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들렌 드 스퀴데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들렌 드 스퀴데리는 프랑스 소설가, 살롱 운영자, 문학가로, 17세기 프랑스 문학계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녀는 르아브르에서 태어나, 글쓰기, 그림, 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오빠 조르주 드 스퀴데리와 함께 파리에서 활동했다. 스퀴데리는 장편 소설 ''아르타멘, 또는 그랜드 시루스'', ''클레리에'' 등을 저술하여 유럽 전역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여성의 교육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옹호했다. 또한, ''텐드르 지도''를 고안하는 등 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몰리에르와 E.T.A. 호프만 등의 작품에 등장하며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아브르 출신 - 제롬 르 밴너
프랑스 출신의 격투기 선수이자 배우인 제롬 르 밴너는 유도, 킥복싱을 거쳐 K-1에서 "황금의 왼손"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활약했고, 종합격투기, 프로레슬링,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르아브르 출신 - 패니 임레이
패니 임레이는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길버트 임레이의 딸로, 윌리엄 고드윈의 양녀가 되어 고드윈의 자녀들과 함께 성장했으며, 1816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17세기 작가 - 엘리자베스 케리
엘리자베스 케리는 영국의 작가로, 여성 최초로 출판된 영어 희곡 《유대의 아름다운 여왕 마리아의 비극》을 저술했으며,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시와 희곡 작품 활동을 했다. - 17세기 작가 - 후고 그로티우스
후고 그로티우스는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자연법에 기초한 국제법을 주창하고 《전쟁과 평화의 법》 등의 저서를 통해 전쟁의 정당한 이유와 바다의 자유로운 이용을 주장했다. - 1701년 사망 - 인현왕후
조선 숙종의 계비인 인현왕후는 여흥 민씨 가문 출신으로 서인 명문가 딸이었으나 희빈 장씨와의 갈등 속에 폐위되었다가 복위 후 건강 악화로 34세에 사망했으며, 그녀의 삶은 권력 다툼 속 희생으로 평가받고 소설 등 다양한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1701년 사망 - 희빈 장씨
희빈 장씨는 조선 숙종의 총애를 받은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로, 뛰어난 미모와 숙종 시대의 당쟁 속에서 왕비까지 올랐으나, 결국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이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마들렌 드 스퀴데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들렌 드 스퀴데리 |
출생일 | 1607년 11월 15일 |
출생지 | 르아브르, 노르망디, 프랑스 왕국 |
사망일 | 1701년 6월 2일 |
사망지 | 파리 |
직업 | 소설가 |
언어 | 프랑스어 |
사조 | 프레시오지테 |
필명 | |
영향 | |
작품 | |
기타 | |
로마자 표기 | Madeleine de Scudéry |
2. 생애
프랑스 노르망디 지방 르아브르에서 태어난 마들렌 드 스퀴데리는 재산은 없었지만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 1613년 르아브르 항구의 선장이었던 아버지가 사망하고, 어머니도 곧 세상을 떠났다.[1] 마들렌과 오빠 조르주 드 스퀴데리는 삼촌의 보살핌을 받았고, 삼촌은 그들에게 훌륭한 교육을 제공했다.[1] 마들렌은 글쓰기, 철자법, 그림, 춤, 회화, 바느질 외에도 농업, 의학, 요리, 스페인어, 이탈리아어를 스스로 공부했다.[1]
2. 1. 유년기
마들렌 드 스퀴데리는 르아브르 항무장(港務長) 조르주 드 스퀴데리(1613년 사망)[9]와 마들렌 드 마르텔 드 구티메닐(1569-1614)[10][11]의 딸로 태어났다. 6살에 고아가 된 마들렌은 성직자이던 삼촌에게 맡겨져 오빠 조르주와 함께 문학, 무용, 음악 등을 배우며 궁정에 들어가게 된다. 이곳에서 마들렌은 영향력 있는 사람들과 교류하며 1630년대 오텔 드 랑부예 살롱에 참여했고, 1640년에는 오빠를 따라 파리에 정착한다.스퀴데리는 무용을 배웠으며, 마자랭 추기경 조카의 가정교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2]
