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봄샘은 눈꺼풀에 위치한 특수한 샘으로, 눈물막의 안정에 기여하는 지질을 분비한다. 1666년 하인리히 마이봄에 의해 처음 자세히 묘사되었으며, 윗 눈꺼풀에 더 많고 부피가 큰 샘이 존재한다. 마이봄샘 분비물은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질은 눈물막의 증발을 막고 표면 장력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안구 건조증 및 안검염의 원인이 되며, 끈적한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히는 증상을 보인다. 치료법으로는 온찜질, 눈꺼풀 세척, 약물 치료, 그리고 심한 경우 샘 비우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눈 해부학 - 무축삭 세포
무축삭 세포는 망막 내부에서 양극 세포와 망막 신경절 세포 간의 시냅스 연결을 조절하며, 연결 영역, 내부 얼기층 위치, 신경 전달 물질 종류에 따라 분류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인간 눈 해부학 - 망막 수평 세포
망막 수평 세포는 망막에서 발견되는 중간 신경 세포로, 광수용체 세포에 시냅스하여 입력을 합산하고 빛의 변화에 반응하며 망막 모자이크 배열을 통해 시야 처리를 돕는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마이봄샘 | |
---|---|
개요 | |
![]() | |
![]() | |
기본 정보 | |
라틴어 이름 | glandula tarsalis |
관련 계통 | 피부 계통 |
2. 역사
마이봄샘은 서기 200년 갈레노스가 언급했으며,[2] 1666년 독일 의사 하인리히 마이봄이 그의 저서 ''De Vasis Palpebrarum Novis Epistola''에서 더 자세히 묘사했다.[3][4]
2. 1. 하인리히 마이봄(Heinrich Meibom)
마이봄샘은 서기 200년 갈레노스가 언급했으며,[2] 1666년 독일 의사 하인리히 마이봄(1638–1700)이 저서 ''De Vasis Palpebrarum Novis Epistola''에서 더 자세히 묘사했다. 이 저서에는 샘의 기본적인 특징을 담은 그림이 포함되어 있다.[3][4]
3. 해부학적 구조
윗눈꺼풀은 아래눈꺼풀보다 더 많고 부피가 큰 마이봄샘을 가지고 있지만, 눈물막 안정성에 더 많이 기여하는지에 대한 합의는 없다. 마이봄샘은 속눈썹 모낭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는다. 눈을 깜빡이는 과정에서 마이봄이 눈꺼풀 가장자리로 배출된다.[5]
4. 기능
마이봄샘 기능 장애는 안구건조증을 자주 유발한다. 또한, 건조한 눈은 눈꺼풀에서 작은 피부 조각을 쓸어내어 안검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마이봄샘의 염증 ('''마이봄샘염''', '''마이봄샘 기능 부전''', '''내맥립종''' 또는 '''다래끼''')은 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혀 발생하며, 그 결과 생기는 종괴를 산립종이라고 한다. 지선암은 이와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세균의 리파아제에 의해 폐쇄가 악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지방산이 생성되어 눈을 자극하고 점상 표층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4. 1. 마이봄 (Meibum)
마이봄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을 마이봄이라고 한다.4. 1. 1. 지질 (Lipids)
지질은 마이봄샘 분비물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마이봄"이라는 용어는 1981년 Nicolaides 등이 처음 도입하였다.[6]마이봄샘 분비물의 생화학적 조성은 극도로 복잡하며 피지와 매우 다르다. 지질은 인간과 동물의 마이봄샘 분비물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09년에는 인간 마이봄샘 분비물의 조성과 다양한 마이봄샘 지질의 구조에 대한 업데이트가 발표되었다.[7]
현재, 마이봄샘 분비물의 지질체 분석에 가장 민감하고 유익한 접근 방식은 직접 주입[8][9]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결합된 질량 분석법이다.[10]
지질은 눈물막의 지질층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빠른 증발을 막고 눈물막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표면 장력을 낮추는 것으로 여겨진다.[2]
4. 1. 2. 단백질 (Proteins)
사람의 경우, 마이봄샘 분비물에서 90가지가 넘는 서로 다른 단백질이 확인되었다.[11][18]5. 임상적 의의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안구 건조증이나 안검염을 유발하는 흔한 질환이다. 마이봄샘에 염증이 생기면(''마이봄염'', ''마이봄샘 기능 이상'', 또는 ''후안검염''이라고도 함) 끈적하고 흐린 노란색의 불투명하고 점성이 있는 기름지고 왁스 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히게 된다.[12][13] 이는 정상적인 맑은 분비물과는 다른 변화이다. 막힌 부분은 세균성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 지방산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눈을 자극하고 때로는 표층 점상 각막병증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여성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며, 안구 건조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14][15] 원인으로는 나이 및/또는 호르몬,[16] 또는 Demodex brevis 진드기의 심각한 감염 등이 있다.
