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 그랜드 패밀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 그랜드 패밀리아는 1971년부터 1978년까지 생산된 마쓰다의 소형차로, 패밀리아 프레스토의 후속 모델이자 토요타 카리나 등 경쟁 차종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4도어 세단, 쿠페, 5도어 밴의 세 가지 차체 형태로 출시되었으며, 초기에는 1.3L 엔진을 탑재했다. 이후 엔진 라인업과 디자인에 변화를 겪었으며, 유럽에서는 마쓰다 818, 북미에서는 마쓰다 808 및 마이저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기아자동차에서 브리사 II와 K303이라는 이름으로 생산되었으나, 1981년 자동차산업 합리화조치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타이탄
기아 타이탄은 기아자동차에서 1971년부터 생산된 트럭으로, 다양한 적재량의 카고 트럭 모델과 특장차 모델을 통해 여러 수요에 대응하며 슈퍼 타이탄, 점보 타이탄 등으로 라인업이 확장되었다. - 1971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복사
기아 복사는 1971년 마쓰다 복서 1세대 모델을 라이선스 생산하며 시작된 기아의 중형 트럭으로, 자체 모델 개발을 거쳐 1992년 와이드 복사로 이어졌으나 1998년 기아 라이노 2세대 모델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 마쓰다의 차종 - 마쓰다 MX-5
마쓰다 MX-5는 로터스 엘란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과 뛰어난 핸들링으로 인기를 얻은 마쓰다의 경량 2인승 로드스터로, 4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2인승 스포츠카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 마쓰다의 차종 - 마쓰다 CX-50
마쓰다 CX-50은 2022년부터 판매를 시작한 크로스오버 SUV로, 2.5리터 자연 흡기 엔진과 터보차저 모델을 갖추고 있으며, 2023년과 2024년에 중국과 미국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이 출시되었다. - 스테이션 왜건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스테이션 왜건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마쓰다 그랜드 패밀리아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마쓰다 |
다른 이름 | 마쓰다 808 마쓰다 818 마쓰다 마이저 마쓰다 RX-3 마쓰다 사반나 기아 브리사 II 기아 K303 |
생산 기간 | 1971년 - 1978년 |
조립 공장 | 히로시마 조립 공장, 히로시마시, 일본 |
차체 스타일 | 2도어 쿠페 4도어 세단 5도어 스테이션 왜건 |
구동 방식 | 전륜 엔진, 후륜 구동 |
관련 차종 | 마쓰다 파밀리아 |
엔진 | |
엔진 종류 | 1272 cc TC I4 (STC/ST3AV) 1490 cc UB I4 (SU4) 1586 cc NA I4 (SN4) 982 cc 10A-0866 반켈 1146 cc 12A 반켈 1146 cc 12B 반켈 |
크기 | |
축거 | 2310 mm |
전장 | 4075 mm |
전폭 | 1595 mm |
전고 | 1375 mm |
차량 중량 | 930 kg |
이전 및 이후 모델 | |
이전 모델 | 마쓰다 R100 (사반나/RX-3) |
다음 모델 | 마쓰다 RX-7 (사반나/RX-3) |
변속기 | |
변속기 종류 | 3단 AT 4단 MT 5단 MT |
서스펜션 | |
서스펜션 종류 | 전륜: 마크퍼슨 스트럿 후륜: 리프 스프링 |
2. 개발 배경 및 특징
마쓰다 그랜드 패밀리아는 패밀리아 프레스토의 판매 호조와 토요타 카리나/셀리카, 미쓰비시 콜트 갤랑 등 소형차와 중형차 사이의 틈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971년 9월, 판매를 시작했다. 초기에는 패밀리아 프레스토와 동일한 1.3L SOHC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다. 1972년 2월에는 1500S 시리즈를 추가했다. 1973년 10월에 마이너 체인지를 하면서 1500S를 폐지하고 1600 및 1600AP를 추가했다. 1975년 9월에는 다시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1600AP는 51년 배출 가스 규제에 적합하게 변경되었다. 1976년 2월, 1300 모델이 51년 배출 가스 규제를 통과해 1300AP가 되었다.
