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멀티미디어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멀티미디어카드(MMC)는 1997년 샌디스크와 지멘스(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하여 발표한 규격을 기반으로, 1998년 MultiMediaCard Association이 규격 개발을 유지해온 소형 메모리 카드 규격이다. 크기는 32mm×24mm×1.4mm이며, 7핀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최대 4GB까지의 저장 용량을 지원했다. MMC는 소형화 및 고속화 요구에 따라 RS-MMC, MMCplus, MMCmobile, MMCmicro, eMMC 등 다양한 변형 규격으로 발전했다. 특히 eMMC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 및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내장형 저장 장치로 자리 잡았다. MMC는 SD 메모리 카드와 하위 호환성을 가지지만, 현재는 SD 카드의 보급으로 인해 MMC는 주로 eMMC 형태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저장 장치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방형 표준 -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는 구글을 중심으로 2007년 11월에 결성된 컨소시엄으로, 34개의 기업이 참여하여 안드로이드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 및 발전시키고 개방형 표준 설계를 통해 혁신적인 모바일 기기 및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한다.
  • 개방형 표준 - 디지털 비디오 방송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은 유럽에서 개발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으로, 위성, 케이블, 지상파 등 다양한 전송 방식을 지원하며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 종료와 디지털 방송 전환을 주도하고 있고, 최근에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DVB-I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 기억 장치 - EPROM
    EPROM은 자외선을 사용하여 내용을 지울 수 있는 읽기 전용 메모리이며, MOSFET의 부유 게이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펌웨어 업데이트가 용이하여 소량 생산에 사용되었으나 EEPROM과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대체되었다.
  • 기억 장치 - 정적 램
    정적 램(S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며, 갱신 회로가 필요 없고 빠른 접근 속도를 가지는 휘발성 메모리 유형이다.
멀티미디어카드
개요
종류메모리 카드
개발지멘스샌디스크
표준JEDEC
용도휴대용 장치
확장SD 카드
발표1997년
물리적 사양
크기32 × 24 × 1.4 mm (표준)
무게~2.0 g (표준)
기술 사양
용량최대 512GB

2. 역사

1997년 샌디스크지멘스(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한 MMC는, 1998년 10월 멀티미디어 카드 협회(MMCA)를 통해 규격이 관리되었다.[25] 2008년 9월 23일부터는 JEDEC에서 MMC 표준을 관리하고 있다.[6]

초기 MMC는 크기 32mm×24mm×1.4mm, 무게 2g 미만이었다. 7핀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으며, 최대 20Mbps 클럭 속도와 2MB/s 쓰기 속도를 제공했다. 저장 용량은 4MB에서 시작하여 2005년 최대 4GB까지 지원되었다.

이후 고속화(HS-MMC, MMCplus), 소형화(RS-MMC, MMCmobile, MMCmicro), 보안 기능 추가(SecureMMC) 등 다양한 변형 규격이 등장했다. 특히, 단자 수가 적은 고속 인터페이스는 SIM 카드 고속화나 초소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 ATA 명령에 대응하는 저전력 인터페이스로 활용되기도 했다.

SD 메모리 카드와 물리적 형상, 전기적 특성, 명령 형식이 호환되지만, 명령어 자체는 기능 대체 및 추가로 인해 호환되지 않는다.

일본 외에서는 휴대 전화 제조사 노키아가 RS-MMC를 채택하여 수요가 많았으나, 일본에서는 SD 카드의 빠른 보급으로 MMC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최근에는 노키아도 microSD 카드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2. 1. 발전 과정

1997년 11월 샌디스크지멘스(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하여 발표한 규격을 기반으로 1998년 10월에 MultiMediaCard Association이 설립되어 규격 개발을 유지하고 있다.[25]

초기의 MMC는 7핀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으며, 최대 20Mbps 클럭 속도와 2MB/s 쓰기 속도를 제공했다. Version 4.2까지는 SPI 모드를 지원하여 느린 속도에서도 여러 장치를 쉽게 연결할 수 있었다. 저장 용량은 4MB에서 시작하여 2005년에는 최대 4GB까지 증가했다.

