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미카도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카미카도 천황은 1709년부터 1735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114대 천황이다. 히가시야마 천황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나 9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아버지 히가시야마 상황과 할아버지 레이겐 상황의 섭정을 받았다. 그의 재위 기간은 6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노부부터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까지의 시대와 겹치며, 막부와의 관계는 비교적 양호했다. 1735년 사쿠라마치 천황에게 양위한 후 1737년에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카미카도 천황 - 구시게 요시코
히가시야마 천황의 텐시이자 나카미카도 천황의 생모인 구시게 요시코는 에도 시대에 나이시노죠로 출사하여 덴시로 승진하고 종2위까지 올랐으며 사후 뇨인으로 추증되었다. - 나카미카도 천황 - 고노에 히사코
고노에 히사코는 에도 시대 중기 나카미카도 천황의 뇨고이자 사쿠라마치 천황의 생모로, 난산으로 19세에 사망 후 준삼후와 뇨인호 추증, 사후 황태후로 추증되었다. - 18세기 일본의 군주 - 히가시야마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은 레이겐 천황의 아들로 1687년부터 1709년까지 재위하며 겐로쿠 문화의 전성기와 조정과 막부의 원만한 관계, 황실 재정 안정 등 안정적인 시기를 보낸 후 천연두로 사망했다. - 18세기 일본의 군주 - 모모조노 천황
에도 시대 제116대 일본 천황인 모모조노 천황은 사쿠라마치 천황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22세에 사망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막부의 영향력 아래 천황의 권위는 약화되었다. - 1702년 출생 - 신후담
신후담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성리학자로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서학을 비판적으로 연구했고, 천주교 교리를 비판한 《서학변》을 저술했으며,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며 남인 공서파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조선 후기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1702년 출생 - 앤 보니
앤 보니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활동한 아일랜드계 여성 해적으로, 캘리코 잭 랙험과 함께 해적 활동을 했으며 메리 리드와 용맹을 떨쳤고, 사형 선고 후 행적이 묘연하여 대중문화에서 여성 해적의 상징으로 재해석된다.
나카미카도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요시히토 (慶仁) |
이칭 | 나가노미야 (長宮) |
추증 | 나카미카도인 (中御門院), 나카미카도 천황 (中御門天皇) |
통치 정보 | |
천황 | 일본 천황 |
재위 기간 | 1709년 7월 27일 ~ 1735년 4월 13일 |
일본식 재위 기간 | 호에이 6년 6월 21일 - 교호 20년 3월 21일 |
즉위례 | 1710년 12월 30일 (호에이 7년 11월 11일) |
연호 | 호에이(宝永), 쇼토쿠(正徳), 교호(享保) |
쇼군 | 도쿠가와 이에노부, 도쿠가와 이에쓰구, 도쿠가와 요시무네 |
섭정 | 고노에 이에히로 → 구조 스케자네 |
간파쿠 | 구조 스케자네 → 니조 쓰나히라 → 고노에 이에히사 |
신상 정보 | |
출생일 | 1702년 1월 14일 |
출생 장소 | 교토, 에도 막부 |
사망일 | 1737년 5월 10일 (향년 35세) |
사망 장소 | 에도 막부 |
묘소 | 쓰키노와 능 |
가계 | |
아버지 | 히가시야마 천황 |
어머니 | 구시게 요시코 (생모), 유키코 내친왕 (양모) |
배우자 | 고노에 히사코 |
자녀 | 사쿠라마치 천황 고슌 법친왕 리슈 여왕 손조 여왕 주요 법친왕 시게코 내친왕 에이쿄 여왕 준닌 법친왕 세이산 여왕 지닌 법친왕 외 |
2. 생애
히가시야마 천황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나, 복잡한 황위 계승 과정을 거쳐 호에이 4년(1707년)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호에이 6년(1709년) 6월, 9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초기에는 아버지 히가시야마 상황, 이후 할아버지 레이겐 상황이 인세이를 행하며 실권을 가졌다. 외가인 쿠시게 가문의 영향력 또한 강했다.[24]
재위 기간은 6대 쇼군 이에노부부터 8대 쇼군 요시무네 시대에 해당하며, 에도 막부와는 비교적 양호한 관계를 유지했다. 이 시기 동생 칸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의 칸인노미야 가문 창설, 야소노미야 요시코 내친왕과 7대 쇼군 이에쓰구의 혼담 추진(이에쓰구 요절로 무산) 등의 일이 있었다. 교호 14년(1729년)에는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베트남에서 들여온 코끼리를 배알하고 와카를 남기기도 했다.[25]
교호 20년(1735년) 3월, 아들 사쿠라마치 천황에게 양위(재위 27년)하였고, 겐분 2년(1737년) 5월 10일에 36세로 붕어하였다.
