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쇼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쇼 천황은 1629년 7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1643년 퇴위한 일본의 109대 천황이다. 고미즈노오 천황의 딸로, 도쿠가와 막부의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외손녀이다. 쇼토쿠 천황 이후 859년 만의 여성 천황이었으나,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의 섭정을 받았다. 재위 기간 중 도쿠가와 이에미쓰 시대의 에도 막부가 발전했으며, 지진, 조선 사절의 방문, 시마바라의 난, 기독교 금지 등의 사건이 있었다. 1643년 이복 동생 고코묘 천황에게 양위한 후, 1663년부터 1671년까지 레이겐 천황의 섭정을 맡았으며, 1696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묘소는 교토의 센뉴지에 있는 월륜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미즈노오 천황의 자녀 - 레이겐 천황
레이겐 천황은 에도 시대의 제112대 일본 천황으로, 고사이 천황으로부터 양위받아 즉위하여 황실 재흥을 목표로 하였으며 히가시야마 천황에게 양위 후 법황이 되었다. - 고미즈노오 천황의 자녀 - 고코묘 천황
고코묘 천황은 고미즈노 천황의 아들로, 11세에 즉위하여 유학 장려 및 조정 의례 부활에 힘썼으나, 22세에 천연두로 사망한 일본의 천황이다. - 일본의 황녀 - 고켄 천황
고켄 천황은 쇼무 천황의 딸로, 일본 제45대 및 제48대 천황으로서 후지와라노 나카마로의 후원을 받다가 준닌 천황과의 갈등 후 재즉위하여 쇼토쿠 천황으로 불렸으며, 재위 기간 동안 정치적 혼란과 불교 중시 정책을 겪고 백만탑 다라니 제작을 후원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으나 통치 방식에 대한 비판과 후계자 문제 논란이 있다. - 일본의 황녀 - 고사쿠라마치 천황
고사쿠라마치 천황은 일본의 117대 천황이자 일본 역사상 마지막 여제로서, 고모모조노 천황에게 양위 후 태상천황으로 고카쿠 천황을 보좌하며 조정의 권위 향상에 기여했고 가도와 문필에도 능통하여 문화적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 17세기 일본의 군주 - 고미즈노오 천황
고미즈노오 천황은 1596년에 태어나 1611년 즉위하여 1629년 양위한 일본의 108대 천황으로, 막부의 통제 속에서 권위 실추를 겪었으며 도후쿠몬인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낳고 저서를 남겼다. - 17세기 일본의 군주 - 히가시야마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은 레이겐 천황의 아들로 1687년부터 1709년까지 재위하며 겐로쿠 문화의 전성기와 조정과 막부의 원만한 관계, 황실 재정 안정 등 안정적인 시기를 보낸 후 천연두로 사망했다.
메이쇼 천황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메이쇼 천황 |
휘 | 오키코 (興子) |
어린 시절 이름 | 여자 1궁 |
추호 | 메이쇼인 (明正院) 또는 메이쇼 천황 (明正天皇) |
재위 기간 | 1629년 12월 22일 – 1643년 11월 14일 |
재위 기간 (일본식) | 간에이 6년 11월 8일 – 간에이 20년 10월 3일 |
즉위례 | 1630년 10월 17일 (간에이 7년 9월 12일) |
시대 | 에도 시대 |
연호 | 간에이 |
정부 수뇌 관직 | 정 이대장군 |
정부 수뇌 인물 | 도쿠가와 이에미쓰 |
수도 | 교토 |
황거 | 교토 어소 |
출생일 | 1624년 1월 9일 (겐나 9년 11월 19일) |
출생지 | 교토, 교토부, 도쿠가와 막부 |
사망일 | 1696년 12월 4일 (겐로쿠 9년 11월 10일) |
사망지 | 교토, 교토부, 도쿠가와 막부 |
묘소 | 쓰키노와 능, 교토 |
![]() | |
정치 | |
유형 | 일본 천황 |
선대 | 고미즈노오 천황 |
계승자 | 고코묘 천황 |
섭정 | 도쿠가와 이에미쓰 |
가계 | |
아버지 | 고미즈노오 천황 |
어머니 | 도쿠가와 마사코 |
2. 생애
1624년 고미즈노오 천황과 가즈코 중궁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가즈코는 도쿠가와 막부의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로, 메이쇼 천황은 히데타다의 외손녀였다.[22] 고미즈노오 천황과 가즈코 사이에는 여러 자식들이 있었지만, 아들들은 모두 어려서 사망했다.
메이쇼 천황은 쇼토쿠 천황 이후 859년 만에 즉위한 여성 천황이었다.[22] 그러나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의 섭정을 받아 조정에서 실권은 갖지 못했다. 1643년 이복동생 고코묘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황이 되었으며, 1663년부터 1671년까지는 일본 태상천황이자 비구니 신분으로 레이겐 천황의 섭정을 맡기도 했다.