4도어 세단, 쿠페, 5도어 밴의 세 가지 차체 형태로 출시되었다. 쿠페의 쿼터 윈도우는 말아올림식인 것이 특징이다. 마쓰다 사바나와 차체를 공유했지만, 노즈 콘과 테일 램프 디자인을 변경하여 차별화했다. 초기 모델은 각형 2등식 헤드라이트를 채택했으나, 1975년 9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원형 2등식 헤드라이트로 변경되었다.
4단 수동변속기가 기본으로 제공되었으며, 세단 일부 모델에는 컬럼 시프트 방식이, 쿠페 일부 모델에는 3단 자동변속기가 제공되었다.
1978년 10월, 판매를 종료했다.
2. 1. 디자인
마쓰다 그랜드 패밀리아는 4도어 세단, 쿠페, 5도어 밴의 세 가지 차체 형태로 출시되었다. 쿠페의 쿼터 윈도우는 말아올림식인 것이 특징이다. 마쓰다 사바나와 차체를 공유했지만, 노즈 콘과 테일 램프 디자인을 변경하여 차별화했다.초기 모델은 각형 2등식 헤드라이트를 채택했으나, 1975년 9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원형 2등식 헤드라이트로 변경되었다.
2. 2. 성능
1971년 9월 판매 개시 당시에는 패밀리아 프레스토와 동일한 1.3L SOHC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였으나, 1972년 2월에는 1500S 시리즈가 추가되었다. 1973년 10월 마이너 체인지를 거치면서 1500S는 폐지되고 1600 및 1600AP가 추가되었다. 1975년 9월에는 다시 한번 마이너 체인지가 이루어졌으며, 이때 1600AP는 51년 배출 가스 규제에 적합하도록 변경되었다. 1976년 2월에는 1300 모델이 51년 배출 가스 규제를 통과하여 1300AP로 변경되었다.4단 수동변속기가 기본으로 제공되었으며, 세단 일부 모델에는 컬럼 시프트 방식이, 쿠페 일부 모델에는 3단 자동변속기가 제공되었다.
3. 모델 종류 및 변화
1971년 9월, 마쓰다는 그랜드 패밀리아 판매를 개시했다.[2] 1972년 2월에는 1500S 시리즈를 추가했다.[2] 1973년 10월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단행하여 1500S를 폐지하고 1600 및 1600AP를 추가했다.[2] 1975년 9월에는 다시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원형 2등 헤드라이트를 적용하고, 1600AP는 51년 배출 가스 규제에 적합하도록 개선했다.[2] 1976년 2월, 1300 모델이 51년 배출 가스 규제에 적합하게 되면서 1300AP로 변경되었다.[3] 1978년 10월, 마쓰다 RX-7의 출시와 함께 그랜드 패밀리아는 단종되었다.[2]
일본 내수 모델의 엔진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 1971년 9월 ~ 1976년 2월 – 1.3 L (1272 cc) ''TC'' I4, 2배럴, 87 PS / 6000 rpm, 11.0 kgm / 3500 rpm
- 1976년 2월 ~ 1978년 10월 – 1300 AP: 72 PS / 5700 rpm, 10.5 kgm / 3500 rpm[3]
- 1972년 2월 ~ 1973년 10월 – 1.5 L (1490 cc) ''UB'' I4, 92 PS / 5800 rpm, 13.2 kg·m / 4000 rpm
- 1973년 10월 ~ 1975년 9월 – 1.6 L (1586 cc) ''NA'' I4, 100 PS, 14.0 kg·m
- 1975년 9월 ~ 1978년 10월 – 1500 AP: 90 PS / 6000 rpm, 13.0 kgm / 3500 rpm[3]
유럽에서는 처음에 1.6리터 엔진으로 판매되었으나, 푸조의 상표권 문제로 인해 '''마쓰다 818'''로 판매되었다.[4] 1976년에는 1.3리터 엔진이 기본이 되고, 1.6 엔진은 선택 사양으로 유지되다가 점차 단종되었다.[4]
북미 시장에서는 1972년부터 1977년까지 '''마쓰다 808'''이라는 이름으로 1.6L 모델을 판매했다.[4] 초기에는 2도어 쿠페만 제공되었으나, 1975년에 4도어 세단과 5도어 스테이션 왜건을 추가했다.[5] 1976년과 1977년에는 1.3L 엔진을 탑재한 '''마쓰다 마이저'''를 판매했다.[5]