2. 1. 즉위 전
나카미카도 천황이 황위에 오르기 전의 휘(이름)는 야스히토(慶仁)였다.[4][2] 1702년 1월 14일, 히가시야마 천황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생모는 쿠시게 요시코(櫛笥賀子)이다. 당시 관례에 따라 황후 유키코 내친왕(幸子女王)의 아들로 양육되었다.[2] 어릴 적 칭호는 마스노미야(長宮)였다. 야스히토가 살던 황궁 주변은 그가 어렸을 때 여러 재난과 사건을 겪었다. 1703년에는 겐로쿠 대지진이 발생하여 에도의 쇼군 성 일부가 무너졌고, 다음 날에는 큰 화재가 도시를 휩쓸었다.[5][6] 이로 인해 연호가 호에이(宝永, "번영의 영원")로 바뀌었다. 1707년에는 호에이 대지진이 오사카에 큰 피해를 주었으며,[6] 같은 해 후지산이 분화하여 주변 지역에 화산재를 뿌렸다.[6][7] 또한, 주군을 위해 복수한 47인의 로닌 사건도 이 시기에 있었다.아버지 히가시야마 천황에게는 쿠시게 요시코가 낳은 첫째, 둘째 아들과 넷째 아들 히사노미야(寿宮), 그리고 레이제이 츠네코(冷泉経子)가 낳은 셋째 아들 산노미야(三宮)가 있었다. 첫째와 둘째 아들이 일찍 세상을 떠났고, 산노미야는 천황의 부모인 레이겐 상황과 마츠노키 무네코(松木宗子)의 총애를 받고 있어 유력한 차기 황위 계승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산노미야의 실제 아버지가 히가시야마 천황의 동생인 쿄고쿠노미야 아야히토 친왕(京極宮文仁親王)이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기희공기』 겐로쿠 13년 3월 18일조). 정무 실권을 두고 아버지 레이겐 상황과 갈등하던 히가시야마 천황은 겐로쿠 13년(1700년) 넷째 아들 히사노미야가 태어나자, 전 관백 코노에 모토히로(近衛基熙)와 상의하여 레이겐 상황의 반대를 무릅쓰고 산노미야를 엔만인 몬제키로 보내기로 결정하고 에도 막부의 승낙을 받았다. 하지만 히사노미야마저 겐로쿠 14년(1701년) 11월에 요절하면서 황위 계승 문제는 다시 불투명해졌다.
다행히 다음 달, 임신 중이던 쿠시게 요시코가 다섯째 아들, 즉 마스노미야(야스히토)를 낳았다. 마스노미야는 히사노미야를 대신할 차기 황위 계승자로서 소중히 길러졌고, 히가시야마 천황은 겐로쿠 16년(1703년)부터 에도 막부에 마스노미야를 다음 황위 계승자로 인정해달라고 요청했다. 호에이 3년(1706년)에는 코노에 모토히로가 딸 히로코(近衛熙子)의 초대로 에도로 내려가 사위인 도쿠가와 쇼군가 세자 도쿠가와 이에노부(徳川家宣)와 미리 상의한 덕분에, 호에이 4년(1707년) 2월에 에도 막부의 동의를 얻을 수 있었다.
호에이 4년(1707년) 3월 22일, 마스노미야가 동궁(황태자)으로 정해졌음이 공식 발표되었고, 4월 29일에는 친왕 선하를 받아 '야스히토(慶仁)'라는 이름을 얻었다. 호에이 5년(1708년) 2월 16일에는 태자 책봉식이 거행되었다. 히가시야마 천황은 빨리 양위하여 자신이 인세이를 폄으로써 아버지 레이겐 상황의 정치적 영향력을 줄이려 했고, 같은 해 10월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徳川綱吉)에게 다음 해 양위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츠나요시는 11월에 양위를 승낙하는 노중봉서를 조정에 보냈으나, 호에이 6년(1709년) 1월 갑자기 사망했다.
