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흐리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흐리드는 북마케도니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오흐리드 호수 연안에 자리 잡고 있다. 고대에는 리크니도스(Lychnidos)로 알려졌으며, 일리리아인과 그리스인, 로마인의 지배를 받았다. 슬라브족의 정착 이후 오흐리드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이자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소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잔틴 제국, 세르비아 제국,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쳤으며, 현재는 북마케도니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이다. 오흐리드는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흐리드 여름 축제와 같은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흐리드 - 사무일
사무엘은 10세기 불가리아의 귀족이자 통치자로서 반 비잔틴 항쟁을 이끌고 불가리아 차르로 즉위하여 발칸 반도의 대부분을 지배했으나, 1014년 벨라시차 전투 패배 후 사망했다. - 오흐리드 - 오흐리드호
오흐리드호는 북마케도니아와 알바니아에 걸쳐 있는 발칸 반도에서 가장 깊고 오래된 호수 중 하나로, 독특한 고유종 생태계와 풍부한 생물 다양성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및 람사르 협약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북마케도니아의 세계유산 - 오흐리드호
오흐리드호는 북마케도니아와 알바니아에 걸쳐 있는 발칸 반도에서 가장 깊고 오래된 호수 중 하나로, 독특한 고유종 생태계와 풍부한 생물 다양성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및 람사르 협약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북마케도니아의 세계유산 - 카르파티아 및 유럽의 기타 지역에 생육하는 고대 및 원시 너도밤나무 숲
카르파티아 및 유럽의 기타 지역에 생육하는 고대 및 원시 너도밤나무 숲은 최종 빙하기 이후 유럽으로 확산된 너도밤나무 숲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뛰어난 자연미와 생태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삼림 벌채, 기후 변화, 외래종 침입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오흐리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발칸의 예루살렘 마케도니아의 예루살렘 유럽의 예루살렘 |
행정 구역 | |
국가 | 북마케도니아 |
통계 지역 | 남서부 통계 지역 |
지방 자치체 | 오흐리드 지방 자치체 |
시장 | 키릴 페차코프 (VMRO-DPMNE) |
면적 | 383.93 km² |
고도 | 695 m |
인구 통계 | |
인구 (2021년) | 38,818명 |
우편 번호 | 6000 |
지역 번호 | +389 046 |
기후 | |
기후 | 해양성 기후(Cfb) |
기타 정보 | |
수호 성인 | 오흐리드의 클레멘트, 오흐리드의 나움 |
세계 유산 지정 | 지정 명칭: 오흐리드 지역의 자연 및 문화 유산 지정 유형: 자연, 문화 지정 기준: i, iii, iv, vii 지정 번호: 99 지역: 유럽 및 북아메리카 지정 연도: 1979년 (제3차 회의) 확장: 1980년, 2019년 |
공식 웹사이트 | 오흐리드 공식 웹사이트 |
2. 명칭
오흐리드는 고대 도시 류크니도스(Lychnidos)에서 유래되었다.[67] 류크니도스는 그리스 신화 속 페니키아인 카드모스가 테베를 건설하고, 말년에 엔케레이스인의 나라로 도망쳐 오흐리드 호숫가에 건설했다고 전해진다.
고대에 이 도시는 그리스어로 Λυχνίς (''Lychnis'')와 Λυχνιδός (''Lychnidos''), 그리고 라틴어로 ''Lychnidus''[9][10]로 알려져 있었다. 이는 아마도 "빛의 도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문자 그대로 "빛을 내는 귀한 돌"[11]을 뜻하는 λύχνος (''lychnos''), "등불, 휴대용 빛"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2] 폴리비우스는 기원전 2세기에 이 도시를 Λυχνίδιον - ''Lichnidion''이라고 언급했다.[13]
''Lychnidus''라는 고대 지명이 ''Oh(ë)r(id)''로 변화한 것은 토스크 알바니아어와 동남 슬라브어의 오랜 기간 동안의 이중 언어 사용, 또는 적어도 언어 접촉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토스크 알바니아어의 탈음화에 따라 ''-n-''이 ''-r-''로, 동남 슬라브어의 l-모음화에 따라 ''ly-''가 ''o-''로 변화한 결과이다.[14][15][16]
초기 중세 시대에는 제1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였으며, 비잔티움 작가들은 종종 ''Achrida'' (Ἄχριδα, Ὄχριδα, 또는 Ἄχρις)로 언급했다.[9][17] 879년까지는 더 이상 Lychnidos라고 불리지 않았고 ''Ohrid''로 불리게 되었다.[18][19][20]
마케도니아어와 다른 남슬라브어에서는 이 도시의 이름이 ''Ohrid'' (Охрид)이다. 알바니아어에서는 ''Ohër'' 또는 ''Ohri''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Ochrida'' (Οχρίδα, Ωχρίδα)와 ''Achrida'' (Αχρίδα)로 불린다. 아르마니아어에서는 Ohãrdarup이다.[21]
3. 역사
오흐리드 호수는 고대에 라쿠스 류크니티스(Lacus Lychnitis)라고 불렸는데, 맑고 투명한 물 때문에 그리스어 이름이 붙여졌다.[68] 이 도시는 고대 로마의 에그나티아 가도 상에 위치하여 아드리아해의 항구 두라키움(현재의 두라초)과 비잔티움을 연결했다. 제1차 불가리아 제국 황제 사무일의 요새가 세워지기 전에도 도시 언덕 위에 요새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5세기경 폴리콘호우스 성당 등 고고학적 발굴 결과는 이 지역에서 초기부터 기독교가 수용되었음을 보여준다. 류크니도스 출신 주교들은 여러 공의회에 참여하였다.