MMCplus High Speed 32 MB


MMC는 여러 변형 규격을 통해 발전해왔다. 주요 변형 규격은 다음과 같다:

'''각 MMC 규격 메모리 카드 비교'''[33]
규격HS-MMCMMCplusRS-MMCDV RS-MMCMMCmobileMMCmicro
폭 (mm)242424242412
길이 (mm)323218181814
두께 (mm)1.41.41.41.41.41.1
체적 (mm3)1,075.21,075.2604.8604.8604.8184.8
동작 전압 (V)2.7~3.61.65~1.95 / 2.7~3.62.7~3.61.65~1.95 / 2.7~3.61.65~1.95 / 2.7~3.61.65~1.95 / 2.7~3.6
단자 수1313771310
버스 폭 (bit)1/4/81/4/8111/4/81/4
최대 클럭 (MHz)20/26/5220/26/522020/2620/26/5220/26/52
최대 버스 속도 (MB/s)52522.53.255226


  • RS-MMC (Reduced-Size MultiMediaCard): 2004년 12월에 출시된 노키아 휴대폰 Vodafone 702NK (Nokia 6630)에 채택되면서 주목받았다. 크기가 원래 MMC의 절반 정도이다.
  • DV-MMC (Dual-Voltage MultimediaCard): 이중 전압을 지원한다.
  • MMCplus 및 MMCmobile: 2005년에 도입되었으며, 더 빠른 속도와 4비트/8비트 데이터 버스를 지원한다.
  • MMCmicro: 더욱 소형화된 카드이다.
  • MiCard
  • SecureMMC: 콘텐츠 보호 기능이 있다.
  • eMMC (embedded MMC): MMC 구성 요소를 BGA 패키지에 넣어 JEDEC에서 표준화한 내장형 저장 장치이다. SPI 버스는 지원하지 않으며, 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된다.
  • 2013년 10월에 eMMC 5.0[26], 2015년 2월에 eMMC 5.1이 출시되었다. eMMC 5.0의 전송 속도는 400MB/s이다.
  • eMMC는 호스트 시스템이 논리 블록 주소에 데이터를 읽고 쓰기만 하면, eMMC 컨트롤러의 하드웨어와 펌웨어가 오류 정정 및 데이터 관리를 실행하여 호스트 시스템의 부하를 줄인다.[27][28][29]
  • eMMC는 100, 153, 169볼 패키지로, 8비트 병렬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다.[30]
  • eMMC는 기본적인 홈 태스크나 오피스 태스크 등, 작은 파일이나 휴대용 가전 제품의 저장에 적합하다.[31]
  • eMMC는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32]
  • eMMC의 용량은 32 GB에서 64 GB, 128 GB에서 256 GB이다.


SD 메모리 카드와는 물리적 형상, 전기적 특성, 명령 형식에서 호환되지만, 명령어 자체는 기능 대체 및 추가로 인해 호환되지 않는다. 소형인 miniSD 및 microSD와는 RS-MMC, MMC Micro 모두 물리적 형상 등이 달라 호환성이 없다.

일본에서는 SD 메모리 카드의 보급으로 MMC가 쇠퇴하였지만, 일본 외에서는 노키아가 RS-MMC를 채택하면서 한동안 수요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노키아도 microSD 카드로 전환하고 있다.

3. 종류

MMC는 여러 종류와 변형 규격을 가지고 있다. 주요 변형 규격에는 크기를 줄인 RS-MMC, 이중 전압을 지원하는 DV-MMC, 더 빠른 속도와 넓은 데이터 버스를 지원하는 MMCplus 및 MMCmobile, 소형화된 MMCmicro, 이론상 최대 용량이 2TB인 MiCard, 콘텐츠 보호 기능이 있는 SecureMMC, 그리고 PCB에 내장되는 eMMC 등이 있다.

1997년 11월 샌디스크지멘스(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하고, 1998년 10월 설립된 MultiMediaCard Association이 규격 개발을 유지하고 있다.[25]

일본 외에서는 노키아가 RS-MMC를 채택하여 수요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microSD 카드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2004년 12월 노키아 휴대폰 Vodafone 702NK (Nokia 6630)의 인기로 RS-MMC가 주목받기도 했다.

