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은 리투아니아 혈통을 가진 미국 시민 또는 거주자를 의미한다. 17세기 알렉산더 쿠르티우스의 뉴 암스테르담 도착을 시작으로,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의 지배와 산업화, 종교 탄압 등으로 인한 이주가 증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실향민들이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1990년 리투아니아 독립 이후에도 이주가 이어졌다. 미국 내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은 시카고를 중심으로 일리노이, 펜실베이니아, 캘리포니아 등지에 분포하며, 2016년 기준 미국 내 리투아니아 출생 인구는 33,640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 존 매카시 (컴퓨터 과학자)
    존 매카시는 LISP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는 데 기여한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적인 컴퓨터 과학자로서, 가비지 컬렉션 기법 발명, 유틸리티 컴퓨팅 개념 제시 등 컴퓨터 과학 발전에 혁신적인 공헌을 했다.
  •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 대니얼 카너먼
    대니얼 카너먼은 1934년 텔아비브에서 태어난 심리학자이자 행동 경제학자로, 판단과 의사 결정에 대한 연구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3월에 사망했다.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개요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분포
인구약 632,169 명 (2019년)
거주 지역미국 북동부
미국 중서부
사용 언어미국 영어
리투아니아어
종교대다수 로마 가톨릭교
관련 민족리투아니아인
리투아니아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영국 내 리투아니아인
리투아니아계 캐나다인
에스토니아계 미국인
독일계 미국인
라트비아계 미국인
폴란드계 미국인
추가 정보
주요 거점과거 시카고는 리투아니아인 최대 거주지였으나 현재는 감소 추세임.
관련 단체리투아니아계 미국인 공동체

2. 역사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의 이주 역사는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7세기 알렉산더 쿠르티우스[6]가 뉴 암스테르담(현재의 뉴욕)에 도착하면서 리투아니아인의 미국 이주가 시작되었다.[7]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의 지배 하에 있던 많은 리투아니아인들이 산업화, 리투아니아어 출판 금지, 종교적 탄압, 빈곤 등의 이유로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그러나 당시 리투아니아는 독립 국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들은 폴란드인, 독일인, 또는 러시아인으로 기록되었고, 1899년 이전까지 리투아니아 이민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부족했다.[9]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후 미국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리투아니아인으로 기록되기 시작했지만, 1920년대 미국의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해 이민자 수는 감소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리투아니아의 소련 점령과 나치 점령으로 인해 발생한 실향민들은 1948년 실향민법과 같은 특별법을 통해 미국으로 이주할 수 있었다.[9]

리투아니아가 독립을 되찾은 후 다시 미국 이주가 시작되었으나, 미국의 이민 요건 강화와 리투아니아의 EU 가입으로 인해 이민 추세는 약화되었다.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1990년에는 842,209명의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이 있었으며, 이는 1980년의 742,776명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1980년과 1990년 모두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인구가 가장 많은 다섯 개 주는 일리노이, 펜실베이니아, 뉴욕, 매사추세츠, 캘리포니아였다.[9]

펜실베이니아의 리투아니아의 날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민족 축제이다.[11]

미국 코네티컷주 워터베리의 리투아니아 학교, 리투아니아 문장

2. 1. 초기 이주 (17세기 ~ 19세기)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의 이주는 17세기 알렉산더 쿠르티우스[6]가 1659년 뉴 암스테르담(현재의 뉴욕)에 도착하여 최초의 라틴 학교 교사이자 행정관, 의사가 되면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7]

리투아니아의 자유를 위해 싸우다 죽은 리투아니아인들을 기리는 메인주 케네벙크포트의 기념비


1795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붕괴된 후, 리투아니아의 대부분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스톨리핀 개혁에 기반한 산업화와 상업적 농업, 1861년 농노제 폐지는 농민들을 해방시켜 이주 노동자로 만들었다. 산업화, 리투아니아어 출판 금지, 일반적인 불만, 종교의 자유 탄압, 빈곤은 특히 1867–1868년의 기근 이후, 많은 리투아니아인들이 러시아 제국에서 미국으로 이주하도록 만들었으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이주는 차르 정부의 국경 통제 및 인구 감소 방지 시도에도 불구하고 계속되었다.