867년 불가리아인들이 류크니도스를 정복했고, 879년에 '오흐리드'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다. 990년부터 1015년까지 오흐리드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이자 요새였으며, 같은 시기 불가리아 총대주교좌가 설치되어 있었다. 1018년 동로마 제국이 오흐리드를 점령한 후, 불가리아 총대주교좌는 오흐리드 대주교좌로 강등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권위 아래 놓였다.
1018년 이후, 오스만 제국 지배 시기(1767년 총대주교좌 폐지)를 포함하여 고위 성직자들은 거의 항상 그리스인이었다. 16세기 초, 오흐리드 총대주교좌는 소피아, 비딘, 왈라키아, 몰다비아의 주교 관구, 과거 페치 총대주교좌의 일부, 이탈리아의 정교회 관할 구역(아풀리아, 칼라브리아, 시칠리아, 베네치아, 달마티아)까지 관할했다.
주교 도시로서 오흐리드는 중요한 문화 중심지였다. 시내에 있는 거의 모든 현존하는 교회는 동로마 시대와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 건립되었으며, 나머지는 중세 후기에 짧은 기간 동안 있었던 세르비아 지배 시대에 건립된 것이다. 오흐리드의 성 클레멘트는 키릴 문자를 고안한 것으로 여겨진다.
안티오키아 공작 보에몽 1세가 이끄는 노르만족 군대는 1083년에 오흐리드를 장악했다. 13세기와 14세기, 오흐리드는 에피로스 데스포타국, 불가리아, 동로마 제국, 세르비아 제국 등 지배자가 잇달아 바뀌었다. 14세기 말, 오흐리드는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어 1912년까지 지배받았다. 기독교인 인구는 터키 지배 초기 1세기에 쇠퇴했으나, 18세기에 들어서 오흐리드가 주요 통상로 위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상황이 개선되었다. 19세기 말, 오흐리드에는 11,900명의 인구가 있었다. 인구의 45%는 무슬림이었고, 나머지는 대부분 동방 정교회 신자였다.
1912년 이전, 오흐리드는 모나스티르 현(현재의 비톨라) 산자크를 관할하는 마을 구역의 중심지였다.
'''역사적 종속 관계'''시대 국가 기원전 8세기-기원전 5세기 일리리아인 (엔켈레, 다사레티이) 기원전 5세기-기원전 358년 일리리아 왕국 기원전 358년-기원전 300년 마케도니아 왕국 기원전 3세기-기원전 250년 일리리아인(다사레티이) 기원전 250년-기원전 228년 일리리아 왕국 기원전 228년-기원전 208년 마케도니아 왕국 기원전 208년-기원전 170년 다르다니아 왕국 기원전 170년-기원전 148년 마케도니아 왕국 기원전 148년-기원전 27년 로마 공화국 기원전 27년-395년 로마 제국 395년-842년 비잔티움 제국 842년-1018년 제1 불가리아 제국 1018년-1083년 비잔티움 제국 1083년-1085년 보에몽 1세 1085년-1203년 비잔티움 제국 1203년-1208년 제2 불가리아 제국 1208년-1214년 스트레즈 1214년-1230년 에피로스 및 살로니카 1230년-1263년 제2 불가리아 제국 ~1250년-1334년 비잔티움 제국 1334년-~1336년 세르비아 왕국 ~1336년-??? 그로파 가문 ???-~1373년 프리렙 영주 ~1373년-1395년 그로파 가문 1395년-1912년 오스만 제국 1464년-1466년 레제 동맹 1466년-1912년 오스만 제국 1912년-1915년 세르비아 왕국 1915년-1918년 불가리아 왕국 1918년-1941년 유고슬라비아 왕국 1941년-1944년 불가리아 왕국 1944년-1991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91년-현재 마케도니아/북마케도니아
3. 1. 고대
오흐리드 호수 지역 최초의 주민들은 일리리아의 부족인 엔켈레[22]와 다사레티이였다.[24][25] 전설에 따르면 이 도시는 테베의 페니키아 왕 카드모스가 보이오티아에서 추방된 후 엔켈레로 도망쳐 건설했다고 한다. 고대에 리히니도스(Λυχνιδός|리흐니도스grc)라고 불린 오흐리드 외에도 그는 몬테네그로의 부드바를 건설했다고 전해진다.[23] 리히니도스는 일리리아 다사레티이의 수도였다.[24][25]
최근 발굴 조사에 따르면, 이 도시는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 시대부터 존재했다.[26] 결론적으로 사무일 요새는 기원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초기 요새 자리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26] 기원전 210년,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5세는 여러 남부 일리리아 공동체를 습격했다. 그는 리히니도스에 주둔군을 유지했지만 기원전 208년 지휘관이 지역 지도자 아에로푸스에 합류하고 지역의 다르다니를 초청하면서 통제력을 상실했다.
로마 정복 시대, 기원전 3세기 말과 2세기 초에 리히니두스는 다사레티아 근처 또는 내부에 있는 도시로 언급된다. 로마 시대에는 아드리아 해 항구 디라키온(오늘날 두르러스)을 비잔티움과 연결하는 ''비아 에그나티아''에 위치해 있었다.[24][25] 고고학적 발굴 (예: 5세기의 폴리콘치 바실리카)은 이 지역에서 초기 기독교의 수용을 증명한다. 리히니도스의 주교들은 여러 교회 일치 운동 회의에 참여했다.