'''각 MMC 규격 메모리 카드 비교'''
MMCHS-MMCMMCplusRS-MMCDV RS-MMCMMCmobileMMCmicro
24mm24mm24mm24mm24mm24mm12mm
길이32mm32mm32mm18mm18mm18mm14mm
두께1.4mm1.4mm1.4mm1.4mm1.4mm1.4mm1.1mm
체적1075.2mm31075.2mm31075.2mm3604.8mm3604.8mm3604.8mm3184.8mm3
동작 전압2.7V~3.6V2.7V~3.6V1.65V~1.95V
2.7V~3.6V
2.7V~3.6V1.65V~1.95V
2.7V~3.6V
1.65V~1.95V
2.7V~3.6V
1.65V~1.95V
2.7V~3.6V
단자 수7핀13핀13핀7핀7핀13핀10핀
버스 폭1비트1・4・8비트1・4・8비트1비트1비트1・4・8비트1・4비트
최대 클럭20MHz20・26・52MHz20・26・52MHz20MHz20・26MHz20・26・52MHz20・26・52MHz
버스 최대 속도2.5MB/s52MB/s52MB/s2.5MB/s3.25MB/s52MB/s26MB/s


3. 1. 표준 MMC

1997년 11월샌디스크지멘스(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하여 발표한 규격[25]을 기반으로 1998년 10월에 MultiMediaCard Association이 규격 개발을 유지하고 있다.

크기는 32mm×24mm×1.4mm, 무게는 2g 미만이다. 인터페이스는 7핀 시리얼이며, 클럭은 최대 20Mbps, 쓰기 속도는 최대 2MB/s 정도이다. Version 4.2까지는 SPI 모드가 있어 속도가 느려도 SPI 버스로 여러 장치를 쉽게 연결할 수 있었다.

저장 용량은 처음 4MB에서 순차적으로 증가하여 최대 4GB(2005년)까지의 미디어가 존재한다.

'''각 MMC 규격 메모리 카드 비교'''
MMCHS-MMCMMCplusRS-MMCDV RS-MMCMMCmobileMMCmicro
24mm24mm24mm24mm24mm24mm12mm
길이32mm32mm32mm18mm18mm18mm14mm
두께1.4mm1.4mm1.4mm1.4mm1.4mm1.4mm1.1mm
체적1075.2mm31075.2mm31075.2mm3604.8mm3604.8mm3604.8mm3184.8mm3
동작 전압2.7V~3.6V2.7V~3.6V1.65V~1.95V
2.7V~3.6V
2.7V~3.6V1.65V~1.95V
2.7V~3.6V
1.65V~1.95V
2.7V~3.6V
1.65V~1.95V
2.7V~3.6V
단자 수7핀13핀13핀7핀7핀13핀10핀
버스 폭1비트1・4・8비트1・4・8비트1비트1비트1・4・8비트1・4비트
최대 클럭20MHz20・26・52MHz20・26・52MHz20MHz20・26MHz20・26・52MHz20・26・52MHz
버스 최대 속도2.5MB/s52MB/s52MB/s2.5MB/s3.25MB/s52MB/s26MB/s


3. 2. RS-MMC (Reduced-Size MMC)

'''RS-MMC''' (Reduced-Size MultiMediaCard, 축소형 멀티미디어 카드)는 2004년에 출시된 소형 폼 팩터의 MMC이다. 크기는 24mm × 18mm × 1.4mm로, 일반 MMC의 절반 정도이다. RS-MMC는 간단한 기계식 어댑터를 사용하여 모든 MMC(또는 SD) 슬롯에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최대 2GB까지 사용할 수 있다.[9]

'''미니드라이브''' ('''MD-MMC''')는 RS-MMC 폼 팩터의 microSD 카드 어댑터로, RS-MMC의 현대적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 미니드라이브를 통해 사용자는 구형 칩 기술의 2GB 용량 제한을 넘어 더 다양한 최신 MMC를 활용할 수 있다.[9]

노키아지멘스는 Series 60 심비안 스마트폰, 노키아 770 인터넷 태블릿 등에서 RS-MMC를 사용했다. 그러나 2006년 이후 노키아는 miniSD 또는 microSD 카드를 채택하고 MMC 표준 지원을 중단했다. 지멘스는 2006년에 이동 통신 사업에서 철수했지만, 일부 PLC 저장에 MD-MMC를 활용하고 있다.

3. 3. DV-MMC (Dual-Voltage MMC)

듀얼 전압 멀티미디어카드('''DV-MMC''')는 MMC의 초기 변경 사항 중 하나이다. 이 카드는 3.3V 외에도 1.8V에서 작동할 수 있다. 낮은 전압에서 작동하면 카드의 에너지 소비가 줄어들며, 이는 모바일 장치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단순한 듀얼 전압 부품은 듀얼 전압 기능 외에 다른 기능도 제공하는 MMCplus 및 MMCmobile을 선호하여 빠르게 생산이 중단되었다.