프랑스 북부 노르망디 지방 르아브르 출신인 그녀는 재산은 없었지만, 매우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 1613년 르아브르 항구의 선장이었던 아버지가 사망하고, 어머니도 곧 세상을 떠났다.[1] 마들렌과 오빠 조르주 드 스퀴데리는 삼촌의 보살핌을 받았는데, 삼촌은 그들을 매우 훌륭하게 돌보았다.[1] 그는 마들렌에게 글쓰기, 철자법, 그림, 춤, 회화, 바느질 등 균형 잡힌 교육을 제공했다.[1] 또한 마들렌은 스스로 농업, 의학, 요리, 스페인어, 이탈리아어를 공부했다.[1]
2. 2. 문학 살롱
마들렌 드 스퀴데리는 르네상스 시대 말 영국과 프랑스에서 여성들이 고전 수사학 이론을 자신들의 목적으로 사용했던 운동의 일원이었다.[2] 그녀는 담론을 공개 연설보다는 대화에 기반하도록 수정하여 수사학의 수단으로 선호했는데, 살롱의 화자는 이전 화자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논쟁보다는 합의를 추구했다.[2] 그녀는 살롱 대화와 서신 작성과 관련된 중심 인물 중 한 명이다.2. 3. 문학 작품
마들렌 드 스퀴데리는 장편 소설 ''아르타멘, 또는 그랜드 시루스''(10권, 1648–53), ''클레리에'' (10권, 1654–61), ''이브라힘, 또는 일뤼스트르 바사'' (4권, 1641), ''알마히드, 또는 여왕 노예'' (8권, 1661–63) 등을 통해 당대 유럽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세비녜 후작 부인 등 여러 문인들의 찬사를 받았다.[2] 특히 ''아르타멘''은 약 210만 단어로, 출판된 소설 중 가장 긴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그녀의 소설은 잦은 등장인물의 납치와 끝없는 대화가 특징이지만, 정중한 문체로 서술되었다.[2]''레 펨므 일뤼스트르''(1642)에서 스퀴데리는 여성들에게 미모보다는 교육을 통해 사회적 지위를 높일 것을 권장했다.[2] 이 책은 클레오파트라 등 여성 연설가를 모범으로 삼아 여성의 수사학과 문학 참여를 옹호했다.[2]
스퀴데리는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아리스토텔레스, 소피스트 등의 고전 수사학 이론을 살롱 대화와 서신 작성에 적용한 ''레 펨므 일뤼스트르''(1642), ''다양한 주제에 대한 대화'' (1680), ''다양한 주제에 대한 새로운 대화, 국왕에게 헌정됨''(1684) 등을 저술했다.[2] ''다양한 주제에 대한 대화''는 "대화", "말하기 기술", "조롱", "발명", "편지 쓰기 방식" 등을 다루며, 여성이 대화를 이끄는 이상적인 모습을 제시했다.[2]
그녀는 "노예 여왕"(1660), "아길라르의 마틸다, 스페인 이야기,"(1667), "베르사유 산책로, 또는 첼라니레 이야기"(1669) 등에서도 여성 교육, 말하기 기술, 발명, 편지 쓰기, 지적 대화 주도 등을 강조했다.[2]
스퀴데리는 생전에 대화 내용을 담은 여러 책을 출판할 정도로 뛰어난 대화가였으며, 교사로서의 소명도 뚜렷했다.
2. 3. 1. 정치적 파장
스퀴데리의 소설은 보통 고전 세계 또는 "오리엔트"를 배경으로 했지만, 등장인물들의 언어와 행동은 17세기 당시 유행하던 사상을 반영했고, 등장인물들은 마드모아젤 드 스퀴데리의 동시대 인물들과 동일시될 수 있었다.[2] ''클레리에''에서 에르미니우스는 폴 펠리송을, 스카루스와 리리아네는 폴 스카론과 그의 아내(후에 맹트농 부인이 됨)를 나타냈으며, ''르 그랑 시루스'' 10권의 사포는 작가 자신을 묘사한 것이었다.
''클레리에''에서 스퀴데리는 "텐드르 지도"를 고안했는데, 이는 사랑을 주제로 한 아르카디아의 지도를 그린 것이었다.[4] "애정의 강"은 "빌레 도" (러브레터), "쁘띠 쐉" (작은 장신구) 등의 마을을 지나 흘러갔다.[4] 이처럼 스퀴데리는 당대 주요 인사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열쇠 소설 기법을 활용하여 정치 및 공적 인물들을 교묘하게 풍자했다.[3]
2. 4. 사망
전설에 따르면 스퀴데리는 종부성사 중 사제가 그녀에게 준 십자고상에 입을 맞추며 사망했다고 한다. 그녀는 생니콜라데샹 교회 묘지(현 파리 3구)에 묻혔다.[5]마들렌은 오빠보다 30년 이상 더 오래 살았으며, 만년에는 자신의 소설에서 발췌한 대화집 여러 권을 출판하여 자신의 작품을 일종의 선집 형태로 엮었다. 스퀴데리는 생애 마지막 40년 동안 청각 장애를 겪었다.[5] 그녀는 어느 정도 인기를 잃었지만, 그녀를 늘 "비할 데 없는 사포"라고 불렀던 마리 뒤프레와 같은 친구들을 곁에 두었다.
