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똥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똥가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맹금류로, 날개 길이 100~140cm, 몸무게 500~1300g이며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대한민국 전역에서 겨울철새로 관찰된다. 쥐와 같은 설치류를 잡아먹어 인간에게는 이로운 새이며, 삼림, 초원, 농경지에서 토끼, 쥐, 개구리 등을 잡아먹고 산다. 칡부엉이, 다이토섬칡부엉이, 오가사와라칡부엉이의 3종의 아종이 존재하며, 다이토섬칡부엉이는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서식지 파괴와 먹이 감소로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똥가리속 - 붉은털발말똥가리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붉은털발말똥가리는 말똥가리속에서 가장 큰 맹금류로, 몸길이 51~71cm, 날개 길이 122~158cm이며 밝은색과 어두운색 두 가지 형태가 있고, 건조한 초원 지역에서 토끼나 땅다람쥐 등을 먹고 산다.
  • 말똥가리속 - 붉은꼬리말똥가리
    붉은꼬리말똥가리는 1788년 겔린에 의해 기술되었고 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난 수리과의 맹금류로, 튼튼한 몸과 넓은 날개를 가졌으며 깃털 외관, 서식지, 먹이, 둥지 선호도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이고 최소 14종의 아종이 있다.
  • 1844년 기재된 새 - 붉은털발말똥가리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붉은털발말똥가리는 말똥가리속에서 가장 큰 맹금류로, 몸길이 51~71cm, 날개 길이 122~158cm이며 밝은색과 어두운색 두 가지 형태가 있고, 건조한 초원 지역에서 토끼나 땅다람쥐 등을 먹고 산다.
  • 1844년 기재된 새 - 조롱이
    조롱이는 참새목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3개의 아종으로 나뉘어 시베리아, 중국, 한반도,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외형적 특징과 서식지 및 이동 습성이 아종별로 다르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수리매 - 참매
    참매는 전 세계 숲에 서식하며 조류와 포유류를 사냥하는 중대형 수리매로, 아종에 따라 크기와 깃털 색깔이 다르고, 매사냥에 이용되어 왔으며, 도시 지역으로 서식지를 확장하는 추세이다.
  • 수리매 - 붉은배새매
    붉은배새매는 동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는 수리과의 철새로, 수컷은 회색 등과 흰색 배, 붉은색 눈을, 암컷은 적갈색 가슴과 노란색 눈을 가지며, 평지나 낮은 산의 삼림에 서식한다.
말똥가리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동부 말똥가리 분포도
동부 말똥가리 분포도
기본 정보
학명Buteo japonicus
명명자Temminck & Schlegel, 1845
한국어 이름말똥가리
영어 이름Eastern Buzzard
일본어 이름ノスリ (노스리)
독일어 이름Taigabussard
스페인어 이름Busardo Japonés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수리목
수리과
아과말똥가리아과
말똥가리속
아종
아종 목록B. j. burmanicus - Hume, 1875
B. j. japonicus - Temminck & Schlegel, 1845
B. j. toyoshimai - Momiyama, 1927
B. j. oshiroi - Kuroda, Nagahisa, 1971
보전 상태
IUCNLC (최소관심)
환경부해제
기타
참고 자료https://www.worldbirdnames.org/n-raptors.html
참고 자료https://species.nibr.go.kr/endangeredspecies/rehome/exlist/exlist.jsp?1=1&sch_gbn=cl&middle=3&minor=3&page_count=3
참고 자료https://dx.doi.org/10.2305/IUCN.UK.2020-3.RLTS.T61695117A181770099.en
이미지
말똥가리
말똥가리 Buteo japonicus
말똥가리
말똥가리
음성

2. 형태

말똥가리는 날개 길이 35-41cm, 꽁지 길이 19-23cm이다. 몸 전체적으로 갈색 계통이며 눈동자 역시 갈색이다. 전장은 50~60cm, 날개를 펼친 길이는 100~140cm, 체중은 500~1300g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등쪽은 갈색, 배쪽은 연한 갈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턱의 깃털은 검다. [1]

2. 1. 아종


  • Buteo japonicus japonicusla テムミンク|템민크일본어 & シュレーゲル|슐레겔일본어, 1844
  • Buteo japonicus oshiroila 黒田長久|쿠로다 나가히사일본어, 1971
  • * 일본 (다이토 제도) 고유아종
  • Buteo japonicus toyoshimaila 모미야마, 1927
  • *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고유아종


다이토섬말똥가리 아종은 1970년대 초부터 기록이 없어 멸종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분류 기준이 되는 표준표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종으로서의 존재 자체를 의문시하는 목소리도 있다.

