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마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마나는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투르키스탄 산맥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농업 지역의 중심지이자 가축 거래의 중요한 거점이다. 19세기에는 우즈벡인이 지배적인 도시였으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 마이마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고대 철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요새가 존재한다. 20세기에는 도시 재건이 이루어졌으며, 마이마나 공항을 통해 운송 서비스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주도 - 카불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역사적 유적과 현대 건축물이 공존하지만, 최근 수십 년간 전쟁과 재건을 겪으며 현재는 탈레반 통치 하에 안보 및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주도 - 칸다하르
    칸다하르는 아프가니스탄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칸다하르 주의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도시에서 유래하여 교역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서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과거 두라니 제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탈레반의 주요 거점 도시 중 하나로, 온난 반건조 기후에 파슈툰족이 주로 거주한다.
  • 아프가니스탄의 도시 - 카불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역사적 유적과 현대 건축물이 공존하지만, 최근 수십 년간 전쟁과 재건을 겪으며 현재는 탈레반 통치 하에 안보 및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도시 - 칸다하르
    칸다하르는 아프가니스탄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칸다하르 주의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도시에서 유래하여 교역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서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과거 두라니 제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탈레반의 주요 거점 도시 중 하나로, 온난 반건조 기후에 파슈툰족이 주로 거주한다.
마이마나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마이마나
공식 명칭میمنه
로마자 표기Maymana
다른 이름해당 없음
별칭해당 없음
국가아프가니스탄
속한 주파르야브주
면적35km²
해발 고도877m
시간대UTC+4:30
행정
시장담라 모히불라
인구 통계
2022년 추정 인구100650명
도시 인구 (2015년)149,040명
민족 구성우즈베크인, 파슈툰인, 투르크멘인
기타 정보

2. 지리

마이마나는 투르키스탄 산맥 북쪽 기슭, 해발 877m 지점, 무르가브 강의 우안 지류인 케이사르 강(마이마나 강) 구(舊) 단구에 위치해 있다. 마이마나 강은 도시에서 남쪽으로 50km 떨어진 반데 투르키스탄 강에서 갈라져 나온다. 마이마나 지역의 고지대는 일반적으로 계절별 농업 활동을 지원하는 매우 비옥한 표토를 가지고 있다.

2. 1. 기후

마이마나는 덥고 건조한 여름과 춥고 습한 겨울을 보이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를 가지고 있다.[8]

최고 기온
(°C영어)
평균 기온
(°C영어)
최저 기온
(°C영어)
강수량
(mm영어)
일조 시간비 오는 날눈 오는 날습도
(%영어)
1월25.3°C2°C-2.2°C49.9mm136.65675
2월27.5°C4°C-0.2°C60.5mm117.77573
3월32.6°C8.4°C3.8°C82.2mm169.311374
4월35.3°C15.4°C9.6°C60.5mm195.910068
5월39.8°C20.1°C12.7°C25.6mm306.04053
6월42.5°C25.5°C16.3°C1mm370.00038
7월44.5°C27.6°C18.5°C0.5mm381.20034
8월40.5°C25.2°C16.6°C0mm352.50034
9월38.3°C20.5°C12.3°C0.2mm303.50039
10월35.1°C14.5°C7.6°C9.6mm237.22049
11월30.6°C8.6°C3.5°C20.9mm159.14161
12월27.6°C4.7°C0.3°C44.7mm137.95371


3. 토지 이용

마이마나는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무역 및 통과 중심지이다. 마이마나의 토지 중 절반 이상(57%)은 개발되지 않은 토지로, 주로 농업으로 구성되어 있다.[5] 중심 지구(2~5)는 주거 밀도가 높고 도로망이 명확하다.[5] 외곽 지구(1, 7~10)는 농지가 더 많은 것이 특징이다.[5]

4. 인구

19세기 동안 마이마나의 인구는 15,000~18,000 가구(대략 75,000~95,000명)로 추정되었으며, 우즈벡어와 파슈토어가 주로 시장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우즈벡인이 지배적인 도시로 여겨졌다. 그러나 투르크멘인, 타지크인 등 다양한 소수 민족과 사람들이 거주하는 도시였다. 1958년에는 인구가 30,000명, 1979년에는 38,250명, 1982년에는 56,973명으로 증가했다. 공식적인 인구 조사가 한 번도 없었기 때문에 이전 데이터는 신뢰하기 어렵다. 2004년에는 마이마나의 인구가 75,900명으로 추정되었지만,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없었다. 2015년에는 UN의 지원을 받는 관찰자들에 의해 인구가 149,040명으로 추정되었다. 마이마나는 10개의 구역을 가지고 있으며, 총 토지 면적은 3461ha이다. 이 도시의 총 주택 수는 16,560채이다.