3. 4. MMCplus 및 MMCmobile

MMCplus 및 MMCmobile 로고


2005년에 도입된 MMC 표준 버전 4.x는 SD 카드와 경쟁하기 위해 두 가지 중요한 변경 사항을 도입했다. 첫 번째는 원래 MMC(20MHz) 또는 SD(25MHz, 50MHz)보다 더 빠른 속도(26MHz 및 52MHz)로 작동하는 기능이고, 두 번째는 4비트 또는 8비트 폭의 데이터 버스를 지원하는 것이다.[33]

버전 4.x의 풀 사이즈 카드와 축소 사이즈 카드는 각각 '''MMCplus''' 및 '''MMCmobile'''로 판매될 수 있다.

버전 4.x 카드는 기존 리더와 완벽하게 역호환되지만, 새로운 기능을 사용하려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4비트 폭의 버스와 고속 작동 모드는 의도적으로 SD와 전기적으로 호환되지만, 초기화 프로토콜이 다르므로 SD 리더에서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려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각 MMC 규격 메모리 카드 비교
MMCHS-MMCMMCplusRS-MMCDV RS-MMCMMCmobileMMCmicro
24mm24mm24mm24mm24mm24mm12mm
길이32mm32mm32mm18mm18mm18mm14mm
두께1.4mm1.4mm1.4mm1.4mm1.4mm1.4mm1.1mm
체적1075.2mm31075.2mm31075.2mm3604.8mm3604.8mm3604.8mm3184.8mm3
동작 전압2.7V~3.6V2.7V~3.6V1.65V~1.95V
2.7V~3.6V
2.7V~3.6V1.65V~1.95V
2.7V~3.6V
1.65V~1.95V
2.7V~3.6V
1.65V~1.95V
2.7V~3.6V
단자 수7핀13핀13핀7핀7핀13핀10핀
버스 폭1비트1・4・8비트1・4・8비트1비트1비트1・4・8비트1・4비트
최대 클럭20MHz20・26・52MHz20・26・52MHz20MHz20・26MHz20・26・52MHz20・26・52MHz
버스 최대 속도2.5MB/s52MB/s52MB/s2.5MB/s3.25MB/s52MB/s26MB/s



3. 5. MMCmicro

MMCmicro는 MMC를 소형화한 버전이다. 크기는 14 mm × 12 mm × 1.1 mm로, RS-MMC보다 작고 얇다. MMCmobile처럼 MMCmicro는 이중 전압을 지원하며, MMC와 하위 호환이 가능하다. 기계식 어댑터를 사용하면 풀 사이즈 MMC 및 SD 슬롯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MMCmicro 카드는 4.x 규격의 고속 및 4비트 버스 기능을 지원하지만, 추가 핀이 없어 8비트 버스는 지원하지 않는다.[10]

2004년 12월 13일 삼성전자에서 처음 출시했을 때는 'S-카드'로 불렸다. 이후 2005년 MultiMediaCard Association (MMCA)에서 'MultiMediaCard' 제품군 내 세 번째 폼 팩터 메모리 카드로 채택 및 출시되었다.[11]

MMCmicro는 microSD와 매우 비슷해 보이지만, 두 형식은 물리적으로 호환되지 않으며 핀 배열도 다르다.

MMC 규격 메모리 카드 비교
항목MMCmicro
12mm
길이14mm
두께1.1mm
체적184.8mm3
동작 전압1.65V~1.95V
2.7V~3.6V
단자 수10핀
버스 폭1・4비트
최대 클럭20・26・52MHz
버스 최대 속도26MB/s



MMCmicro

3. 6. MiCard

'''MiCard'''는 2007년 6월 2일에 발표된 MMC 표준의 하위 호환 확장 규격으로, 이론상 최대 용량은 2048GB(2TB)이다.[12] 이 카드는 SD 카드 어댑터가 있는 microSD 카드와 매우 유사하게 두 개의 분리 가능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작은 메모리 카드는 USB 포트에 직접 연결되며 MMC 호환 전기 접점을 가지고 있다. 포함된 전자 기계 어댑터를 사용하면 기존 MMC 및 SD 카드 리더에도 장착할 수 있다.[12] 현재까지 이 형식의 카드를 생산한 제조업체는 Pretec 한 곳뿐이다.[12]

MiCard는 대만의 산업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되었다. 발표 당시 ADATA Technology, 아수스텍, BenQ, Carry Computer Eng. Co., C-One Technology, DBTel, Power Digital Card Co., RiCHIP을 포함한 12개의 대만 회사가 이 새로운 메모리 카드 생산에 서명했다. 그러나 2011년 6월 현재, 언급된 회사 중 어느 곳도 이러한 카드를 출시하지 않았으며, 이 형식에 대한 계획에 대한 추가 발표도 없었다.