치료에는 온찜질, 상업용 눈꺼풀 세정제 또는 아기용 샴푸를 이용한 눈꺼풀 세척,[17][13] 전문가에 의한 샘 비우기("압출") 등이 있다. Lifitegrast와 시클로스포린은 염증 조절 및 오일 품질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국소 약물이다. 경우에 따라 국소 스테로이드와 국소/경구 항생제(눈꺼풀 가장자리의 세균 감소 목적)도 염증 감소를 위해 처방된다.[13] 강력 펄스 광선 (IPL) 치료 또한 염증을 줄이고 샘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봄샘 탐침은 샘이 깊이 막힌 환자에게 사용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이소트레티노인과 같은 일부 의약품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막힌 마이봄샘은 눈꺼풀에 콩다래끼 (또는 "마이봄 낭종")를 형성할 수 있다.
5. 1. 마이봄샘 기능 이상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마이봄샘 기능 이상'''(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은 마이봄샘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흔히 안구 건조증을 일으키거나 안검염의 원인이 된다. 마이봄샘에 염증이 생기면(''마이봄염'', ''마이봄샘 기능 이상'', 또는 ''후안검염''이라고도 함) 끈적하고 흐린 노란색의 불투명하고 점성이 있으며, 기름지고 왁스 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히게 된다. 이는 샘의 정상적인 맑은 분비물과는 다른 변화이다.[12][13] 막힌 부분은 세균성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 지방산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눈을 자극하고 때로는 표층 점상 각막병증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여성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며, 안구 건조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14][15]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나이 및/또는 호르몬,[16] 또는 모낭충의 심각한 감염 등이 있다.
이 질환은 일부 의약품, 특히 이소트레티노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막힌 마이봄샘은 눈꺼풀에 콩다래끼 (또는 "마이봄 낭종")를 형성할 수 있다.
5. 1. 1. 증상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는 흔한 안구 질환 중 하나이며, 안검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마이봄샘의 염증 (''마이봄염'', ''마이봄샘 기능 이상'', 또는 ''후안검염''이라고도 함)은 끈적하고 흐린 노란색의 불투명하고 점성이 있으며, 기름지고 왁스 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히게 한다. 이는 샘의 정상적인 맑은 분비물과는 다른 변화이다.[12][13] 막힌 부분은 세균성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 지방산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눈을 자극하고 때로는 표층 점상 각막병증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여성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며, 안구 건조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14][15] 마이봄샘 기능 이상에 기여하는 요인으로는 개인의 나이 및/또는 호르몬,[16] 또는 Demodex brevis 진드기의 심각한 감염 등이 있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건조한 안구가 눈꺼풀에서 작은 피부 조각을 쓸어내어 안검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마이봄샘의 염증 ('''마이봄샘염''', '''마이봄샘 기능 부전''', '''내맥립종''' 또는 '''다래끼''')은 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혀 발생하며, 그 결과 생기는 종괴를 산립종이라고 한다. 이와 유사한 증상으로 지선암이 있다.
안구건조증이 될 뿐만 아니라, 세균의 리파아제에 의해 폐쇄가 악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지방산이 생성되어 이로 인해 눈이 자극되어 점상 표층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5. 1. 2. 원인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거나 안검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마이봄샘의 염증(''마이봄염'', ''마이봄샘 기능 이상'', 또는 ''후안검염''이라고도 함)은 끈적하고 흐린 노란색의 불투명하고 점성이 있으며, 기름지고 왁스 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히게 하는데, 이는 샘의 정상적인 맑은 분비물과는 다른 변화이다.[12][13] 막힌 부분은 세균성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 지방산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눈을 자극하고 때로는 표층 점상 각막병증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여성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며, 안구 건조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14][15] 이에 기여하는 요인으로는 개인의 나이 및/또는 호르몬,[16] 또는 Demodex brevis 진드기의 심각한 감염 등이 있다.