현대 오흐리드 시는 고대 도시 류크니도스(Lychnidos)[67]의 후예이다. 이는 몇몇 동로마 시대 문헌, “도시는 리크니도스의 큰 호수 근처 높은 언덕 위에 있으며, 그 앞에는 디아사리테스라고 불리던 도시가 있었는데, 호수를 따라 리크니스(Lychnis)라고 불렸다.”라는 기록으로 증명된다.[68] 고대 도시 류크니도스의 존재는 그리스 신화의 페니키아인 카드모스와 관련이 있다. 그는 테베의 건국자이며, 말년에 엔케레이스인의 나라로 도망쳐 오흐리드 호숫가에 류크니도스 도시를 건설했다고 한다.
고대에 라쿠스 류크니티스(Lacus Lychnitis)라는 이름이었던 오흐리드 호수는 먼 옛날 맑고 매우 투명한 물을 품고 있었기에 그리스어 이름이 붙여졌다. 중세에는 때때로 그 고대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도시는 고대 로마의 에그나티아 가도에 위치해 아드리아해의 항구 두라키움(현재의 두라초(Durrës))과 함께 비잔티움과 연결되어 있었다. 아마도 제1차 불가리아 제국 황제 사무일(Samuil)의 요새가 세워지기 전에 도시 언덕 위에 요새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고학적 발굴 결과(5세기경의 폴리콘호우스 성당 등)는 이 지역에서 초기부터 기독교가 수용되었음을 보여준다. 류크니도스 출신 주교들은 많은 공의회에 참여하였다.
3. 2. 중세
6세기경 슬라브계 남부 민족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7세기 초, 베르지티(Berziti)로 알려진 슬라브 부족이 이 도시를 식민지화했다.[27] 879년 '오흐리드'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했다. 886년 클레멘트 오흐리드가 설립한 오흐리드 문학교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주요 문화 중심지 중 하나였다. 키릴 문자는 오흐리드의 성 클레멘트가 고안한 것으로 여겨지며,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오스 형제가 만든 글라골 문자를 발전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990년부터 1015년까지 오흐리드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이자 중심지였다.[28]
990년부터 1018년까지 오흐리드는 불가리아 총대주교구의 소재지였다.[29] 1018년 바실리우스 2세가 이끄는 비잔티움 제국이 오흐리드를 재정복한 후, 불가리아 총대주교구는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강등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산하에 놓였다.
1018년 이후, 오스만 제국 지배 시기를 포함하여 1767년 대주교구가 폐지될 때까지 고위 성직자들은 거의 대부분 그리스인이었다. 16세기 초, 오흐리드 대주교구는 소피아, 비딘, 왈라키아, 몰다비아, 중세 세르비아 페치 총대주교구(페치 총대주교 수도원 포함), 심지어 이탈리아(아풀리아, 칼라브리아, 시칠리아), 베네치아, 달마티아의 정교회 지역까지 관할하며 절정에 달했다.
주교 도시로서 오흐리드는 발칸 반도에서 매우 중요한 문화 중심지였다. 현존하는 거의 모든 교회는 비잔티움 제국과 불가리아인들이 건설했으며, 나머지는 중세 후기 세르비아의 짧은 지배 기간에 건설된 것이다.[30]
안티오키아 공작 보에몽 1세가 이끄는 노르만 군대가 1083년 오흐리드를 점령했으나, 비잔티움 제국은 1085년 오흐리드를 탈환했다. 13세기와 14세기에 이 도시는 에피로스 데스포타국, 불가리아, 비잔티움 제국, 세르비아 제국, 알바니아 통치자들 사이에서 주인이 바뀌었다.