이 카드는 2007년 3분기부터 출시될 예정이었다. 이 제품과 관련 하드웨어를 제조할 계획이었던 12개의 대만 회사는 경쟁 플래시 메모리 형식의 소유자에게 지불해야 할 수 있었던 최대 4000만달러의 라이선스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초기 카드의 용량은 8GB였으며, 표준은 최대 2048GB까지 허용할 것이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480 Mbit/s (60 Mbyte/s)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가시킬 계획이었다고 한다.

3. 7. eMMC (embedded MMC)

eMMC(embedded MMC)는 MMC의 구성 요소(플래시 메모리, 버퍼, 컨트롤러)를 볼 그리드 배열(BGA) IC 패키지에 넣어 인쇄 회로 기판(PCB)에 내장하는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시스템이다.[13] 다른 버전의 MMC와 달리 PCB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사용자가 제거할 수 없으므로, 메모리나 컨트롤러에 문제가 발생하면 eMMC를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한다.[13]

eMMC는 호스트 시스템이 논리 블록 주소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며,[27] eMMC 컨트롤러 하드웨어와 펌웨어가 오류 수정 및 데이터 관리를 수행하여 호스트 시스템의 부담을 줄여준다.[14][28][29] 100, 153, 169 볼 패키지로 제공되며 8비트 병렬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다.[14][30]

삼성 갤럭시 탭 2 10.1(Samsung Galaxy Tab 2 10.1) 내부의 eMMC KLMAG2GE4A-A002


2016년까지 대부분의 휴대폰과 태블릿이 주 저장 장치로 eMMC를 사용했지만, UFS(Universal Flash Storage)가 시장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23년 현재도 저가형 스마트폰 등 많은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에서 eMMC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키옥시아(Kioxia)는 2024년에 최신 3D NAND 플래시 기반의 64GB 및 128GB eMMC 5.1 모듈 대량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15][16]

eMMC는 SPI 버스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고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17][32] 주로 기본적인 홈 태스크나 오피스 태스크 등 작은 파일이나 휴대용 가전 제품 저장에 적합하다.[31]

JEDEC은 2013년 10월에 eMMC 5.0[26], 2015년 2월에 eMMC 5.1, 2019년 1월에 5.1A([https://www.jedec.org/standards-documents/docs/jesd84-b51 JESD84-B51])를 출시했다. eMMC 5.0의 전송 속도는 400MB/s이다.

eMMC 버전
버전순차 읽기 (MB/s)순차 쓰기 (MB/s)임의 읽기 (IO/s)임의 쓰기 (IO/s)클록 주파수 (MHz)사용처
4.3
4.4
4.4152[18]
4.5140[19]5070002000200스냅드래곤 800(Snapdragon 800)
5.025090700013000스냅드래곤 801(Snapdragon 801)
5.12501251100013000스냅드래곤 820(Snapdragon 820)


4. 기술적 특징

인터페이스는 7핀 시리얼이며, 초기 MMC는 최대 20Mbps 클럭, 최대 2MB/s 쓰기 속도를 지원했다.[25] Version 4.2까지는 SPI 모드가 있어 속도가 느려도 SPI 버스로 여러 장치를 쉽게 연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eMMC는 SPI 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후 고속화된 HS-MMC(13핀)는 52MB/s, MMCplus는 52MB/s의 속도를 지원한다.

SD 메모리 카드와는 물리적 형상, 전기적 특성, 명령 형식에서 호환되므로, SD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기기에서도 멀티미디어 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단, 명령어 자체는 기능 대체 및 추가로 인해 호환되지 않는다.