이로 인해 츠나요시의 양자(실제로는 조카)인 도쿠가와 이에노부에 대한 쇼군 선하와 야스히토 친왕으로의 양위 중 어느 것을 먼저 해야 할지에 대한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부케텐소(武家伝奏)와 교토 쇼시다이(京都所司代)를 통한 공식 교섭과 별도로, 조정 측의 코노에 모토히로와 막부 측의 마나베 아키후사(間部詮房) 사이에 비밀 교섭이 진행되었다. 막부는 히가시야마 천황 재위 중에 쇼군 선하를 받기를 원했지만, 이에노부가 츠나요시의 상중이라는 점이 문제였다. 이에노부의 장인이자 고실(故実)에 밝은 모토히로는 복기령(服忌令) 규정을 검토하여, 이에노부의 경우 "어기(御忌) 50일", "어복(御服) 150일"이 적절하며, 50일의 어기가 지나면 쇼군 선하에 문제가 없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이 견해에 따라 이에노부가 50일의 상을 마친 후 쇼군 선하를 받고, 그 후에 양위가 이루어지기로 결정되었다. 관련 의식 일정을 고려하여, 호에이 6년(1709년) 5월 1일에 히가시야마 천황이 도쿠가와 이에노부에게 쇼군 선하를 하고, 약 한 달 뒤인 6월 21일에 야스히토 친왕에게 양위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2. 2. 즉위 초: 상황의 섭정
호에이 6년 (1709년) 6월 21일, 아버지 히가시야마 천황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9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다.[9] 즉위 초기에는 정치 실권이 없었으며, 일본의 실질적인 통치는 도쿠가와 쇼군가의 쇼군이 맡고 있었다. 어린 나이 때문에 황실의 권력 행사는 퇴위한 아버지 히가시야마 상황의 이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세이 방식으로 이루어졌다.그러나 같은 해 12월, 히가시야마 상황이 사망하고[10] 생모인 쿠시게 요시코 역시 같은 달에 세상을 떠났다. 이 때문에 할아버지인 레이겐 상황이 다시 인세이를 맡아 실권을 행사하게 되었다.[10] 또한, 어린 천황의 양육에는 외할아버지인 쿠시게 타카요시 부부가 깊이 관여하여, 천황이 15세가 될 때까지 고쇼 내에 머물며 보살폈다. 이 때문에 성인이 된 후에도 천황은 쿠시게 부부를 깊이 신임하였고, 이들 외척의 정치적 영향력은 이후에도 강하게 남아 외척의 영향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 하는 정치적 과제를 남겼다.[24]
2. 3. 막부와의 관계
히가시야마 천황은 아들 마스노미야(훗날 나카미카도 천황)를 황태자로 삼기 위해 에도 막부의 승인을 얻고자 했다. 겐로쿠 16년(1703년)부터 이를 시도했으며, 호에이 3년(1706년)에는 전 관백 코노에 모토히로가 에도로 내려가 사위이자 쇼군가 세자인 도쿠가와 이에노부와 사전에 상의한 덕분에 호에이 4년(1707년) 2월 막부의 동의를 얻을 수 있었다.호에이 4년(1707년) 3월 22일, 마스노미야가 황태자로 정해졌음이 공식 발표되었고, 4월 29일에는 친왕 선하가 이루어져 '요시히토'(慶仁)라는 이름이 정해졌다. 호에이 5년(1708년) 2월 16일에는 태자 책봉식이 거행되었다. 히가시야마 천황은 조속히 양위하여 자신이 인세이를 펴 아버지 레이겐 상황의 정치적 영향력을 줄이고자 했으며, 10월에는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에게 다음 해에 양위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츠나요시는 11월에 양위를 승낙하는 노중봉서를 조정에 보냈으나, 호에이 6년(1709년) 1월에 그가 급사하면서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츠나요시의 양자(실제로는 조카)인 도쿠가와 이에노부에 대한 쇼군 선하와 요시히토 친왕으로의 양위 중 어느 쪽을 우선해야 하는지가 쟁점이 된 것이다. 부케텐소와 교토 쇼시다이를 통한 공식적인 조정과 막부 간 교섭과 더불어, 조정 측의 코노에 모토히로와 막부 측의 마나베 아키후사 사이에서 비밀 교섭도 진행되었다. 막부는 현 천황(히가시야마 천황) 재위 중의 쇼군 선하를 희망했지만, 동시에 이에노부가 츠나요시의 상중(喪中)에 선하를 받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노부의 장인이자 고실(故実)에 밝았던 코노에 모토히로는 복기령(服忌令) 규정을 근거로 이에노부의 경우 "어기(御忌) 50일", "어복(御服) 150일"이 타당하며, 50일의 기일이 지나면 쇼군 선하에 지장이 없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이 견해가 받아들여져, 이에노부가 50일의 기일을 거친 후 쇼군 선하를 받고 그 후에 양위가 이루어지기로 결정되었다. 관련 의식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히가시야마 천황에서 도쿠가와 이에노부로의 쇼군 선하는 5월 1일에, 히가시야마 천황에서 요시히토 친왕으로의 양위는 약 한 달 뒤인 6월 21일에 실시되었다.