1334년,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이 오흐리드를 함락시켜 세르비아 제국에 편입시켰다.[34] 두샨 사후, 오흐리드는 안드레아 그로파(Andrea Gropa)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그 후, 마르코 왕자가 이 도시를 프리렙 왕국에 편입시켰다.[35]
1495년, 바예지드 1세 휘하의 오스만 제국 군대가 오흐리드를 함락시켜 새로 설립된 오흐리드 산자크의 중심지로 삼았다. 1464년 9월 14일부터 15일까지 레제 동맹의 12,000명 알바니아 군대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1,000명 군대가 오흐리드 전투에서 14,000명의 오스만 군대를 격파했다.[37]
3. 3. 오스만 제국 시기
16세기 오흐리드는 오흐리드 산자크에 속했다. 1529년부터 1536년까지 오흐리드 산자크에는 33,271가구(기독교인 32,648가구, 무슬림 623가구), 과부 1,331명, 미혼 독신 3,392명이 있었다. 859개의 정착지와 10개의 도시가 있었고, 정착지당 평균 28.7가구가 있었다. 오흐리드 자체에는 기독교 가정 337가구, 미혼 독신 44명, 과부 12명, 무슬림 가정 93가구가 있었다. 1583년 오흐리드 산자크는 여러 카자(kaza)로 구성되었는데, 여기에는 오흐리드 카자도 포함되었고, 이 카자들은 다시 나히예(nahiye)로 구성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세금대장(defter)에 따르면, 오흐리드 나히예에는 총 107개의 정착지 내에 기독교 가정 2,920가구, 미혼 독신 627명, 무슬림 가정 465가구가 있었다.[41]
1889년 프랑스 연구에 따르면, 오흐리드시에는 2,500~3,000채의 집과 약 12,000명의 주민이 있었는데, 그중 3분의 2는 불가리아인과 블라흐인이었고, 나머지 3분의 1은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무슬림이었으며, 20~25가구의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그리스인 가정이 있었다.[42] 오스만 통치 초기 몇 세기 동안 기독교 인구는 감소했다. 1664년에는 기독교 가정이 142가구에 불과했다. 18세기에 오흐리드가 주요 무역로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이 세기 말에는 약 5,000명의 주민이 있었다.[43]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 오흐리드 지역은 유럽 튀르키예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불안의 온상이었다. 19세기에 오흐리드 지역은 스쿠타리 파샬릭의 일부가 되었고, 부샤티 가문이 통치했다.[43]
1874년 오흐리드 주교구의 기독교 인구가 불가리아 총대주교청에 합류하는 것에 대한 주민투표에서 압도적으로 찬성(97%)한 후, 총대주교청이 이 지역을 장악하게 되었다.[44] 1900년에 바실 칸초프가 수집한 통계에 따르면, 오흐리드시에는 불가리아인 8,000명, 튀르크인 5,000명, 알바니아계 무슬림 500명, 알바니아계 기독교인 300명, 블라흐인 460명, 로마인 600명이 거주했다.[46]
오흐리드시의 기독교 주민 대부분은 불가리아 총대주교청의 지배를 받았다. 총대주교청 서기 디미타르 미셰프의 마케도니아 기독교 인구 통계에 따르면, 1905년 오흐리드의 기독교 인구는 총대주교파 불가리아인 7,768명, 그리스 정교회파 불가리아인 168명, 세르비아 정교회파 불가리아인 56명, 블라흐인 660명, 알바니아인 6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도시에는 중학교 1개와 초등학교 5개의 불가리아 학교가 있고, 그리스, 세르비아, 블라흐 학교가 각각 1개씩 있었다.[48]
3. 4. 근현대
1912년 이전 오흐리드는 모나스티르 산자크에 속한 마나스티르 빌라예트(현재 비톨라)의 소읍 중심지였다. 이 도시는 1912년 11월 29일 세르비아군이 발칸 전쟁 중 도시를 장악하고 나중에 오흐리드 지역의 수도로 삼을 때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오흐리드에서 세르비아군은 불가리아인 150명과 알바니아인과 터키인으로 구성된 500명을 살해했다.[50] 1913년 9월, 현지 알바니아인과 친불가리아계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조직 지도자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15년부터 1918년까지는 불가리아 왕국이 점령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 동안 오흐리드는 독립된 지역(Охридски округ)(1918~1922)으로 남았고, 그 후에는 비톨라 오블라스트(1920~1929)의 일부가 되었으며, 1929년부터 1941년까지는 바르다르 바노비나의 일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다시 불가리아에 점령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 이후로 오흐리드는 오흐리드 시(Општина Охрид)의 시청 소재지였다. 1991년 이후 이 도시는 마케도니아 공화국(현재 북마케도니아)의 일부가 되었다.
1993년 11월 20일, 아비오임펙스 110편이 오흐리드 근처에서 추락하여 탑승자 116명 전원이 사망했다. 이는 북마케도니아에서 발생한 가장 치명적인 항공 사고이다.[51]
4. 지리 및 기후
오흐리드는 북마케도니아 남서부, 오흐리드 호 연안에 위치하며 해발 695m에 있다.
오흐리드는 고도의 영향으로 온난한 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Csb''')에 가까운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Cfb''')를 보인다.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은 22°C를 약간 상회하며, 여름철 강수량은 매달 40mm 미만이다. 가장 추운 달은 1월이며 평균 기온은 2.5°C이고, 6.2°C에서 -1.5°C 사이의 범위를 보인다. 가장 더운 달은 8월이며 평균 기온은 27.7°C-14.2°C이다.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11월로 평균 90.5mm의 강우량을 기록한다. 6월, 7월, 8월의 여름철에는 강수량이 가장 적어 약 30mm 정도이다. 최저 기온은 -17.8°C, 최고 기온은 38.5°C이다.[70]
4. 1. 기후