'''각 MMC 규격 메모리 카드 비교'''
MMCHS-MMCMMCplusRS-MMCDV RS-MMCMMCmobileMMCmicro
24mm24mm24mm24mm24mm24mm12mm
길이32mm32mm32mm18mm18mm18mm14mm
두께1.4mm1.4mm1.4mm1.4mm1.4mm1.4mm1.1mm
체적1075.2mm31075.2mm31075.2mm3604.8mm3604.8mm3604.8mm3184.8mm3
동작 전압2.7V~3.6V2.7V~3.6V1.65V~1.95V
2.7V~3.6V
2.7V~3.6V1.65V~1.95V
2.7V~3.6V
1.65V~1.95V
2.7V~3.6V
1.65V~1.95V
2.7V~3.6V
단자 수7핀13핀13핀7핀7핀13핀10핀
버스 폭1비트1・4・8비트1・4・8비트1비트1비트1・4・8비트1・4비트
최대 클럭20MHz20・26・52MHz20・26・52MHz20MHz20・26MHz20・26・52MHz20・26・52MHz
버스 최대 속도2.5MB/s52MB/s52MB/s2.5MB/s3.25MB/s52MB/s26MB/s


5. 응용 분야

MMC는 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저장 장치로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PDA 등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SD 카드에 밀려 장치에 내장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25] 하지만, SD 카드 슬롯이 있는 장치에서는 소프트웨어나 펌웨어가 지원한다면 MMC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eMMC (embedded MMC)는 MMC의 구성 요소(플래시 메모리, 버퍼, 컨트롤러)를 볼 그리드 배열 (BGA) IC 패키지에 넣어 회로 기판에 내장형 비휘발성 메모리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13] 이는 사용자가 제거할 수 있는 카드가 아닌 인쇄 회로 기판 (PCB)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는 점에서 다른 버전의 MMC와 다르다. eMMC는 호스트 시스템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컨트롤러 하드웨어와 펌웨어가 오류 수정 및 데이터 관리를 수행한다.[14] 100, 153, 169 볼 패키지로 제공되며 8비트 병렬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다.[14] JEDEC에서 2013년 10월에 eMMC 5.0[26], 2015년 2월에 eMMC 5.1을 출시했으며, eMMC 5.0의 전송 속도는 400MB/sec이다.

eMMC는 샌디스크지멘스(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공동 개발하여 1997년 11월에 발표한 규격[25]을 기반으로 한다. 일본 외에서는 휴대 전화 점유율 1위인 노키아가 RS-MMC를 외부 미디어로 채택했기 때문에 수요도 많았지만, 최근에는 노키아도 microSD 카드로 전환하고 있다.

2016년까지 거의 모든 휴대폰과 태블릿은 주 저장 장치로 eMMC를 사용했지만, UFS (Universal Flash Storage)가 시장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2023년 현재, eMMC는 저가형 스마트폰을 포함한 많은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키옥시아는 2024년에 대량 생산을 목표로 하는 최신 3D NAND 플래시 기반의 새로운 64 GB 및 128 GB eMMC 5.1 모듈을 출시했다.[15][16] eMMC는 기본적인 홈 태스크나 오피스 태스크 등, 작은 파일이나 휴대용 가전 제품의 저장에 적합하다.[31]

eMMC는 SPI 버스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며, NAND 플래시를 사용한다.[17]

일부 PLC 저장 장치에도 MMC가 사용된다.

eMMC 버전
버전순차 읽기 (MB/s)순차 쓰기 (MB/s)임의 읽기 (IO/s)임의 쓰기 (IO/s)클록 주파수 (MHz)사용처
4.3
4.4
4.4152[18]
4.5140[19]5070002000200스냅드래곤 800
5.025090700013000스냅드래곤 801
5.12501251100013000스냅드래곤 820


6. 한국 시장에서의 MMC

노키아가 RS-MMC를 외부 미디어로 채택하면서 일본 외 지역에서는 수요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노키아도 microSD 카드로 전환하고 있다.[25] 한국에서는 SD 메모리 카드가 급속히 보급되면서 MMC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과거의 규격으로 여겨지고 있다.[25]

2004년 12월에 출시된 노키아 휴대폰 Vodafone 702NK (Nokia 6630)가 인기를 얻으면서, 해당 단말기에 채택된 RS-MMC를 취급하는 제조사나 판매점이 늘어나는 등 한때 주목을 받기도 했다.[25]