호에이 6년(1709년) 6월, 히가시야마 천황으로부터 양위받아 9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9] 처음에는 아버지 히가시야마 상황이 인세이를 폈으나, 같은 해 12월 상황과 어머니 쿠시게 요시코가 연이어 사망하면서[10] 할아버지 레이겐 상황이 다시 인세이를 행했다. 나카미카도 천황은 명목상의 천황이었고, 실질적인 통치는 도쿠가와 가문의 쇼군이 행사했다.
재위 기간은 6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노부부터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까지의 시대에 해당한다. 이 시기 막부와의 관계는 비교적 양호했는데, 이는 선대 히가시야마 천황이 쇼군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던 영향도 있었다. 동생인 칸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이 칸인노미야 가문을 창설했고, 레이겐 상황의 황녀 야소노미야 요시코 내친왕을 7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츠구에게 시집보내는(강가) 혼담이 오가기도 했다. 그러나 1716년 도쿠가와 이에츠구가 6세의 나이로 급사하면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12][13] 1715년 4월 20일에는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서거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전국적으로 열렸다.[3] 1716년 이에츠구의 사망 후 쇼군이 된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이듬해 교호 개혁을 시작했으며,[14] 1718년에는 황실 능묘를 수리하는 등 조정에 대한 예를 표했다.[15]
1710년 7월 7일부터 1711년 3월 22일까지는 류큐 왕국의 쇼 에키 왕이 파견한 외교 사절단이 에도 막부를 방문했다. 168명으로 구성된 이 사절단은 에도 시대 최대 규모였으며, 막부의 영접을 받았다. 이는 막부가 주도한 외교 행사였으나 나카미카도 천황 치세 초기의 주요 사건 중 하나였다.[11]
교호 14년(1729년),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베트남(광남국)에서 들여온 코끼리를 레이겐 상황과 함께 배알(拝謁)했다. 이때 코끼리가 품계나 관직이 없어 천황을 만날 자격이 없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급히 '광남종4위백상(広南従四位白象)'이라는 칭호를 주어 배알하게 했다는 기록이 에도명소도회에 있으나, 동시대 사료에서는 언급되지 않아 사실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25] 코끼리는 앞다리를 꺾어 머리를 숙이는 예를 표했으며, 이를 본 천황은 와카로 감상을 표현했다.
> 때가 되면 타국의 진기한 짐승일지라도 오늘 궁궐에서 보니 기쁘구나
> (時しあれは 人の国なるけたものも けふ九重に みるがうれしさ)
교호 20년(1735년) 3월, 사쿠라마치 천황에게 양위하였고(재위 27년), 겐분 2년(1737년) 5월 10일에 36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2. 4. 교호 개혁과 문화 발전
나카미카도 천황의 치세는 6대 쇼군부터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까지 이어졌다. 선대 히가시야마 천황이 쇼군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던 덕분에, 나카미카도 천황과 도쿠가와 막부의 관계는 비교적 원만했다.[12][13] 1716년 도쿠가와 이에쓰구의 뒤를 이어 쇼군이 된 도쿠가와 요시무네는 이듬해 교호 개혁을 시작했다.[14] 비록 천황이 개혁에 직접 관여하지는 않았지만, 요시무네는 1718년 황실 능묘를 수리하며 황실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모습을 보였다.[15]교호 개혁이 진행되는 가운데 여러 사회경제적 변화가 나타났다. 1730년, 막부는 오사카의 도지마 쌀 시장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정부 감독관(''넨교지'')을 파견하여 시장을 관리하고 세금을 징수했다.[16] 이를 통해 쌀 거래는 점차 공공 증권 거래와 유사한 형태로 발전했다.[17] 농업 생산성 향상 노력은 교호 시대 중반에 쌀 가격 하락을 가져오기도 했다.[18]
그러나 개혁 기간 동안 여러 재해가 발생하며 어려움도 따랐다. 1730년 8월 3일에는 무로마치에서 큰 화재가 발생하여 3,790채의 가옥이 불타고, 특히 직물 산업 중심지였던 니시진에서는 30,000개 이상의 직조기가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15] 또한 1732년부터 1733년까지 이어진 교호 기근은 메뚜기 떼의 습격으로 인해 내해 연안 지역 농업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19] 이러한 재해들은 막부의 개혁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시 백성들이 겪었던 어려움을 보여준다.