오흐리드는 북마케도니아 남서부, 오흐리드 호 연안의 해발 695m에 위치한다.오흐리드는 고도의 영향으로 온난한 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Csb''')에 가까운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Cfb''')를 보인다.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은 22°C를 약간 상회하며, 여름철 강수량은 매달 40mm 미만이다. 가장 추운 달은 1월이며 평균 기온은 2.5°C이고, 6.2°C에서 -1.5°C 사이의 범위를 보인다. 가장 더운 달은 8월이며 평균 기온은 27.7°C-14.2°C이다.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11월로 평균 90.5mm의 강우량을 기록한다. 6월, 7월, 8월의 여름철에는 강수량이 가장 적어 약 30mm 정도이다. 최저 기온은 -17.8°C, 최고 기온은 38.5°C이다.[7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평균 최고 기온 (℃) | 6.2°C | 7.6°C | 11°C | 15.1°C | 20.4°C | 24.8°C | 27.6°C | 27.7°C | 23.6°C | 17.7°C | 11.6°C | 7.2°C | 16.7°C |
평균 최저 기온 (℃) | -1.5°C | -0.9°C | 1.2°C | 4.6°C | 8.7°C | 12°C | 14°C | 14.2°C | 11.2°C | 7.2°C | 3.1°C | 0°C | 6.2°C |
평균 강수량 (mm) | 53.7mm | 60.2mm | 55.9mm | 55.9mm | 56.7mm | 33.5mm | 30mm | 30.6mm | 47.9mm | 76.1mm | 90.5mm | 71.3mm | - |
평균 강수일수 | 11 | 12 | 11 | 13 | 12 | 8 | 6 | 6 | 7 | 10 | 12 | 13 | - |
5. 인구 통계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오흐리드의 인구는 38,818명이며,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54]
민족 | 인구 | 비율 |
---|---|---|
마케도니아인 | 28,920명 | 74.5% |
행정 자료 대상자 | 3,421명 | 8.8% |
기타 | 2,728명 | 7.0% |
알바니아인 | 1,924명 | 5.0% |
튀르크인 | 1,825명 | 4.7% |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오흐리드 시의 인구는 42,033명이었으며,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55]
민족 | 인구 | 비율 |
---|---|---|
마케도니아인 | 33,791명 | 80.4% |
알바니아인 | 2,959명 | 7.0% |
튀르크인 | 2,256명 | 5.4% |
기타 | 3,027명 | 7.2% |
시민들의 모국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 | 인구 | 비율 |
---|---|---|
마케도니아어 | 34,910명 | 83.1% |
알바니아어 | 3,957명 | 9.4% |
튀르크어 | 2,226명 | 5.3% |
기타 | 1,017명 | 2.4% |
시의 종교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종교 | 인구 | 비율 |
---|---|---|
정교회 기독교인 | 33,987명 | 80.9% |
무슬림 | 7,599명 | 18.1% |
기타 | 447명 | 1.1% |
오흐리드의 가장 오래된 주민들은 바로시(Varoš) 지역에 거주하는 몇몇 가족들이다.[56] 다른 마케도니아인들은 코셀(Kosel), 스트루가(Struga), 드림콜(Drimkol), 데바르차(Debarca), 말레시아(Malesija) 및 키체보(Kičevo) 지역과 마케도니아 남부의 다른 지역의 마을 출신으로 오흐리드에 정착했다.[56] 오흐리드의 알바니아인들은 오흐리드 호수의 서쪽과 남쪽 지역에 위치한 알바니아 마을 출신이다.[56] 오흐리드에는 튀르키예화된 알바니아인들이 상당수 있으며, 이들은 엘바산(Elbasan), 두르러스(Durrës), 울치니(Ulcinj) 도시 출신이다.[56] 오흐리드의 현지 로마인 인구는 포드그라데츠(Podgradec) 출신이며 남부 토스크 알바니아어 방언을 사용한다.[56]
아르마니아 인구가 오흐리드에 처음 등장한 것은 1778년으로, 모스코폴레(Moscopole)에서 온 사람들과, 카바야(Kavajë)(18세기 후반), 뮤제케(Myzeqe) 지역, 엘바산(Elbasan), 르응어(Llëngë) 및 모크르(Mokër) 지역(19세기 중반), 그리고 고르나 벨리차(Gorna Belica) 및 말로비스타(Malovišta)(19세기 후반) 출신의 사람들이 있다.[56] 오흐리드 아르마니아 인구의 상당수는 트리에스테(Trieste), 오데사(Odessa), 부쿠레슈티(Bucharest)로 이주했다.[56] 정교회 알바니아인들도 19세기 후반에 오흐리드에 정착했으며, 포그라데츠(Pogradec), 린(Lin), 체라베(Çërravë), 페슈코피(Peshkopi) 출신이다.[56]
페슈타니(Peštani) 마을의 모든 튀르크인들은 재산과 토지를 매각한 후 1920년까지 오흐리드로 이주했으며, 오늘날 이들 소수 가족들은 ''페슈탄르(Peştanlı)''로 알려져 있다.[57] 1949년에 에게 마케도니아 출신의 추가 가족들이 오흐리드에 정착했다.[56]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에서,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오흐리드 로마인들은 주로 알바니아인으로 신고했다.[58] 알바니아인과 국가 간의 긴장이 지역 사회 규모와 사회 정치적 권리에 관한 수치를 둘러싸고 증가함에 따라, 로마인의 정체성은 1990년대 이후 정치화되고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58] 오흐리드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로마인들은 자신을 ''알바니아인''으로 인식하는 것을 거부했는데, 이는 알바니아화(또는 ''집시''로 불리는 것)의 결과로 보고 있으며, 마케도니아계의 격려를 받아 이제 자신을 여러 세기 전에 이집트에서 이주해 온 ''이집트인''이라고 부른다.[58] 알바니아어는 오흐리드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로마인들에게 모국어가 아니라 집에서만 사용하는 방언으로 간주된다.[58]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로마인들은 오흐리드에 거주하며,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주로 튀르크인으로 자기 신고했지만,[56] 독립 마케도니아에서는 이집트인으로 신분을 밝힌다.[58] 20세기 후반에는 크라니(Krani)와 나콜레츠(Nakolec) 마을 출신의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로마인들이 오흐리드로 이주했다.[59]
6. 문화유산
오흐리드는 다양한 문화유산이 풍부한 도시이다. 오흐리드 시내에는 문화부가 지정한 100여 개의 유적지가 있으며, 고고학, 기독교, 이슬람, 국가 해방 전쟁 관련 유적, 구시가지 건축물 등 다양한 시대와 문화를 아우르는 유산들이 보존되어 있다.[60]
이 지역은 단순한 성지가 아니라, 지식과 범슬라브 문자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플라오슈닉(Plaošnik)에 복원된 성 판텔레이몬 수도원은 10세기 이전에 세워진 서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로 여겨진다. 성 나움 수도원(Monastery of Saint Naum)과 같이 오흐리드를 대표하는 여러 교회와 수도원은 주변 마을에 있다.
