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아 브리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브리사는 1973년 8월에 픽업 트럭으로 처음 출시된 후, 1974년 10월에 세단이 출시된 기아자동차의 최초의 국산 승용차이다. 마쓰다 패밀리아(3세대)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90% 이상의 국산화율을 달성하여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1977년 브리사 Ⅱ, 1978년 K-303을 출시했으나, 1981년 자동차산업 합리화조치로 인해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이후 기아자동차는 봉고를 통해 회생했고, 1987년 합리화조치 해제 후 프라이드가 기아 소형차의 계보를 이었다. 기아 브리사는 1.0L 및 1.3L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으며, 픽업트럭, 세단, 스테이션 왜건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했다. 또한, 드라마 응답하라 1988과 영화 택시운전사 등 미디어에도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도입된 자동차 - 지프 체로키
    지프 체로키는 1974년부터 2023년까지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된 지프의 대표적인 SUV 모델로, 디자인과 성능 변화, 유니바디 설계(2세대), 전륜구동 방식 도입(5세대) 등 혁신적인 시도와 함께 차명에 대한 문화적 민감성 논란이 있는 차량이다.
  • 1974년 도입된 자동차 - 폭스바겐 시로코
    폭스바겐 시로코는 1974년부터 2017년까지 생산된 스포츠 쿠페로, 1세대(주지아로 디자인), 2세대(폭스바겐 디자인), 3세대(골프 플랫폼 기반)로 나뉘며, 스포티한 주행 성능과 개성 있는 디자인을 선보였으나 2018년에 단종되었다.
  • 픽업 - 픽업 트럭
    픽업 트럭은 자동차 섀시에 적재함을 추가한 형태에서 유래하여 1913년 스터드베이커가 처음 명칭을 사용한 트럭으로, 전용 플랫폼을 통해 발전하고 디자인과 편의 기능이 개선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픽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스테이션 왜건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스테이션 왜건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기아 브리사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자동차 정보
이름기아 브리사
차종소형 세단
제조사기아산업
별칭기아산업 브리사
생산년도1973년~1981년
조립광주광역시
차체형식4도어 세단
관련차량마쓰다 패밀리아
선행차량기아 T-2000
후속차량기아 프라이드
기아 캐피탈
기아 타우너

2. 1세대

기아 브리사 (후기형) 정측면


기아 브리사 (후기형) 후측면


1973년 8월에 픽업트럭 모델이 먼저 출시되었고, 1974년 10월에 세단 모델이 출시되었다. 마쓰다 패밀리아(3세대)를 베이스로 하였으나, 국산화 비율을 90% 이상으로 높였다. 출시 직후 큰 인기를 얻어 판매량이 증가했지만, 포니의 등장으로 타격을 받았다. 1981년 12월 자동차산업 합리화조치로 단종될 때까지 기아자동차의 주력 차종이었다.

2. 1. 모델 종류

1973년 8월에 적재량 500kg의 픽업 트럭이 먼저 출시되었고, 1974년 10월세단이 출시되었다. 마쓰다 패밀리아(3세대)를 베이스로 하였으나, 국산화율을 90% 이상으로 높였다. 출시 초기에는 1.0L 엔진을 탑재하였다. 포니에 대항하기 위해 1977년 1월에는 1.3L 엔진을 탑재한 브리사 Ⅱ, 1978년 6월에는 스테이션 왜건을 근간으로 한 K-303을 선보였다. 브리사 Ⅱ와 K-303은 마쓰다 그랜드 패밀리아를 베이스로 제작되었으며, 당시 소형차로서는 대배기량이던 1,300cc TC형 가솔린 엔진을 장착했다. 이와 함께 기존 브리사에도 1,300cc 엔진을 장착했다.

2. 2. 경쟁 차종

포니의 등장으로 판매량이 감소하여 타격을 받았다. 포니에 대항하기 위해 1977년 1월에 브리사 Ⅱ, 1978년 6월스테이션 왜건을 근간으로 한 K-303을 선보였다.

2. 3. 단종

1981년 12월 전두환 정부의 자동차산업 합리화 조치로 인해 브리사는 후속 차종 없이 강제로 단종되었다.[1] 이 조치로 기아자동차는 한동안 승용차를 생산할 수 없게 되어 크게 경영난을 겪었으나, 봉고를 출시하여 회생하게 된다.[1] 1987년 자동차산업 합리화 조치가 해제되면서 기아자동차는 승용차 생산을 재개했고, 포드, 마쓰다와의 협력으로 개발한 전륜구동 소형차 프라이드가 기아자동차 소형차 계보를 이었다.[1] 현재 브리사는 노후화되어 보기 힘든 차종이다.[1]

3. 제원

구분1.0ℓ1.3ℓ
연료가솔린가솔린
배기량(cc)9851,272
최고출력(ps/rpm)62/6,00072/6,000
최대토크(kg*m/rpm)8.1/3,50010.6/3,500



구분픽업세단K-303왜건브리사 Ⅱ
전장(mm)3,8753,8753,9703,9954,075
전폭(mm)1,5401,5401,5951,5951,595
전고(mm)1,3991,3991,3801,4051,380
축거(mm)2,2602,2602,3102,3102,310
윤거(전, mm)1,2451,2451,2951,2951,295
윤거(후, mm)1,2651,2651,2901,2901,290
승차정원2명5명5명5명5명


4. 역대 슬로건


  • 가장 경제적인 승용차 (브리사)[1]
  • 하루 2000원으로 유지됩니다. (브리사)[1]
  • 뛰어난 승차감/안정된 품위/정확한 제동력/편리한 운전으로 호평받고 있습니다. (K-303)[1]

5. 미디어 속의 브리사

tvN의 드라마응답하라 1988 2화에서 과거 회상 때 픽업 트럭이 소독차로 잠시 등장했다.[1] 영화 택시운전사에서 주인공 만섭이 모는 택시로 등장했다. 단, 대한민국에 남아 있는 브리사로는 촬영용 카메라를 지탱할 수 없어서, 일본에서 마쓰다 패밀리아를 공수한 후 개조하여 소품으로 활용했다.[1] 해당 개조차량은 영화 1987에도 사용됐다.[1]

참조

[1] 뉴스 최용식의 English & Konglish 바람의 자동차 https://news.naver.c[...] 이코노믹리뷰 2006-03-23
[2] 문서 포르투갈어에서도 같은 뜻으로 쓰인다. 다만 발음은 /briza/로 스페인어와는 조금 다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