2. 5. 양위와 죽음
교호 14년(1729년)에는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직접 베트남 광남국에서 들여온 코끼리를 할아버지인 레이겐 상황과 함께 배알하였다. 이때 코끼리가 무위무관(無位無官)하여 천황을 배알할 자격이 없다는 문제가 제기되자, 급히 '광남종4위백상'이라는 칭호를 주어 배알하게 했다는 기록이 에도명소도회에 있으나, 카라스마루 미츠히데의 『광영경일기』나 산죠니시 킨후쿠의 『일기』 등 동시대 18세기 사료에는 언급되지 않아 서위(敍位) 사실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25] 코끼리는 앞다리를 꺾어 머리를 숙이는 예를 갖추었으며, 이를 처음 본 나카미카도 천황은 다음과 같은 와카로 감상을 남겼다.:때가 되면 외국의 진귀한 짐승일지라도 오늘 궁궐에서 보니 기쁘구나
교호 20년(1735년) 3월, 아들인 사쿠라마치 천황에게 양위하였다. 재위 기간은 27년이었다. 양위 후 다이조 텐노(상황)의 존호를 받았으며, 이를 기념하여 연호가 겐분(元文)으로 바뀌었다. 상황이 된 후에도 이전 천황들처럼 어느 정도 권력을 행사했다.[20] 1736년에는 쇼군이 화폐에 관한 칙령을 발표했는데, 이는 일본 화폐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사건이었다. 이 칙령은 제국 내에서 공인된 주화는 앞면에 '文'(겐분) 자가 새겨진 구리 동전임을 선언했다.[21] 연호를 주화에 새기는 관행은 오늘날 나루히토 시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겐분 2년(1737년) 5월 10일, 36세의 나이로 붕어하였다. 정확한 사인은 알려지지 않았다.[2] 그의 가미(영혼)는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센뉴지에 있는 황실 능묘(''미사사기'')인 ''쓰키노와노 미사사기''에 안치되어 있다.[2] 이곳에는 고미즈노오 천황 이후 그의 직계 선대 천황들인 메이쇼 천황, 고코묘 천황, 고사이 천황, 레이겐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뿐만 아니라, 직계 후대 천황들인 사쿠라마치 천황, 모모조노 천황, 고사쿠라마치 천황, 고모모조노 천황도 함께 안치되어 있다.[22]
3. 인물
천황은 조정의 옛 의식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여, 『공사부류(公事部類)』라는 찬저를 남겼다. 또한 피리와 와카(和歌), 서도에 능했으며, 특히 피리는 여우가 들으러 올 정도의 솜씨였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덧붙여, 천황의 측근이었던 히로하시 겸타네의 일기에 따르면, 천황은 십이지의 뱀과 인연이 깊어, 태어난 해가 뱀띠였을 뿐만 아니라, 붕어한 날 역시 사년(巳年, 뱀의 해) 사월(巳月, 뱀의 달) 사일(巳日, 뱀의 날) 사시(巳時, 뱀의 시)였다고 한다.
4. 연호
나카미카도 천황의 치세는 하나 이상의 연호로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된다.[20] 재위 기간 동안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
5. 가계
히가시야마 천황의 제5황자이다. 어머니는 구시게 다카요시(<0x7B><0x7B>llang|ja|櫛笥隆賀<0x7D><0x7D>)의 딸 요시코(<0x7B><0x7B>llang|ja|賀子<0x7D><0x7D>)이다.
나카미카도 천황에게는 여어(중궁), 전시, 장시, 비 등 여러 배우자와 그 사이에서 태어난 최소 14명의 자녀가 있었다.
