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문로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문로당은 명 만력 35년(1607년)부터 숭덕 원년(1636년)까지 약 30년간의 기록을 담고 있는 문서이다. 건륭제 시대에 옛 만주어를 이해하기 어려워 1775년에 북경본과 무크덴본 두 가지 판본으로 제작되었으며, 1905년 일본 학자 나이토 토라지로에 의해 심양고궁에서 발견되었다. 만문노당은 《구만주당》과 달리 원본 기록의 중복이 제거되었으며, 난해한 구절에 대한 주석과 몽골어 텍스트의 만주어 번역을 포함하기도 한다.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태종 편(2017), 태조 편(2019)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발굴 - 아부 메나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남서쪽에 위치한 아부 메나는 성 미나의 유해가 안치된 고대 기독교 순례지 유적으로, 후기 고대에 이집트 최고의 순례지였으나 이슬람 정복 시기에 파괴되었고 현재는 지하수위 상승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1905년 발굴 - KV2
람세스 4세를 위해 건설된 KV2 무덤은 왕가의 계곡에 위치하며 직선 축 구조를 가지고 있고 고대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방문객들의 낙서가 많으며 초기 유럽인들과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학자들에 의해 탐사 및 조사되었다. - 1931년 발굴 - 칼라크물
칼라크물은 멕시코 캄페체주에 있는 고대 마야 유적지로, 고전기 마야 문명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며, "두 개의 인접한 피라미드의 도시"라는 뜻을 가진, 한때 거대한 지역 국가의 수도이자 티칼과 경쟁한 초강대국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1931년 발굴 - 구만주당
- 만주어 문학 - 구만주당
- 만주어 문학 - 만주원류고
만주원류고는 청나라 건륭제의 칙명으로 1778년에 편찬된 역사책으로, 만주족의 기원과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그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청나라 통치의 정통성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부족, 강역, 산천, 국속의 4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문로당 | |
---|---|
개요 | |
문서 종류 | 역사 기록 |
언어 | 만주어 |
시대 | 청나라 초기 |
성격 | 만주어로 기록된 청나라 초기의 역사 기록 문서 |
원본 명칭 | 만문원당 (滿文原檔) |
현재 명칭 | 만문노당 (滿文老檔) |
기타 명칭 | 구만주당 (舊滿洲檔) |
보관 | 중국 제1역사기록보관소 |
내용 | |
기록 시기 | 누르하치 시기부터 홍타이지 시기 (1607년 ~ 1636년) |
주요 내용 | 만주족의 건국 과정 초기 청나라의 대외 관계 군사 활동 사회 및 문화 |
특징 | |
기록 방식 | 만주어로 작성된 원본 기록 |
역사적 가치 | 초기 청나라 연구의 중요한 자료 만주족의 역사와 문화 연구에 필수적 당시 사회상을 생생하게 반영 |
편찬 및 보존 | |
편찬 시기 | 1774년 이후 |
편찬 과정 | 원본을 다시 베껴 쓰는 과정에서 내용 변경 발생 |
보존 상태 | 중국 제1역사기록보관소에 보관 |
중요성 | 역사적 연구 가치가 매우 높음 |
참고 문헌 | |
논문 | 김주원, 이형미, 『滿文原檔』에서 『滿文老檔』으로의 내용 변개에 관한 연구, 인문논총 74(3), 2017.08, 11-47 |
2. 판본
건륭제 시대에는 점과 원이 없는 문자체로 쓰인 옛 만주어를 이해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1775년 옛 기록을 표준 만주어로 번역하는 작업이 시작되어 북경본과 무크덴본, 두 가지 판본이 제작되었다. 두 판본 모두 궁궐 깊숙이 보관되었다.