치료에는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한 온찜질과 상업용 눈꺼풀 세정제 또는 아기용 샴푸를 이용한 눈꺼풀 세척,[17][13] 또는 전문가에 의한 샘 비우기("압출")가 포함될 수 있다. Lifitegrast와 시클로스포린은 염증을 조절하고 오일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약물이다. 어떤 경우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와 국소 (점안액 또는 연고) / 경구 항생제 (눈꺼풀 가장자리의 세균을 줄이기 위해)도 염증을 줄이기 위해 처방된다.[13] 강력 펄스 광선 (IPL) 치료 또한 염증을 줄이고 샘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봄샘 탐침은 샘이 깊이 막힌 환자에게도 사용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이소트레티노인과 같은 일부 의약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막힌 마이봄샘은 눈꺼풀에 콩다래끼 (또는 "마이봄 낭종")를 형성할 수 있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건조한 안구가 눈꺼풀에서 작은 피부 조각을 쓸어내어 안검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마이봄샘의 염증 ('''마이봄샘염''', '''마이봄샘 기능 부전''', '''내맥립종''' 또는 '''다래끼''')은 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혀 발생하며, 그 결과 생기는 종괴를 산립종이라고 한다. 이와 유사한 증상으로 지선암이 있다.
안구건조증이 될 뿐만 아니라, 세균의 리파아제에 의해 폐쇄가 악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지방산이 생성되어 이로 인해 눈이 자극되어 점상 표층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5. 1. 3. 진단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며, 안검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마이봄샘의 염증(''마이봄염'', ''마이봄샘 기능 이상'', 또는 ''후안검염''이라고도 함)은 끈적하고 흐린 노란색을 띠며, 더 불투명하고 점성이 있으며, 기름지고 왁스 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히게 한다. 이는 샘의 정상적인 맑은 분비물과는 다른 변화이다.[12][13] 막힌 부분은 세균성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 지방산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눈을 자극하고 때로는 표층 점상 각막병증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여성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며, 안구 건조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14][15] 마이봄샘 기능 이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나이 및/또는 호르몬,[16] 또는 모낭충의 심각한 감염 등이 있다.
치료에는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한 온찜질과 상업용 눈꺼풀 세정제 또는 아기용 샴푸를 이용한 눈꺼풀 세척,[17][13] 또는 전문가에 의한 샘 비우기("압출")가 포함될 수 있다. 리피테그라스트와 시클로스포린은 염증을 조절하고 기름 성분(오일)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약물이다. 어떤 경우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와 국소 (점안액 또는 연고) / 경구 항생제 (눈꺼풀 가장자리의 세균을 줄이기 위해)도 염증을 줄이기 위해 처방된다.[13] 강력 펄스 광선 (IPL) 치료 또한 염증을 줄이고 샘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봄샘 탐침은 샘이 깊이 막힌 환자에게도 사용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일부 의약품, 특히 이소트레티노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막힌 마이봄샘은 눈꺼풀에 콩다래끼 (또는 "마이봄 낭종")를 형성할 수 있다.
5. 1. 4. 치료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는 흔한 안구 질환 중 하나이며, 안검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마이봄샘의 염증(''마이봄염'', ''마이봄샘 기능 이상'', 또는 ''후안검염''이라고도 함)은 끈적하고 흐린 노란색의 불투명하고 점성이 있는 기름지고 왁스 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히게 한다.[12][13] 이는 샘의 정상적인 맑은 분비물과는 다른 변화이다. 막힌 부분은 세균성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 지방산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눈을 자극하고 때로는 표층 점상 각막병증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여성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며, 안구 건조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14][15] 마이봄샘 기능 이상에 기여하는 요인으로는 개인의 나이 및/또는 호르몬,[16] 또는 Demodex brevis 진드기의 심각한 감염 등이 있다.
치료에는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한 온찜질과 상업용 눈꺼풀 세정제 또는 아기용 샴푸를 이용한 눈꺼풀 세척,[17][13] 또는 전문가에 의한 샘 비우기("압출")가 포함될 수 있다. Lifitegrast와 시클로스포린은 염증을 조절하고 오일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약물이다. 어떤 경우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와 국소 (점안액 또는 연고) / 경구 항생제 (눈꺼풀 가장자리의 세균을 줄이기 위해)도 염증을 줄이기 위해 처방된다.[13] 강력 펄스 광선 (IPL) 치료 또한 염증을 줄이고 샘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봄샘 탐침은 샘이 깊이 막힌 환자에게도 사용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일부 의약품 특히 이소트레티노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막힌 마이봄샘은 눈꺼풀에 콩다래끼 (또는 "마이봄 낭종")를 형성할 수 있다.