5. 역사

마이마나는 아주 오래된 역사를 지닌 도시이다. 초기 철기 시대의 마이마나 요새가 있었고, 빌치라흐 근처 동굴에서는 구석기 시대신석기 시대 후기, 그리고 청동기 시대의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800년에서 서기 700년 사이에는 메디아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쿠샨 제국과 에프탈 제국을 거쳐 이슬람 세력에게 정복되었다. 이슬람 세력은 현지 이란인들을 통해 이 지역을 다스렸다. 7세기와 8세기에는 구즈자난의 말리크가 이곳에 살았고, 이후 파리군이드 왕조가 통치했다. 9세기부터 11세기까지는 사파리드, 미르바니드, 나스리드 등 시스탄의 여러 왕조들이 이 지역을 다스렸고, 이후 이란계 사만 왕조, 이란-투르크계 가즈나 왕조, 호라즘 제국에게 차례로 정복되었다.

12세기와 13세기에는 유목민인 투르크족과 몽골족의 침입으로 지역이 황폐화되었다. 이후 거의 200년 동안 피해를 복구해야 했다. 인구는 적었지만, 살아남은 사람들은 농업을 발전시키고 낡은 건물들을 다시 지었다. 도시에는 이란인과 일부 아랍인들이 주둔했고, 주변 마을에는 정착한 아랍인들의 잔재가 남아 있었다. 하지만 사막과 대초원 지역은 투르코-몽골 및 이란 계통의 유목민(아이마크)들이 살고 있었다.

16세기 초 무하마드 샤이바니가 투르키스탄과 헤라트를 침공하면서 우즈베크의 영향력이 마이마나에 미치게 되었고, 이후 마이마나 칸국이 성립되어 19세기까지 존속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20세기에는 도시를 둘러싸고 있던 두꺼운 벽과 탑, 해자 등이 모두 사라지고 평범한 둔덕으로 변했다. 1934년부터 도시 재건이 시작되었고, 1949년에는 구시가지 북쪽이 새롭게 정비되었으며, 옛 요새는 공원으로 바뀌었다. 마이마나는 메이마네 주가 해체될 때까지 그 주의 행정 중심지였다. 국제 안보 지원군의 아프가니스탄 작전의 일환으로 노르웨이가 이끄는 지방 재건팀이 이 주에서 활동했으며, 라트비아 군대도 여기에 참여했다.

5. 1. 마이마나 칸국

16세기 초, 무하마드 샤이바니의 투르키스탄과 헤라트 침공으로 우즈베크의 영향력이 마이마나에 도달했다. 샤이바니는 이란 사파비 왕조에게 패했지만, 우즈베크 세력은 18세기와 19세기까지 이 지역을 지배했다.[6]

이 기간 동안 마이마나는 마이마나 칸국[6]의 중심지가 되었고, 헤라트이란에서 투르키스탄으로 가는 관문이자 상업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또한, 이 지역 전체의 중요한 문화 및 무역 중심지로서 다양한 국가와 사람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우즈베크 통치 하에서 마이마나는 무하마드 샤이바니의 정복 이후 파슈툰족에게 정복될 때까지 르네상스를 맞이했다. 1876년, 셰르 알리 칸 치하에서 마이마나는 카불 왕국에 함락되어 파괴되었다. 그 결과, 인구의 10%만이 살아남았고, 많은 사람들이 학살로 사망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

6. 교통

마이마나에는 2014년 5월 현재 마이마나 공항이 있으며, 헤라트 직항편을 운행하고 있다.[7]

7. 경제

마이마나는 케이사르강으로 관개되는 농업 지역의 중심지이며, 유목민과의 카라쿨 양 거래를 담당한다. 마이마나는 아프가니스탄의 중요한 가축 중심지이다. 1970년대에는 도시에서 모직 및 면화 가공 산업이 호황을 누렸다. 마이마나는 가죽 제품, 실크, 카펫, 밀, 보리, 멜론, 포도의 시장이다.

마이마나에서 서쪽으로 3.2km 떨어진 언덕과 해발 약 3657.60m에 달하는 산봉우리로 둘러싸인 계곡에 마이마나 공항이 있다. 이 공항은 투르크메니스탄 국경에서 남동쪽으로 39km, 안드호이에서 남쪽으로 103km 떨어져 있다. 활주로는 자갈로 포장되어 있다.

마이마나는 카불, 칸다하르, 헤라트, 마자르-이-샤리프, 잘랄라바드, 쿤두즈, 가즈니에 이어 2005년 2월에 설립된 여성 운영 라디오 방송국인 라디오 콰야쉬를 갖춘 아프가니스탄에서 8번째로 큰 도시이다.

마이마나 파노라마

참조

[1] 웹사이트 افغانستان میں طالبان کا مشہور سنائپربنا شہر کا میئر https://www.independ[...] 2022-02-09
[2]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2015 http://unhabitat.org[...]
[3] 뉴스 Taliban's Arrest Of Ethnic Uzbek Commander Sparks Clashes In Northern Afghanistan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 2022-01-29
[4] 간행물 The History of Maimana in Northwestern Afghanistan 1731-1893 https://www.jstor.or[...] 1987
[5] 웹사이트 The State of Afghan Cities report 2015 http://unhabitat.org[...] 2015-10-22
[6] 서적 A Journey Through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Webarchive 2014 East Horizon Airlines Timetable http://flyeasthorizo[...] 2018-10-03
[8] 웹사이트 Maimana Climate Normals 1964-1983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2-25
[9] 웹인용 Maimana Climate Normals 1964-1983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2-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