6. 1. 주요 유적지
오흐리드 시는 문화부가 문화유산으로 지정한 100여 개의 유적지가 있으며, 대부분 오흐리드 시내에 있다.[60]; 고고학 유적
- 오흐리드 고대 극장(Ancient Theatre of Ohrid) : 헬레니즘 및 로마 시대 유적
- 비도비슈타(Vidobišta) : 로마 시대 무덤
- 코즐룩(Kozluk) : 로마 시대 정착지
- 만체프치(Mančevci) 유적지 : 초기 기독교 바실리카
- 헤르멜레야(Hermeleja) : 로마 시대 정착지
- 성 에라스무스
- 카라규레프치(Karagjulevci) 무덤 : 고대 마케도니아 시대 유적
- 사무엘 요새와 남아있는 성벽 일부
- 플라오슈닉(Plaošnik)
- 스투덴치슈타(Studenčišta) 바실리카
- 성 40인 순교자 교회 : 초기 기독교 바실리카
; 기독교 유적



17세기 오스만 제국 여행가 에블리아 첼레비(Evliya Çelebi)의 관찰에 따른 전설에 따르면, 마을 경계 내에 1년 365일 각각의 날을 위한 365개의 예배당이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 그 수는 훨씬 적다.
- 그리골 쁘를리체프(Grigor Prličev)의 묘
- 성 클레멘트와 성 판텔레이몬 교회(Church of Saints Clement and Panteleimon)
- 성모 마리아 첼니차(Čelnica) 교회
- 성 브라치(성 쿠즈만과 성 담얀) 소교회
- 성 디미트리우스 교회
- 성모 마리아 볼니츠카(Bolnička) 교회
- 성 니콜라스 볼니츠키(Bolnički) 교회
- 성모 마리아 페리블렙토스(Perivleptos) 교회
- 성 클레멘트 소교회
- 성 요한 세례자 교회 - 카네오
- 성 소피아 교회
- 성 콘스탄틴과 성 헬레나 교회
- 성모 마리아 카멘스코(Kamensko) 교회
- 성 니콜라스 게라코미야(Gerakomija) 교회
- 성 니콜라스 아르바나시키(Arbanaški) 교회
- 성 니콜라스 기적자 교회
- 성 브라치(성 쿠즈만과 성 담얀) 대교회: 14세기 프레스코화가 있는 곳. 이 교회의 14세기 이콘은 1996년과 2003년에 발행된 1000데나르 지폐의 앞면에 묘사되어 있다.[61]
- 성 조지 교회
- 성 니콜라스 교회
- 성 판텔레이몬 교회
- 성 클레멘트 교회
- 성 그리골레 교회
- 성 페트카 교회
- 성 슈테판 교회
이 지역은 성지일 뿐만 아니라 지식과 팬슬라브 문해력의 원천이기도 하다. 플라오슈닉(Plaošnik)의 복원된 수도원은 실제로 10세기 이전에 지어진 서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였다. 오흐리드의 가장 유명한 교회와 수도원 중 일부(예: 성 나움 수도원(Monastery of Saint Naum))은 주변 마을에 있다.
; 이슬람 유적

- 보스카 하맘(Voska Hamam)
- 에스키 하맘(Eski Hamam)
- 제이넬 아베딘 파샤 테케(Zejnel Abedin Pasha Tekke)[63][62]
- 시난 첼레비 튀르베(Sinan Çelebi Türbe)[62][65]
- 알리 파샤 모스크(Ali Pasha Mosque)[63][62]
- 하이달 파샤 모스크(Hajdar Pasha Mosque)[63][64]
- 하지 두르구트 모스크(Hadži Durgut Mosque)[63][64]
- 하지 함자 모스크(Hadži Hamza Mosque)[63]
; 국가 해방 전쟁 유적
- 슬라베이 플라니나(Slavej Planina)의 기념 언덕
- 전사한 국가 해방 전쟁 군인들의 공동 무덤
- 국가 해방 전쟁에서 전사한 오흐리드 김나지움 교수와 학생들의 기념비
; 구시가지 건축
오흐리드의 수십 채의 개인 주택과 상업 건물이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로베비 가옥(Robevi family house)과 쁘를리체프(Prličev) 가족 주택, 우즈노프(Uzunov) 가족 주택과 같이 일부는 오늘날 박물관으로 기능한다. 또한 오흐리드 성 클레멘트 김나지움, 오흐리드 시계탑,[65] 이콘 화랑도 포함된다.