5. 2. 기타 질환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안구 건조증이나 안검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마이봄샘의 염증(''마이봄염'', ''마이봄샘 기능 이상'', 또는 ''후안검염''이라고도 함)은 끈적하고 흐린 노란색의, 더 불투명하고 점성이 있으며, 기름지고 왁스 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히게 되는데, 이는 샘의 정상적인 맑은 분비물과는 다르다.[12][13] 막힌 부분은 세균성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 지방산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눈을 자극하고 때로는 표층 점상 각막병증을 유발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여성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며, 안구 건조증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14][15] 마이봄샘 기능 이상에 기여하는 요인으로는 개인의 나이 및/또는 호르몬,[16] 또는 Demodex brevis 진드기의 심각한 감염 등이 있다.
치료에는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한 온찜질과 상업용 눈꺼풀 세정제 또는 아기용 샴푸를 이용한 눈꺼풀 세척,[17][13] 또는 전문가에 의한 샘 비우기("압출")가 포함될 수 있다. Lifitegrast와 시클로스포린은 염증을 조절하고 오일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약물이다. 어떤 경우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와 국소 (점안액 또는 연고) / 경구 항생제 (눈꺼풀 가장자리의 세균을 줄이기 위해)도 염증을 줄이기 위해 처방된다.[13] 강력 펄스 광선 (IPL) 치료 또한 염증을 줄이고 샘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봄샘 탐침은 샘이 깊이 막힌 환자에게도 사용된다.
마이봄샘 기능 이상은 이소트레티노인과 같은 일부 의약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막힌 마이봄샘은 눈꺼풀에 콩다래끼 (또는 "마이봄 낭종")를 형성할 수 있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건조한 안구가 눈꺼풀에서 작은 피부 조각을 쓸어내어 안검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마이봄샘의 염증 ('''마이봄샘염''', '''마이봄샘 기능 부전''', '''내맥립종''' 또는 '''다래끼''')은 짙은 분비물로 인해 샘이 막혀 발생하며, 그 결과 생기는 종괴를 산립종이라고 한다. 이와 유사한 증상으로 지선암이 있다.
안구건조증이 될 뿐만 아니라, 세균의 리파아제에 의해 폐쇄가 악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지방산이 생성되어 이로 인해 눈이 자극되어 점상 표층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eye, huma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
[2]
학술지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eibomian Gland Dysfunction: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Anatomy,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the Meibomian Gland
[3]
웹사이트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 EyeWiki
https://eyewiki.aao.[...]
[4]
서적
De vasis palpebrarum novis epistola …
https://archive.org/[...]
Henning Muller
1666
[5]
학술지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eibomian Gland Dysfunction: Executive Summary.
[6]
학술지
Meibomian gland studies: comparison of steer and human lipids
1981-04
[7]
학술지
The Meibomian puzzle: combining pieces together
2009-11
[8]
학술지
Shotgun lipidomic analysis of human meibomian gland secretions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http://iovs.arvojour[...]
[9]
학술지
Comprehensive shotgun lipidomics of human meibomian gland secretions using MS/MSall with successive switching between acquisition polarity modes
http://www.jlr.org/c[...]
[10]
학술지
Comprehensive shotgun lipidomics of human meibomian gland secretions using MS/MSall with successive switching between acquisition polarity modes
2018
[11]
학술지
Proteomic analysis of human meibomian gland secretions
2006-03
[12]
학술지
Meibomian gland disease: the role of gland dysfunction in dry eye disease
2017-11-24
[13]
서적
Ocular Periphery and Disorder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23-10-30
[14]
웹사이트
Managing and Making Sense of MGD
http://www.revophth.[...]
Review of Ophthalmology
2014-02-26
[15]
웹사이트
Rethinking Meibomian Gland Dysfunction: How to Spot It, Stage It and Treat It
http://www.aao.org/p[...]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2014-02-26
[16]
웹사이트
The Role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Lid Wiper Epitheliopathy in Dry Eye Disease
https://www.aaopt.or[...]
American Academy of Optometry
2014-02-26
[17]
학술지
Efficacy of baby shampoo and commercial eyelid cleanser in patients with meibomian gland dysfunction
2020-05-08
[18]
학술지
Proteomic analysis of human meibomian gland secretions.
20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