지위 | 이름 | 생몰년 | 부친 | 자녀 |
---|---|---|---|---|
여어 (중궁) | 고노에 히사코(近衛尚子) (신츄카몬인(新中和門院)) | 1702–1720 | 고노에 이에히로 | 제1황자: 테루히토 친왕(昭仁親王) (훗날 사쿠라마치 천황) |
전시 | 시미즈다니 이와코(清水谷石子) (곤텐지노 쓰보네(権典侍局), 민부쿄노 텐지(民部卿典侍)) | 1703–1735 | 시미즈다니 사네나리 | 제2황자: 고준 법친왕(公遵法親王) 제4황녀: 리슈 여왕(理秀女王) 제6황녀: 손조 여왕(尊乗女王) 제8황녀: 슈노미야(周宮) (1735년 요절) |
전시 | 소노 쓰네코(園常子) (신텐지노 쓰보네(新典侍局)) | ?–1763 | 소노 모토카쓰 | 제3황자: 추요 법친왕(忠與法親王) 제3황녀: 고노미야(五宮) (1724년–1725년 요절) |
장시 | 구제 나쓰코(久世夏子) (미나모토노 나이시(源内侍)) | ?–1734 | 구제 미치나쓰 | 제2황녀: 산노미야(三宮) (1723년 요절) 제5황녀: 나리코 내친왕(후사코 내친왕, 成子内親王) (간인노미야 노리히토 친왕 비) 제7황녀: 에이코 여왕(永皎女王) 제5황자: 신노미야(信宮) (1734년 요절) |
장시 | 고조 히로코(五条寛子) (스가와라노 나이시(菅原内侍)) | 1718–? | 고조 다메노리 | 제6황자: 준닌 법친왕(遵仁法親王) |
비 | 단바 씨(丹波氏) (이요노 쓰보네(伊予局), 겐쇼인(健祥院)) | 1703–1770 | 고모리 요리스에 (양부: 니시키코지 요리쓰네, 이시이 유키야스) | 제1황녀: 세이산 여왕(쇼산 여왕, 聖珊女王) 제4황자: 지닌 법친왕(慈仁法親王) |
- '''양자'''
- * 에이닌 법친왕 (아리스가와노미야 요리히토 친왕의 차남)
- * 고케이 법친왕 (칸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의 차남)
나카미카도 천황의 직계 황통은 아들 사쿠라마치 천황, 손자 모모조노 천황, 증손 고모모조노 천황으로 이어졌다. 고모모조노 천황에게는 외동딸 요시코 내친왕만이 있었는데, 그녀는 나카미카도 천황의 동생인 칸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의 손자, 즉 방계 혈족인 고카쿠 천황의 중궁이 되었다. 요시코 내친왕은 마스히토 친왕(<0x7B><0x7B>llang|ja|温仁親王<0x7D><0x7D>)과 도시히토 친왕(<0x7B><0x7B>llang|ja|悦仁親王<0x7D><0x7D>)을 낳았으나, 두 친왕 모두 후사 없이 요절하여 나카미카도 천황의 직계는 단절되었다. 현재의 일본 황실은 고카쿠 천황과 그의 후궁(텐지) 카쥬지 타다코(<0x7B><0x7B>llang|ja|勧修寺婧子<0x7D><0x7D>) 사이에서 태어난 닌코 천황(마스히토 친왕과 도시히토 친왕의 이복동생)의 후손이다.
6. 능묘
능(미사사기)은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이마쿠마노 이즈미야마정에 있는 센뉴지 내의 '''월륜릉'''(쓰키노와노 미사사기)으로 지정되어 있다. 궁내청 상의 형식은 석조 구중탑이다.
또한 황거에서는 황령전 (궁중삼전의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과 함께 천황의 영이 모셔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mperial Household Agency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archive.org/[...]
[4]
서적
[5]
서적
Yokohama Burning
https://books.google[...]
[6]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archive.org/[...]
[7]
웹사이트
Shikuoka University page
http://sk01.ed.shizu[...]
[8]
서적
Kyoto: The Old Capital of Japan
Kyoto: Ponsonby Memorial Society
[9]
서적
Japans Kaiserhof in der Edo-Zeit
https://books.google[...]
[10]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archive.org/[...]
[11]
웹사이트
Ryūkyū Chuzano ryoshisha tojogyoretsu
http://jpimg.digital[...]
National Archives of Japan
[1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archive.org/[...]
[13]
서적
Secret Memoirs of the Shoguns
[14]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15]
서적
Kyoto: the Old Capital, 794–1869
[16]
서적
Japanese Securities Markets: A Historical Survey
[17]
서적
Japanese Securities Markets: A Historical Survey
[18]
서적
The Economic History of Japan: 1600–1990
[1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20]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archive.org/[...]
[2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archive.org/[...]
[22]
서적
[23]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24]
간행물
近世中期の朝廷運営と外戚
吉川弘文館
[25]
학술지
前近代ベトナムにおける象の国家的管理と象貿易
専修大学社会知性開発研究センタ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