7. CE-ATA

CE-ATA는 시게이트, 히타치 등에서 소형 폼 팩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용으로 개발한 인터페이스이다.[21] MMC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호환되지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어하기 위해 호스트 컨트롤러가 ATA 명령을 제공하도록 명령 구조가 확장되어 있다.[21] 2008년에 표준 개발 지원이 종료되었다.[22]

참조

[1] 서적 Upgrading And Repairing PCs 21st Edition https://www.tomshard[...] Que Publishing 2014-08-03
[2] 웹사이트 eMMC vs. SSD storage: What's the difference? https://www.windowsc[...] 2024-03-04
[3] 웹사이트 eMMC Memory Modules: A Simple Guide https://magazine.odr[...] 2024-03-04
[4] 웹사이트 Orange Pi 32GB/64GB/256GB eMMC Module http://www.orangepi.[...] 2024-03-04
[5] 웹사이트 e.MMC v5.1 http://www.jedec.org[...] JEDEC 2015-08-21
[6] 웹사이트 MultiMediaCard Association Merges with JEDEC https://www.jedec.or[...] 2022-10-29
[7] 웹사이트 Standards & Documents Search https://www.jedec.or[...] 2022-10-29
[8] 웹사이트 MC2GH512NMCA-2SA00 datasheet(1/102 Pages) SAMSUNG http://html.alldatas[...] 2013-11-13
[9] 문서 TheMiniDrive.com http://www.TheMiniDr[...]
[10] 웹사이트 Samsung Semiconductor Global Official Website http://www.samsung.c[...] Samsung.com 2013-11-13
[11] 문서 MMCmicro http://www.allmemory[...]
[12] 웹사이트 Pretec Announces S-Diamond, 1st in the World to Implement miCARD Standard http://www.businessw[...] 2010-01-21
[13] 웹사이트 What is eMMC Memory – software support – Reliance Nitro http://www.datalight[...]
[14] 웹사이트 Flash Memory Form Factors https://www.hypersto[...] Hyperstone GmbH 2018-04-19
[15] 웹사이트 KIOXIA Introduces Next Generation e-MMC Ver. 5.1-Compliant Embedded Flash Memory Products https://www.business[...] 2023-09-28
[16] 웹사이트 eMMC Destined to Live a Bit Longer: KIOXIA Releases New Generation of eMMC Modules https://www.anandtec[...] 2023-09-28
[17] 웹사이트 NAND and eMMC: All You Need to Know About Flash Memory https://www.makeuseo[...] 2016-09-06
[18] 웹사이트 Q4.11: Introduction to eMMC https://www.slidesha[...] 2014-03-20
[19] 웹사이트 eMMC to UFS: How NAND Memory for Mobile Products Is Evolving https://news.samsung[...] 2021-02-16
[20] 웹사이트 eMMC Chips https://www.mouser.c[...]
[21] 웹사이트 New Consumer Electronic Interface on Future Hard Drives https://phys.org/new[...] 2019-04-01
[22] 웹사이트 Consumer Electronics ATA (CE-ATA) https://www.techoped[...] 2019-04-01
[23] 웹사이트 Playstation Vita Cartridge Dump explained https://wololo.net/2[...] 2022-07-29
[24] 웹사이트 コンテンツ記録用メモリカードに関する技術動向調査 http://www.jpo.go.jp[...] 特許庁技術調査課 2014-03-08
[25] 웹사이트 1997 Wescon https://books.google[...] IEEE 2014-03-07
[26] 뉴스 JEDEC、400MB/secの転送速度に対応するeMMC 5.0規格を公開 ~スマートフォンやタブレットのストレージ性能が2倍に - PC Watch https://pc.watch.imp[...]
[27] 웹사이트 eMMC and its applications in the Medical Field https://www.flexxon.[...] 2023-09-04
[28] 웹사이트 Working with embedded MultiMediaCard (eMMC) https://www.embedded[...] 2023-09-04
[29] 웹사이트 eMMC VS HDD: Which Is Better & What's The Difference https://www.easeus.c[...] 2023-09-04
[30] 웹사이트 What is MMC and eMMC? https://ici2016.org/[...] 2023-09-04
[31]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MMC Card – Its Definition and Variants https://www.minitool[...] 2023-09-04
[32] 웹사이트 NAND and eMMC: All You Need to Know About Flash Memory https://www.makeuseo[...] 2023-09-04
[33] 문서 삼성 MMC 데이터시트 http://www.samsung.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