1905년, 일본의 역사학자 나이토 토라지로 内藤湖南|나이토 고난일본어가 심양고궁의 숭모각에서 이 기록물을 발견하고 만문로당(滿文老檔, Mambun Rōtō)이라는 이름을 붙여 학계에 소개하였다.[2] 그는 1912년에 점과 원으로 표기된 해당 기록물을 촬영하여 일본으로 가져갔다. 이후 1931년에는 북경판이 발견되었다.
명 만력 35년(1607년)부터 숭덕 원년(1636년)까지 약 30년 동안의 기록을 담고 있다.[1] 원본 자료인 『만문원당(滿文原檔)』은 건륭 40년(1775년)경에 정리되어 편찬되었으며, 당시 제목은 만주어로 단순히 『당자(檔子, dǎngzi)』라고만 기록되어 있었다.[1]
각 판본은 "통키 푸카 신다하 허겐 이 당세"(ᡨᠣᠩᡴᡳ ᡶᡠᡴᠠ ᠰᡳᠨᡩᠠᡥᠠ ᡥᡝᡵᡤᡝᠨ ᡳ ᡩᠠᠩᠰᡝ|점과 원이 있는 문자체로 된 기록mnc)와 "통키 푸카 아쿠 허겐 이 당세"( ᡨᠣᠩᡴᡳ ᡶᡠᡴᠠ ᠠᡴᡡ ᡥᡝᡵᡤᡝᠨ ᡳ ᡩᠠᠩᠰᡝ|점과 원이 없는 문자체로 된 기록mnc)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전자는 표준 만주어로 작성되었으며, 북경본은 난해한 구절에 대한 주석과 몽골어 텍스트의 만주어 번역을 제공한다. 후자는 기본적으로 옛 만주어로 작성되었다. 원본 기록의 중복이 《만문로당》 편찬 과정에서 제거되었기 때문에, 이는 원본인 《구만주당》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표준 만주어로 번역된 부분 외에 일부 기록은 옛 만주어 형태로 축약되거나 원문 그대로 보존되었다.
《만문로당》은 명 만력 35년(1607년)부터 청 숭덕 원년(1636년)까지 약 30년 동안의 기록을 담고 있다.[1] 원자료인 '만문원당'(滿文原檔)을 건륭 40년(1775년)경에 정리하여 편찬한 것으로, 당시 제목은 만주어로 '당서'( ᡩᠠᠩᠰᡝ|dangsemnc)라고만 기록되어 있었다.[1]
1905년, 일본의 내등호남(内藤湖南)이 심양고궁의 숭모각(崇謨閣)에서 이 문서를 재발견하여 학계에 소개했다.[2]
한편, 원본 자료인 '만문원당'은 1969년 타이완의 국립고궁박물원에서 『구만주당』이라는 제목으로 영인하여 공개했다.[1]
3. 발견
한편, 만문로당의 원본 자료에 해당하는 『만문원당(滿文原檔)』은 1969년 타이완의 국립고궁박물원에서 『구만주당』이라는 제목으로 공개되었다.[1]
4. 내용
이후 1905년, 일본의 학자 내등호남(内藤湖南)이 심양고궁의 숭모각(崇謨閣)에서 이 문서를 발견하여 학계에 소개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
원본 자료인 『만문원당』은 1969년에 타이완의 국립고궁박물원에서 『구만주당(舊滿洲檔)』이라는 이름으로 영인하여 공개하였다.[1]
5. 한국어 번역
참조
[1]
Kotobank
2023-06-04
[2]
Kotobank
2023-11-22
[3]
웹인용
満文老檔と満文原檔
http://sengna.com/20[...]
宣和堂
2019-05-06
[4]
저널
『滿文原檔』에서 『滿文老檔』으로의 내용 변개에 관한 연구
2017-08-31
[5]
문서
[6]
웹인용
満文老檔と満文原檔
http://sengna.com/20[...]
宣和堂
2019-05-06
[7]
저널
『滿文原檔』에서 『滿文老檔』으로의 내용 변개에 관한 연구
2017-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