당시 리투아니아는 독립 국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미국에 도착한 사람들은 폴란드인, 독일인 또는 러시아인으로 기록되었다. 언어 금지와 폴란드어의 지배로 리투아니아인의 이름은 오늘날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되지 않았다.[8] 1899년 이전의 리투아니아 이민에 대한 정보는 리투아니아인들이 원래 리투아니아인으로 등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입수되지 않았다.[9] 1918년 리투아니아가 독립을 쟁취한 후에야 미국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리투아니아인으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이 첫 번째 리투아니아 이민자 물결은 미국 의회가 1921년 비상 쿼터법과 1924년 이민법을 제정하면서 중단되었다. 1924년 이민법은 1890년대부터 대규모로 미국에 진입하기 시작한 동유럽 및 남유럽 출신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었다.

2. 2. 20세기 초 이주와 이민 제한

1918년 리투아니아가 독립하면서, 미국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리투아니아인으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21년 비상 쿼터법과 1924년 이민법이 미국 의회에서 통과되면서 이러한 흐름은 중단되었다.[9] 이 법은 1890년대부터 대규모로 미국에 들어오기 시작한 동유럽 및 남유럽 출신 이민자를 제한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이주

제2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사건들, 즉 1940년 리투아니아의 소련 점령과 1941년 이어진 나치 점령으로 인해 많은 리투아니아인들이 고향을 떠나야 했다.[9] 전쟁이 끝나고 소련리투아니아를 다시 점령하면서 이들 실향민들은 독일의 실향민 수용소에 머무르게 되었다.[9]

이후 이들은 미국으로 이주하여 미국인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었는데, 이는 1967년까지 시행되던 쿼터 시스템을 우회하는 의회의 특별법 덕분이었다.[9] 1948년 실향민법은 이러한 특별법 중 하나로, 이 법을 통해 약 36,000명의 리투아니아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할 수 있었다.[9][10] 이전에는 연간 리투아니아인 이민 쿼터가 384명에 불과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매우 큰 규모의 이주였다.[9][10]

발다스 아담쿠스리투아니아 대통령으로 선출되기 전 EPA에서 근무한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이었다. 아담쿠스(오른쪽)는 2006년 빌뉴스 컨퍼런스에서 딕 체니 미국 부통령과 함께 사진을 찍었다.

2. 4. 1990년대 이후 이주

리투아니아가 소련 해체 과정에서 독립을 되찾은 후, 리투아니아인의 미국 이주가 다시 시작되었다.[9] 그러나 미국의 강화된 이민 요건과 리투아니아의 EU 가입으로 인해 이주 추세는 약화되었다. 리투아니아의 EU 가입은 잠재적 이민자들이 아일랜드영국 등 다른 국가로 이주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만들었다.[9]

3. 분포

2000년 미국 인구 조사 기준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분포


한때 시카고 브리지포트의 "리투아니아 다운타운"은 미국 전체 리투아니아 정치 활동의 중심지였다. 로스앤젤레스의 리투아니아 공동체 대다수는 로스 펠리즈의 성 카시미르 리투아니아 교회 주변, 이른바 "리틀 리투아니아"에 거주한다.[16]

