] 웹사이트 発達障害のある被告人による実姉刺殺事件の大阪地裁判決に関する会長談話 https://web.archive.[...] 日本弁護士連合会 2012-08-10
[248] 뉴스 姉殺害、懲役14年確定へ 発達障害、一審は求刑超え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13-07-24
[249] 서적 火星の人類学者
[250] 웹사이트 What Asperger's syndrome has done for us http://news.bbc.co.u[...] BBC.co.uk 2004-06-02
[251] 웹사이트 Mild autism has 'selective advantages' http://www.msnbc.msn[...] MSNBC 2005-02-25
[252] 서적 ダーリンは70歳 小学館
[253] 서적 コミックエッセイ アスペルガー症候群との上手なつきあい方入門 宝島社
[254] 뉴스 S・ボイルさん、アスペルガー告白=英国の「奇跡の歌姫 http://news.yahoo.co[...] Yahoo!ニュース 2013-12-08
[255] 웹사이트 ヴァインズのクレイグ、自閉症の一種と診断 https://www.barks.jp[...] BARKS
[256] 뉴스 Asperger's, allergies and aubergines http://www.guardian.[...] guardian.co.uk 2008-09-11
[257] 웹사이트 Celebrities and Autism http://autismhasmych[...] Autism Has My Child
[258] 웹사이트 高機能広汎性発達障害(アスペルガー症候群・高機能自閉症) : ナグレオブログ 非効率なLifeHacker http://djnagureo.exb[...] 2008-06-05
[259] 간행물 そだちの科学 日本評論社 2011-10
[260] 방송 首都圏ネットワーク NHK総合テレビ 2011-10-06
[261] 웹사이트 スピルバーグ、学習障害を告白 診断は5年前…子ども時代は理解がなく、イジメも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62] 웹사이트 A syndrome for success http://www.smh.com.a[...]
[263] 뉴스 Knowing I have Asperger's is a relief http://www.telegraph[...] The Telegrafh 2011-04-09
[264] 웹사이트 Celebrities and Autism http://autismhasmych[...] Autism Has My Child
[265] 방송 福祉ネットワーク Diversity 発達障害(2)-私の“取扱説明書”- http://www.nhk.or.jp[...] NHK 2011-11-24
[266] 서적 教えて私の「脳みそ」のかたち大人になって自分のADHD、アスペルガー障害に気づく 花風社
[267] 뉴스 A genius explains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5-02-12
[268] 방송 ザ!世界仰天ニュース 脳の不思議スペシャルパート7 2009-07-22
[269] 웹사이트 Ex-Hacker Adrian Lamo Institutionalized for Asperger’s http://www.wired.com[...] Wired 2010-05-20
[270] 뉴스 Torrential Reign http://money.cnn.com[...] Fortune 2005-11-14
[271] 서적 自閉症の才能開発 学習研究社
[272] 서적 毎日やらかしてます。〜アスペルガーで漫画家で〜 ぶんか社
[273] 서적 奥さまは発達障害 講談社
[274] 뉴스 炎上上等!? お騒がせブログアイドル・倉持結香の本音に迫る https://www.cyzo.com[...] 日刊サイゾー 2008-04-28
[275] 웹사이트 「でんぱ組.inc」鹿目凛、アスペルガー症候群を公表「お話しようと勇気を出しました」 https://hochi.news/a[...] スポーツ報知 2022-06-14
[276] 웹사이트 「アスペルガーは私の誇り」 グレタ・トゥーンベリさんが投げかける「障がい」の意味 https://web.archive.[...] web.archive.org 2019-09-29
[277] 뉴스 テスラのマスクCEO、SNL司会でアスペルガー症候群公表 https://jp.reuters.c[...] ロイター通信 2021-05-10
[278] 웹인용 Asperger syndrome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2018-05-16
[279] 웹인용 Asperger's syndrome https://en.oxforddic[...] 2018-05-16
[280] 웹인용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ICD-10): F84.5 Asperger syndrome http://apps.who.int/[...] 2016-11-02
[281] 서적 Medical Terminology & Anatomy for ICD-10 Coding -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282] 웹인용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www.nimh.nih.[...] 2016-03-12
[283] 웹인용 Autism Spectrum Disorders - Pediatrics https://www.merckman[...] 2019-01-26
[284] 저널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1
[285] 저널 Asperger's syndrome
[286] 저널 Asperger syndrome revisited
[287] 웹인용 Few people mourn Asperger syndrome’s loss from diagnostic manuals https://www.spectrum[...] 2019-01-29
[288] 저널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an overview http://www.scielo.br[...]
[289] 웹인용 Understanding Autism Masking and Its Consequences https://www.healthli[...] 2022-03-11
[290] 웹인용 Asperger syndrome fact sheet http://www.ninds.nih[...] 2007-08-24
[291] 저널 Is Asperger syndrome/high-functioning autism necessarily a disability? https://archive.org/[...]
[292] 서적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http://www.who.int/c[...] 2007-06-25
[293] 저널 Broader autism phenotype: evidence from a family history study of multiple-incidence autism families http://ajp.psychiatr[...] 2008-07-22
[294] 저널 Autism spectrum disorders
[295] 저널 Examining the validit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subtypes
[296] 저널 Current trends in psychological research o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disorder
[297] 저널 The classification of autism, Asperger's syndrome,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http://ww1.cpa-apc.o[...]
[298]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www.behavenet[...] 2007-06-28
[299] 저널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an overview http://www.scielo.br[...]
[300] 저널 Asperger's syndrome
[301] 서적 아이를 죽이는 아이들 산눈출판사
[302] 저널 Outcome research in Asperger syndrome and autism http://www.childpsyc[...]
[303] 뉴스 천재들의 병? 아스퍼거 증후군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304] 저널 Repetitive behavior profiles in Asperger syndrome and high-functioning autism https://archive.org/[...]
[305] 저널 Autism spectrum disorders: relevance to Tourette syndrome
[306] 저널 Emanuel Miller lecture: confusions and controversies about Asperger syndrome
[307] 서적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8] 서적 Sensory Perceptional Issues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Different Sensory Experiences, Different Perceptual Worlds Jessica Kingsley
[309] 저널 Annotation: what do we know about sensory dysfunction in autism? A critical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310] 저널 The epidemiology of Asperger's syndrome. A total population study https://archive.org/[...]
[311] 저널 A survey of sleep problems in autism, Asperger's disorder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312] 문서 Self-referential cognition and empathy in autism http://www.plosone.o[...]
[313] 저널 Asperger syndrome, alexithymia and perception of sleep
[314] 저널 Diagnostic assessment of Asperger's disorder: a review of five third-party rating scales https://archive.org/[...]
[315] 저널 Screening adults for Asperger Syndrome using the AQ: a preliminary study of its diagnostic validity in clinical practice https://web.archive.[...] 2008-12-17
[316] 저널 Asperger's syndrome: a review of clinical features https://archive.org/[...]
[317] 저널 Asperger syndrome—some epidemiological considerations: a research note https://archive.org/[...]
[318] 웹사이트 아스퍼거 증후군 -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
[319] 저널 Asperger syndrome
[320] 저널 The challenge of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http://www.childpsyc[...]
[321] 저널 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Asperger syndrome http://apt.rcpsych.o[...]
[322] 저널 Asperger syndrome: to be or not to be?
[323] 문서 그림 부분은 비아스퍼거인이 담당했으며, 해당 인물은 글 부분이자 책의 이야기의 실제 주인공이다. 그래픽 노블이며 여성 아스퍼거인에 대한 이야기, 뒷부분 아주 조금이지만 아스퍼거와 퀴어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