7. 스포츠
GFK 오흐리드 리히니도스는 SRC 빌리아니 이즈보리 경기장에서 활동하는 축구팀이다. 2021-22 시즌 기준으로 마케도니아 축구 리그 2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FK 보스카 스포르트 또한 오흐리드에 있는 축구팀으로, 2023-24 시즌 기준으로 마케도니아 퍼스트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RK 오흐리드는 핸드볼팀으로, 수용 인원 3,500명의 빌리아니 이즈보리 스포츠 홀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 2016-17 시즌 기준으로 최상위 리그인 마케도니아 핸드볼 슈퍼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오흐리드 수영 마라톤은 국제적인 오픈워터 수영 대회로, 항상 오흐리드 호수에서 열린다. 수영 선수들은 성 나움 수도원에서 오흐리드 항구까지 30km을 수영해야 한다.
8. 정기 행사
- 오흐리드 여름 축제(Ohrid Summer Festival): 7월부터 8월까지 열리는 연례 연극 및 음악 축제이다.
- 오흐리드 합창 축제(Ohrid Choir Festival): 8월 말에 열리는 연례 국제 합창 축제이다.
- 발칸 민속 축제(Balkan Folklore Festival): 7월 초에 열리는 연례 민속 음악 및 무용 축제이다.
- 발칸 음악 광장 축제: 8월에 열리는 발칸 반도 전역의 민족 음악가들이 참여하는 음악 축제이다.
- 오흐리드 페스트(Ohrid Fest, Охридски Трубадури): 8월에 열리며, 신인의 밤, 민속의 밤, 팝의 밤, 국제의 밤으로 나뉘어 4일간 개최되는 발칸 반도 전역의 음악가들이 참여하는 음악 축제이다.
- 인본주의 세계상(World Prized of Humanism): 오흐리드 인본주의 아카데미(Ohrid Academy of Humanism)에서 요르단 플레브네스(Jordan Plevnes)가 제정한 상이다.
- 오흐리드 예술 및 과학 회의(Ohrid art and scientific meetings, Охридска научна и уметничка визита): 오흐리드 우라니아-마케도니아 과학 예술원(House of Uranija-MANU)에서 마케도니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가 개최하는 회의이다.
9. 자매 도시
국가 | 도시 |
---|---|
Будва|부드바cnr | 부드바, 몬테네그로 |
Caen|캉프랑스어 | 캉, 프랑스 |
גבעתיים|기바타임he | 기바타임, 이스라엘 |
Инђија|인지야sr | 인지야, 세르비아 |
Крагујевац|크라구예바츠sr | 크라구예바츠, 세르비아 |
Mostar|모스타르bs | 모스타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Pogradec|포그라데츠sq | 포그라데츠, 알바니아 |
Piran|피란sl | 피란, 슬로베니아 |
Safranbolu|사프란볼루tr | 사프란볼루, 튀르키예 |
Stari Grad|스타리 그라드bs | 스타리 그라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Vidovec|비도베츠hr | 비도베츠, 크로아티아 |
Vinkovci|빈코브치hr | 빈코브치, 크로아티아 |
Windsor|윈저영어 | 윈저, 캐나다 |
Wollongong|울런공영어 | 울런공, 오스트레일리아 |
Yalova|얄로바tr | 얄로바, 튀르키예 |
Katwijk|카트바이크nl | 카트바이크, 네덜란드 |
Земун|제문sr | 제문, 세르비아 |
Пловдив|플로브디프bg | 플로브디프, 불가리아 |
大連|다롄중국어 | 다롄, 중화인민공화국 |
Велико Търново|벨리코터르노보bg | 벨리코터르노보, 불가리아 |
Ялта|얄타uk | 얄타, 우크라이나 |
참조
[1]
웹사이트
Gradovi u jesen
http://www.pressonli[...]
2010-01-11
[2]
서적
The Mirror of the Macedonian Spirit
Napredok
[3]
뉴스
Interview with the ambassador of Israel to Macedonia
http://www.dnevnik.c[...]
2011-09-28
[4]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by ethnic affiliation, by settlement, Census 2021
https://makstat.stat[...]
[5]
웹사이트
Ohrid: The city with a church for everyday of the year
https://www.khaleejt[...]
Khaleej Times
2021-06-24
[6]
서적
The Mirror of the Macedonian Spirit
Napredok
[7]
서적
Between Past and Future: Civil-military Relations in the Post-communist Balkan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8]
웹사이트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of the Ohrid region
https://whc.unesco.o[...]
[9]
간행물
Lychnidus
[10]
웹사이트
Lychnĭdus
https://www.perseus.[...]
[11]
웹사이트
λυχνίς
https://www.perseus.[...]
[12]
웹사이트
λύχνος
https://www.perseus.[...]
[13]
간행물
Polybius
[14]
학술지
Vendi i gegnishtes në gjuhën shqipe dhe në Ballkan
[15]
논문
Slavic-Albanian Language Contact, Convergence, and Coexistence
https://etd.ohiolink[...]
The Ohio State University
[16]
서적
The origin of the Albanians: linguistically investigated
https://books.google[...]
Academy of Sciences of Albania
[17]
서적
Alexiad
[18]
서적
Eurasian Studies Yearbook
https://books.google[...]
Eurolingua
[19]
서적
Macedonia
Bradt Travel Guides
[20]
웹사이트
Ohrid Vacation, Travel, Tourism, Visit Ohrid - Official Web Site of the Municipality of Ohrid
http://www.ohrid.com[...]
2016-01-23
[21]
간행물
Grailu Armãnescu. Nr. 1 (43)
https://www.yumpu.co[...]
[22]
서적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Geschichte und Kultur Roms im Spiegel der neueren Forschung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3]
웹사이트
Greek Anthology Book 7, § 7.697
https://www.perseus.[...]