3. 1. 주요 거주 지역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이 가장 많은 미국 주


시카고는 미국에서 가장 큰 리투아니아인 공동체를 가지고 있으며, 약 10만 명의 스스로를 리투아니아인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어, 리투아니아 본토 밖에서는 가장 큰 리투아니아인 인구를 가지고 있다.[13] 펜실베이니아 북동부의 석탄 지역, 특히 뉴필라델피아에도 대규모 리투아니아 공동체가 있다.[14] 뉴필라델피아는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의 1인당 비율이 미국에서 가장 높다. 서부 펜실베이니아, 웨스트 버지니아 북부 팬핸들, 오하이오 북동부 3개 주 지역의 석탄 채굴 지역에도 대규모 리투아니아계 공동체가 있다. 콜로라도 주 그랜드 카운티의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공동체는 시골 산악 지역 사회의 비교적 동질적인 인구에서 유일하게 상당한 이민자 인구를 가지고 있다는 특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메인 주 프레스크 아일에도 작지만 활기찬 리투아니아 공동체가 있다. 많은 리투아니아 난민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캘리포니아에 정착했으며, 그들은 로스앤젤레스에 공동체를 형성했다.[15]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인구가 가장 많은 주[17]
순위인구
1일리노이주87,294
2펜실베이니아주78,330
3캘리포니아주51,406
4매사추세츠주51,054
5뉴욕주49,083


3. 2. 리투아니아 출생 인구 통계

연도인구
1920135,068
1930193,606
1960121,475
197076,001
198048,194
199029,745
200028,490
201033,888
201136,303
201237,158
201335,514
201438,186
201531,458
201633,640

[18][19]

4. 한-리투아니아 관계 (추가)

리투아니아와 대한민국 양국은 1991년 10월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리투아니아는 1991년 9월에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대한민국과 수교를 맺었다.[1] 양국은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2021년, 리투아니아는 타이완과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적 갈등을 겪었다.[2]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은 리투아니아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양국 간 연대를 강화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2019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1-02-26
[2] 웹사이트 About us https://javlb.org/en[...] 2023-09-03
[3] 웹사이트 Žvilgsnis į besikeičiančią Čikagą, kur liko vienintelis lietuviškas laikraštis: "Mūsų skaitytojai miršta" https://www.lrt.lt/l[...] 2023-03-22
[4] 웹사이트 Čikagos lietuvių kartos: kadaise šiame mieste buvo ištisi lietuviški rajonai, bet dabar tautiečių čia vis mažiau https://www.lrt.lt/l[...] 2023-03-07
[5] 웹사이트 St. George Church: Liths Come to America http://www.lithaz.or[...] St. George Parish in Shenandoah, PA 1991-01-01
[6] 웹사이트 First Latin School of New Amsterdam Marker http://www.hmdb.org/[...] hmdb.org 2009-06-24
[7] 웹사이트 Lithuanian emigration to USA http://vilnews.com/2[...] vilnews.com 2011-01-01
[8] 웹사이트 Genealogy Department http://www.balzekasm[...]
[9] 서적 Encyclopedia of race, ethnicity, and society SAGE Publications 2008-01-01
[10] 웹사이트 Jungtinių Amerikos Valstijų lietuviai https://www.vle.lt/s[...]
[11] 웹사이트 Lithuanian Days marks its 98th consecutive year as oldest ethnic festival in country http://republicanher[...] republicanherald.com 2012-08-12
[12] 웹사이트 Ameredia: Lithuanian American Demographics http://www.ameredia.[...]
[13] 뉴스 Chicago is the second-biggest Lithuanian city https://www.economis[...] 2018-08-23
[14] 웹사이트 Fleeing from domestic famine in the late 1800s: Hordes of Lithuanians came to Pennsylvania to work in coal mines http://vilnews.com/2[...] 2012-04-03
[15] 웹사이트 Los Angeles, California: Lithuanians and Lithuanian heritage | Global True Lithuania http://global.trueli[...]
[16] 웹사이트 Home https://stcasimirchu[...]
[17] 웹사이트 Citie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Lithuanians in the United States http://zipatlas.com/[...] 2013-01-01
[18] 웹사이트 Historical Census Statistics on the Foreign-Born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census.g[...]
[19] 웹사이트 Place of birth for the foreign-born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https://factfind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