1975년 10월, 기아자동차는 그랜드 패밀리아를 대한민국에서 생산하여 1272cc 엔진과 4도어 차체로 판매했다.[6] 원래는 패밀리아 프레스토 기반의 소형 브리사와 함께 브리사 II로 판매되었다.[6] 1976년 12월에는 싱글 원형 헤드라이트를 장착한 개량형 모델을 출시했는데, 이것이 기아 K303이다.[6] K303 스테이션 왜건 모델은 1978년에 추가되었다.[7] 생산은 자동차산업 합리화조치에 따라 1981년에 종료되었다.[6]
브리사 II와 K-303은 매우 희귀하다. 2019년 기준으로 전국에 단 한 대만 등록되어 있었다.[8]
3. 1. 일본 내수 모델
1971년 9월, 1.3L 엔진을 탑재한 모델이 출시되었다.[2] 1972년 2월에는 1.5L 엔진을 탑재한 S 시리즈가 추가되었다.[2] 초기에는 4단 수동 변속기만 제공되었다.[2] 1973년 10월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거쳐 1.5L 모델은 폐지되고, 1.6L 엔진이 추가되었다.[2] 이때 1600AP 모델은 50년 배출 가스 규제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2]1975년 9월, 다시 한번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원형 2등식 헤드라이트로 변경되었고, 1600AP 모델은 51년 배출 가스 규제에 적합하게 되었다.[2] 1976년 2월에는 1300AP 모델이 51년 배출 가스 규제를 통과했다.[3]
일본 내수 모델의 엔진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 1971년 9월 ~ 1976년 2월 – 1.3 L (1272 cc) ''TC'' I4, 2배럴, 87 PS / 6000 rpm, 11.0 kgm / 3500 rpm
- 1976년 2월 ~ 1978년 10월 – 1300 AP: 72 PS / 5700 rpm, 10.5 kgm / 3500 rpm[3]
- 1972년 2월 ~ 1973년 10월 – 1.5 L (1490 cc) ''UB'' I4, 92 PS / 5800 rpm, 13.2 kg·m / 4000 rpm
- 1973년 10월 ~ 1975년 9월 – 1.6 L (1586 cc) ''NA'' I4, 100 PS, 14.0 kg·m
- 1975년 9월 ~ 1978년 10월 – 1500 AP: 90 PS / 6000 rpm, 13.0 kgm / 3500 rpm[3]
1978년 10월, 마쓰다 RX-7의 출시로 인해 그랜드 패밀리아는 판매가 종료되었다.[2]
3. 2. 해외 모델
유럽에서는 처음에 1.6리터 엔진이 장착되어 판매되었으나, 푸조의 상표권 문제로 인해 '''마쓰다 818'''로 판매되었다.[4] 1976년에는 1.3리터 엔진이 기본으로 장착되었고, 1.6 엔진은 선택 사양으로 유지되었으나 점차 단종되었다.[4]북미 시장에서는 1972년부터 1977년까지 '''마쓰다 808'''이라는 이름으로 1.6L 모델이 판매되었다.[4] 초기에는 2도어 쿠페만 제공되었으나, 1975년에 4도어 세단과 5도어 스테이션 왜건이 추가되었다.[5] 1976년과 1977년에는 1.3L 엔진을 탑재한 '''마쓰다 마이저'''가 판매되었다.[5]
3. 3. 대한민국 (기아 브리사 II/K303)
1975년 10월부터 기아자동차는 그랜드 패밀리아를 대한민국에서 생산했으며, 1272cc 엔진과 4도어 차체를 사용했다.[6] 원래는 패밀리아 프레스토를 기반으로 한 소형 브리사와 함께 브리사 II로 판매되었다.[6] 1976년 12월에 싱글 원형 헤드라이트를 장착한 개량형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이는 기아 K303으로 불렸다.[6] K303의 스테이션 왜건 모델은 1978년에 추가되었다.[7] 생산은 자동차산업 합리화조치에 따라 1981년에 종료되었다.[6]브리사 II와 K-303은 오늘날 매우 희귀하다. 2019년 기준으로, 이와 같은 차량이 전국에 단 한 대 등록되어 있었다.[8]
4. 마쓰다 사바나/RX-3 (로터리 엔진 모델)
사바나/RX-3는 코스모와 패밀리아 로터리의 성공을 이어받아 마쓰다의 다음 레이싱 진출작이었다. 1971년 9월 "후지 500" 레이스에서 우승하며 데뷔했다. 1972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닛산의 스카이라인과 경쟁하여 투어링 카 부문에서 우승하며 GT-R의 50연승을 저지했다. 1976년까지 100번 이상 우승하며 경쟁력을 유지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일본에서 특별판 "V100" 모델이 출시되기도 했다.
