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카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카네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 사용된 무대 장치로, 특히 연극과 장례식에서 활용되었다.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 연출에 사용되었고, 고대 로마에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장례식에서 그의 왁스 조상을 보여주는 데 사용되어 시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보이게 했다. 종교 의식에서는 십자가를 상징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으며, 기독교 전례에서 십자가를 '예수 그리스도의 극장 메카네'로 칭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종교 - 게니우스 로키
게니우스 로키는 고대 로마에서 장소의 수호신을 뜻하는 말로, 현대에는 장소의 고유한 분위기나 역사적 의미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건축 및 도시 설계의 철학적 근거가 되고, 아시아 전통 신앙이나 현대 판타지 작품에서도 나타난다. - 고대 로마의 종교 - 폰티펙스 막시무스
폰티펙스 막시무스는 고대 로마의 최고 사제직으로 종교 의례, 달력 관리, 법률 제정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로마 제정 시대에는 황제가 겸임하다가 기독교 공인 이후 교황에게 그 권한이 이관되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메카네 |
---|
2.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의 사용
2. 1. '데우스 엑스 마키나'
3. 고대 로마에서의 사용
무대장치들은 고대 로마의 장례식에서 고도로 극화된 여러 퍼포먼스를 하는 동안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장례식에서 아피아누스 알렉산드리누스는 사망한 독재자의 피투성이 밀랍조상을 장례식에 운집한 군중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메카네를 사용했다고 기록하였다. 메카네는 배우의 모습을 모든 각도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기도 하였다[8]. 조프리 수미는 이에 대하여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신성성을 나타내기 위해 메카네가 사용되었다고 보았다[9].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이 낮아보이는데 왜냐하면 아피아누스는 이 메카네를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와 같은 것으로 묘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카이사르의 신격화(apotheosis)는 기원전 42년까지 정식으로 신격화되지도 않았으며 카이사르가 살아있을 때도 신성한 존재로 추앙받은 적은 적어도 비공식적인 경우일 뿐에 한정되었다. 카이사르의 장례식에서 메카네를 최초로 사용한 인물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였는데 그는 대중들에게 카이사르에 대한 존경을 강화하여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시키려고 하였다[10].
무대 기계는 또한 고대 로마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때로는 매우 극적인 장례식 공연 중에 사용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장례식에서 아피아누스는 메카네를 사용하여 사망한 독재자의 피 묻은 왁스 조상을 장례식 군중에게 보여주었다고 보고했다. 메카네는 시체를 모든 방향으로 돌리는 데 사용되었다.[2] 제프리 수미는 메카네의 사용이 "카이사르의 신성을 암시한다"고 제안한다.[3] 이는 아피아누스가 메카네를 진정한 ''데우스 엑스 마키나'' 장치로 묘사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그럴듯하지 않다. 더욱이 카이사르의 신격화는 기원전 42년까지 법적으로 시행되지 않았고, 카이사르는 생전에 비공식적으로만 ''디부스''로 숭배되었다. 무엇보다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르의 존경과 자신의 정치적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중을 선동하려고 시도했다.[4]
3. 1. 율리우스 카이사르 장례식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장례식에서 아피아누스는 메카네를 사용하여 사망한 독재자의 피 묻은 왁스 조상을 장례식 군중에게 보여주었다고 기록했다. 메카네는 시체를 모든 방향으로 돌리는 데 사용되었다.[2][8] 제프리 수미는 메카네의 사용이 "카이사르의 신성을 암시한다"고 제안한다.[3][9] 이는 아피아누스가 메카네를 진정한 ''데우스 엑스 마키나'' 장치로 묘사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아보인다. 더욱이 카이사르의 신격화는 기원전 42년까지 법적으로 시행되지 않았고, 카이사르는 생전에 비공식적으로만 ''디부스''로 숭배되었다.[4] 무엇보다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르의 존경과 자신의 정치적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중을 선동하려고 시도했다.[4][10]4. 종교 의식에서의 사용
기독교 전례에서 메카네는 십자가를 상징하는 데 사용되었다.[5] 이그나티우스는 십자가를 ‘예수 그리스도의 극장 메카네’로 불렀다.[5]
5. 한국 연극 및 문화에 미친 영향
참조
[1]
서적
Cratylus (dialogue)
[2]
간행물
B.C.
[3]
서적
Ceremony and Power — Performing Politics in Rome between Republic and Empire
Ann Arbor
2005
[4]
문서
Resurrection
[5]
문서
Letter to the Ephesians
[6]
서적
[7]
문서
Deus Ex Machina
[8]
간행물
B.C.
[9]
서적
Ceremony and Power — Performing Politics in Rome between Republic and Empire
Ann Arbor
2005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