3. 작품 목록
- ''Ibrahim ou l'illustre Bassa'' (1641)
- ''Artamène ou le Grand Cyrus'' (1649-1653)
- ''Clélie, histoire romaine'' (1654-1660)
4. 유산 및 영향
마들렌 드 스퀴데리의 장편 소설 ''아르타멘, 또는 그랜드 시루스''(10권, 1648–53), ''클레리에'' (10권, 1654–61) 등은 유럽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세비녜 부인과 같은 문학가들의 칭찬을 받았다.[2]
''아르타멘''은 약 210만 단어로, 출판된 소설 중 가장 긴 소설 중 하나로 꼽힌다. 그녀의 소설은 등장인물들의 잇따른 납치와 끝없는 대화가 특징이며, 당대 독자들은 소설 속 인물들이 실제 사회의 주요 인물들을 모델로 하고 있다는 점에 흥미를 느꼈다.[2] 스퀴데리는 열쇠 소설 기법을 사용하여 정치 및 공적 인물을 간접적으로 묘사했다.[3]
''레 펨므 일뤼스트르''(1642)에서 스퀴데리는 여성들에게 아름다움보다는 교육을 통해 사회적 지위를 높일 것을 주장했다.[2] 이 책은 여성의 수사학과 문학 참여를 옹호하며, 클레오파트라를 여성 연설의 모범으로 제시했다.[2] ''다양한 주제에 대한 대화''(1680) 등에서 스퀴데리는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등의 고전 수사학 이론을 살롱 대화와 서신 작성에 적용했다.[2] 그녀는 대화, 말하기 기술, 편지 쓰기 등을 다루며, 여성이 지적 대화를 이끄는 모델을 제시했다.[2]
스퀴데리의 소설은 고전 세계나 "오리엔트"를 배경으로 하지만, 내용은 17세기 유행 사상을 반영했으며, 등장인물들은 스퀴데리 주변 인물들과 연결되었다. ''클레리에''의 에르미니우스는 폴 펠리송, 스카루스와 리리아네는 폴 스카론 부부를 모델로 했으며, ''르 그랑 시루스''의 사포는 작가 자신을 묘사한 것이다.
''클레리에''에서 스퀴데리는 "텐드르 지도"를 고안했는데, 이는 사랑을 주제로 한 아르카디아 지도였다. "애정의 강"은 "빌레 도"(러브레터) 등의 마을을 지나 흘러간다.[4]
스퀴데리는 대화에 능숙했으며, 생전에 그녀의 대화를 담은 책들이 출판되었다. 그녀는 교사로서의 소명 의식도 강했다.
말년에 스퀴데리는 자신의 소설에서 발췌한 대화집을 출판했다. 그녀는 마지막 40년 동안 청각 장애를 겪었지만,[5] 마리 뒤프레와 같은 친구들의 지지를 받았다.
스퀴데리는 수사학을 대화 중심으로 재정립하여 살롱 문화에 기여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
5. 문화적 참조
몰리에르의 희곡 ''우스꽝스러운 여인들''(1659)과 ''여학자들''(1672), 앙투안 퓌레티에르의 ''부르주아 로망''(1666)에서 마들렌 드 스퀴데리는 풍자의 대상이 되었다.[2]
19세기 독일 작가 E.T.A. 호프만은 스퀴데리를 주요 인물로 하여 독일어로 쓰인 최초의 추리 소설로 일컬어지는 작품 "마들렌 드 스퀴데리"(Das Fräulein von Scuderi)를 썼다. 이 작품은 오늘날에도 널리 읽히고 있으며, 심리학의 "카르디악 증후군"의 기원이 되었다.
1919년 모더니스트 작가 호프 미를리스는 소설 ''마들렌: 사랑의 얀센주의자 중 한 명''을 출판했는데, 이 소설에도 마들렌 드 스퀴데리가 주요하게 등장한다.[6] 소설은 17세기 프레시오즈의 문학 서클을 배경으로 하며, 주인공인 마들렌 트로크빌이라는 젊은 여성은 마들렌 드 스퀴데리에게 매료되지만, 스퀴데리는 젊은 마들렌을 냉대한다. 이 소설이 열쇠 소설로, 나탈리 클리포드 바니가 마들렌 드 스퀴데리로 묘사되었다는 의견이 있다.[7]
참조
[1]
서적
Selected letters, orations, and rhetorical dialogues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td., London
[2]
학술지
Conversation and the Boundaries of Public Discourse in Rhetorical Theory by Renaissance Women
1992-03-01
[3]
웹사이트
The Modernist roman à clef and Cultural Secrets, or I Know That You Know That I Know That You Know
http://ro.uow.edu.au[...]
2009-01-01
[4]
서적
Mademoiselle de Scudéry and the Carte de Tendre
[5]
서적
Rhetorical Theory by Women before 1900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6]
서적
Madeleine: One of Love's Jansenists
http://hopemirrlees.[...]
Collins Sons & Co.
[7]
서적
Reading Virginia Woolf
Edinburgh University Press
[8]
백과사전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9]
서적
Les Grotesques
Michel Lévy frères, libraires-éditeurs
[10]
서적
Scudéry dramaturge
Librairie Droz
[11]
서적
Biographie, ou, Galerie historique des hommes célèbres du Havre
C. J. Trouvé
[12]
웹사이트
http://www.cosmovis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