1696년 (겐로쿠 9년)에 74세로 사망했다.[11] 메이쇼 천황의 신(神)은 센뉴지 히가시야마구에 위치한 쓰키노와노 미사사기에 있는 황릉에서 숭배되고 있다.[15] 그녀의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과 고코묘 천황, 고사이 천황, 레이겐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 나카미카도 천황, 사쿠라마치 천황, 모모조노 천황, 고사쿠라마치 천황, 고모모조노 천황도 함께 안치되어 있다.[15]
메이쇼 천황의 이름은 이전의 두 여황제, 겐메이 천황(707~715)과 그녀의 딸 겐쇼 천황(715~724)의 이름을 합쳐서 만들어졌다.
2. 1. 어린 시절
1624년 고미즈노오 천황의 황녀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도쿠가와 막부의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 도쿠가와 마사코로, 메이쇼 천황은 히데타다의 외손녀였다.[22] 고미즈노오 천황과 마사코 사이에는 여러 자식들이 있었지만, 아들들은 모두 어려서 죽었다.메이쇼 천황의 즉위 전 이름은 오키코(興子)였으며,[5] 칭호는 온나이치노미야(女一宮)였다.[5] 내궁(대리)의 내전(内殿)에서 생활했는데, 이는 궁중 여성들을 위한 구역과는 달랐다.
2. 2. 즉위 과정
1627년 시에 사건과 1629년 가스가노 쓰보네의 천황 배알 등으로 막부에게서 치욕을 당한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은 1629년 7세의 딸에게 황위를 물려주었다.[22] 쇼토쿠 천황 이후 859년 만에 여성 천황이 즉위한 것이다.[22]고미즈노오 천황이 양위를 결심한 배경에는 막부의 제약으로 자유롭지 못했던 상황과 시에 사건에 대한 분노가 컸다는 지적이 있다.[17] 양위 상담을 받은 추화문원은 주요 공가 10여 명에게 각서를 전달했는데, 그 내용에는 여성 천황이 일시적으로 황위를 맡고 황자가 태어나면 양위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18]
2. 3. 재위 기간
1627년 시에 사건, 1629년 가스가노 쓰보네의 천황 배알 등으로 막부에게서 치욕을 당한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은 불과 7세의 딸에게 천황의 자리를 물려주었다.[22] 쇼토쿠 천황 이래 859년 만에 즉위한 여성 천황이었다. 그러나 재위 기간 동안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이 섭정을 하여 조정의 실권은 없었다. 1643년 (겐나 20년) 메이쇼 천황은 즉위한 지 13년 만에 이복 남동생 고코묘 천황에게 황위를 넘겨주고 상황이 되었다.[22]메이쇼 천황의 재위 기간은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지휘 아래 에도 막부가 발전하고 성장하는 시기와 일치한다.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629년 12월 22일 (간에이 6년 11월 8일) | 고미즈노오 천황이 메이쇼 천황에게 황위를 양위하였다.[12] 당시 5세였으며, 770년에 사망한 제48대 쇼토쿠 천황 이후로 황위에 오른 첫 여성이었다.[2] |
1632년 (간에이 9년 1월 24일) | 전 쇼군(将軍)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사망하였다.[12] |
1633년 (간에이 10년 1월 20일) | 사가미 오다와라에서 지진이 발생하였다.[12] |
1634년 (간에이 11년) | 쇼군(将軍)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미야코(都)를 방문하였다.[12] |
1635년 (간에이 12년) | 조선 인조 왕의 사절이 미야코(都)에 도착하였다.[12] |
1637년 (간에이 14년) | 기독교도들이 관련된 아리마와 시마바라에서 대규모 반란이 발생하였고, 쇼군(将軍)군이 소요를 진압하기 위해 파견되었다.[12] |
1638년 (간에이 15년) | 아리마(有馬)와 시마바라(島原)의 반란이 진압되었고, 반란군 3만 7천 명이 사망하였다. 기독교는 사형의 위협 하에 일본에서 금지되었다.[12] |
1640년 (간에이 17년) | 마카오 출신의 스페인 선박이 61명의 사절단을 나가사키에 데려왔다. 그들은 1640년 7월 6일에 도착하였고, 8월 9일에 모두 참수당하고 그들의 머리는 말뚝에 박혔다.[12] |
1641년 (간에이 18년) | 메이쇼의 이복 남동생인 쓰구히토 왕자가 황태자로 책봉되었다.[2] |
1643년 (간에이 20년) | 조선 국왕의 사절이 일본에 도착하였다.[13] |
1643년 11월 14일 (간에이 20년 9월 29일) | 메이쇼 천황(明正天皇) 15년에 여황이 퇴위하였다.[11] |
2. 4. 양위와 사망
1643년(겐나 20년) 메이쇼 천황은 이복 남동생 고코묘 천황에게 황위를 넘겨주고 상황이 되어 출가하였다.[22] 1696년 (겐로쿠 9년)에 74세로 사망했다.[22]3. 가계
고미즈노오 천황의 둘째 황녀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도쿠가와 막부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인 가즈코 중궁으로, 메이쇼 천황은 히데타다의 외손녀였다.[22] 고미즈노오 천황과 가즈코 사이에는 여러 자식들이 있었지만, 아들들은 모두 어려서 죽었다.[22] 메이쇼 천황은 이후 이복 남동생 고코묘 천황에게 황위를 물려주었다.