[24]
서적
Brill's New Pauly, Antiquity, Volume 7 (K-Lyc)
https://books.google[...]
Brill
[25]
서적
Παλαιά Φιλία [Palaià Philía]: studi di topografia antica in onore di Giovanni Uggeri
https://books.google[...]
Mario Congedo editore
[26]
웹사이트
Culture —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culture.i[...]
2008-10-13
[2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Scarecrow Press
[28]
서적
Old Hermit's Almanac
[29]
서적
Historical Atlas of Central Europ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0]
웹사이트
Ohrid
http://www.worldheri[...]
2022-09-03
[31]
서적
George Akropolites: The History – Introduc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Regnum Albaniae and the Papal Curia
http://www.etd.ceu.h[...]
Central European University
2011-02-03
[33]
웹사이트
While the emperor was spending about eight days in Achrida (Ohrid), the Albanian nomads living in the region of Deabolis (Devoll) appeared before him, as well as those from Koloneia (Kolonja) and those from the vicinity of Ohrid.
http://albanianhisto[...]
1328-02
[34]
서적
Encyclopedia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Editions du Cerf
2011-04-19
[35]
서적
The Serbs and Byzantium during the reign of Tsar Stephen Dušan (1331-1355) and his successors
https://books.google[...]
Dumbarton Oaks Library and Collection
2011-04-16
[36]
서적
A history of the Balkans: a regional overview from a Bulgaria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EM Text
2011-04-19
[37]
서적
Etnokultura e Fushëgropës së Ohrit
https://www.botimpex[...]
Çabej
2021-10-24
[38]
간행물
History of the Macedonian People
https://www.scribd.c[...]
Institute of National History
2011-12-26
[39]
간행물
Starinar
https://books.google[...]
Arheološki institut
[40]
서적
Balkan studies
https://books.googl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2012-01-09
[41]
서적
Etnokultura e Fushëgropës së Ohrit
https://www.botimpex[...]
Çabej
2021-10-24
[42]
서적
Résumé géographique de la Grèce et de la Turquie d’Europe
Collection des Résumés géographiques
[43]
서적
La Question Nationale En Europe Du Sud-Est: Genese, Emergence Et Developpement de L'Identite Nationale Albanaise Au Kosovo Et En Macedoine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0-12-23
[44]
문서
Църква и църковен живот в Македония
http://www.promacedo[...]
Македонски Научен Институт
[45]
학술지
The first Aromanian literature: the teaching writings (Theodor Cavallioti, Daniil Moscopolean, Constantin Ucuta)
http://akad.gov.al/a[...]
[46]
서적
Macedonia: Ethnography and Statistics
http://www.promacedo[...]
Sofia
[47]
학술지
DISA SHËNIME PËR SHQIPTARËT ORTODOKSË TË REKËS SË EPËRME
[48]
서적
La Macédoine et sa Population Chrétienne
Paris
[49]
서적
Etnokultura e Fushëgropës së Ohrit
https://www.botimpex[...]
Çabej
2021-10-24
[50]
서적
Dynamic of destruction: Culture and Mass killing in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1]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Yakovlev Yak-42D RA-42390 Ohrid Airport (OHD)
https://aviation-saf[...]
2019-10-25
[52]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Ohrid, Macedonia
http://worldweather.[...]
United Nations
2015-07-31
[53]
웹사이트
Population by age and sex, by settlements, according to the censuses conducted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after the Second World War
https://makstat.stat[...]
MakStat
[54]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by ethnic affiliation, by settlement, Census 2021
https://makstat.stat[...]
[55]
웹사이트
Macedonian census, language and religion
http://www.stat.gov.[...]
[56]
서적
Toponomastikata na Ohridsko-Prespanskiot bazen
https://books.google[...]
Institut za makedonski jazik "Krste Misirkov"
[57]
서적
Македонскиот народен раскажувач Димо Стенкоски
https://books.google[...]
Институт за фолклор
[58]
서적
The politics of ethnic consciousness
Palgrave Macmillan
[59]
서적
Engendering song: Singing and subjectivity at Prespa Albanian wedding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0]
웹사이트
СПИСОК НА ЗАШТИТЕНИ ДОБРА
https://kultura.gov.[...]
Ministry of Culture
[61]
웹사이트
National Bank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nbrm.gov.[...]
National Bank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2009-03-30
[62]
웹사이트
Ottoman Monuments
http://haemus.org.mk[...]
Macedonian Cultural Heritage
2008
[63]
웹사이트
OHRİ'DEKİ (MAKEDONYA) OSMANLI DÖNEMİ CAMİLERİ
https://dergipark.or[...]
2023-02-13
[64]
웹사이트
Nordmazedonien: Sehenswürdigkeiten
https://www.goruma.d[...]
Goruma
2023-02-13
[65]
웹사이트
Ottoman Monuments
https://macedonia-ti[...]
Agency for Promotion and Support of Tourism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2023-02-13
[66]
웹사이트
ПРИЈАТЕЛСКИ И ЗБРАТИМЕНИ ГРАДОВИ - Ohrid.gov.mk
https://ohrid.gov.mk[...]
2021-09-04
[67]
문서
이리리아인의 도시
[68]
서적
The Illyrians
[69]
문서
망시족
[70]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Ohrid, Macedonia
http://worldweather.[...]
United Nations
2015-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