3. 생태

말똥가리는 삼림·초원·농경지의 상공에 떠다니며, 주로 토끼, , 두더지, 개구리 등을 잡아먹는다. 하늘을 날다가 땅에 있는 쥐를 발견하면 날개를 접고 재빨리 내려와 낚아채며, 고목의 가지나 말뚝에 앉아 잡은 먹이를 먹는다. 높은 나무에 둥지를 짓고 살며 인간에게는 쥐 같은 설치류를 잡아먹어 익조로 여겨진다. 유라시아 대륙에 폭넓게 분포하며, 대한민국 전역에서 흔하게 월동하는 겨울철새이다. 가끔은 고양이먹이를 빼앗아 먹기도 한다. 그래서 말똥가리는 고양이의 천적 중 하나이다.

평지에서 산지의 산림에 서식하며, 무리를 짓지 않고 단독 또는 쌍으로 생활한다. 식성은 동물성으로, 곤충류, 절지동물, 육상의 패류, 지렁이, 양서류, 파충류, 조류, 소형 포유류 등을 먹는다.

번식기에는 세력권을 형성한다. 나무 위나 벼랑 위에 나뭇가지를 엮어 둥지를 만들고, 한국에서는 4~5월에 2~4개의 알을 낳는다. 주로 암컷이 알을 품지만 (수컷도 함께 품는 경우도 있다), 알을 품는 기간은 33~35일이다. 새끼는 부화 후 50~55일이면 날 수 있게 되고, 그 후 40~55일 후에 독립한다. 생후 2~3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사냥할 때의 행동으로는 "정지비행 후 급강하"[6]와 "나무 위에서 급강하하여 포복 비행"[7]이 관찰된다. 먹이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접근하기 위한 행동으로 생각되지만, "최종 위치 확인을 위한 먹이 바로 앞에서 팝업 기동"을 하는 경우도 목격된다.

4. 분포

중앙·남시베리아, 몽골, 중국, 일본에 서식한다.[4] 여름에는 아한대 또는 온대 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열대 또는 온대 지역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5. 인간과의 관계

말똥가리는 삼림·초원·농경지의 상공에서 주로 토끼, , 두더지, 개구리 등을 잡아먹는다. 하늘을 날다가 땅에 있는 쥐를 발견하면 날개를 접고 재빨리 내려와 낚아채며, 고목의 가지나 말뚝에 앉아 잡은 먹이를 먹는다. 높은 나무에 둥지를 짓고 살며, 인간에게는 쥐 같은 설치류를 잡아먹어 이로운 새로 여겨진다. 유라시아 대륙에 폭넓게 분포하며, 대한민국 전역에서 흔하게 월동하는 겨울 철새이다. 가끔은 고양이먹이를 빼앗아 먹기도 한다. 그래서 말똥가리는 고양이의 천적 중 하나이다.

인가 근처에도 서식하기 때문에 환경 파괴로 인한 서식지 및 먹이 감소의 영향을 받기 쉽고, 개체 수는 감소하고 있다.

와 비슷하지만 매사냥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쓸모없는 매로 여겨져 나라 시대에는 "쿠소토비(クソトビ)"라고 불렸다.[10]

6. 계통 분류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기초한 말똥가리속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4]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B. plagiatus
B. nitidus



|-

|

붉은어깨말똥가리
히스파니오라말똥가리



|-

|

{| class="wikitable"

|-

| 넓은날개말똥가리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하와이말똥가리

|-

|

{| class="wikitable"

|-

| 줄무늬흰배말똥가리

|-

|

{| class="wikitable"

|-

| 짧은꼬리말똥가리

|-

|

스웨인슨말똥가리
갈라파고스말똥가리



|}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B. albonotatus''

|-

|

붉은꼬리말똥가리
남미붉은꼬리말똥가리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B. brachypterus''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B. archeri''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붉은꼬리말똥가리

|-

|

아프리카말똥가리
검붉은말똥가리



|}

|}

|-

|

{| class="wikitable"

|-

| 말똥가리

|-

|

{| class="wikitable"

|-

|

B. hemilasius
B. burmanicus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얼룩말똥가리

|-

|

대륙말똥가리
B. trizonatus



|}

|-

|

긴다리말똥가리
B. bannermani
B. socotraensis



|}

|}

|}

|}

|}

|}

|}

|}

|}

|}

|}

참조

[1] IUCN Buteo japonicus 2021-11-12
[2] 논문 IOC World Bird List (v10.2) 2020-00-00
[3] 저널 Effects of Flight Disturbance on Bird Communities at Airports: Predatory Birds Rise to the Challenge 2023-00-00
[4]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5] 저널 Molecular Phylogenetics of the Buteonine Birds of Prey (Accipitridae) http://www.bioone.or[...] 2008-00-00
[6] 서적 野鳥観察ハンディ図鑑 日本野鳥の会
[7] 방송 ワシとタカ 美しきハンター NHK 2010-09-11
[8] 문서 ほげほげ
[9] 문서 ほげほげ
[10] 서적 山渓名前図鑑 野鳥の名前 山と渓谷社
[11] IUCN Buteo buteo 2021-11-16
[12] 웹사이트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3] 웹사이트 https://species.nibr[...]
[14] 논문 2004-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