3. 1. 조상
관계 | 이름 |
---|---|
아버지 | 고미즈노오 천황 |
어머니 | 도쿠가와 마사코 |
외할아버지 |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막부 2대 쇼군) |
외할머니 | 오에요 |
증조할아버지 (아버지의 아버지) | 고요제이 천황 |
증조할머니 (아버지의 어머니) | 코노에 사키코 |
증조할아버지 (어머니의 아버지) |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막부 초대 쇼군) |
증조할머니 (어머니의 어머니) | 사이고 부인 |
메이쇼 천황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증손녀이자,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외손녀였다.[6][7] 도쿠가와 히데타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그의 부인 사이고노츠보네의 아들이었다.[8]
3. 2. 형제자매
메이쇼 천황은 고미즈노오 천황의 둘째 딸로, 어머니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 가즈코였다.[22] 따라서 메이쇼 천황은 히데타다의 외손녀였다. 고미즈노오 천황과 가즈코 사이에는 여러 자식들이 있었지만, 아들들은 모두 어려서 죽었다.[22]메이쇼 천황의 이복 형제자매는 다음과 같다.
4. 연호
5. 사건
- '''1627년''' (간에이 6년): 시에 사건 - 고미즈노오 천황이 쇼군의 칙령으로 2년간 금지된 자색 의복을 10명이 넘는 승려들에게 수여했다는 혐의를 받았다(아마도 천황과 종교계의 유대를 끊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막부는 개입하여 의복 수여를 무효화했다.
- '''1637년''' (간에이 14년): 아리마와 시마바라에서 많은 기독교도들이 관련된 대규모 반란이 발생하였고, 쇼군군이 소요를 진압하기 위해 파견되었다.[12]
- '''1638년''' (간에이 15년): 아리마와 시마바라의 반란이 진압되었고, 반란군 3만 7천 명이 사망하였다. 기독교는 사형의 위협 하에 일본에서 금지되었다.[12]
6. 평가
메이쇼 천황은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외손녀이자 고미즈노오 천황의 딸로서, 쇼토쿠 천황 이후 859년 만에 여성 천황으로 즉위했다. 그러나 아버지 고미즈노오 천황의 섭정으로 인해 실권은 없었다.[22] 이는 도쿠가와 막부의 권력이 강화되고 왕권이 약화되는 시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메이쇼 천황의 즉위는 시에 사건(1627년)과 가스가노 쓰보네의 천황 배알(1629년) 등으로 막부에게 굴욕을 당한 고미즈노오 천황이 막부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한 선택이었다는 평가가 있다.[17] 하지만, 아버지 고미즈노 상황의 원정으로 인해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지 못했고, 조정과 막부 사이의 긴장은 계속되었다.[19]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메이쇼 천황은 막부의 권력 강화와 왕권 약화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여성으로서, 그리고 도쿠가와 가문의 외손녀로서 복잡한 위치에 있었던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7. 묘소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 이즈미야마초의 센류지 안에 있는 '''월륜릉'''(つきのわのみささぎ)으로 릉이 지정되어 있다. 궁내청 상의 형식은 석조 9중탑이다.
또한 황거에서는 황령전(궁중삼전 중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들과 함께 천황의 영이 봉안되어 있다.
8.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明正天皇 (108)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Unspecified)
[4]
웹사이트
Emperors and Empresses Regnant of Japan
https://www.britanni[...]
[5]
서적
(Unspecified)
[6]
문서
NHK's 2011 Taiga drama announcement
[7]
웹사이트
"Atsuhime" - Autorin für NHKs 2011er Taiga-Drama gewählt
http://www.j-dorama.[...]
2011-05-06
[8]
서적
(Unspecified)
1994
[9]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10]
서적
Jinnō Shōtōki
1980
[11]
서적
Japans Kaiserhof in der Edo-Zeit
https://books.google[...]
1999
[12]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13]
서적
(Unspecified)
https://books.google[...]
[14]
뉴스
Life in the Cloudy Imperial Fishbowl
http://search.japant[...]
2007-03-27
[15]
서적
(Unspecified)
[16]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17]
서적
天皇の歴史6 江戸時代の天皇
講談社
2018
[18]
서적
武家と天皇―王権をめぐる相剋―
岩波書店
1993-06
[19]
웹사이트
歴代の女性天皇について
https://www.kantei.g[...]
[20]
서적
日本近世国家の確立と天皇
清文堂出版
2006
[21]
서적
近世の朝廷制度と朝幕関係
東京大学出版会
2013
[22]
서적
일본 여성
시그마북스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