호주에서 RX-3는 레이싱 트랙 안팎에서 매우 성공적이었다. 1975년 배서스트 1000에서 종합 5위, 클래스 1위를 차지했다. RX-3는 1975년 클래스 C를 지배하며 상위 5개 포지션 중 4개를 차지했다.
북미에서 RX-3는 SCCA 및 IMSA 대회에서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많은 RX-3가 여전히 경쟁하고 있으며, 특히 아일랜드 드라이버 존 커민스가 운전하는 SCCA 슈퍼 프로덕션 차량이 있다.
RX-3는 마쓰다 RX-4로 대체되었다.
4. 1. 경주
사바나/RX-3는 코스모와 패밀리아 로터리의 성공을 이어받아 마쓰다의 다음 레이싱 진출작이었다. 1971년 9월 "후지 500" 레이스에서 우승하며 데뷔했다. 1972년 일본 그랑프리에서 닛산의 스카이라인과 경쟁하여 투어링 카 부문에서 우승하며 GT-R의 50연승을 저지했다. 1976년까지 100번 이상 우승하며 경쟁력을 유지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일본에서 특별판 "V100" 모델이 출시되기도 했다.
호주에서 RX-3는 레이싱 트랙 안팎에서 매우 성공적이었다. 1975년 배서스트 1000에서 종합 5위, 클래스 1위를 차지했다. RX-3는 1975년 클래스 C를 지배하며 상위 5개 포지션 중 4개를 차지했다.
북미에서 RX-3는 SCCA 및 IMSA 대회에서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많은 RX-3가 여전히 경쟁하고 있으며, 특히 아일랜드 드라이버 존 커민스가 운전하는 SCCA 슈퍼 프로덕션 차량이 있다.
RX-3는 마쓰다 RX-4로 대체되었다.
5. 평가 및 영향
5. 1. 긍정적 평가
5. 2. 부정적 평가
5. 3.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에 미친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Mazda 616 Capella
https://www.mobilmot[...]
Mobil Motor Lama
[2]
간행물
Toyo Kogyo Co
[3]
간행물
自動車ガイドブック [1976/1977 Automobile Guide Book]
Jap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1976-10-20
[4]
뉴스
Mazda 808
https://news.google.[...]
1972-03-30
[5]
학술지
R&T Buyer's Guide
https://i1.wp.com/ww[...]
[6]
웹사이트
기아자동차 브리사 Kia Brisa 1974년-1981년
http://oldcar-korea.[...]
[7]
웹사이트
기아 브리사 K-303 스테이션왜건 (1978년)
http://www.global-au[...]
Global Auto News
2006-04-19
[8]
웹사이트
국내 유일 '기아車 브리사', 중고차 가격이 1억5000만원?
https://www.mk.co.kr[...]
Maekyung.com
2019-05-23
[9]
간행물
自動車ガイドブック
Jap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1973-10-30
[10]
간행물
Mazda Vehicles Range 1975
Mazda Cars Imports (GB) Limited
197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